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4권, 세조 2년 7월 20일 정해 4번째기사 1456년 명 경태(景泰) 7년

역승들이 폐단을 일으켜 역로가 쇠잔해지니 이조에서 개편을 청하다

이조(吏曹)에서 아뢰기를,

"역승(驛丞)들이 폐단을 일으켜 역로(驛路)가 날로 더욱 쇠잔하여지니, 전의 경기좌도(京畿左道)충청도(忠淸道)의 정역 찰방(程驛察訪)은 경기 충청좌도 정역 찰방(京畿忠淸左道程驛察訪)이라 칭하고, 곧은 길로 충청도 성환역(成歡驛)에서 평천역(平川驛)까지는 경기 충청우도(京畿忠淸右道)라 칭하여 정역 찰방(程驛察訪)을 두고, 성환(成歡)일신(日新) 양도(兩道)의 역승(驛丞)을 혁파하고, 또 종전의 경기좌도 찰방의 소관(所管)이던 청호(靑好)·가천(加川)·강복(康福) 등 3개의 역은 지역이 우도에 가까우니, 청컨대 이속(移屬)시키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2책 4권 30장 A면【국편영인본】 7책 144면
  • 【분류】
    교통-육운(陸運) /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吏曹啓: "驛丞作弊, 驛路日益凋殘, 在前京畿左道忠淸道程驛察訪, 則稱京畿 忠淸左道程驛察訪, 直路自忠淸道 成歡驛平川驛, 則稱京畿 忠淸右道, 置程驛察訪, 而革成歡日新兩道驛丞, 且在前京畿左道察訪所管菁好加川康福等三驛, 地近右道, 請移屬焉。" 從之。


    • 【태백산사고본】 2책 4권 30장 A면【국편영인본】 7책 144면
    • 【분류】
      교통-육운(陸運) /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