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문종실록7권, 문종 1년 4월 12일 경진 3번째기사 1451년 명 경태(景泰) 2년

황보인·김종서를 불러 평안도의 방비 대책을 의논하게 하다

좌의정(左議政) 황보인(皇甫仁)과 좌찬성(左贊成) 김종서(金宗瑞)를 명소(命召)하여 말하기를,

"근래 변경(邊境)의 성식(聲息)이 끊임이 없어 평안도의 방어가 가장 긴요하니, 각 고을의 성을 굳게 쌓아야 하겠다. 포치(布置)하는 방법을 의논하여 아뢰라."

하니, 황보인 등이 아뢰기를,

"의주 읍성(義州邑城)은 아직 보수하지 못한 곳이 남문에서 동문까지인데, 성의 높이 30척(尺), 단장(短墻)의 높이 2척, 여장(女墻)365) 의 높이 3척이 되도록 더 쌓으며, 또 남문루(南門樓)를 헐고서 더 쌓은 뒤에 문루를 고쳐 짓고, 그 밖의 옹성문(擁城門)의 홍교(虹橋)366) 를 없애고, 현문(懸門)367) 만을 두고 그 위에 집을 짓되, 되돌고 간략하게 하며, 또 동문루(東門樓)를 헐고서 더 쌓은 뒤에 홍교를 없애고 문루만을 만들고 그 밖의 옹성은 더 쌓되 넓다랗게 하고, 현문을 두고 그 위에 집을 지으며, 또 서문의 옹성에도 현문을 두고 그 위에 집을 지어야 하겠습니다. 또 동문에서 북문까지는 성이 험한 데를 의거하고 있어서 완고하나, 다만 그 가운데의 낮고 약한 곳을 더 쌓아야 하겠습니다. 또 오는 10월에 선군(船軍) 1천 명을 뽑아서 강 밖에서 돌을 주워서 외동(外洞) 등지에 쌓아 두었다가, 내년 정월에 삼도(三道)의 선군을 부려서 수로(水路)로 날라 들이며, 또 의주도(義州道)의 선군 2백 50명을 부려서, 오는 7월 초하룻날부터 9월 그믐날까지 벽돌을 굽되, 의주 판관(義州判官)으로 하여금 고찰(考察)하게 하여야 하겠습니다. 또 삭주(朔州) 읍성은 낮고 약한 곳을 더 쌓고, 이미 무너졌거나 장차 무너질 곳은 보수하여 쌓아야 하겠습니다. 또 각 고을의 성의 문이 부실하거나 문루가 없는 데는 모두 오는 가을에 만들되, 문에는 모두 철첩(鐵牒)을 박아야 하겠습니다. 또 내년 봄에는 의주 읍성을 수리하고, 금년 가을에는 삭주용천(龍川)의 읍성을 수리하되, 군인의 수는 그 해의 풍흉(豐凶)을 보아서 적당히 정하여야 하겠습니다. 또 금년으로부터 황해도의 철물(鐵物)은 모두 평안도로 보내어 다른 데에 쓰지 못하게 하고, 도체찰사(都體察使)의 말을 듣고서 지급하도록 하여야 하겠습니다."

하니, 그대로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4책 7권 6장 B면【국편영인본】 6책 374면
  • 【분류】
    군사-군정(軍政) / 군사-군역(軍役) / 군사-관방(關防)

  • [註 365]
    여장(女墻) : 성가퀴.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으로 이 담에 몸을 숨기고 적을 치거나 활을 쏘게 한 성의 부대시설(附帶施設)을 말함.
  • [註 366]
    홍교(虹橋) : 성문 앞에 해자(垓子) 위에 무지개처럼 세우는 다리. 양끝은 처지고 가운데는 둥글고 높다랗게 솟은 다리를 말함.
  • [註 367]
    현문(懸門) : 문을 위에 매달아서 아래로 내리닫을 수 있게 만든 성문(城門).

○命召左議政皇甫仁、左贊成金宗瑞曰: "比來邊境聲息, 不絶。 平安道防禦最緊, 宜堅築各官城子。 其議布置之方, 以啓。" 等啓: "義州邑城, 未修補處, 自南門至東門, 加築城高三十尺、短墻高二尺、女墻高三尺, 又毁南門樓, 加築之後, 改構門樓, 其外擁城門除虹橋, 只置懸門, 造家其上, 務令簡略, 又毁東門樓, 加築之後, 除虹橋, 只造門樓, 其外擁城, 加築之, 令其廣闊, 置懸門, 造家其上, 又西門擁城, 亦置懸門, 造家其上, 又自東門至北門, 其城子據險完固, 但其中低微處加築。 又於來十月, 抄船軍一千名, 拾石于江外, 於外洞等處積聚, 來年正月, 役三道船軍, 由水路輸入, 又役義州道般軍二百五十名, 自來七月初一日, 至九月晦日, 燔甓, 令義州判官考察。 又朔州邑城, 低微處加築, 已頹及將頹處, 則修築。 又各官城子門扉不實, 或無門樓, 竝於來秋, 造成門扉, 竝用鐵牒釘之。 又來春修義州邑城, 今秋修朔州龍川邑城, 軍人之數, 則視年歲豐歉量定, 又今年爲始, 黃海道鐵物, 皆送平安道, 勿令他用, 聽都體察使, 支給。" 從之。


  • 【태백산사고본】 4책 7권 6장 B면【국편영인본】 6책 374면
  • 【분류】
    군사-군정(軍政) / 군사-군역(軍役) / 군사-관방(關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