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수를 보내어 표문을 받들고 명나라에 가서 하례하고 사은하다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김윤수(金允壽)를 보내어 표문(表文)을 받들고 명(明)나라에 가서 정삭(正朔)895) 을 하례하고 아울러 사은하였다. 그 사은표(謝恩表)에 이르기를,
"황제의 덕이 크게 덮여서 만물을 육성하여 빠뜨림이 없고, 지혜스러운 은혜를 널리 베풀어 온 나라가 감동한 것을 알았습니다. 회유(懷柔)하는 것이 이미 두터우니 기쁨이 더욱 깊었습니다. 엎드려 생각건대, 신이 외람되이 용렬한 자질(資質)로서 기쁘게 밝은 시대를 만났습니다. 동방(東方)을 다스려 술직(述職)896) 함에 일찍이 털끝만큼도 힘을 다하지 못하였고 공북(供北)897) 하여 정성을 바치고 오직 조빙(朝聘)898) 을 각근하게 하기만을 알 뿐입니다. 사신[使介]의 돌아옴에 넉넉히 무수(撫綬)899) 하는 은혜를 입었고, 표류하여 정박한 백성을 돌려보내어 다시 옛 고향땅을 보게 하심을 어찌 헤아렸겠습니까? 불쌍히 여기는 것이 이와 같으니, 몸이 가루가 되어도 잊기 어렵습니다. 이것이 대개 황제 폐하께서 포황(包荒)900) 의 도량을 넓히시고, 자소(字小)901) 의 인(仁)을 두터이 하시어 만민을 적자(赤子) 보전하듯이 하고 사해(四海)를 한집안같이 보는 은혜를 엎드려 만나서, 드디어 폐방(敝邦)으로 하여금 특수한 은총을 입게 하였으니, 신이 삼가 마땅히 병한(屛翰)902) 이 되어 각근히 기봉(箕封)903) 을 지키고, 수(壽)하시고, 강녕(康寧)하시라고 항상 화축(華祝)을 거듭하겠습니다."
하였다. 그 방물표(方物表)에 이르기를,
"성화(聖化)가 바깥이 없어 특히 바다에 표박한 백성을 돌려보내었으니, 정성이 마음에서 우러나서 집양(執壤)904) 의 예를 닦아, 삼가 황세저포(黃細苧布)·백세저포 각 20필, 흑세마포(黑細麻布) 50필, 황화석(黃花席)·만화석(滿花席)·만화방석(滿花方席)·잡채화석(雜彩花席) 각 10장을 갖추었습니다. 위의 물건 등이 명목이 심히 적고 제조한 것이 정(精)하지 못하니, 어찌 속히 향헌(享獻)의 의절(儀節)905) 을 채우겠습니까? 그런대로 즐거운 뜻을 표하는 것입니다."
하였다. 황태후(皇太后)의 예물(禮物)은 홍세저포·백세저포 각 10필, 흑세마포 30필이고, 중궁(中宮)의 예물은 황태후의 예물과 같았다. 황태자에게 사례하는 전(箋)에 이르기를,
"물망(物望)은 이극(貳極)906) 에 높은데, 가만히 황유(皇猷)907) 을 도왔고, 은혜는 회유(懷柔)에 두터웠으니, 예택(睿澤)908) 을 이끌어 선양(宣揚)하였습니다. 패복(佩服)909) 감명(感銘)함을 어찌 그치겠으며, 마신(摩身) 분골(粉骨)이 되어도 갚기 어렵습니다. 엎드려 생각건대, 신이 외람되이 유충한 자질로서 분에 넘치게 폐복(敝服)910) 을 지키니, 돌아보건대, 조그마한 보람도 없이 지나치게 감싸서 품어 주시는 은혜를 입었습니다. 특별히 표류 정박한 백성을 생각하여 곡진한 은혜를 더하여서 사신[使介]이 돌아옴에 당하여 예전 살던 곳으로 돌아가게 하시니, 마을이 서로 기뻐하고 처노(妻孥)가 서로 경사로 여깁니다. 이것이 대개 황태자 전하께서 인효(仁孝)의 덕을 갖추고 온문(溫文)의 성품을 품수(稟受)하여 양궁(兩宮)께 권애(眷愛)를 받고 만백성에게 환심을 얻음을 엎드려 만나서, 드디어 소원(疏遠)한 사람으로 하여금 생성(生成)의 은혜를 입게 하였습니다. 신이 삼가 마땅히 중윤(重潤)911) 의 노래를 부르고 항상 천령(千齡)의 축수를 바칩니다."
하였다. 그 예물은 백세저포 20필, 흑세마포 30필, 만화석(滿花席)·잡채화석(雜彩花席) 각 10장이었다.
- 【태백산사고본】 3책 8권 4장 B면【국편영인본】 6책 621면
- 【분류】외교-명(明) / 무역(貿易) / 어문학(語文學)
- [註 895]정삭(正朔) : 정월 초하루.
- [註 896]
술직(述職) : 맡은 직책을 다함.- [註 897]
공북(供北) : 모든 별들이 북극성(北極星)을 향하듯이 모든 제후(諸侯)들이 천자(天子)를 향하는 것.- [註 898]
조빙(朝聘) : 조현(朝見)과 교빙(交聘).- [註 899]
무수(撫綬) : 어루만져 편하게 함.- [註 900]
포황(包荒) : 사람을 감싸 주는 기량.- [註 901]
자소(字小) : 작은 나라를 어루만지는 것.- [註 902]
병한(屛翰) : 천자의 번병(藩屛).- [註 903]
기봉(箕封) : 기자(箕子)의 봉지(封地). 즉 우리 나라를 가리키는 말임.- [註 904]
집양(執壤) : 신하가 임금을 뵈올 때 토공(土貢)을 예물로 바쳐 경의를 표하던 일. 집지(執贄).- [註 905]
의절(儀節) : 예절(禮節).- [註 906]
이극(貳極) : 황태자.- [註 907]
황유(皇猷) : 황제의 경륜.- [註 908]
예택(睿澤) : 천자의 혜택.- [註 909]
패복(佩服) : 마음에 새겨 잊지 않음.- [註 910]
폐복(敝服) : 우리 나라를 낮춘 말.- [註 911]
중윤(重潤) : 황태자(皇太子)가 황제(皇帝)의 뒤를 이어 덕(德)을 더욱 빛나게 함. 중광(重光).○遣知中樞院事金允壽奉表如大明, 賀正竝謝恩。 其謝恩表曰:
帝德丕冒, 育物無遺; 睿恩覃施, 擧國知感。 懷柔旣篤, 歡忭冞深。 伏念, 臣猥以庸資, 欣逢昭代, 釐東述職, 曾未効於絲毫, 拱北輸誠, 唯知謹於朝聘。 何圖使介之返, 優荷撫綏之私, 俾還漂泊之氓, 復見鄕閭之舊? 矜憐若此, 糜粉難忘。 玆蓋伏遇皇帝陛下度擴包荒、仁敦字小、保萬民如赤子、視四海爲一家, 遂令敝邦獲紆殊寵。 臣謹當之屛、之翰, 恪守箕封, 曰壽曰康, 恒申華祝。
其方物表曰:
聖化無外, 特還漂海之氓, 誠懇由中, 庸修執壤之禮。 謹備: 黃細苧布、白細苧布各貳十匹, 黑細麻布五十匹, 黃花席、滿花席、滿花方席、雜彩花席各一十張。 右件物等, 名般甚尠, 製造匪精, 豈足充享獻之儀? 聊以表歡欣之志。 皇太后禮物: 紅細苧布、白細苧布各一十匹, 黑細麻布三十匹。 中宮禮物, 與皇太后禮物同。
其謝皇太子箋曰:
望隆貳極, 密裨皇猷。 恩篤懷柔, 導宣睿澤。 佩銘曷已? 摩粉難酬。 伏念, 臣猥以沖資, 叨守敝服, 顧乏涓埃之効, 偏蒙卵翼之私。 特念漂泊之民, 曲加殊渥, 爰當使介之返, 俾還舊居, 閭里交欣, 妻孥相慶。 玆蓋伏遇皇太子殿下德備仁孝、性稟溫文、承眷愛於兩宮、得歡心於萬姓, 遂令疏逖獲被生成。 臣謹當載賡、重潤之歌, 恒貢千齡之祝。
其禮物: 白細苧布二十匹, 黑細麻布三十匹, 滿花席、雜彩花席各一十張。
- 【태백산사고본】 3책 8권 4장 B면【국편영인본】 6책 621면
- 【분류】외교-명(明) / 무역(貿易) / 어문학(語文學)
- [註 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