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 2권, 세조 1년 9월 11일 계미 4번째기사 1455년 명 경태(景泰) 6년

병조에서 각도의 내지에도 거진을 설치하고 인근 고을을 익에 분속시킬 것을 청하다

병조(兵曹)에서 아뢰기를,

"각도(各道) 연해(沿海)의 요해지(要害地)에는 진(鎭)을 설치하고 진장(鎭將)을 두어 그 방어를 견고히 하고 있으나, 내륙의 주현(州縣)에는 아직 진을 설치하지 않아서 만약 구적(寇賊)이 발생하여 변진(邊鎭)이 감히 이를 막지 못하게 되면, 반드시 마구 들어와 무인지경(無人之境)을 밟는 것처럼 할 것이니, 염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청컨대 내지(內地)에도 적당히 요량하여 거진(巨鎭)을 설치하고, 근방(近方)의 여러 고을을 중익(中翼)·좌익(左翼)·우익(右翼)에 분속시키도록 하소서. 그 익(翼)434) 을 나눌 여러 고을과 절목(節目)은 뒤에 갖추어 기록하였습니다.

1. 경기(京畿)광주도(廣州道)는 그 중익(中翼)을 광주(廣州)·이천(利川)·양근(楊根)·양지(陽智)로 하고, 좌익(左翼)은 여흥(驪興)·천녕(川寧)·지평(砥平)·음죽(陰竹)으로 하며, 우익(右翼)은 안성(安城)·진위(振威)·양성(陽城)·용인(龍仁)·죽산(竹山)으로 합니다. 다음 양주도(楊州道)는 그 중익을 양주(楊州)·원평(原平)·포천(抱川)·적성(積城)·가평(加平)으로 하고, 좌익은 삭녕(朔寧)·마전(麻田)·영평(永平)·연천(漣川)으로 하고, 우익은 풍덕(豊德)·장단(長湍)·임진(臨津)·임강(臨江)으로 합니다. 다음 부평도(富平道)는 그 중익을 부평(富平)·인천(仁川)·양천(陽川)·금천(衿川)·고양(高陽)으로 하고, 좌익은 수원(水原)·남양(南陽)·안산(安山)·과천(果川)으로 하며, 우익은 김포(金浦)·교하(交河)·통진독진(通津獨鎭)·교동(喬桐)·강화(江華)·개성부(開城府)로 합니다.

충청도(忠淸道)충주도(忠州道)는 그 중익을 충주(忠州)·청풍(淸風)·연풍(延豊)으로 하고, 좌익은 단양(丹陽)·영춘(永春)·제천(堤川)으로 하며, 우익은 괴산(槐山)·음성(陰城)으로 합니다. 다음 청주도(淸州道)는 그 중익을 청주(淸州)·진천(鎭川)·문의(文義)·연기(燕岐)·회인(懷仁)·보은(報恩)·청안(淸安)으로 하고, 좌익은 옥천(沃川)·황간(黃澗)·영동(永同)·청산(靑山)으로 하며, 우익은 천안(天安)·온양(溫陽)·전의(全義)·평택(平澤)·아산(牙山)·목천(木川)·직산(稷山)으로 합니다. 다음 홍주도(洪州道)는 그 중익을 홍주(洪州)·청양(靑陽)·대흥(大興)으로 하고, 좌익은 신창(新昌)·예산(禮山)으로 하며, 우익은 면천(沔川)·덕산(德山)으로 합니다. 다음 공주도(公州道)는 그 중익을 공주(公州)·정산(定山)·니산(尼山)으로 하고, 좌익은 회덕(懷德)·진잠(鎭岑)·연산(連山)으로 하며, 우익은 부여(扶餘)·석성(石城)·은진(恩津)으로 합니다. 다음 태안진(泰安鎭)은 그 중익을 태안(泰安)으로 하고, 좌익은 서산(瑞山)·해미(海美)로 하며, 우익은 당진(唐津)으로 합니다. 다음 남포진(藍浦鎭)은 그 중익을 남포(藍浦)·비인(庇仁)·홍산(鴻山)으로 하고, 좌익은 한산(韓山)·서천(舒川)·임천(林川)으로 하며, 우익(右翼)은 보령(保寧)·결성(結城)으로 합니다.

황해도(黃海道)황주도(黃州道)는 그 중익(中翼)을 황주(黃州)로 하고, 좌익(左翼)은 봉산(鳳山)으로 하며, 우익(右翼)은 안악(安岳)·장연(長連)으로 합니다. 다음 해주도(海州道)는 그 중익을 해주(海州)·재령(載寧)으로 하고, 좌익은 연안(延安)으로 하며, 우익은 문화(文化)·신천(信川)·은율(殷栗)·송화(松禾)로 합니다. 다음 평산도(平山道)는 그 중익을 평산(平山)·배천(白川)으로 하고, 좌익은 우봉(牛峰)·토산(兎山)으로 하며, 우익은 강음(江陰)으로 합니다. 다음 수안도(遂安道)는 그 중익을 수안(遂安)으로 하고, 좌익은 곡산(谷山)·신계(新溪)로 하며 우익은 서흥독진(瑞興獨鎭)·풍천(豊川)·장연(長淵)·옹진(甕津)·강령(康翎)으로 합니다.

강원도(江原道)강릉도(江陵道)는 그 중익을 강릉(江陵)으로 하고, 좌익은 양양(襄陽)으로 하며, 우익은 삼척(三陟)·평해(平海)·울진(蔚珍)으로 합니다. 다음 원주도(原州道)는 그 중익을 원주(原州)·횡성(橫城)으로 하고, 좌익은 영월(寧越)·평창(平昌)·정선(旌善)으로 하며, 우익은 춘천(春川)·양구(楊口)·홍천(洪川)·인제(麟蹄)·낭천(狼川)으로 합니다. 다음 철원도(鐵原道)는 그 중익을 철원(鐵原)·안협(安峽)으로 하고, 좌익은 이천(伊川)으로 하며, 우익은 평강(平康)으로 합니다. 다음 회양도(淮陽道)는 그 중익을 회양(淮陽)으로 하고, 좌익은 금화(金化)로 하며, 우익은 금성(金城)으로 합니다. 다음 고성도(高城道)는 그 중익을 고성(高城)으로 하고, 좌익은 통천(通川)·흡곡(歙谷)으로 하며, 우익은 간성(杆城)으로 합니다.

경상도(慶尙道)경주도(慶州道)는 그 중익을 경주(慶州)·영천(永川)으로 하고, 좌익은 양산(梁山)·언양(彦陽)으로 하며, 우익은 밀양(密陽)으로 합니다. 다음 상주도(尙州道)는 그 중익을 상주(尙州)·개령(開寧)으로 하고, 좌익은 선산(善山)·김산(金山)으로 하며, 우익은 문경(聞慶)·함창(咸昌)으로 합니다. 다음 성주도(星州道)는 그 중익을 성주(星州)·고령(高靈)으로 하고, 좌익은 합천(陜川)·초계(草溪)로 하며, 우익은 거창(居昌)·지례(知禮)·안음(安陰)으로 합니다. 다음 진주도(晉州道)는 그 중익을 진주(晉州)·단성(丹城)·삼가(三嘉)로 하고, 좌익은 의령(宜寧)으로 하며, 우익은 함양(咸陽)·산음(山陰)으로 합니다. 다음 안동도(安東道)는 그 중익을 안동(安東)·의성(義城)·의흥(義興)·진보(眞寶)·예안(禮安)·청송(靑松)·용궁(龍宮)·비안(比安)으로 하고, 좌익은 봉화(奉化)로 하며, 우익은 순흥(順興)·예천(醴泉)·풍기(豊基)·영천(榮川)으로 합니다. 다음 대구도(大丘道)는 그 중익을 대구(大丘)·하양(河陽)·경산(慶山)으로 하고, 좌익은 청도(淸道)·영산(靈山)·창녕(昌寧)·현풍(玄風)으로 하며, 우익은 인동(仁同)·군위(軍威)·신녕(新寧)으로 합니다. 다음 영해진(寧海鎭)은 그 중익을 영해(寧海)로 하고, 좌익은 청하(淸河)로 하며, 우익은 영덕(盈德)으로 합니다. 다음 영일진(迎日鎭)은 그 중익을 영일(迎日)로 하고, 좌익은 장기(長鬐)로 하며, 우익은 흥해(興海)로 합니다. 다음 동래진(東萊鎭)은 그 중익을 동래(東萊)로 하고, 좌익은 기장(機張)으로 하며, 우익은 울산(蔚山)으로 합니다. 다음 웅천진(熊川鎭)은 그 중익을 웅천(熊川)으로 하고, 좌익은 김해(金海)로 하며, 우익은 창원(昌原)·함안(咸安)·칠원(漆原)으로 합니다. 다음 사천진(泗川鎭)은 그 중익을 사천(泗川)으로 하고, 좌익은 고성(固城)·진해(鎭海)로 하며, 우익은 곤양(昆陽)·하동독진(河東獨鎭)·거제(巨濟)·남해(南海)로 합니다.

전라도(全羅道)전주도(全州道)는 그 중익을 전주(全州)·여산(礪山)·익산(益山)·금구(金溝)로 하고, 좌익은 금산(錦山)·진산(珍山)·무주(茂朱)·용담(龍潭)·고산(高山)으로 하며, 우익은 김제(金堤)·만경(萬頃)·태인(泰仁)·정읍(井邑)으로 합니다. 남원도(南原道)는 그 중익을 남원(南原)·임실(任實)·구례(求禮)·곡성(谷城)으로 하고, 좌익은 진안(鎭安)·운봉(雲峯)·장수(長水)로 하며, 우익은 순창(淳昌)·옥과(玉果)·동복(同福)으로 합니다. 순천진(順天鎭)은 그 중익을 순천(順天)으로 하고, 좌익은 광양(光陽)으로 하며, 우익은 낙안(樂安)으로 합니다. 다음 나주도(羅州道)는 그 중익을 나주(羅州)·광주(光州)·남평(南平)·능성(綾城)·영암(靈巖)으로 하고, 좌익은 담양(潭陽)·창평(昌平)·화순(和順)·진원(珍原)으로 하고, 우익은 고창(高敞)·장성(長城)으로 합니다. 다음 흥양진(興陽鎭)은 그 중익을 흥양(興陽)으로 하고, 좌익은 보성(寶城)으로 하며, 우익은 장흥(長興)·해남(海南)·강진(康津)으로 합니다. 다음 옥구진(沃溝鎭)은 그 중익을 옥구(沃溝)로 하고, 좌익은 함열(咸悅)·용안(龍安)을 하며, 우익은 임피(臨陂)로 합니다. 다음 부안진(扶安鎭)은 그 중익을 부안(扶安)으로 하고, 좌익은 고부(古阜)로 하며, 우익은 흥덕(興德)으로 합니다. 다음 무장진(茂長鎭)은 그 중익을 무장(茂長)으로 하고, 좌익은 무안(務安)으로 하며, 우익은 영광(靈光)·함평독진(咸平獨鎭)·진도(珍島)로 합니다. 다음 제주도(濟州島)는 그 중익을 제주(濟州)로 하고, 좌익은 정의(旌義)로 하며, 우익은 대정(大靜)으로 합니다.

함길도(咸吉道)함흥도(咸興道)는 그 중익을 함흥(咸興)으로 하고, 좌익은 북청(北靑)·홍원(洪原)으로 하며, 우익은 정평(定平)으로 합니다. 다음 영흥도(永興道)는 그 중익을 영흥(永興)·고원(高原)으로 하고, 좌익은 예원(預原)·용진(龍津)으로 하며, 우익은 안변(安邊)·덕원(德原)·문천(文川)으로 합니다. 다음 길주도(吉州道)는 그 중익을 길주(吉州)로 하고, 좌익은 이성(利城)으로 하며, 우익은 단천(端川)으로 합니다. 다음 경원도(慶源道)는 그 중익을 경원(慶源)으로 하고, 좌익은 온성(穩城)·경흥(慶興)으로 하며, 우익은 회령(會寧)·부령(富寧)·종성독진(鍾城獨鎭)·경성(鏡城)·갑산(甲山)으로 합니다.

평안도(平安道)평양도(平壤道)는 그 중익을 평양(平壤)·삼등(三登)·순안(順安)으로 하고, 좌익은 중화(中和)·상원(祥原)으로 하며, 우익은 강서(江西)·용강(龍岡)·삼화(三和)·함종(咸從)·증산(甑山)으로 합니다. 다음 안주도(安州道)는 그 중익을 안주(安州)·숙천(肅川)·영유(永柔)로 하고, 좌익은 자산(慈山)으로 하며, 우익은 정주(定州)로 합니다. 다음 영변도(寧邊道)는 그 중익을 영변(寧邊)·가산(嘉山)으로 하고, 좌익은 희천(熙川)·운산(雲山)으로 하며, 우익은 태천(泰川)·박천(博川)으로 합니다. 다음 개천도(价川道)는 그 중익을 개천(价川)·성천(成川)으로 하고, 좌익은 덕천(德川)·맹산(孟山)·양덕(陽德)으로 하며, 우익은 순천(順川)·은산(殷山)으로 합니다. 다음 의주도(義州道)는 그 중익을 의주(義州)·인산(麟山)으로 하고, 좌익은 정녕(定寧)·철산(鐵山)·용천(龍川)으로 하며, 우익은 곽산(郭山)·수천(隨川)·선천(宣川)으로 합니다. 다음 삭주도(朔州道)는 그 중익을 삭주(朔州)·귀성(龜城)으로 하고, 좌익은 벽동(碧潼)으로 하며, 우익은 창성(昌城)으로 합니다. 다음 강계도(江界道)는 그 중익을 강계(江界)로 하고, 좌익은 자성(慈城)으로 하며, 우익은 위원(渭原)·이산(理山)으로 합니다.

1. 중익 수령(中翼守令)의 직함(職銜)은 모도 모진 중익 병마 절제사(某道某鎭中翼兵馬節制使)라 일컫고, 당상관(堂上官)이 아니면 첨절제사(僉節制使)라고 일컬으며, 그 나머지의 좌·우익 수령(左右翼守令)의 직함은 모도 모진 모익 병마 단련사(某道某鎭某翼兵馬團鍊使)·부사(副使)·판관(判官)이라고 일컫습니다.

1. 갑사(甲士)·별시위(別侍衛)·총통위(銃筒衛)·근장(近仗)·섭육십(攝六十)435) ·방패(防牌)·별군(別軍)의 시위(侍衛)와 제영(諸營)·제진(諸鎭)·제포(諸浦)의 군사(軍士)와 사옹원(司饔院)·사복 시(司僕寺)·충호위(忠扈衛)·상의원(尙衣院) 등의 제원(諸員)과 응사(鷹師)436) 는 모두 익(翼)에 속하여 당번(當番)이면 번(番)을 서며 속산(屬散)437) 된 사람과 이미 초모(抄募)한 여러 고을의 효용 향리(驍勇鄕吏)438) 와 수성군(守城軍)·잡색군(雜色軍)도 역시 익(翼)에 속하게 하고, 긴급한 사변(事變)을 제외하고는 사옹(司饔) 이하의 군사는 습진(習陣)을 면제합니다.

1. 도성위(都城衛)에는 시골에 살고 있는 자가 거의 반이나 되니, 갑사(甲士)의 예에 의하여 번상(番上)하고, 춘추(春秋)로 행하는 의갑(衣甲)의 점열(點閱)도 역시 구례에 의하여 서울에 올라와 점검을 받습니다.

1. 제색 군사(諸色軍士)의 번상(番上)은 중익 절제사(中翼節制使)가 점열(點閱)하여 도절제사(都節制使)에게 보고하면, 도절제사는 다시 점열하지 말고, 이를 병조(兵曹)에 이첩(移牒)합니다.

1. 익속 군사(翼屬軍士)의 군안(軍案)은 3건을 성적(成籍)하여 1건은 중익 절제사(中翼節制使)가 보관하고 1건은 도절제사(都節制使)가, 1건은 병조(兵曹)에서 보관합니다.

1. 제과(諸科)의 이업(肄業)439) 을 제외하고, 성중관(成衆官)으로 들어가려는 자 및 갑사(甲士)·별시위(別侍衛)·총통위(銃筒衛)·근장(近仗)·방패(防牌)·섭육십(攝六十)·사옹원(司饔院)·사복시(司僕寺)·충호위(忠扈衛)·상의원(上衣院) 등의 제원(諸員)과, 봉상시 재랑(奉常寺齋郞)·악생(樂生)·무공(舞工)과, 여러 관사(官司)의 이전(吏典)·조례(皂隷)는 의금부(義禁府)의 나장(螺匠)·백호(百戶)·도부(都府)를 제외하고는, 모두 익(翼)에 속하게 하고, 으레 취재(取才)할 만한 자는 모두 중익 절제사(中翼節制使)로 하여금 이를 관장케 하여, 입격(入格)한 자는 도절제사(都節制使)에게 보고하고 이를 병조(兵曹)에 이첩(移牒)하여 다시 시험하여 서용(敍用)하게 합니다. 그 총통위·방패·섭육십·사옹원·사복 시·충호위·상위원 등의 제원으로 들어간 자는 중익 절제사의 문첩(文牒)을 받아서 병조(兵曹)에 바치고, 그 이전(吏典)으로 들어간 자도 역시 중익 절제사의 문첩을 받아서 이를 이조(吏曹)에 바칩니다.

1. 무릇 취재(取才)하여 입격(入格)하였으나 빈자리가 없어 아직 서용(敍用)하지 않은 자와 일단 거관(去官)되어 산관(散官)에 귀속된 자는, 모두 그 고을의 익(翼)에 예속케 하였다가 빈자리를 기다려서 서용하게 합니다.

1. 매년 2월 18일과 10월 18일에 중익(中翼)을 모아 습진(習陣)하며, 겸하여서 의갑(衣甲)을 점열(點閱)하고, 11월 22일과 정월 22일에는 각각 그 익(翼)에서 수관(首官)440) 이 되어 습진합니다.

1. 양계(兩界) 연해(沿海)의 여러 고을은 그 수비와 방어가 가장 긴중(緊重)하므로 군사들이 가볍게 본읍을 이탈하지 못하며, 중익장(中翼將)은 각기 그 중익(中翼)에서 습진(習陣)할 때 친히 여러 고을로 가서 습진하고, 겸하여서 의갑(衣甲)을 점열하며, 좌·우익이 습진할 때에도 좌·우익장(左右翼將)이 역시 각각 친히 그 고을로 가서 습진합니다.

1. 무릇 모든 호령(號令)은 중익 병마 절제사(中翼兵馬節制使)가 도절제사(都節制使)의 호령을 듣고, 모든 익(翼)은 중익 병마 절제사의 호령을 듣되, 만약 연해의 여러 진(鎭)에 사변(事變)이 있을 경우, 그 익의 군병을 징집(徵集)하며, 또 도절제사에게 보고하여 시기에 맞추어 사변에 대응합니다."

하니, 그대로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1책 2권 21장 B면【국편영인본】 7책 86면
  • 【분류】
    군사-지방군(地方軍) / 군사-군정(軍政)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 [註 434]
    익(翼) : 조선조 때 함길도(咸吉道)와 평안도(平安道)에 설치하였던 특수한 군사 조직. 중익(中翼)·좌익(左翼)·우익(右翼)의 편제를 중심으로 군익도(軍翼道)를 만들어 적(賊)의 침입에 대비하였음.
  • [註 435]
    섭육십(攝六十) : 차비군(差備軍)의 하나. 섭대장(攝隊長) 20인과 섭대부(攝隊副) 40인을 아울러 일컫는 말임.
  • [註 436]
    응사(鷹師) : 매를 길러 사냥하는 일을 맡아 보던 사복시(司僕寺)의 응사. 그 잡은 고기를 각전(各殿)에 공상(供上)하고, 또 제사(祭祀)에 이바지하였음.
  • [註 437]
    속산(屬散) : 산직(散職)에 속함.
  • [註 438]
    효용 향리(驍勇鄕吏) : 사납고 날쌘 향리.
  • [註 439]
    이업(肄業) : 업(業)을 익히는 것.
  • [註 440]
    수관(首官) : 으뜸되는 고을.

○兵曹啓: "諸道沿海要害之處, 皆設鎭置將以固戍禦, 腹裏州縣未嘗設鎭, 若寇賊竊發, 邊鎭莫敢(枝)〔抵〕 (梧)〔捂〕 , 則必將闌入如蹈無人之境, 不可不慮。 請於內地量置巨鎭, 以旁近諸邑, 分屬爲中左右翼。 其分翼諸邑及節目具錄于後。 一。 京畿 廣州道, 中翼廣州利川楊根陽智, 左翼驪興川寧砥平陰竹, 右翼安城振威陽城龍仁竹山楊州道, 中翼楊州原平抱川積城加平, 左翼朔寧麻田永平漣川, 右翼豐德長湍臨津臨江富平道, 中翼富平仁川陽川衿川高陽, 左翼水原南陽安山果川, 右翼金浦交河通津 獨鎭喬桐江華開城府忠淸道 忠州道, 中翼忠州淸風延豐, 左翼丹陽永春堤川, 右翼槐山陰城淸州道, 中翼淸州鎭川文義燕岐懷仁報恩淸安, 左翼沃川黃澗永同靑山, 右翼天安溫陽全義平澤牙山木川稷山, 洪州道, 中翼洪州靑陽大興, 左翼新昌禮山, 右翼沔川德山公州道, 中翼公州定山尼山, 左翼懷德鎭岑連山, 右翼扶餘石城恩津泰安鎭, 中翼泰安, 左翼瑞山海美, 右翼唐津藍浦鎭, 中翼藍浦庇仁鴻山, 左翼韓山舒川林川, 右翼保寧結城黃海道 黃州道, 中翼黃州, 左翼鳳山, 右翼安岳長連海州道, 中翼海州載寧, 左翼延安, 右翼文化信川殷栗松禾平山道, 中翼平山白川, 左翼牛峯兔山, 右翼江陰; 遂安道, 中翼遂安, 左翼谷山新溪, 右翼瑞興、獨鎭、豐川長淵瓮津康翎江原道 江陵道, 中翼江陵, 左翼襄陽, 右翼三陟平海蔚珍, 原州道, 中翼原州橫城, 左翼寧越平昌旌善, 右翼春川楊口洪川麟蹄狼川鐵原道, 中翼鐵原安峽, 左翼伊川, 右翼平康淮陽道, 中翼淮陽, 左翼金化, 右翼金城高城道, 中翼高城, 左翼通川歙谷, 右翼杆城慶尙道 慶州道, 中翼慶州永川, 左翼梁山彦陽, 右翼密陽尙州道, 中翼尙州開寧, 左翼善山金山, 右翼聞慶咸昌星州道, 中翼星州高靈, 左翼陜川草溪, 右翼居昌知禮安陰晋州道, 中翼晋州丹城三嘉, 左翼宜寧, 右翼咸陽山陰安東道, 中翼安東義城義興眞寶禮安靑松龍宮比安, 左翼奉化, 右翼順興醴泉豐基榮川大丘道, 中翼大丘河陽慶山, 左翼淸道靈山昌寧玄風, 右翼仁同軍威新寧寧海鎭, 中翼寧海, 左翼淸河, 右翼盈德迎日鎭, 中翼迎日, 左翼長鬐, 右翼興海東萊鎭, 中翼東萊, 左翼機張, 右翼蔚山熊川鎭, 中翼熊川, 左翼金海, 右翼昌原咸安漆原泗川鎭, 中翼泗川, 左翼固城鎭海, 右翼昆陽河東獨鎭、巨濟南海全羅道 全州道, 中翼全州礪山益山金溝, 左翼錦山珍山茂朱龍潭高山, 右翼金堤萬頃泰仁井邑南原道, 中翼南原任實求禮谷城, 左翼鎭安雲峯長水, 右翼淳昌玉果同福順天鎭, 中翼順天, 左翼光陽, 右翼樂安羅州道, 中翼羅州光州南平綾城靈巖, 左翼潭陽昌平和順珍原, 右翼高敞長城興陽鎭, 中翼興陽, 左翼寶城, 右翼長興海南康津沃溝鎭, 中翼沃溝, 左翼咸悅龍安, 右翼臨陂扶安鎭, 中翼扶安, 左翼古阜, 右翼興德茂長鎭, 中翼茂長, 左翼務安, 右翼靈光咸平獨鎭、珍島濟州道, 中翼濟州, 左翼旌義, 右翼大靜咸吉道 咸興道, 中翼咸興, 左翼北靑洪原, 右翼定平永興道, 中翼永興高原, 左翼預原龍津, 右翼安邊德原文川吉州道, 中翼吉州, 左翼利城, 右翼端川慶源道, 中翼慶源, 左翼穩城慶興, 右翼會寧富寧鍾城獨鎭、鏡城甲山平安道 平壤道, 中翼平壤三登順安, 左翼中和祥原, 右翼江西龍岡三和咸從甑山安州道, 中翼安州肅川永柔, 左翼慈山, 右翼定州寧邊道, 中翼寧邊嘉山, 左翼熙川雲山, 右翼泰川博川价川道, 中翼价川成川, 左翼德川孟山陽德, 右翼順川殷山義州道, 中翼義州麟山, 左翼定寧鐵山龍川, 右翼郭山隨川宣川朔州道, 中翼朔州龜城, 左翼碧潼, 右翼昌城江界道, 中翼江界, 左翼慈城, 右翼渭原理山。 一, 中翼守令職銜, 稱某道、某鎭中翼兵馬節制使, 非堂上官, 則稱僉節制使, 其餘左右翼守令職銜, 稱某道、某鎭、某翼兵馬團鍊使ㆍ副使ㆍ判官。 一, 甲士、別侍衛、銃筒衛、近仗、攝六十、防牌、別軍侍衛, 諸營、諸鎭、諸浦軍士及司饔、司僕、忠扈衛、尙衣院等諸員鷹師, 皆屬於翼, 當番則立番, 屬散人及已抄諸邑驍勇鄕吏、守城軍、雜色軍亦屬於翼, 緊關事變外, 司饔以下軍, 除習陣。 一, 都城衛居鄕者太半, 依甲士例番上, 春秋衣甲點閱, 亦依舊例, 上京逢點。 一, 諸色軍士番上, 中翼節制使點閱, 報都節制使, 都節制使勿更點, 移牒兵曹。 一, 翼屬軍士軍案, 三件成籍, 一件藏中翼節制使, 一件都節制使, 一件兵曹。 一, 除諸科肄業外欲入成衆官及甲士、別侍衛、銃筒衛、近仗、防牌、攝六十、司饔、司僕、忠扈衛、尙衣院等諸員, 奉常齋郞、樂生、舞工, 諸司吏典ㆍ皂(肆)〔隷〕 , 義禁府螺匠、百戶、都府外皆屬於翼例, 當取才者, 皆令中翼節制使掌之, 入格者報都節制使, 移牒兵曹, 更試敍用。 其入銃筒衛、防牌、攝六十、司饔、司僕、忠扈衛、尙衣院等諸員者, 受中翼節制使文牒, 呈兵曹, 其入吏典者, 亦受中翼節制使文牒, 呈吏曹。 一, 凡取才入格, 無闕未敍者, 一應去官屬散者, 皆屬其鄕之翼, 待闕敍用。 一, 每二月十八日、十月十八日, 聚中翼習陣, 兼點衣甲, 十一月二十二日、正月二十二日, 各於其翼, 爲首官習陣。 一, 兩界沿海諸邑, 守禦最緊, 軍士不可輕離本邑, 中翼將各其中翼習陣時, 親到諸邑習陣, 兼點衣甲, 左右翼習陣時, 左右翼將, 亦各親到其邑習陣。 一, 凡諸號令, 中翼兵馬節制使聽於都節制使, 諸翼聽於中翼兵馬節制使, 若沿海諸鎭有變, 徵聚其翼兵, 且報都節制使, 及期應變。" 從之。


  • 【태백산사고본】 1책 2권 21장 B면【국편영인본】 7책 86면
  • 【분류】
    군사-지방군(地方軍) / 군사-군정(軍政)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