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3권, 지리지 강원도 강릉 대도호부

지리지 / 강원도 / 강릉 대도호부


강릉 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

사(使) 1인, 판관(判官) 1인, 유학 교수관(儒學敎授官) 1인.

본래 예(濊)의 고국(古國)인데, 【철국(鐵國)이라고도 하고, 예국(橤國)이라고도 한다. 】 한나라 무제(武帝) 원봉(元封) 2년에 장수를 보내어 우거(右渠)를 치고 사군(四郡)을 정할 때에, 임둔(臨芚)이라 하였다. 고구려에서는 하서량(河西良)이라 【일명 하슬라(河瑟羅). 】 일컬었고, 신라 선덕왕(善德王)은 소경(小京)을 두었다. 태종왕(太宗王) 5년 무오에 하슬라의 땅이 말갈(靺鞨)과 연접하였다 하여, 경(京)을 파하여 주(州)로 만들고, 도독(都督)을 두어서 지키게 하였는데, 【당(唐)나라 고종(高宗) 현경(顯慶) 3년. 】 경덕왕(景德王) 15년 정유에 하서주(河西州)명주(溟州)라 고쳤다. 혜공왕(惠恭王) 12년에 옛 이름으로 회복하고, 고려 태조(太祖) 19년 병신에 【진(晉)나라 고조(高祖) 천복(天福) 원년. 】 이름을 동원경(東原京)이라 불렀다. 성종(成宗) 2년 계미에 【송나라 태종(太宗) 태평흥국(太平興國) 8년. 】 하서부(河西府)로 고쳤고, 5년 병술에는 【송나라 태종 옹희(雍熙) 3년. 】 명주 도독부(溟州都督府)로 하였다. 11년 계사 【송나라 태종 순화(淳化) 4년. 】 명주목(溟州牧)으로 고쳤고, 14년 병신에 명주 단련사(溟州團練使)로 고쳤다가, 원종(元宗) 원년 경신에 공신 김홍취(金洪就)의 고향이라 하여 경흥 도호부(慶興都護府)로 승격하였고, 【남송(南宋) 이종(理宗) 경정(景定) 원년. 】 충렬왕(忠烈王) 34년 무신에 【원나라 무종(武宗) 지대(至大) 원년. 】 강릉부(江陵府)로 고쳤다. 공양왕(恭讓王) 원년 기사에 【명나라 태조 홍무(洪武) 22년. 】 대도호부(大都護府)로 승격하였고,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는데, 별호는 임영(臨瀛)이라 한다. 속현(屬縣)이 2이니, 연곡현(連谷縣)은 본래 고구려복산현(攴山縣)인데, 신라 경덕왕 때에 명주(溟州)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에 지금 이름으로 고쳐서 그대로 임내(任內)로 만들었다. 【현(縣) 사람들이 전하기를, "옛 양곡현(陽谷縣)이라" 한다. 】 우계현(羽溪縣)은 본래 고구려우곡현(羽谷縣)인데, 신라 때에 지금 이름으로 고쳐서 삼척군(三陟郡)의 영현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 9년 무오에 명주 임내로 이속(移屬)하였는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으며, 별호를 옥당(玉堂)이라 한다.

명산(名山)은 오대(五臺)이다. 【부(府) 서쪽에 있다. 봉우리 5가 고리처럼 벌려 섰는데, 크기와 작기가 고른 까닭에 오대산이라 한다. 서대(西臺) 아래 수정암(水精庵) 옆에서 우리샘[檻泉]이 솟아나는데, 〈물의〉 빛과 맛이 여느 물과 다르고, 그 무게도 또한 그러하므로 우통수(于筒水)라고 하며, 곧 금강연(金剛淵)은 한강물[漢水]의 근원이 된다. 봄·가을에 그 고을 관원으로 하여금 제사지내게 한다. 한강물이 비록 여러 곳의 물을 받아 흐르나, 우통수가 중심이 되어 빛과 맛이 변하지 아니해서 중국의 양자강(揚子江)과 같으므로, 한(漢)이란 이름이 이로 인하여 되었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바다 어귀에 이르기 8리, 남쪽으로 삼척에 이르기 70리, 서쪽으로 횡성(橫城)에 이르기 1백 55리, 북쪽으로 양양(襄陽)에 이르기 46리이다.

호수가 1천 25호요, 인구가 3천 5백 13명이다. 연곡(連谷)의 호수가 1백 단(單) 4호요, 인구가 2백 51명이며, 우계(羽溪)의 호수가 2백 25호요, 인구가 7백 75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백 65명이요, 선군이 2백 50명이다.

토성(土姓)이 6이니, 김(金)·최(崔)·박(朴)·곽(郭)·함(咸)·왕(王)이요, 사성(賜姓)이 1이니, 옥(玉)이다. 속성(續姓)이 3이니, 전(全) 【정선(旌善)에서 왔다. 】 ·이(李) 【평창에서 왔다. 】 ·원(元) 【원주에서 왔다. 】 이다. 【모두 향리(鄕吏)이다. 】 연곡의 성이 5이니, 명(明)·이(李)·진(陳)·신(申)·장(蔣)이요, 속성(續姓)이 1이니, 전(全)이다. 【정선에서 왔는데, 향리이다. 】 우계의 성이 4이니, 이(李)·변(邊)·심(沈)·노(盧)요, 속성이 1이니, 유(劉)이다.

땅이 많이 메마르며, 간전(墾田)이 5천 7백 66결이요, 【논이 6분의 2에 약하다. 】 토의(土宜)는 오곡·뽕나무·삼·왕골·모시·감·밤·모과·닥나무·칠(漆)이다. 토공(土貢)은 꿀·밀[黃蠟]·시우쇠·잣·호도·북나무충영·미역·지초·백단향·석이·사슴포·여우가죽·삵괭이가죽·노루가죽·담비가죽·문어·숭어·대구·상어·전복·홍합이다. 약재는 인삼·오미자·승검초뿌리[當歸]·망초뿌리[蓁]·모란뿌리껍질[牧丹皮]·복신(茯神)·대왕풀[白芨]·산무애뱀[白花蛇]·다린송진[白膠香]·북나무진[安息香]·궁궁이[芎藭]·석고(石膏)·일엽초[石韋]·곰의 쓸개[熊膽]이다. 토산(土産)은 가는 대와 왕대다. 염분(鹽盆)이 23이니, 연곡의 염분(鹽盆)이 5이요, 우계의 염분이 20이다. 자기소(磁器所)가 1이니, 부(府) 서쪽 보현촌(普賢村)에 있고, 도기소(陶器所)가 2이니, 하나는 부(府) 서남쪽 궤장촌(机杖村)에 있고, 하나는 우계현 남쪽 마류사동(瑪瑠寺洞)에 있다. 【모두 하품이다. 】

읍 토성(邑土城) 【둘레 7백 84보이다. 】 파암산 석성(把巖山石城)이 부 서쪽에 있다. 【둘레 7백 68보이며, 안에 작은 도랑 5가 있는데, 그 3은 가물면 마르며, 그 2는 마르지 않는다. 】 우계읍 토성(羽溪邑土城) 【둘레 1백 97보이다. 】 경포(鏡浦)가 부(府) 동북쪽 10리에 있으며, 옆에 봉우리가 있고, 봉우리 위에 정자가 있다. 한송정(寒松亭)은 예전에 부(府) 동쪽 12리에 있었는데, 지금은 터만 남아있다. 역(驛)이 13이니, 대창(大昌)·안인(安仁)·구산(丘山)·목계(木界)·고단(高端)·횡계(橫溪)·진부(珍富)·대화(大和)·방림(芳林)·운교(雲交)·동덕(冬德) 【연곡에 있다. 】 ·악풍(樂豐)·임계(臨溪)이다. 【모두 우계에 있다. 】 요해(要害)는 대령(大嶺)이니, 부(府) 서쪽 35리에 있다. 봉화가 5곳이니, 어을달(於乙達)이 임내 우계현 남쪽에 있고, 【남쪽으로 삼척 지광진(地廣津)에, 북쪽으로 오근에 응한다. 】 오근(吾斤) 【북쪽으로 부(府)의 땅 해령(海令)에 응한다. 】 소이동(所伊洞)이 부(府) 동북쪽에 있으며, 【남쪽으로 해령에, 북쪽으로 사화에 응한다. 】 사화(沙火) 【북쪽으로 연곡 주을문에 응한다. 】 주을문(注乙文)이다. 【북쪽으로 양양 임내 동산(洞山)의 양야(陽也)에 응한다. 】

관할[所領]은 도호부가 1이니, 양양이요, 군이 2이니, 정선(旌善)평창(平昌)이다.


  • 【태백산사고본】 57책 153권 2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75면


江陵: 大都護府, 使一人, 判官一人, 儒學敎授官一人, 本之古國。 【或稱鐵國, 或稱蘂國。】 武帝 元封二年, 遣將討右渠定四郡時, 爲臨芚, 高句麗河西良 【一作河瑟羅。】 新羅 善德王置小京。 太宗王五年戊午, 以河瑟羅地連靺鞨, 罷京爲州, 置都督以鎭之。 【唐 高宗 顯慶三年。】 景德王十五年丁酉, 以河西州溟州, 惠恭王十二年, 復古。 高麗 太祖十九年丙申, 號東原京, 【晋 高祖 天福元年。】 成宗二年癸未, 改河西府, 【宋 太宗 太平興國八年。】 五年丙戌, 爲溟州都督府, 【宋 太宗 雍熙三年。】 十一年癸巳, 改溟州牧, 【宋 太宗 淳化四年。】 十四年丙申, 改溟州團練使。 元宗元年庚申, 以功臣金洪就鄕, 陞慶興都護府。 【南宋 理宗 景定元年。】 忠烈王三十四年戊申, 改江陵府 【元 武宗 至大元年。】 恭讓王元年己巳, 陞爲大都護府, 【大明 太祖 洪武二十二年。】 本朝因之。 別號臨瀛, 屬縣二。 連谷縣, 本高句麗 (攴山縣)〔支山縣〕 , 新羅 景德王溟州領縣, 高麗 顯宗戊午, 改今名, 仍爲任內。 【縣人諺傳古陽谷縣】 羽溪縣, 本高句麗 羽谷縣, 新羅改今名, 爲三陟郡領縣。 高麗 顯宗戊午, 移屬溟州任內, 本朝因之。 別號玉堂。 名山曰五臺 【在府西。 山五峯環列, 大小均敵, 山以是得名。 西臺之下水精庵側檻, 泉湧出, 色味勝常, 其重亦然。 曰于筒水, 卽金剛淵, 爲漢水之源。 春秋令所在官行祭。 漢水雖受衆流之聚而于筒爲中泠, 色味不變, 若中國之揚子江, 漢之得名以此。】 四境, 東距海口八里, 南距三陟七十里, 西距橫城一百五十五里, 北距襄陽四十六里。 戶一千二十五, 口三千五百十三。 連谷戶一百單四, 口二百五十一。 羽溪戶二百二十五, 口七百七十五。 軍丁, 侍衛軍一百六十五, 舡軍二百五十。 土姓六, 。 賜姓一, ; 續姓三, 【旌善來。】 【平昌來。】 【原州來, 皆鄕吏。】 連谷姓五, ; 續姓一, 【旌善來, 鄕吏。】 羽溪姓四, ; 續姓一, 。 厥土多塉, 墾田五千七百六十六結。 【水田六分之二少。】 土宜五穀, 桑、麻、莞、苧、柿、栗木、瓜、楮、漆。 土貢, 蜂蜜、黃蠟、正鐵、松子、胡桃、吾倍子、藿、芝草、白檀香、石茸、鹿脯、狐皮、狸皮、獐皮、貂皮、文魚、水魚、大口魚、沙魚、全鮑、紅蛤。 藥材, 人蔘、五味子、當歸、蓁艽、牧丹皮、茯神、白芨、白花蛇、白膠香、安息香、芎藭、石膏、石韋、熊膽。 土産, 篠簜。 鹽盆二十三, 連谷鹽盆五, 羽溪鹽盆二十。 磁器所一, 在府西普賢村。 陶器所二, 一在府西南机杖村, 一在羽溪縣瑪瑠寺 【皆下品。】 邑土城、 【周回七百八十四步。】 把巖山石城在府西, 【周回七百六十八步。 內有小渠五, 其三, 旱則渴, 其二不渴。】 羽溪邑土城。 【周回一百九十七步】 鏡浦在府東北十里, 旁有峯, 峯上有亭。 寒松亭, 古在府東十二里, 今遺址尙存。 驛十三, 大昌安仁丘山木界高端橫溪珍富大和芳林雲交冬德 【在連谷。】 樂豐臨溪 【皆在羽溪】 要害大嶺在府西三十五里。 烽火五處, 於乙達在任內羽溪縣南, 【南準三陟地廣津, 北準吾斤。】 吾斤 【北準府地海令。】 所伊洞在府東北隅, 【南準海令, 北準沙火。】 沙火 【北準連谷 注乙文】 注乙文 【北準襄陽任內洞山 陽也】 所領都護府一, 襄陽。 郡二, 旌善平昌


  • 【태백산사고본】 57책 153권 2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7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