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단종실록12권, 단종 2년 8월 5일 갑신 3번째기사 1454년 명 경태(景泰) 5년

조혜·강맹경·이인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혜(趙惠)를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로 삼고, 강맹경(姜孟卿)을 의정부 우참찬(右參贊)으로, 이인손(李仁孫)을 호조 판서로, 정척(鄭陟)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로, 심회(沈澮)를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로, 이보정(李補丁)을 예조 참판으로, 박팽년(朴彭年)을 형조 참판으로, 안숭직(安崇直)·한서룡(韓瑞龍)을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로, 우효강(禹孝剛)을 인수부 윤(仁壽府尹)으로, 이명겸(李鳴謙)을 한성부 윤(漢城府尹)으로, 성삼문(成三問)을 예조 참의(禮曹參議)로, 이사증(李師曾)을 병조 참의로, 박원형(朴元亨)을 좌승지(左承旨)로, 권자신(權自愼)을 우승지(右承旨)로, 권남(權擥)을 좌부승지(左副承旨)로, 구치관(具致寬)을 우부승지(右副承旨)로, 한명회(韓明澮)를 동부승지(同副承旨)로, 이행검(李行儉)·유사지(柳士枝)·구문신(具文信)·임효인(任孝仁)을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로, 조어(趙峿)를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으로, 윤사윤(尹士昀)을 사간원 좌사간 대부(司諫院左司諫大夫)로, 이예손(李禮孫)을 사간원 우사간 대부(司諫院右司諫大夫)로, 홍일동(洪逸童)을 좌헌납(左獻納)으로, 서강(徐岡)을 우헌납(右獻納)으로, 안숭효(安崇孝)를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로, 민건(閔騫)을 충청도 관찰사로, 황수신(黃守身)을 경상도 관찰사로, 노숙동(盧叔仝)을 전라도 관찰사로, 나홍서(羅洪緖)를 황해도 관찰사로, 김순(金淳)을 강원도 관찰사로, 마승(馬勝)을 경주 부윤(慶州府尹)을, 오정(吳靖)을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변효문(卞孝文)을 전주 부윤(全州府尹)으로 삼았다. 유자문(柳子文)은 간특한 일[奸事]에 관계되어 상주 교수관(尙州敎授官)으로 삼아 내보내고, 김질(金礩)·정수충(鄭守忠)·김명중(金命中)은 모두 6품(六品)에서 4품(四品)의 직사(職事)로 뛰어 제수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4책 12권 1장 B면【국편영인본】 6책 703면
  • 【분류】
    인사-임면(任免)

    ○以趙惠判中樞院事, 姜孟卿議政府右參贊, 李仁孫戶曹判書, 鄭陟漢城府事, 沈澮同知敦寧府事, 李補丁禮曹參判, 朴彭年刑曹參判, 安崇直韓瑞龍(中樞院副事)〔中樞院副使〕 , 禹孝剛仁壽府尹, 李鳴謙 漢〈城〉府尹, 成三問禮曹參議, 李師曾兵曹參議, 朴元亨左承旨, 權自愼右承旨, 權擥左副承旨, 具致寬右副承旨, 韓明澮同副承旨, 李行儉柳士枝具文信任孝仁僉知中樞院事, 趙峿集賢殿副提學, 尹士昀司諫院左司諫大夫, 李禮孫司諫院右司諫大夫, 洪逸童左獻納, 徐岡右獻納, 安崇孝 京畿觀察使, 閔騫 忠淸道觀察使, 黃守身 慶尙道觀察使, 盧叔仝 全羅道觀察使, 羅洪緖 黃海道觀察使, 金淳 江原道觀察使, 馬勝 慶州府尹, 吳靖 安東大都護府使, 卞孝文 全州府尹。 柳子文以奸事出爲尙州敎授官, 金礩鄭守忠金命中, 俱以六品超授四品職事。


    • 【태백산사고본】 4책 12권 1장 B면【국편영인본】 6책 703면
    • 【분류】
      인사-임면(任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