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단종실록6권, 단종 1년 6월 9일 갑오 1번째기사 1453년 명 경태(景泰) 4년

의정부에서 여러 도의 도회소에서 만드는 군기의 일정 액수를 정하기를 청하다

의정부에서 병조(兵曹)의 정문(呈文)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전라도·경상도·충청도·강원도 등 여러 도(道)의 도회소(都會所)에서 만드는 군기(軍器)가 일정한 액수가 없어서 감련관(監鍊官)의 하는 데에 따라서 그것을 만들므로 혹은 지나치게 많아서 폐단이 백성들에게까지 미칩니다. 청컨대 이제부터 매1년에 경상도(慶尙道) 좌도(左道)는 내상 도회소(內廂都會所)에서 밀양(密陽)·울산(蔚山)·청도(淸道)·언양(彦陽)·장기(長鬐)·영산(靈山) 등 6개 고을이 함께 갑(甲) 4부(部), 주(胄) 4정(頂), 각궁(角弓) 2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0부(部)이고, 우도(右道)는 내상 도회소(內廂都會所)에서 김해(金海)·창원(昌原)·함안(咸安)·의령(宜寧)·칠원(漆原)·진해(鎭海) 등 6개 고을이 갑(甲) 5부(部), 주(胄) 5정(頂), 각궁(角弓) 2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통아(羅韜筒兒) 각각 25부요, 경주 도회소(慶州都會所)에서 본부(本府)와 영천(永川)·흥해(興海)·경산(慶山)·신녕(新寧)·의흥(義興)·영일(迎日)·하양(河陽) 등 8개 고을이 갑(甲) 6부(部), 주(胄) 6정(頂), 각궁(角弓) 3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30부(部)요, 상주 도회소(尙州都會所)에서 본주(本州)와 선산(善山)·금산(金山)·개령(開寧)·문경(聞慶)·함창(咸昌)·인동(仁同) 등 7개 고을이 갑(甲) 4부, 주(胄) 4정(頂) 각궁(角弓) 20장(張), 장편전(張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0부(部)요, 성주 도회소(星州都會所)에서 본주(本州)와 대구(大邱)·합천(陜川)·초계(草溪)·창녕(昌寧)·현풍(玄風)·거창(居昌)·고령(高靈)·지례(知禮) 등 9개 고을이 갑(甲) 5부(部), 주(胄) 5정(頂), 각궁(角弓) 2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5부(部)요, 영해 도회소(寧海都會所)에서 본부(本府)와 영덕(盈德)·청송(靑松)·진보(眞寶) 등 4개 고을이 갑(甲) 3부(部), 주(胄) 3정(頂), 각궁(角弓) 1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5부(部)요, 동래 도회소(東萊都會所)에서 본현(本縣)과 양산(梁山)·기장(機張) 등 3개 고을이 갑(甲) 2부(部), 주(胄) 2정(頂), 각궁(角弓) 1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0부(部)요, 안동 도회소(安東都會所)에서 본부(本府)와 순흥(順興)·영천(永川)·예천(醴泉)·용궁(龍宮)·의성(義城)·군위(軍威)·비안(比安)·풍기(豊基)·예안(禮安)·봉화(奉化) 등 11개 고을이 갑(甲) 5부(部), 주(胄) 5정(頂), 각궁(角弓) 2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5부(部)요, 진주 도회소(晉州都會所)에서 본주(本州)와 함양(咸陽)·삼가(三嘉)·남해(南海)·하동(河東)·안음(安陰)·산음(山陰)·단성(丹城) 등 8개 고을이 갑(甲) 5부(部), 주(胄) 5정(頂), 각궁(角弓) 2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5부(部)요, 사천 도회소(泗川都會所)에서 본현(本縣)과 고성(固城)·곤양(昆陽)·거제(巨濟) 등 4개 고을이 갑(甲) 2부(部), 주(胄) 2정(頂), 각궁(角弓) 1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는 각각 10부(部)입니다.

충청도(忠淸道)는 충주 도회소(忠州都會所)에서 본주와 진천(鎭川)·단양(丹陽)·청풍(淸風)·괴산(槐山)·제천(堤川)·영춘(永春)·음성(陰城)·연풍(延豊) 등 9개 고을이 갑(甲) 4부(部), 주(胄) 4정(頂), 각궁(角弓) 2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0부(部)요, 옥천 도회소(沃川都會所)에서 본군(本郡)과 청주(淸州)·보은(報恩)·문의(文義)·영동(永同)·회덕(懷德)·전의(全義)·목천(木川)·청안(淸安)·연기(燕岐)·황간(黃澗)·청산(靑山)·회인(懷仁) 등 13개 고을이 갑(甲) 4부(部), 주(胄) 4정(頂), 각궁(角弓) 20장(張), 장편전(長片箭), 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0부(部)요, 공주 도회소(公州都會所)에서 본주(本州)와 임천(林川)·은진(恩津)·부여(扶餘)·연산(連山)·석성(石城)·이산(尼山)·진잠(鎭岑) 등 8개 고을이 갑(甲) 3부(部), 주(胄) 3정(頂), 각궁(角弓) 1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5부(部)요, 남포 도회소(藍浦都會所)에서 본현(本縣)과 서천(舒川)·보령(保寧)·한산(韓山)·홍산(鴻山)·비인(庇仁)·청양(靑陽) 등 7개 고을이 갑(甲) 3부(部), 주(胄) 3정(頂), 각궁(角弓) 15장(張), 장편전(張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5부(部)요, 태안 도회소(泰安都會所)에서 본군과 서산(瑞山)·면천(沔川)·당진(唐津) 등 4개 고을이 갑(甲) 2부(部), 주(胄) 2정(頂), 각궁(角弓) 1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0부(部)요, 내상 도회소(內廂都會所)에서 홍주(洪州)·덕산(德山)·아산(牙山)·해미(海美)·대흥(大興)·정산(定山)·신창(新昌)·평택(平澤)·결성(結城)·예산(禮山)·온양(溫陽)·직산(稷山)·천안(天安) 등 13개 고을이 갑(甲) 5부(部), 주(胄) 5정(頂), 각궁(角弓) 2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5부(部)입니다.

전라도(全羅道)는 전주 도회소(全州都會所)에서 본주와 금산(錦山)·여산(礪山)·고산(高山)·진산(珍山)·무주(茂朱)·용담(龍潭)·진안(鎭安)·장수(長水) 등 9개 고을이 갑(甲) 5부(部), 주(胄) 5정(頂), 각궁(角弓) 2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5부(部)요, 남원 도회소(南原都會所)에서 본부와 광주(光州)·담양(潭陽)·순창(淳昌)·임실(任實)·곡성(谷城)·구례(求禮)·창평(昌平)·동복(同福)·화순(和順)·진원(珍原)·운봉(雲峯)·옥과(玉果) 등 13개 고을이 갑(甲) 5부(部), 주(胄) 5정(頂), 각궁(角弓) 2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5부(部)요, 나주 도회소(羅州都會所)에서 본주(本州)와 영암(靈巖)·무안(務安)·함평(咸平)·남평(南平)·장성(長城) 등 6개 고을이 갑(甲) 4부(部), 주(胄) 4정(頂), 각궁 20장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0부(部)요, 순천 도회소(順天都會所)에서 본부(本府)와 낙안(樂安)·보성(寶城)·흥양(興陽)·광양(光陽) 등 5개 고을이 갑(甲) 3부(部), 주(胄) 3정(頂), 각궁(角弓) 1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5부(部)요, 옥구 도회소(沃溝都會所)에서 본현(本縣)과 익산(益山)·임피(臨陂)·함열(咸悅)·금구(金溝)·용안(龍安) 등 6개 고을이 갑(甲) 2부(部), 주(胄) 2정(頂), 각궁(角弓) 1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각각 10부(部)요, 부안 도회소(扶安都會所)에서 본현(本縣)과 김제(金堤)·고부(古阜)·태인(泰仁)·정읍(井邑)·만경(萬頃) 등 6개 고을이 갑(甲) 2부(部), 주(胄) 2정(頂), 각궁(角弓) 1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통아(羅韜筒兒) 각각 10부(部)요, 무장 도회소(茂長都會所)에서 본현(本縣)과 영광(靈光)·고창(高敞)·흥덕(興德) 등 4개 고을이 갑(甲) 2부(部), 주(胄) 2정(頂), 각궁(角弓) 1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0부(部)요, 내상 도회소(內廂都會所)에서 장흥(長興)·강진(康津)·능성(綾城)·해남(海南)·진도(珍島) 등 5개 고을이 갑(甲) 3부(部), 주(胄) 3정(頂), 각궁(角弓) 1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5부(部)입니다.

강원도(江原道)는 원주 도회소(原州都會所)에서 본주(本州)와 평창(平昌)·횡성(橫城)·홍천(洪川)·영월(寧越) 등 5개 고을이 갑(甲) 3부(部), 주(胄) 3정(頂), 각궁(角弓) 1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5부(部)요, 강릉 도회소(江陵都會所)에서 본부(本府)와 양양(襄陽)·정선(旌善) 등 3개 고을이 갑(甲) 3부(部), 주(胄) 3정(頂), 각궁(角弓) 1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5부(部)요, 삼척 도회소(三陟都會所)에서 본부(本府)와 평해(平海)·울진(蔚珍) 등 3개 고을이 갑(甲) 2부(部), 주(胄) 2정(頂), 각궁(角弓) 1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0부(部)요, 간성 도회소(杆城都會所)에서 본군(本郡)과 고성(高城)·통천(通川)·흡곡(歙谷)·인제(麟蹄)·양구(楊口)·회양(淮陽) 등 7개 고을이 갑(甲) 4부(部), 주(胄) 4정(頂), 각궁(角弓) 20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20부(部)요, 춘천 도회소(春川都會所)에서 본부(本府)와 김화(金化)·금성(金城)·낭천(浪川)·이천(伊川)·평강(平康)·안협(安峽)·철원(鐵原) 등 8개 고을이 갑(甲) 3부(部), 주(胄) 3정(頂), 각궁(角弓) 15장(張), 장편전(長片箭)·궁대(弓帒)·나도 통아(羅韜筒兒) 각각 15부입니다.

이로써 상액(常額)을 정하니. 관찰사(觀察使)로 하여금 군기감(軍器監)에서 상정(商定)한 식례(式例)를 상고하여 여러 고을과 도회소(都會所)에 나누어 정하고, 법에 의하여 제조(製造)하게 하소서, 만약 견고하고 치밀하게 만들지 않는 것이 있으면 공장(工匠)과 해당 관리와 만드는 것을 감독하는 수령(守令)과 감련관(監鍊官)500) 을 아울러 율(律)에 의하여 과죄(科罪)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2책 6권 39장 B면【국편영인본】 6책 597면
  • 【분류】
    군사-군기(軍器) / 사법-법제(法制)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 [註 500]
    감련관(監鍊官) : 군수 물자를 만드는 일을 감독하던 군기감(軍器監)의 관리.

○甲午/議政府據兵曹呈啓: "全羅慶尙忠淸江原諸道都會造作軍器, 不定額數, 從監鍊官所爲, 其造作或有過多, 弊及於民。 請自今每一年, 慶尙道左道內廂都會, 則密陽蔚山淸道彦陽長鬐靈山等六邑, 共造甲四部、冑四頂、角弓二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部; 右道內廂都會, 則金海昌原咸安宜寧漆原鎭海等六邑, 甲五部、冑五頂、角弓二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五部; 慶州都會, 則本府及永川興海慶山新寧義興迎日河陽等八邑, 甲六部、冑六頂、角弓三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三十部; 尙州都會, 則本州及善山金山開寧聞慶咸昌仁同等七邑, 甲四部、冑四頂、角弓二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部; 星州都會, 則本州及大丘陜川草溪昌寧玄風居昌高靈知禮等九邑, 甲五部、冑五頂、角弓二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五部; 寧海都會, 則本府及盈德靑松眞寶等四邑, 甲三部、冑三頂、角弓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五部; 東萊都會, 則本縣及梁山機張等三邑, 甲二部、冑二頂、角弓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部; 安東都會, 則本府及順興榮川醴泉龍宮義城軍威比安豐基禮安奉化等十一邑, 甲五部、冑五頂、角弓二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五部; 晋州都會, 則本州及咸陽三嘉南海河東安陰山陰丹城等八邑, 甲五部、冑五頂、角弓二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五部; 泗川都會, 則本縣及固城昆陽巨濟等四邑, 甲二部、冑二頂、角弓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部。 忠淸道 忠州都會, 則本州及鎭川丹陽淸風槐山堤川永春陰城延豐等九邑, 甲四部、冑四頂、角弓二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部; 沃川都會, 則本郡及淸州報恩文義永同懷德全義木川淸安燕歧黃澗靑山懷仁等十三邑, 甲四部、冑四頂、角弓二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部; 公州都會, 則本州及林川恩津扶餘連山石城尼山鎭岑等八邑, 甲三部、冑三頂、角弓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五部; 藍浦都會, 則本縣及舒川保寧韓山鴻山庇仁靑陽等七邑, 甲三部、冑三頂、角弓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五部; 泰安都會, 則本郡及瑞山沔川唐津等四邑, 甲二部、冑二頂、角弓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部; 內廂都會, 則洪州德山牙山海美大興定山新昌平澤結城禮山溫陽稷山天安等十三邑, 甲五部、冑五頂、角弓二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五部。 全羅道 全州都會, 則本州及錦山礪山高山珍山茂朱龍潭鎭安長水等九邑, 甲五部、冑五頂、角弓二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五部; 南原都會, 則本府及光州潭陽淳昌任實谷城求禮昌平同福和順珍原雲峯玉果等十三邑, 甲五部、冑五頂、角弓二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五部; 羅州都會, 則本州及靈巖務安咸平南平長城等六邑, 甲四部、冑四頂、角弓二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部; 順天都會, 則本府及樂安寶城興陽光陽等五邑, 甲三部、冑三頂、角弓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五部; 沃溝都會, 則本縣及益山臨陂咸悅金溝龍安等六邑, 甲二部、冑二頂、角弓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部; 扶安都會, 則本縣及金堤古阜泰仁井邑萬頃等六邑, 甲二部、冑二頂、角弓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部; 茂長都會, 則本縣及靈光高敞興德等四邑, 甲二部、冑二頂、角弓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部; 內廂都會, 則長興康津綾城海南珍島等五邑, 甲三部、冑三頂、角弓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五部。 江原道 原州都會, 則本州及平昌橫城洪川寧越等五邑, 甲三部、冑三頂、角弓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五部; 江陵都會, 則本府及襄陽旌善等三邑, 甲三部、冑三頂、角弓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五部; 三陟都會, 則本府及平海蔚珍等三邑, 甲二部、冑二頂、角弓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部; 杆城都會, 則本郡及高城通川歙谷麟蹄楊口淮陽等七邑, 甲四部、冑四頂、角弓二十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二十部; 春川都會, 則本府及金化金城狼川伊川平康安峽鐵原等八邑, 甲三部、冑三頂、角弓十五張、長片箭ㆍ弓帒ㆍ羅韜筒兒各十五部。 以爲常額, 令觀察使考軍器監常定式例, 分定諸邑及都會, 依法製造。 如有不堅緻者, 則工匠、該吏及監造守令、監鍊官, 竝依律科罪。" 從之。


  • 【태백산사고본】 2책 6권 39장 B면【국편영인본】 6책 597면
  • 【분류】
    군사-군기(軍器) / 사법-법제(法制)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