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문종실록5권, 문종 1년 1월 26일 병인 7번째기사 1451년 명 경태(景泰) 2년

예조에서 경희전에 고명을 내려 준 것을 아뢰는 의주와 분황제의 의주를 아뢰다

예조에서 경희전(景禧殿)에 고명(誥命)을 내려 준 것을 아뢰는 의주(儀注)와 분황제(焚黃祭)의 의주를 아뢰었다.

"기일 전 1일에 전사(殿司)에서 그 소속을 거느리고 혼전(魂殿)의 안팎을 소제한다. 충호위(忠扈衛)에서 임시로 고명(誥命)을 안치(安置)한 악차(幄次)133) 를 혼전의 대문(大門) 밖 동쪽에 서향하여 설치한다. 사자(使者)의 좌차(座次)를 고명(誥命) 악차(握次)의 남쪽에 동쪽으로 가까이 서향하여 설치한다. 그날 집례(執禮)가 고명안(誥命案)을 신좌(神座)의 동북쪽에 남향하여 설치하고 사자(使者)의 자리를 고명안(誥命案)의 동쪽에 서향하여 설치한다. 고명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의 자리를 고명안(誥命案)의 앞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또 서는 자리를 서계(西階) 아래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집례(執禮)·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궁위령(宮闈令)의 자리를 동계(東階) 아래에 서쪽으로 가까이 서향하여 설치하되, 북쪽을 위로 한다. 집례(執禮) 이하 여러 집사(執事)가 길복(吉服) 차림으로 먼저 전정(殿庭)으로 들어가서 겹줄로 북향하여 서쪽을 위로 해서 네 번 절하고 나서 각각 자리로 나아가고, 알자(謁者)가 고명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 【길복(吉服)차림이다.】 을 인도하여 들어와 서는 자리로 나아간다. 집례(執禮)가 ‘사배(四拜)하라.’ 하여, 찬자(贊者)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고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몸을 굽히고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사자(使者)가 예궐(詣闕)하면, 고명(誥命)을 받아서 용정(龍亭) 가운데 둔다. 황의장(黃儀仗)이 앞에서 인도하고, 다음에 고악(鼓樂)이고, 다음에 향정(香亭)이고, 다음에 고명 용정(誥命龍亭)이고, 【메고 가는 자는 길복(吉服)을 입는다.】 다음에 사자(使者)가 길복(吉服) 차림으로 말을 타고 간다. 혼전(魂殿)의 대문(大門) 밖에 이르면, 【고악(鼓樂)은 문에 이르면 연주하지 않는다.】 용정(龍亭)을 악차(握次) 안에 설치한다. 봉례랑(奉禮郞)이 사자(使者)를 인도하여 좌차(座次)에 들어가고 【봉례랑(奉禮郞)도 또한 길복(吉服)을 입는다.】 궁위령(宮衛令)이 궤(匱)를 열고 신주(神主)를 받들어 내어 자리[座]에 설치하고 청저건(靑苧巾)으로 덮고 궤(几)를 뒤에 설치한다. 봉례랑(奉禮郞)이 사자(使者)를 인도하여 좌차(座次)를 나와 서향하여 서고, 용정(龍亭)이 정문(正門)으로 들어오면 사자가 뒤따라 들어온다. 알자(謁者)가 찬(贊)하기를, ‘국궁(鞠躬)하라.’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동향하여 몸을 굽히며, 지나면 찬(贊)하기를, ‘평신(平身)하라.’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몸을 바로 하고 북향하여 선다. 용정(龍亭)이 혼전(魂殿)에 오르면 사자(使者)가 고명(誥命)을 받들어 안(案)에 둔다. ‘집례(執禮)가 사배(四拜)하라.’ 하여, 찬자(贊者)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몸을 굽혀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알자(謁者)가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을 거느리고 서계(西階) 아래로 올라가서 대수위(代受位)로 나아간다. 【알자(謁者)는 계단 아래에서 그친다.】 사자가 칭하기를, ‘제서(制書)가 있다.’ 하면, 알자(謁者)가 찬(贊)하기를, ‘궤(跪)하라.’ 하여,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꿇어앉는다.

사자(使者)가 고명(誥命)을 받들어 서향하여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에게 주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고명(誥命)을 받아서 도로 신좌(神座)의 앞에 놓고 【안(案)이 있다.】 부복(俯伏)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하고 내려와 〈자리에〉 다시 선다. 집례(執禮)가 ‘사배(四拜)하라.’ 하여, 찬자(贊者)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몸을 굽혀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봉례랑(奉禮郞)이 사자(使者)를 인도하여 동문(東門)으로 나가고, 알자(謁者)가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을 인도하여 나가 좌차(座次)에 나아간다. 처음에 사자(使者)가 문을 나가면 궁위령(宮闈令)이 신주(神主)를 들여 넣기를 상시(常時)와 같이 한다. 집례(執禮) 이하가 배위(拜位)로 돌아가서 네 번 절하고 나간다. 분황의(焚黃儀)는 【재계(齋戒)는 기고의(祈告儀)와 같다.】 고명(誥命)을 내려 주는 예(禮)가 끝나기를 기다려서 승문원(承文院)의 관원이 황지(黃紙)에다 고명(誥命)을 전사(傳寫)하여 고명함(誥命函)의 뒤에 놓는다. 집례(執禮)가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자리를 동계(東階)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감찰(監察)·전사관(典祀官)의 자리를 전문(殿門)의 서쪽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감찰(監察)이 서쪽에 있고 서리(書吏)가 그 뒤에 배종(陪從)한다.】 집례(執禮)의 자리를 동계(東階)의 서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은 남쪽에 조금 뒤로 물러 있게 하는데, 북쪽을 위로 한다. 행사(行事)하기 전에 전사관(典祀官)과 전사(殿司)가 각각 그 소속을 거느리고 들어가 축판(祝版)을 신위(神位)의 오른쪽에 올려 놓고, 【점(坫)이 있다.】 향로(香爐)와 향합(香合)과 초[燭]를 신위(神位) 앞에 설치한다. 다음에 제기(祭器)를 설치하여 찬구(饌具)를 담는다. 【찬품(饌品)은 기고제(祈告祭)와 같다.】 준(尊)을 지게문[戶] 밖의 왼쪽에 설치하는데 잔(盞) 3개를 준소(尊所)에 두고 요소(燎所)를 서계(西階) 위에 서쪽으로 가까이 설치한다. 【탁자(卓子)를 설치하고 동로(銅爐)를 둔다.】 설치하기를 끝내면 찬인(贊引)이 감찰(監察)을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진설(陳設)한 것을 점검하여 살핀다.

전(前) 1각(刻)에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과 여러 집사(執事)가 백의(白衣)·오사모(烏紗帽)·흑각대(黑角帶)를 갖추고 관세(盥洗)하기를 끝마치면 모두 전문(殿門) 밖으로 나아간다. 집례(執禮)가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을 거느리고 먼저 전정(殿庭)의 배위(拜位)에 들어가서 북향하여 서쪽을 위로 하고 네 번 절하고, 끝나면 자리에 나아간다. 찬인(贊引)이 감찰(監察)·전사관(典祀官)·대축(大祝)·궁위령(宮闈令)·축사(祝史)·재랑(齋郞)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전정(殿庭)의 배위(拜位)에 나아가서 겹줄로 서쪽을 위로 하여 선다. 서기를 정(定)하면 집례(執禮)가, ‘사배(四拜)하라.’ 하여, 찬자(贊者)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감찰(監察) 이하가 몸을 굽혀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찬인(贊引)이 감찰(監察) 이하를 인도하여 각각 자리에 나아간다. 궁위령(宮闈令)이 궤(匱)를 열고 신주(神主)를 받들어 내어 자리[座]에 설치하고 청저건(靑苧巾)으로 덮고 궤(几)를 뒤에 설치한다. 알자(謁者)가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을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간다. 집례(執禮)가, ‘사배(四拜)하라.’ 하여, 찬자(贊者)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몸을 굽혀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먼저 절한자는 절하지 않는다.】 알자(謁者)가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을 인도하여 동계(東階)로부터 올라가서 신좌(神座) 앞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선다. 찬(贊)하기를, ‘궤(跪)하라.’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꿇어앉는다. 집사자(執事者) 1인이 향합(香合)을 받들고 1인이 향로(香爐)를 받들어 꿇어앉아 바친다. 알자가 찬(贊)하기를, ‘삼상향(三上香)하라.’ 하면, 집사자(執事者)가 향로를 안(案)에 올려놓는다. 【향(香)을 받드는 자는 동쪽에 있어 서향하고, 향로를 올리는 자는 서쪽에 있어 동향한다. 잔(盞)을 주고 잔을 올리는 것도 이에 준한다.】 대축(大祝)이 고명(誥命)을 취(取)하여 동향하여 꿇어앉아 읽기를 마치면 알자(謁者)가 찬(贊)하기를, ‘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알자(謁者)가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을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가 준소(尊所)134) 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선다.

집례가 ‘초헌례(初獻禮)를 행하라.’ 하면, 집준자(執尊者)가 술을 떠내고, 집사자(執事者)가 잔(盞)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謁者)가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을 인도하여 신좌(神座) 앞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선다. 〈알자가〉 꿇어앉으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꿇어앉는다. 집사자(執事者)가 잔(盞)을 잡아서 잔(盞)을 드리고, 잔(盞)을 집사자(執事者)에게 주어서 신위(神位) 앞에 올리게 한다. 알자(謁者)가 찬(贊)하기를, ‘부복(俯伏)·흥(興)·소퇴(小退)135) ·북향궤(北向跪)136) 하라.’ 하면, 대축(大祝)이 신위(神位)의 오른쪽에 나아가서 동향하여 꿇어앉아 축문(祝文)을 읽는다. 이를 마치면 알자(謁者)가 찬(贊)하기를 ‘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라.’하고, 인도하여 내려와서 자리로 돌아간다. 조금 있다가 집례(執禮)가, ‘아헌례(亞獻禮)를 행하라.’ 하면, 알자(謁者)가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을 인도하여 들어와서 신위(神位)의 앞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선다. 찬(贊)하기를, ‘궤(跪)하라.’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꿇어앉는다. 집사자(執事者)가 잔(盞)을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에게 주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잔(盞)을 잡아서 잔(盞)을 드리고, 잔(盞)을 집사자(執事者)에게 주어서 신위(神位) 앞에 올리게 한다. 알자(謁者)가 찬(贊)하기를, ‘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부복(俯伏)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알자(謁者)가 인도하여 내려와서 자리에 돌아간다. 조금 있다가 집례(執禮)가, 종헌례(終獻禮)를 행하라.’ 하면, 알자(謁者)가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을 인도하여 행례(行禮)하기를 아헌(亞獻)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이를 마치면 인도하여 내려와서 자리로 돌아간다. 집례(執禮)가 ‘분황(焚黃)하라.’ 하면, 대축(大祝)이 고명(誥命)의 사본(寫本)을 받들어 요소(燎所)137) 에 나아가서 불사른다. 이를 마치면, 집례(執禮)가, ‘사배(四拜)하라.’ 하면, 찬자(贊者)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몸을 굽혀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알자(謁者)가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을 인도하여 나간다. 찬인(贊人)이 감찰(監察)·전사관(典祀官) 이하를 인도하여 함께 배위(拜位)로 돌아간다. 집례(執禮)가 ‘사배(四拜)하라.’ 하면, 찬자(贊者)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한다. 찬인(贊引)이 차례대로 인도하여 나간다. 궁위령(宮闈令)이 신주(神主)를 들여 넣기를 의식과 같이 한다. 집례(執禮)가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을 거느리고 배위(拜位)에 나아가서 네 번 절하고 나간다. 대축(大祝)이 축판(祝版)을 받들어 구덩이에 파묻는다. 전사(殿司)가 고명(誥命)을 함(函)에 들여 넣어서 이를 갈무리한다. 전사관(典祀官)과 전사(殿司)가 각각 그 소속을 거느리고 예찬(禮饌)을 거두고 지게문을 닫고서 내려와 곧 물러간다. 행사 집사관(行事執事官)은 사자(使者)가 1인, 【좌의정(左議政).】 고명(誥命)을 대신하여 받는 관원이 1인, 【1, 2품(品).】 집례(執禮)가 1인 【문관 3품.】 전사관(典祀官)이 1인, 【봉상시(奉常寺)의 관원.】 대축(大祝)이 1인, 【문관 3품(品).】 알자(謁者)가 1인, 【봉례랑(奉禮郞).】 찬자(贊者)가 1인, 【통찬(通贊).】 통인(通引)이 1인, 【참외(參外).】 축사(祝史)가 2인, 재랑(齋郞)이 2인, 【아울러 참외(參外)이다.】 궁위령(宮闈令)이 1인, 【내시부(內侍府).】 감찰(監察) 1인이다."


  • 【태백산사고본】 3책 5권 59장 B면【국편영인본】 6책 352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註 133]
    악차(幄次) : 임금이 야외(野外)로 거둥할 때 쉬도록 임시로 만든 막사(幕舍).
  • [註 134]
    준소(尊所) : 술 항아리를 놓는 곳.
  • [註 135]
    소퇴(小退) : 조금 뒤로 물러남.
  • [註 136]
    북향궤(北向跪) : 북쪽으로 향하여 꿇어앉으라는 뜻.
  • [註 137]
    요소(燎所) : 불사르는 곳.

○禮曹啓: "景禧殿告賜誥命及焚黃祭儀注。 前一日, 殿司帥其屬, 掃除殿之內外。 忠扈衛設權置誥命幄於殿大門外之東, 西向; 設使者次於誥命幄之南, 近東西向。 其日執禮設誥命案於神座之東北, 南向; 設使者位於誥命案之東, 西向。 設代受誥命官位於誥命案之前, 北向; 又設立位於西階下, 北向。 設執禮、謁者、贊者、贊引、宮闈令位於東階下近西, 西向北上。 執禮以下諸執事, 以吉服, 先入殿庭, 重行北向, 西上四拜, 訖, 各就位。 謁者引代受誥命官, 【吉服。】 入, 就立位。 執禮曰: ‘四拜’, 贊者唱: ‘鞠躬, 四拜, 興, 平身’, 代受誥命官, 鞠躬, 四拜, 興, 平身。 使者詣闕, 受誥命, 置龍亭中。 黃儀仗前導, 次鼓樂, 次香亭, 次誥命龍亭, 【擔陪人著吉服。】 次使者吉服乘馬行。 至殿大門外, 【鼓樂, 至門不作。】 龍亭安於幄內。 奉禮郞引使者, 入次; 【奉禮郞亦著吉服。】 宮闈令開匱, 奉出神主, 設於座, 覆以靑苧巾, 設几於後。 奉禮郞引使者出次, 西向立。 龍亭由正門入, 使者從入。 謁者贊: ‘鞠躬’, 代受誥命官, 東向鞠躬。 過, 則贊: ‘平身’, 代受誥命官平身, 北向立。 龍亭升殿, 使者奉誥命, 置于案。 執禮曰: ‘四拜’, 贊者唱: ‘鞠躬, 四拜, 興, 平身’, 代受誥命官, 鞠躬, 四拜, 興, 平身。 謁者引代受誥命官, 由西階下升, 詣代受位。 【謁者止於階下。】 使者稱: ‘有制’, 謁者贊: ‘跪’, 代受誥命官跪使者, 奉誥命, 西向, 授代受誥命官, 代受誥命官受誥命, 還置於神座前。 【有案。】 俯伏, 興, 平身, 降, 復位。 執禮曰: ‘四拜’, 贊者唱: ‘鞠躬, 四拜, 興, 平身’, 代受誥命官, 鞠躬, 四拜, 興, 平身。 奉禮郞引使者, 由東門出; 謁者引代受誥命官出, 就次。 初使者出門, 宮闈令納神主如常。 執禮以下, 俱復拜位, 四拜而出。 焚黃儀 【齊戒同祈告儀。】 俟賜誥命禮畢, 承文院官, 以黃紙, 傳寫誥命, 置於誥命凾之後。 執禮設代受誥命官位於東階東南, 西向;〔設〕 監察、典祀官位於殿門之西, 北向; 【監察在西, 書吏陪其後。】 設執禮位於東階之西, 西向; 謁者、贊者、贊引在南, 差退, 北上。 未行事前, 典祀官、殿司, 各帥其屬入, 奠祝版於神位之右; 【有坫。】 設香爐、香合竝燭於神位前。 次設祭器, 實饌具。 【饌品與祈告同。】 設尊於戶外之左, 置盞三於尊所, 設燎所於西階上近西。 【設卓置銅爐。】 畢, 贊引引監察, 升自東階, 點視陳設。 前一刻, 代受誥命官及諸執事, 具白衣、烏紗帽、黑角帶, 盥洗訖, 皆就殿門外。 執禮帥謁者、贊者、贊引, 先入殿庭拜位, 北向西上, 四拜, 訖, 就位。 贊引引監察、典祀官、大祝、宮闈令、祝史、(齊)〔齋〕 郞入, 就殿庭拜位, 重行西上。 立定, 執禮曰: ‘四拜’, 贊者唱: ‘鞠躬, 四拜, 興, 平身’, 監察以下, 鞠躬, 四拜, 興, 平身。 贊引引監察以下, 各就位。 宮闈令開匱, 奉出神主, 設於座, 覆以靑苧巾, 設几於後。 謁者引代受誥命官入, 就位。 執禮曰: ‘四拜’, 贊者唱: ‘鞠躬, 四拜, 興, 平身’, 代受誥命官, 鞠躬, 四拜, 興, 平身。 【先拜者不拜。】 謁者引代受誥命官, 升自東階, 詣神座前, 北向立。 贊: ‘跪’, 代受誥命官跪。 執事者一人奉香合, 一人奉香爐, 跪進。 謁者贊: ‘三上香’, 執事者奠爐于案。 【奉香在東, 西向; 奠爐在西, 東向。 授盞、奠盞準此。】 大祝取誥命, 東向, 跪, 讀訖, 謁者贊: ‘俯伏, 興, 平身’, 代受誥命官, 俯伏, 興, 平身。 謁者引代受誥命官, 出戶, 詣尊所, 西向立。 執禮曰: ‘行初獻禮’, 執尊者酌酒, 執事者以盞受酒。 謁者引代受誥命官入, 詣神座前, 北向立。 〔謁者〕 跪, 代受誥命官跪。 執事者以盞授代受誥命官, 代受誥命官執盞獻盞, 以盞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謁者贊: ‘俯伏, 興, 小退, 北向跪’, 大祝進神位之右, 東向跪, 讀祝文。 訖, 謁者贊: ‘俯伏, 興, 平身’, 引降復位。 小頃執禮曰: ‘行亞獻禮’, 謁者引代受誥命官, 入詣神位前, 北向立。 贊: ‘跪’, 代受誥命官跪。 執事者以盞授代受誥命官, 代受誥命官執盞獻盞, 以盞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謁者贊: ‘俯伏, 興, 平身’, 代受誥命官, 俯伏, 興, 平身。 謁者引降復位。 小頃執禮曰: ‘行終獻禮’, 謁者引代受誥命官, 行禮如亞獻儀。 訖, 引降復位。 執禮曰: ‘焚黃’, 大祝奉誥命寫本, 就燎所, 焚。 訖, 執禮曰: ‘四拜’, 贊者唱: ‘鞠躬, 四拜, 興, 平身’, 代受誥命官, 鞠躬, 四拜, 興, 平身。 謁者引代受誥命官出。 贊引引監察、典祀官以下, 俱復拜位。 執禮曰: ‘四拜’, 贊者唱: ‘鞠躬, 四拜, 興, 平身。’ 贊引以次引出。 宮闈令納神主如儀。 執禮帥謁者、贊者、贊引, 就拜位, 四拜而出。 大祝捧祝版, 瘞於坎。 殿司以誥命納于凾, 藏之。 典祀官、殿司, 各帥其屬, 徹禮饌, 闔戶以降, 乃退。 行事執事官, 使者一, 【左議政。】 代受誥命官一, 【一、二品。】 執禮一, 【文官三品。】 典祀官一, 【奉常寺官。】 大祝一, 【文官三品。】 謁者一, 【奉禮郞。】 贊者一, 【通贊】 贊引一, 【參外】 祝史二, 齋郞二, 【竝參外。】 宮闈令一, 【內侍府。】 監察一。"


  • 【태백산사고본】 3책 5권 59장 B면【국편영인본】 6책 352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