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분이 경상도·충청도의 규식에 맞지 않는 성자를 마감하여 계문하다
충청·전라·경상도 도체찰사(忠淸全羅慶尙道都體察使) 정분(鄭苯)이 아뢰기를,
"경상도(慶尙道)·충청도(忠淸道) 각 고을의 성자(城子)는 당초에 법식(法式)에 의하여 쌓지 않았기 때문에 모두가 규식(規式)에 맞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 가운데 그대로 둘 수 있는 각 고을과 시기에 미치도록 급히 개축(改築)해야 할 각 고을과 추후에 축조할 수 있는 각 고을, 그리고 물려서 쌓을 각 고을들을 마감하여 삼가 갖추어 계문(啓聞)합니다.
그대로 둘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주부 읍성(慶州府邑城)은 주위가 4천 75척, 높이가 11척 6촌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1척 4촌이며, 적대(敵臺)가 26개소, 문(門)이 3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없고, 여장이 1천 1백 55개이며, 성안에 우물이 83개소이고, 해자(海子)는 아직 파지 않았습니다.
김해부 읍성(金海府邑城)은 주위가 4천 4백 18척, 높이가 13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2척이며, 적대(敵臺)가 20개소, 문(門)이 4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있고, 여장이 9백 31개이며, 성안에 냇물이 1개소, 우물이 28개소이고, 해자(海子)의 주위는 4천 6백 83척입니다.
창원부 내상성(昌原府內廂城)은 주위가 3천 7백 75척, 높이가 12척 6촌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1척 8촌이며, 적대(敵臺)가 12개소, 문(門)이 4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있고, 여장이 6백 35개이며, 해자(海子)의 주위는 4천 60척, 성안에 우물이 7개소가 있습니다.
곤양군 읍성(昆陽郡邑城)은 주위가 3천 7백 65척, 성의 높이는 평지가 12척이고 높고 험한 곳은 9척 혹은 7척이며, 여장(女墻)의 높이가 2척, 적대(敵臺)가 12개소, 문(門)이 3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있으며, 여장이 5백 14개이고, 해자(海子)는 혹 파기도 하였고 혹 파지 않기도 하였으며, 성안에 샘이 3개소, 우물이 3개소 있습니다.
기장현 읍성(機張縣邑城)은 주위가 1천 5백 27척, 높이가 11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2척이며, 적대(敵臺)가 6개소, 문(門)이 3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있으며, 여장이 3백 83개이고, 성안에 우물이 1개소인데 판 깊이가 20척이고 물의 깊이는 1척이며, 성밖의 방천(防川)에서 성을 뚫고 물을 끌어들여 못을 만들어 저수(貯水)하였는데 깊이는 1척이며, 해자(海子)는 아직 파지 않았습니다.
동래현 읍성(東萊縣邑城)은 주위가 3천 척, 성의 높이가 평지는 13척, 높고 험한 곳은 12척이며, 여장(女墻)의 높이는 2척이고, 적대(敵臺)가 12개소, 문(門)이 4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있으며, 여장이 5백 13개이고, 성안에 우물이 6개소, 해자(海子)는 아직 파지 않았습니다.
고성현 읍성(固城縣邑城)은 주위가 3천 11척, 높이가 12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2척이며, 적대(敵臺)가 12개소, 문(門)이 3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있으며, 여장이 5백 75개이고, 성안에 우물이 4개소가 있습니다.
남해현 읍성(南海縣邑城)은 주위가 2천 8백 6척, 높이가 12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3척이며, 적대(敵臺)가 13개소, 문(門)이 3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있고, 여장이 5백 53개, 성안에 샘이 3개소, 작은 도랑이 1개소 있고, 해자(海子)의 주위는 3천 37척입니다.
하동현 읍성(河東縣邑城)은 주위가 2천 9백 43척, 높이가 평지에는 8척, 높고 험한 곳은 7척이며, 여장(女墻)의 높이는 3척이고, 적대(敵臺)가 11개소 내에 이미 쌓은 것이 4개소이고, 문(門)이 3개소에 옹성(擁城)이 있고, 여장이 5백 88개이고, 성안에 샘이 5개소, 못이 1개소이며, 해자(海子)는 아직 파지 않았습니다.
시기(時期)에 미치도록 개축(改築)할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울산군 내상성(蔚山郡內廂城)은 주위가 3천 7백 32척, 높이가 8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3척이며, 적대(敵臺)가 21개소 내에 아직 쌓지 않은 것이 3개소이고, 문(門)이 4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있으며, 여장이 9백 8개, 성안에 우물이 11개소, 샘이 3개소이고, 해자(海子)는 혹은 파고 혹은 아직 파지 않았습니다.
사천현 읍성(泗川縣邑城)은 주위가 3천 15척, 높이는 평지가 11척 5촌이고 높고 험한 곳은 10척 5촌이며, 적대(敵臺)가 15개소이고, 문(門)이 3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있고, 여장이 5백 80개이며, 성안에 우물이 7개소이고, 해자(海子)는 아직 파지 않았습니다.
진해현 읍성(鎭海縣邑城)은 주위가 1천 3백 25척 4촌, 높이가 7척 4촌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3척이며, 적대(敵臺) 6개소 내에 이미 쌓은 것이 3개소이고, 문(門)이 2개소인데 옹성(擁城)이 있으며, 여장이 3백 82개, 성안에 우물이 1개소 있는데 우물 밑에 돌이 있어 깊이 파지 못하여 가물면 말라붙곤 하여 성밖 5리쯤에 있는 방천(防川)에서 성을 뚫고 물을 끌어들였습니다.
뒤에 쌓을 수 있는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진주목 촉석(晉州牧矗石)은 전날에는 성터가 3천 척이었던 것을 이제 2천 척을 더하였습니다.
밀양부 읍성(密陽府邑城)의 터는 주위가 4천 7백 13척입니다.
함안 군읍 산성(咸安郡邑山城)은 구기(舊基)와 물려서 쌓은 곳은 아울러서 주위가 4천 척입이다.
양산군 읍성(梁山郡邑城)의 터는 2천 9백 50척입니다.
언양현(彦陽縣)은 전에 본현 북녘의 산성(山城)의 터를 심정(審定)하니 다만 높고 험하여 역사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성안에도 역시 백성의 거주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읍성 구기(舊基) 1천 4백 27척에다가 이제 1천 척을 더하였습니다.
칠원현(漆原縣)은 전에 성터[城基]를 심정(審定)하였더니 성이 높고 험하고 또 좁아서 유독 관사(官舍)의 설치만이 부적당할 뿐 아니라 백성이 거주하기에도 합당치 않기 때문에 성터 남쪽 골짜기에 신기(新基) 4천 7백 척을 심정하여 놓았습니다.
충청도(忠淸道)에서 그대로 둘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인현 읍성(庇仁縣邑城)은 주위가 1천 9백 33척 8촌, 높이가 평지에는 11척이고 높은 곳은 9척이며, 여장(女墻)의 높이는 3척이고, 적대(敵臺)가 5개소, 문(門)이 3개소에 그 중 하나는 옹성(擁城)이 없고, 여장이 4백 23개이며, 성안에 우물이 3개소, 해자(海子)의 주위에는 2천 1백 52척인데 간혹 막혀 있습니다.
남포현 읍성(藍浦縣邑城)은 주위가 2천 4백 76척, 높이는 12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3척이며, 적대(敵臺)가 5개소, 문(門)이 3개소에 옹성(擁城)이 있고, 여장이 3백 37개이며, 성안에 우물이 2개소인데 성밖 2리쯤에 있는 방천(防川)으로부터 성을 뚫고 끌어들여 못을 만들고 저수(貯水)해 있고, 해자(海子)는 아직 파지 않았습니다.
보령현 읍성(保寧縣邑城)은 주위가 2천 1백 9척, 높이가 12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2척이며, 적대(敵臺)가 8개소, 문(門)이 3개소인데 그 중 1개소는 옹성(擁城)이 없고, 여장이 4백 12개이고, 해자(海子)의 주위는 2천 1백 90척이며, 성안에 우물이 3개소가 있습니다.
해미현 내상성(海美縣內廂城)은 주위가 3천 3백 52척, 높이가 12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3척이며, 적대(敵臺)가 18개소 내에 16개소는 아직 쌓지 않았고, 문(門)이 4개소에 옹성(擁城)이 없으며, 여장이 6백 88개이고, 해자(海子)의 주위는 3천 6백 26척이고, 성안에 샘이 3개소가 있습니다.
당진현 읍성(唐津縣邑城)은 주위가 2천 8백 9척, 높이가 9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2척이며, 적대(敵臺)가 8개소, 문(門)이 3개소에 옹성(擁城)이 있고, 여장이 4백 68개이며, 성안에 우물이 3개소가 있고, 해자(海子)는 아직 파지 않았습니다.
면천군 읍성(沔川郡邑城)은 주위가 3천 2백 25척에, 높이가 11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3척이며, 적대(敵臺)가 7개소이고, 문(門)이 3개소인데 그 중 2개는 옹성(擁城)이 없고, 여장이 56개이며, 성안에 우물이 3개소가 있고, 해자(海子)는 혹 파기도 하고 혹은 파지 않기도 하였습니다.
홍주목 읍성(洪州牧邑城)은 주위가 4천 8백 56척에, 높이가 11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는 2척이며, 적대(敵臺)가 24개소 내에 18개소는 아직 쌓지 않았고, 문(門)이 4개소에 그 중 1개는 옹성(擁城)이 없으며, 여장이 6백 8개이고, 성안에 우물이 2개소가 있고, 작은 내[川]가 1개소에 있고, 해자(海子)는 아직 파지 않았습니다. 물려서 쌓을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천군 산성(林川郡山城)은 주위가 2천 8백 41척, 성의 높이와 여장(女墻)의 높이가 모두 14척에서 혹은 10척·9척·7척·6척이고, 적대(敵臺)와 옹성(擁城)이 없고, 성안에 샘이 2개가 있으나 수원이 부족합니다.
한산군 산성(韓山郡山城)은 주위가 2천 2백 5척입니다.
서천군 읍성(舒川郡邑城)은 주위가 2천 2백 65척에, 높이는 평지가 12척, 높고 험한 곳은 9척이고, 여장(女墻)의 높이가 3척이며, 적대(敵臺)가 14개소, 문(門)이 2개소에 옹성(擁城)이 없고, 여장이 5백개이고, 성안에 샘이 5개소가 있으며, 해자(海子)는 성터가 높고 험하여 파기는 어렵습니다.
추후하여 쌓을 수 있는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산군 산성(瑞山郡山城)은 축성한 연대가 오래 되어 모두 무너지고 또 성안이 험하고 좁을 뿐 아니라 수원(水源)도 부족하여 관부(官府)를 설치하기는 어려웠습니다.
부여현 산성(扶餘縣山城)은 연대가 오래 됨에 따라 많이 무너지고 또 수원이 없기 때문에 산성 남쪽에 신기(新基)를 심정하여 놓고 후일 이를 측량(測量)해 개축하는 기본 자료로 하였습니다.
아산현 산성(牙山縣山城)은 주위가 1천 5백 80척인데, 역시 축조한 연대가 오래되어 다 퇴락되었고, 다만 1개의 우물이 있기는 하나 수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성 남쪽에 물이 있는 곳으로 아울러 심정(審定)에 넣었습니다."
하니, 임금이 그대로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5책 9권 24장 B면【국편영인본】 6책 429면
- 【분류】군사-관방(關防)
○忠淸、全羅、慶尙道都體察使鄭苯啓: "慶尙、忠淸道各官城子基, 初不依法築之, 故竝皆不合規式。 然其中仍舊各官, 及期改築各官, 隨後可築各官, 與退築各官等磨勘, 謹具以聞。 仍舊。 慶州府邑城, 周回四千七十五尺, 高十一尺六寸, 女墻高一尺四寸, 敵臺二十六, 門三無擁城, 女墻一千一百五, 十五城內井八十三, 海子未鑿。 金海府邑城, 周回四千四百十八尺, 高十三尺, 女墻高二尺, 敵臺二十, 門四有擁城, 女墻九百三十一, 城內川一, 井二十八, 海子周回四千六百八十三尺。 昌原府內廂城, 周回三千七百七十五尺, 高十二尺六寸, 女嗇高一尺八寸, 敵臺十二, 門四有擁城, 女墻六百三十五, 海子周回四千六十尺, 城內井七。 昆陽郡邑城, 周回三千七百六十五尺, 城高平地十二尺, 高險處九尺或七尺, 女墻高二尺, 敵臺十三, 門三有擁城, 女墻五百十四, 海子或鑿或未鑿, 城內泉三, 井三。 機張縣邑城, 周回一千五百二十七尺, 高十一尺, 女墻高二尺, 敵臺六, 門三有擁城, 女墻三百八十三, 城內井一, 掘深二十尺, 水深一尺, 城外防川鑿城引入作池貯水, 深一尺, 海子未鑿。 東萊縣邑城, 周回三千尺, 城高平地十三尺, 高險處十二尺, 女墻高二尺敵臺十二, 門四有擁城, 女墻五百十三, 城內井六, 海子未鑿。 固城縣邑城, 周回三千十一尺, 高十二尺, 女墻高二尺, 敵臺十二, 門三有擁城, 女墻五百七十五, 城內井四。 南海縣邑城, 周回二千八百六尺, 高十二尺, 女墻高三尺, 敵臺十三, 門三有擁城, 女墻五百五十三, 城內泉三, 小渠一, 海子周回三千三十七尺。 河東縣邑城, 周回二千九百四十三尺, 高平地八尺, 高險處七尺, 女墻高三尺, 敵臺十一內, 已築四, 門三有擁城, 女墻五百八十八, 城內泉五, 池一, 海子未鑿。 及期改築。 蔚山郡內廂城, 周回三千七百三十二尺, 高八尺, 女墻高三尺, 敵臺二十一內, 未築三, 門四有擁城, 女墻九百八, 城內井十一, 泉三, 海子或鑿或未鑿。 泗川縣邑城, 周回三千十五尺, 高平地十一尺五寸, 高險處十尺五寸, 敵臺十五, 門三有擁城, 女墻五百八十, 城內井七, 海子未鑿。 鎭海縣邑城, 周回一千三百二十五尺四寸, 高七尺四寸, 女墻高三尺, 敵臺六內, 已築三, 門二有擁城, 女墻三百八十二, 城內井一, 井底有石不能深鑿, 旱則乾渴, 城外五里許防川, 鑿城引流。 隨後可築。 晋州牧矗石, 在前城基三千尺, 今加二千尺。 密陽府邑城, 基周回四千七百十三尺。 咸安郡邑山城, 舊基幷退築處周回四千尺。 梁山郡邑城, 基周回二千九百五十尺。 彦陽縣, 在前審定縣北山城基, 則非徒高險, 力役之難, 城內亦不宜民居, 故於邑城舊基一千四百二十七尺, 今加一千尺。 漆原縣, 在前審定城基, 則城高險狹隘, 非獨不宜設官舍, 民居亦且不合, 故於城基南洞新基四千七百尺審定。 忠淸道仍舊。 庇仁縣邑城, 周回一千九百三十三尺八寸, 高平地十一尺, 高處九尺, 女墻高三尺, 敵臺五, 門三內, 一無擁城, 女墻四百二十三, 城內井三, 海子周回二千一百五十二尺, 間或湮塞。 藍浦縣邑城, 周回二千四百七十六尺, 高十二尺, 女墻高三尺, 敵臺五, 門三有擁城, 女墻三百七十七, 城內泉二, 城外二里許防川, 鑿城引入作池貯水, 海子未鑿。 保寧縣邑城, 周回二千一百九尺, 高十二尺, 女墻高二尺, 敵臺八, 門三內, 一無擁城, 女墻四百十二, 海子周回二千一百九十尺, 城內井三。 海美縣內廂城, 周回三千三百五十二尺, 高十二尺, 女墻高三尺, 敵臺十八內, 十六未築, 門四無擁城, 女墻六百八十八, 海子周回三千六百二十六尺, 城內泉三。 唐津縣邑城, 周回二千八百九尺, 高九尺, 女墻高二尺, 敵臺八, 門三有擁城, 女墻四百六十八, 城內井三, 海子未鑿。 沔川郡邑城, 周回三千二百二十五尺, 高十一尺, 女墻高三尺, 敵臺七, 門三內, 二無擁城, 女墻五十六, 城內井三, 海子或鑿或未鑿。 洪州牧邑城, 周回四千八百五十六尺, 高十一尺, 女墻高二尺, 敵臺二十四內, 十八未築, 門四內, 一無擁城,女墻六百八, 城內井二, 小川一, 海子未鑿。 退築。 林川郡山城, 周回二千八百四十一尺, 城高幷女墻十四尺, 或十尺、九尺、七尺、六尺, 無敵臺、擁城, 城內泉二, 水源不足。 韓山郡山城, 周回二千二百五尺。 舒川郡邑城, 周回二千二百六十五尺, 高平地十二尺, 高險處九尺, 女墻高三尺, 敵臺十四, 門二無擁城, 女墻五百, 城內泉五, 海子城基高險難鑿。 隨後可築。 瑞山郡山城, 因所築年久竝皆頹壞, 且城內險隘, 水源不足, 設官府爲難。 扶餘縣山城, 因年久頹壞, 且無水源, 故於山城之南, 審定新基, 以爲後日尺量改築之資。 牙山縣山城, 周回一千五百八十尺, 亦年久盡頹, 但有一井, 水源不足, 故其城南有水處, 幷入番定。" 從之。
- 【태백산사고본】 5책 9권 24장 B면【국편영인본】 6책 429면
- 【분류】군사-관방(關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