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지리지 / 충청도


충청도(忠淸道)

본래 백제의 땅이다. 고려 성종(成宗) 14년 을미에 【송나라 태종(太宗) 지도(至道) 원년. 】 경내(境內)를 나누어 10도(道)로 함에 따라, 충원도(忠原道)충주(忠州)·청주(淸州)·강주(剛州)172) ·환주(歡州)173) 등 13주(州)를 관할하고, 하남도(河南道)공주(公州)·운주(運州)174) 등 11주를 관할하였다. 예종(睿宗) 원년 병술에 【송나라 철종(哲宗) 숭녕(崇寧) 5년. 】 양광 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라 하다가, 명종(明宗) 원년 신묘에 【송나라 효종(孝宗) 건도(乾道) 7년. 】 양광 충청주도를 갈라 두 도(道)로 만들었다. 충숙왕(忠肅王) 원년 갑인에 【원나라 인종(仁宗) 연우(延祐) 원년. 】 다시 양광 충청주도양광도(楊廣道)로 하고, 홍무 21년 무진175) 에 도(道)의 평창군(平昌郡)을 갈라 교주도(交州道)에 옮겨 붙였다. 본조 태조(太祖) 4년 을해에 【홍무 28년. 】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고, 양주(楊州)·광주(廣州) 관할 군(郡)·현(縣)을 갈라 경기(京畿)에 옮겨 붙였고,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로 고쳐 도청[司]을 청주에 두었다. 공정왕(恭靖王)176) 원년 기묘에 【건문(建文) 원년. 】 영월군(寧越郡)을 갈라 강원도(江原道)에 옮겨 붙였고, 그 도의 원주(原州) 임내(任內)인 영춘현(永春縣)을 내속(來屬)시켰다.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영락 11년. 】 여흥(驪興)·안성(安城)·음죽(陰竹)·양성(陽城)·양지(陽智)를 갈라 경기(京畿)에 옮겨 붙였고, 경상도(慶尙道)옥천(沃川)·황간(黃澗)·영동(永同)·청산(靑山)·보은(報恩)을 이에 내속시켰다.

그 지경은 동쪽이 단양(丹陽) 죽령(竹嶺)에 이르고, 서쪽은 태안(泰安) 오근이포(朽斤伊浦)에, 남쪽은 은진(恩津) 작지(鵲旨)에, 북쪽은 직산(稷山) 아주제(牙州梯)에 이르는데, 동서가 4백 77리요, 남북이 2백 44리이다.

관할은 목(牧)이 4, 군(郡)이 11, 현령(縣令)이 1, 현감(縣監)이 39이다.

명산(名山)은 계룡산(鷄龍山)공주(公州)에 있고, 죽령(竹嶺)단양(丹陽)에 있으며, 가야산(伽倻山)덕산(德山)에 있고, 【모두 사전(祀典)에 있다. 】 월악(月嶽)청풍(淸風)에 있으며, 【삼국(三國) 때에는 월형산(月兄山)이라 하여 사전(祀典)에 있었는데, 지금은 혁파하였다. 】 도고산(道高山)신창(新昌)에 있다. 【사전(祀典)에 있었는데, 지금 혁파하였다. 】

대천(大川)은 웅진(熊津)이다. 그 근원이 전라도(全羅道)에서 나와 양산(楊山) 서쪽을 지나 영동현(永同縣)에 들어가고, 이산현(利山縣)에 이르러 적등진(赤登津)이 되고, 옥천(沃川)에 이르러 화인진(化仁津)이 되며, 회덕(懷德)에 이르러 이원진(利遠津)이 되고, 연기(燕岐)에 이르러 또 큰 내가 있어, 청주(淸州)의 서쪽 지경으로부터 남쪽으로 흘러 들어와서, 그 아래가 웅진(熊津) 【사전(祀典)에 있다. 】 되고, 공주(公州)에서 금강(錦江)이 되며, 부여(扶餘)에서 고성진(古省津)이 되고, 임천(林川)에서도 고다진(古多津)이 되며, 진포(鎭浦)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양진명소(楊津溟所)는 그 근원이 강원도(江原道) 영서(嶺西)로부터 나와서 며촌(旀村) 방림역(芳林驛)을 지나 평창군(平昌郡) 북쪽에 이르러 용연진(龍淵津)이 되고, 영월군(寧越郡) 서쪽에 이르러 가근동진(加斤同津)이 되고, 군(郡) 남쪽에 이르러 금장강(錦障江)과 합류(合流)하여, 영춘(永春)·단양(丹陽)·청풍(淸風)을 지나 충주(忠州)에 이르러 연천(淵遷)이 되고, 경기(京畿) 여흥(驪興) 우음안포(亐音安浦)에 들어간다.

호수가 2만 4천 1백 70호(戶)요, 인구가 10만 7백 90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천 9백 74명이요, 영진군(營鎭軍)이 1천 7백 66명이요, 수호군(守護軍)이 2백 48명이요, 선군(船軍)이 7천 8백 58명이다.

간전(墾田)이 23만 6천 3백 결(結)이다.

구실[賦]은 쌀 【경미(粳米)·백미(白米)·세경미(細粳米)·상경미(常粳米)·점경미(粘粳米)·점백미(粘白米)·조미(糙米)가 있다. 】 ·피[稷米]·콩 【녹두·붉은 팥·콩이 있다. 】 ·보리 【찰보리[眞麥]·메밀. 】 ·지마(芝麻) 【향명(鄕名)은 참깨[眞荏子]. 】 ·꿀·밀[黃蠟]·지마유(芝麻油) 【향명(鄕名)은 참기름[眞油]. 】 ·소자유(蘇子油) 【향명은 들기름[法油]. 】 ·겨자[芥子]·모시[白苧布]·명주[紬布]·무명[綿布]·닷새베[正五升布]·솜[綿子]·초쇄자(草刷子) 【국속(國俗)에서 솔[之省]이라 함. 】 ·표주박[瓢子]이다. 【대체로 군읍(郡邑)의 구실[田賦]이 멀든지 가깝든지 모두 같으므로, 다시 군읍 아래에 적지 아니한다. 】

공물[貢]은 범의 가죽·표범가죽·곰가죽·여우가죽·삵괭이가죽·노루가죽·사슴가죽·쇠가죽·말가죽·산수달피(山水獺皮)·표범꼬리·범꼬리·곰털·족제비털·돼지털·잡깃[雜羽]·수돛[雄猪]·말린 사슴고기[乾鹿]·말린 노루고기·말린 돼지고기·거위[天鵝]·포육(脯肉)·쇠뿔[牛角肋]·사슴젓[鹿醢]·토끼젓·가뢰[班猫]·홍어(紅魚)·큰 새우·말린 숭어·상어·어교(魚膠)·칠(漆)·먹[墨]·주토(朱土)·황밤[黃栗]·마름[菱仁]·가시연밥[芡仁]·개암[榛子]·말린 포도[乾葡萄]·오미자(五味子)·조피나무열매[川椒]·호도(胡桃)·배[梨]·연감[紅柿]·참가사리[細毛]·황각(黃角)·청각(靑角)·석이[石茸]·느타리·싸리버섯·소나무그을음[松煙]·송화(松花)·송진[松脂]·세겹줄[三股縄]·두겹줄[兩股縄]·마의(馬衣)·목화[綿花]·모시[苧]·삼[麻]·각색 종이[各色紙]·유둔(油芚)·왕골자리[莞席]·돗자리[草席]·소쿠리[簞]·각색 비[各色尾帚]·각색 사기그릇[磁器]·질그릇[陶器]·각색 나무그릇[木器]·고리[柳器]·자단향(紫檀香)·백단향(白檀香)·애끼찌[弓幹木]·나무활[木弓]·자작나무[自作木]·장작개비[燒木]·건축에 쓰는 큰 나무·서까래[椽木]·잣나무[栢木]·황양목(黃楊木)·대추나무·피나무[椵木]·가래나무·넓은널 대중목[廣板大中木]·피나무널[椵板]·잣나무널[栢板]·해죽(海竹)·그 고을의 박선[仍邑朴船]·숯[炭]·시우쇠[正鐵]이다.

약재(藥材)는 담비쓸개[獺膽]·고슴도치가죽·섣달 여우간[臘狐肝]·사슴뿔·영양뿔[羚羊角]·녹각교(鹿角膠)·토끼대가리[兎頭]·쇠쓸개[牛膽]·아교(阿膠)·범의 정강이뼈[虎脛骨]·우황(牛黃)·이리뼈[狼骨]·녹용(鹿茸)·곰의 쓸개[熊膽]·돼지쓸개[猪膽]·도아조유(島阿鳥油)·오징어뼈[烏骨]·자라껍데기[鼈甲]·거북껍데기[龜甲]·매미허물[蟬脫皮]·찰머구리[蝦蟆]·두꺼비[蟾酥]·뽕나무벌레[桑螵蛸]·등에[蝱蟲]·거머리[水蛭]·잉어쓸개[鯉膽]·말린 잉어[乾鯉魚]·지네[蜈蚣]·뽕나무 겨우살이[桑寄生]·오가피(五加皮)·잣[栢子仁]·닥나무열매[楮實]·회화나무꽃[槐花]·탱자껍데기[枳殼]·오배자(五倍子)·구기자(枸杞子)·복신(茯神)·복령(茯苓) 【붉은 것과 흰 것의 두 종류가 있다. 】 ·괴좆나무뿌리[地骨皮]·모란뿌리껍질[牧丹皮]·고무딸기열매[覆盆子]·함박꽃뿌리[芍藥] 【붉은 것과 흰 것의 두 종류가 있다. 】 ·족도리풀뿌리[細辛]·구리때뿌리[白芷]·현삼(玄蔘)·낭아(狼牙)·수뤼나물[葳靈仙]·지치[紫草]·끼절가리뿌리[升麻]·질경이씨[車前子]·쇠무릎지기뿌리[牛膝]·버들옷[大戟]·대소 삽주[薊草]·시호(柴胡)·배암도랏씨[蛇床子]·고본(藁本)·으름덩굴[木通]·끼무릇뿌리[半夏]·삽주뿌리[蒼朮]·백부자(白附子)·쪽칠[藍漆]·단너삼뿌리[黃耆]·부들꽃[蒲黃]·도라지·창출[蒼朮]·바디나물뿌리[前胡]·쥐방울[馬兜零]·칡꽃[葛花]·범부채[射干]·납가새[蒺藜子]·연밥[蓮子]·연밥송이[蓮房]·연잎[蓮葉]·연꽃술[蓮花蘂]·더위지기[茵陳]·겨우살이풀[麥門冬]·택사(澤瀉)·마뿌리[山藥]·바곳[草烏頭]·수자해좆싹[赤箭]·파랭이꽃이삭[瞿麥穗]·과남풀[龍膽]·가위톱[白歛]·인삼(人蔘)·수자해좆뿌리[天麻]·승검초뿌리[當歸]·파고지(破古紙)·하눌타리[括樓]·매재기뿌리[京三菱]·새박뿌리[何首烏]·외나물뿌리[地楡]·대왕풀[白芨]·창포[菖蒲]·두여머조자기[天南星]·회초미뿌리[貫衆]·호라비좆뿌리[天門冬]·자리공뿌리[商陸]·두릅뿌리[獨活]·감제뿌리[虎杖根]·검산풀뿌리[續斷]·속서근풀[黃芩]·며래뿌리[萆蘚]·새삼씨[兎絲子]·양귀비열매껍질[粟殼]·병풍나물뿌리[防風]·궁궁이[芎藭]·낙석(絡石)·애기풀[遠志]·초결명씨[決明子]·자자(紫子)·왕골뿌리[莞根]·석위(石葦)·모향(茅香)·산골[自然銅]·곱돌[滑石]·산비둘기[班鳩]·백교향(白膠香)·북나무진[安息香]·하국[旋覆花]·겨우살이꽃[金銀花]이다.

재배하는 약재(藥材)는 회향(茴香)·대추[棗]·누에나비[元蠶蛾]·감국화(甘菊花)·부추씨[韮子]·율무씨[薏苡仁]·모과[木瓜]·콩꽃[豆花]·잇[紅花]·정가이삭[荊芥穗]·소야기[香薷]·우엉[惡實]·생지황(生地黃)·영생이[薄荷]·백변두(白扁豆) 【검은 것과 흰 것의 두 가지가 있다. 】 ·장군풀[大黃]·참외꼭지[眞瓜蔕]·나팔꽃씨[牽牛子]· 【흰 것과 검은 것의 두 종류가 있다. 】 누른 국화[黃菊]·누른 해바라기씨[黃葵子]이다.

병마 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는 해미현(海美縣)에 두었는데, 바다 어귀에 이르기 6리요, 【군관(軍官)이 5백 명, 신백정(新白丁)이 1백 48명, 수성군(守城軍)이 2백 7명이다. 】 병마 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의 지키는 곳[守禦處]이 둘 있으니, 순성진(蓴城鎭)은 바다 어귀에 쑥 들어가 있고, 【유방군(留防軍)이 61명, 패속군(牌屬軍)이 3백명, 신백정(新白丁)이 58명, 수성군이 50명이다. 】 남포진(藍浦鎭)은 바다 어귀에 이르기 8리이며, 【유방군(留防軍)이 63명, 진속군(鎭屬軍)이 3백 명, 신백정(新白丁)이 39명, 수성군이 51명이다. 】 수군 도안무 처치사(水軍都安撫處置使)는 보령현(保寧縣) 서쪽 대회이포(帶回伊浦)에 머무르며, 【거느린 것이 중대선(中大船)이 6척, 중맹선(中孟船)이 18척, 쾌선(快船)이 4척, 군사 없는 중대선이 6척, 추왜별맹선(追倭別孟船)이 6척, 선군(船軍)이 1천 7백 66명, 선직(船直)이 1백 14명이다. 】 수군 만호(水軍萬戶)가 지키는 곳이 7이니, 좌도 도만호(左道都萬戶)는 태안군(泰安郡) 서쪽 오근이포(杇斤伊浦)에 머무르고, 【거느린 것이 병선(兵船)이 11척, 추왜별선(追倭別船)이 2척, 무군선(無軍船)이 2척, 선군(船軍)이 1천 4백이다. 】 우도 도만호(右道都萬戶)는 남포현(藍浦縣)구정(龜井)에 머무르며, 【거느린 것이 병선(兵船)이 16척, 별선(別船)이 2척, 무군선(無軍船)이 1척, 선군(船軍)이 1천 3백 2명이다. 】 서천포 만호(舒川浦萬戶)는 장암포(長巖浦)에 머무르고, 【거느린 것이 병선이 16척, 선군이 7백 97명이다. 】 고만량 만호(高巒梁萬戶)는 보령현(保寧縣) 서쪽 송도포(松島浦)에 머무르며, 【거느린 것이 병선이 10척, 선군이 6백 61명이다. 】 파치도 만호(波治島萬戶)는 서산군(瑞山郡) 북쪽 대산포(大山浦)에 머무르고, 【거느린 것이 병선이 13척, 별선(別船)이 2척, 무군선 1척, 선군이 7백 90명이다. 】 당진 만호(唐津萬戶)는 당진현(唐津縣) 북쪽 박지포(朴只浦)에 머무르며, 【거느린 것이 병선이 13척, 선군이 7백 90명이다. 】 대진 만호(大津萬戶)는 홍주(洪州) 임내(任內) 신평현(新平縣) 북쪽 대진(大津)에 머무른다. 【거느린 것이 병선이 13척, 선군이 7백 94명이다. 】

감목관(監牧官)이 1명이요, 역승(驛丞)이 9명이다. 율봉도(栗峯道)의 관할 역이 7이요, 【쌍수(雙樹)·덕류(德留)·금사(金沙)·저산(楮山)·태랑(台郞)·장양(長楊)·시화(時化). 】 일신도(日新道)의 관할 역이 5요, 【경천(敬天)·광정(廣程)·평천(平川)·단평(丹平)·유구(帷鳩). 】 연원도(連原道)의 관할 역이 6이요, 【단월(丹月)·용안(用安)·안부(安富)·가흥(可興)·감원(坎原)·인산(仁山). 】 성환도(成歡道)의 관할 역이 4요, 【신은(新恩)·김제(金蹄)·연춘(延春)·장명(長命). 】 황강도(黃江道)의 관할 역이 6이요, 【수산(水山)·장림(長林)·영천(令泉)·천남(泉南)·안음(安陰)·의풍(義豐). 의풍의 속칭은 오사호(吾賜乎)라 한다. 】 증약도(增若道)의 관할 역이 9이요, 【가화(嘉禾)·화인(化仁)·원암(原巖)·함림(含林)·토파(土坡)·순양(順陽)·회동(會同)·신흥(新興)·전민(田民). 】 시흥도(時興道)의 관할 역이 4이요, 【창덕(昌德)·일흥(日興)·장시(長時)·화천(花川). 】 금정도(金井道)의 관할 역이 11이요, 【광시(光時)·세천(世川)·용곡(龍谷)·급천(汲泉)·순성(順成)·흥세(興世)·풍전(豐田)·하천(下川)·몽웅(夢熊)·해문(海門)·청연(靑淵). 】 이인도(利仁道)의 관할 역이 9이다. 【용전(龍田)·은산(銀山)·유양(楡楊)·숙홍(宿鴻)·남전(藍田)·청화(靑化)·두곡(豆谷)·신곡(新谷)·영유(靈楡). 분행(分行)·좌찬(佐贊) 2역(驛)은 경기 찰방도(京畿察訪道)를 관할한다. 】

수조처(收租處)가 8이니, 연천(淵遷)충주(忠州) 서쪽 10리에 있고, 【본주(本州) 및 단양(丹陽)·청풍(淸風)·괴산(槐山)·연풍(延豐)·제천(堤川)·영춘(永春)·음성(陰城) 등 고을은 〈구실을〉 모두 이곳에 바쳐서 〈배로〉 양진(楊津)을 따라 앙암(仰巖)을 지나 서울에 다닫는데, 물길[水路]이 2백 60리이다. 】 앙암(仰巖)충주(忠州) 서쪽 60리에 있으며, 【본주 및 단양(丹陽)·청풍(淸風)·괴산(槐山)·연풍(延豐)·제천(堤川)·영춘(永春) 등 고을은 〈구실을〉 모두 이곳에 바쳐서 〈배로〉 양진을 따라 여흥(驪興)을 지나 서울에 다닫는데, 물길이 2백 20리이다. 】 우음안포(亐音安浦)경기(京畿) 여흥(驪興) 동쪽 10리에 있으며, 【옥천(沃川)·영동(永同)·황간(黃澗)·청산(靑山)·보은(報恩)·청안(靑安) 등 고을은 〈구실을〉 모두 이곳에 바쳐서 〈배로〉 여강(驪江)을 따라 서울에 다닫는데, 물길이 2백 10리이다. 】 추호포(推乎浦)여흥 서쪽 1리에 있고, 【청안(靑安)·음죽(陰竹) 2현(縣)의 구실은 〈이곳에 바쳐서〉 여강을 따라 이포(梨浦)를 지나 서울에 다닫는데, 물길이 1백 94리이다. 】 이포(利浦)경기 천령현(川寧縣) 동쪽 5리에 있으며, 【죽산(竹山)·진천(鎭川) 2현(縣)의 구실을 이곳에 바치는 데, 물길이 1백 60리이다. 】 경양포(慶陽浦)직산현(稷山縣) 서쪽 1리에 있고, 【본주 및 평택(平澤)의 구실은 이곳에 바쳐서 〈배로〉 공세곶(貢稅串)을 지나 서해(西海)를 거쳐서 서강(西江)에 다닫는데, 물길이 5백 40리이다. 】 공세곶(貢稅串)아산현(牙山縣) 서쪽 8리에 있으며, 【본주 및 청주(淸州)·목천(木川)·전의(全義)·연기(燕岐)·온수(溫水)·신창(新昌)·은진(恩津)·연산(連山)·회덕(懷德)·공주(公州)·정산(定山)·회인(懷仁)·천안(天安)·진잠(鎭岑)·이산(尼山)·문의(文義)의 구실은 모두 이곳에 바쳐서 〈배로〉 범근천(犯斤川)을 지나 서해를 거쳐서 서강(西江)에 다닫는데, 물길이 5백 리이다. 】 범근천(犯斤川)면천(沔川) 동쪽 30리에 있다. 【본주 및 임천(林川)·한산(韓山)·서천(舒川)·남포(藍浦)·비인(庇仁)·홍산(鴻山)·홍주(洪州)·태안(泰安)·서산(瑞山)·해미(海美)·당진(唐津)·덕산(德山)·예산(禮山)·청양(靑陽)·보령(保寧)·결성(結城)·대흥(大興)·석성(石城)·부여(扶餘) 등 고을의 구실은 모두 이곳에 바쳐서 〈배로〉 대진(大津)을 지나 서해를 거쳐서 서강에 다닫는데, 물길이 5백 10리이다. 】


  • 【태백산사고본】 53책 149권 1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24면


忠淸道: 本百濟之地, 高麗 成宗十四年乙未, 【宋 太宗 至道元年。】 分境內爲十道, 忠原道忠州淸州剛州歡州等十三州, 河南道公州運州等十一州。 睿宗元年丙戌, 【宋 哲宗 崇寧五年。】楊廣忠淸州道, 明宗元年辛卯, 【宋 孝宗 乾道七年。】楊廣忠淸州道爲二道。 忠肅王元年甲寅, 【大元 仁宗 延祐元年。】 復以楊廣忠淸州道楊廣道, 洪武二十一年戊辰, 割道之平昌郡, 移屬交州道。 本朝太祖四年乙亥, 【洪武二十八年。】 移都漢陽, 割楊州廣州及所領郡縣, 移屬京畿, 改稱忠淸道觀察使, 置司淸州恭靖王元年己卯, 【建文元年。】寧越郡, 移屬江原道, 以其道原州任內永春縣來屬。 太宗十三年癸巳, 【永樂十一年。】驪興安城陰竹陽城陽智, 移屬京畿, 以慶尙道 沃川黃澗永同靑山報恩來屬。 其界, 東至丹陽竹嶺, 西至泰安朽斤伊浦, 南至恩津鵲旨, 北至禝山牙州梯。 東西四百七十七里, 南北二百四十四里。 所管牧四, 郡十一, 縣令一, 縣監三十九。 名山曰鷄龍山, 在公州, 竹嶺丹陽, 伽倻山德山, 【皆在祀典】 月嶽淸風 【三國時, 稱月兄山, 在祀典, 今革。】 , 高山新昌 【在祀典, 今革。】 大川曰熊津, 其源出自全羅道, 由楊山西流入于永同縣, 至利山縣赤登津, 至沃川化仁津, 至懷德利遠津, 至燕歧有大川。 自淸州西界南流入之, 其下爲熊津, 【在祀典。】 公州錦江, 扶餘古省津, 林川古多津, 至鎭浦入于海。 楊津溟所, 其源出自江原道嶺西, 歷㫇村芳林驛, 至平昌郡北爲龍淵津, 至寧越郡西爲加斤同津, 至郡南與錦障江合流, 過永春丹陽淸風, 至忠州淵遷, 達于京畿 驪興 亏音安浦。 戶二萬四千一百七十, 口一十萬七百九十。 軍丁, 侍衛軍一千九百七十四, 營鎭軍一千七百六十六, 守護軍二百四十八, 舡軍七千八百五十八。 墾田二十三萬六千三百結。 厥賦, 稻米、 【有粳米、白米、細粳米、常粳米、粘粳米、粘白米、糙米。】 稷米豆、 【有菉豆、赤小豆、大豆。】 麥、 【眞麥、蕎麥。】 芝麻、 【鄕名眞荏子。】 蜂蜜、黃蠟、芝麻油、 【鄕名眞油。】 蘇子油、 【鄕名法油。】 芥子、白苧布、紬布、綿布、正五升布、綿子、草刷子、 【國俗謂之省。】 瓢子。 【凡郡邑田賦, 遠邇皆同, 故不復錄于郡邑之下。】 厥貢, 虎皮、豹皮、熊皮、狐皮、狸皮、獐、鹿、牛、馬、山水獺皮、豹、虎尾、熊毛、黃毛、猪毛、雜羽、雄猪、乾鹿、乾獐、乾猪、天鵝、晡肉、牛角肋、鹿醢、兎醢、班㹨、紅魚、大蝦、乾水魚、魚沙魚、膠漆、墨、朱土、黃栗、菱仁、芡仁、榛子、乾蒲萄、五味子、川椒、胡桃、梨、紅柿子、細毛、黃角、靑角、石茸、眞茸、鳥足茸、松烟、松花、松脂、三股繩、兩股繩、馬衣、綿花、苧麻、各色紙、油芚、莞席、草席、簟尾帚、各色磁器陶甕、各色木器、各色柳器、紫檀香、白檀香、弓幹木、木弓、自作木、燒木、營繕大木、椽木、栢木、黃楊木、棗、木椵木、楸木、廣板大中木、椵板、栢板、海竹、仍邑、朴船炭、正鐵。 藥材, 獺膽、猬皮、臘狐肝、鹿角、羚羊角、鹿角膠、兎頭、牛膽、阿膠、虎脛骨、牛黃、狼骨、鹿茸、熊膽、猪膽、島阿、島油、烏骨、鼈甲、龜甲、蟬脫皮、蝦蟆、蟾酥、桑螵蛸、虻蟲、水蛭、鯉膽、乾鯉魚、蜈蚣、桑寄生、五加皮、栢子仁楮實、槐花、枳殼、五倍子、枸杞子、茯神、茯苓、 【有赤白二種。】 地骨皮、牡丹皮、覆盆子、芍藥、 【有赤白二種。】 細辛、白芷、玄蔘、狼牙、葳靈仙、紫草、升麻、車前子、牛膝、大戟、大小葪草、(紫胡)〔柴胡〕 、蛇床子、藁本、木通、半夏、蒼朮、白附子、藍漆、黃蓍、浦黃、桔梗、白朮、前胡、馬兜零、葛花、射干、蒺藜子、蓮子、蓮房、蓮葉、蓮花藻、茵陳、麥門冬、澤瀉、山藥、草烏頭、赤箭、瞿麥穗、龍膽、白斂、人蔘、天麻、當歸、破古紙、括樓、京三稜、何首烏、地楡、白芨、菖蒲、天南星、貫衆、天門冬、商陸、獨活、虎杖根、續斷、黃芩、萆蘚、兎絲子、鷪粟殼、防風、芎藭、絡石、遠志、決明子、紫子、莞根、石葦、茅香、自然銅、滑石、班鳩、白膠香、安息香、旋覆花、金銀花。 種養藥材, 茴香、棗、元蠶蛾、甘菊花、韮子、薏苡仁、木瓜、豆花、紅花、荊芥穗、香薷、惡實、生地黃、薄荷、白扁豆、 【有黑白二種。】 大黃、眞瓜蔕、牽牛子、 【有黑白二種。】 黃菊、黃葵子。 兵馬都節制使, 置司海美縣, 距海口六里。 【軍官五百, 新白丁一百四十八, 守城軍二百七。】 兵馬僉節制使守禦處有二, 蓴城鎭斗入海口, 【留防軍六十一, 牌屬軍三百。 新白丁五十八, 守城軍五十。】 藍浦鎭距海口八里。 【留防軍六十三, 鎭屬軍三百, 新白丁三十九, 守城軍五十一。】 水軍都按撫處置使泊保寧縣西帶回伊浦 【所領中大船六隻, 中孟船十八隻, (夬船)〔快船〕四隻, 無軍中大船六隻, 追倭別孟船六隻, 船軍一千七百六十六, 船直一百十四。】 水軍萬戶守禦處。 七。 左道都萬戶泊泰安郡西杇斤伊浦, 【所領兵船一十一隻, 追倭別船二隻, 無軍船二隻, 船軍一千四百。】 右道都萬戶泊藍浦縣 龜井 【所領兵船十六, 隻, 別船二隻, 無軍船一隻, 船軍一千三百二。】 舒川浦萬戶泊長巖浦, 【所領兵船十六隻, 船軍七百九十七。】 高巒梁萬戶泊保寧縣西松島浦, 【所領兵船十隻, 船軍六百六十一。】 波治島萬戶泊瑞山郡大山浦, 【所領兵船十三隻, 別船二隻, 無軍船一隻, 船軍七百九十。】 唐津萬戶泊唐津縣朴只浦, 【所領兵船十三隻, 船軍七百九十。】 大津萬戶泊洪州任內新平縣大津 【所領兵船十三隻, 船軍七百九十四。】 監牧官一人、驛丞九人。 栗峯道所管驛七, 【雙樹、德留、金沙、楮山、台郞、長楊、時化。】 日新道所管驛五, 【敬天、廣程、平川、丹平、帷鳩。】 連原道所管六, 【丹月、用安、安富、可興、坎原、仁山。】 成歡道所管驛四, 【新恩、金蹄、延春、長命。】 黃江道所管驛六, 【水山、長林、令泉、泉南、安陰、義豐, 俗號吾賜乎。】 增若道所管驛九, 【嘉禾、化仁、原巖、含林、土坡、順陽、會同、新興、田民。】 時興道所管驛四, 【昌德、日興、長時、花川。】 金井道所管驛十一, 【光時、世川、龍谷、汲泉、順城、興世、豐田、下川、夢熊、海門、靑淵。】 利仁道所管驛九。 【龍田、銀山、楡楊、宿鴻、藍田、靑化、豆谷、新谷、靈楡。 分行、佐贊、二驛, 管京畿察訪道。】 收租處八。 淵遷忠州西十里, 【本州及丹陽、淸風、槐山、延豐、堤川、永春、陰城等官, 皆納于此, 浮于楊津, 經仰巖達于京, 水路二百六十里。】 仰巖忠州西六十里, 【本州及丹陽、淸風、槐山、延豐、堤川、永春等官, 皆納于此, 浮于楊津, 經驪興達于京, 水路二百二十里。】 亏音安浦京畿 驪興東十里, 【沃川、永同、黃澗、靑山、報恩、靑安等官, 皆納于此, 浮于驪江達于京, 水路二百一十里。】 推乎浦驪興西一里, 【靑安、陰竹二縣之租, 浮于驪江, 經梨浦達于京, 水路一百九十四里。】 利浦京畿 川寧縣東五里, 【竹山、鎭川二縣之租, 納于此, 水路一百六十里。】 慶陽浦稷山縣西一里, 【本縣及平擇之租, 納于此, 經貢稅串浮于海, 達于西江, 水路五百四十里。】 貢稅串牙山縣西八里, 【本縣及淸州、木川、全義、燕岐、溫水、新昌、恩津、懷德、公州、定山、懷仁、天安、鎭岑、尼山、文義之租, 皆納于此, 經犯斤川浮于海, 達于西江, 水路五百里。】 犯斤川沔川東三十里。 【本郡及林川、韓山、舒川、藍浦、庇仁、鴻山、洪州、泰安、瑞山、海美、唐津、德山、禮山、靑陽、保寧、結城、大興、石城、扶餘等官之租、皆納于此, 經大津浮于海, 達于西江, 水路五百一十里。】


  • 【태백산사고본】 53책 149권 1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