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형 및 이조 당상과 한확 등에게 주·군의 합병을 논의하도록 명하다
임금이 사정전(思政殿) 남랑(南廊)에 임어하여 명하기를, 종친(宗親) 영해군(寧海君) 이상과, 운성 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하성위(河城尉) 정현조(鄭顯祖)·화천위(花川尉) 권공(權恭)·파평위(坡平尉) 윤암(尹巖)·청성위(靑城尉) 심안의(沈安義)·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송현수(宋玹壽)·좌의정(左議政) 한확(韓確)·우찬성(右贊成) 정창손(鄭昌孫)·이조 판서(吏曹判書) 박중손(朴仲孫)·병조 판서(兵曹判書) 이계전(李季甸)·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조혜(趙惠)·한성부 윤(漢城府尹) 홍심(洪深)·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이선(李渲)·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박중림(朴仲林)·덕녕 부윤(德寧府尹) 안숭효(安崇孝)·도승지(都承旨) 박원형(朴元亨)·좌승지(左承旨) 구치관(具致寬)·좌부승지(左副承旨) 성삼문(成三問)·우부승지(右副承旨) 조석문(曹錫文)·동부승지(同副承旨) 이휘(李徽)·병조 참판(兵曹參判) 홍달손(洪達孫)·참의(參議) 이예장(李禮長)·지병조사(知兵曹事) 한종손(韓終孫)·이조 참의(吏曹參議) 어효첨(魚孝瞻)을 입시(入侍)하게 하였다. 박원형 및 이조 당상(吏曹堂上)과 한확·조혜·이선·홍심·박중림·안숭효에게 명하여, 본국의 지도(地圖)를 가지고 주·군(州郡)의 합병을 논의하는데 경기(京畿)로부터 시작하게 하니, 한확을 비롯한 이 사람들은 일찍이 본도 관찰사(觀察使)를 지낸 사람들이었다. 정창손·박중손·어효첨·이휘는 모두 합병의 불가함을 말하였으나, 유독 집현전 응교(集賢殿應敎) 서강(徐岡)이 옳다고 하니, 곧 서강에게 명하여 합병 교서(合幷敎書)를 초안(草案)하도록 하고, 또 구치관 및 병조 당상(兵曹堂上)에게 명하여, 가전 훈도(駕前訓導) 10인을 인솔하여 진법(陣法)을 강(講)하게 하였으며, 또 종친과 부마(駙馬)들의 봉희(棒戲)505) 를 구경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책 2권 35장 A면【국편영인본】 7책 93면
- 【분류】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 군사-병법(兵法) / 풍속-풍속(風俗)
- [註 505]봉희(棒戲) : 격구(擊毬)의 일종.
○壬申朔/御思政殿南廊, 命宗親寧海君以上、雲城府院君 朴從愚、延昌尉 安孟聃、河城尉 鄭顯祖、花川尉 權恭、坡平尉 尹巖、靑城尉 沈安義、判敦寧府事宋玹壽、左議政韓確、右贊成鄭昌孫、吏曹判書朴仲孫、兵曹判書李季甸、判中樞院事趙惠、漢城府尹洪深、知敦寧府事李渲、同知中樞院事朴中林、德寧府尹安崇孝、都承旨朴元亨、左承旨具致寬、左副承旨成三問、右副承旨曺錫文、同副承旨李徽、兵曹參判洪達孫、參議李禮長、知兵曹事韓終孫、吏曹參議魚孝瞻入侍。 命元亨及吏曹堂上與確、惠、渲、深、仲林、崇孝, 齎本國地圖, 議州郡合幷, 先自京畿始, 自確以下曾經本道觀察使者也。 昌孫、仲孫、孝瞻、徽, 皆言合幷不可, 獨集賢殿應敎徐岡以爲可, 乃命岡草合幷敎書, 又命致寬及兵曹堂上, 引駕前訓導十人講陣法, 且觀宗親、駙馬棒戲。
- 【태백산사고본】 1책 2권 35장 A면【국편영인본】 7책 93면
- 【분류】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 군사-병법(兵法) / 풍속-풍속(風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