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 부평 도호부 강화 도호부

지리지 / 경기 / 부평 도호부 / 강화 도호부

강화 도호부(江華都護府)

본래 고구려혈구군(穴口郡)인데, 신라해구군(海口郡)으로 고쳤고, 고려강화현으로 고쳐, 현종(顯宗)무오142) 에 현령(縣令)을 두었다. 고종(高宗) 19년 임진에 【송나라 이종(理宗) 소정(紹定) 5년. 】 몽고병을 피하여 〈이 고을에〉 들어와서 도읍을 정하고, 강화군(江華郡)으로 승격시켜 강도(江都)라 하다가, 원종(元宗) 원년에 【원(元)나라 세조(世祖) 중통(中統) 원년. 】 다시 송도(松都)로 돌아왔다. 【지금의 부(府) 동쪽 10리 되는 송악리(松岳里)에 옛날의 궁터가 있다. 】 홍무(洪武)정사143) 에 부(府)로 승격시키고, 본조 태종(太宗)계사144) 에 예(例)에 의하여 도호부(都護府)로 고쳤다. 속현(屬縣)이 2이니, 진강현(鎭江縣)은 본래 고구려수지현(首知縣)인데, 신라수진(守鎭)으로 고쳤으며, 하음현(河陰縣)은 본래 고구려동음내현(冬音柰縣)인데, 신라호음(冱陰)으로 고쳐서 모두 해구군(海口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고려가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이내 강화 임내(任內)에 붙였다.

진산(鎭山)은 고려 마리산(摩利山)이다. 【부(府) 남쪽에 있다. 꼭대기에 참성단(塹星壇)이 있는데, 돌로 쌓아서 단의 높이가 10척이며, 위로는 모지고 아래는 궁글며, 단 위의 사면(四面)이 각기 6척 6촌이고, 아래의 너비가 각기 15척이다. 세상에 전하기를, "조선 단군(檀君)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석단(石壇)이라." 한다. 산기슭에 재궁(齋宮)이 있는데, 예로부터 매년 봄·가을에 대언(代言)을 보내어 초제(醮祭)를 지내었다. 금상(今上) 12년 경술에 비로소 2품 이상의 관원을 보내기 시작하였다. 재궁 벽 위에 ‘동(東)’자 운(韻)의 시(詩)가 있으니, 태종(太宗)이 잠룡(潛龍) 때에, 일찍이 대언(代言)이 되어서 이곳에서 재숙(齋宿)할 때 이 시를 지은 것인데, 지금 널에 새기고 금으로 메웠다. 】 전등산(傳燈山) 【일명(一名)은 삼랑성(三郞城)이니, 참성(塹城) 동쪽에 있다. 세상에 전하기를, "조선 단군이 세 아들을 시켜서 쌓았다."고 한다. 】강화〉부는 바다 가운데 있으니, 곧 통진현(通津縣)의 서쪽이요, 해풍군(海豐郡)의 남쪽이다. 동서가 32리, 남북이 64리이다.

호수가 2천 4백 45호, 인구가 3천 2백 83명이요,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2명, 선군(船軍)이 1백 95명이며, 장번 수군(長番水軍)이 2백 79명이다.【전라도 나주(羅州)의 목포(木浦) 사람이 배도 잘 타고, 수전(水戰)도 잘하므로, 홍무(洪武)145) 때에 나라에서 그 지방 사람들을 뽑아서 교동강화에 나누어 있게 하고, 좌·우변 수군(左右邊水軍)이라 하였다. 】

토성(土姓)이 4이니, 최(崔)·위(韋)·황(黃)·고(高)요, 내성(來姓)이 3이니, 전(田)·노(魯)·한(韓)이며, 속성(續姓)이 2이니, 김(金)·이(李)이다. 진강(鎭江)의 성(姓)이 5이니, 노(魯)·소(蘇)·고(高)·정(井)·만(萬)이요, 하음(河陰)의 성(姓)이 5이니, 이(李)·전(田)·봉(奉)·길(吉)·만(萬)이며, 내성(來姓)이 1이니, 정(鄭)이요, 없어진 해령향(海寧鄕)의 성(姓)이 2이니, 고(高)·송(宋)이다.

땅이 기름지고, 기후가 일찍 따뜻해지며, 민속(民俗)이 어염(魚鹽)으로써 업(業)을 삼는다. 간전(墾田)이 5천 6백 6결(結)이다. 【논이 조금 많다. 】 토의(土宜)는 오곡(五穀)과 조·수수·팥·메밀·참깨·뽕나무·삼[麻]·감이요, 약재(藥材)는 조피나무열매[川椒]·사자발쑥·단너삼뿌리[黃耆]·검산풀뿌리[續斷]이며, 토산(土産)은 청란석(靑蘭石)과 【마리산(摩利山) 서쪽 바닷가에서 나는데, 비문을 새기기에 좋다. 헌릉(獻陵)의 신도비(神道碑)도 이 돌을 썼다. 】 또 암석(嵓石)이 있다. 【쪼개어 석회(石灰)를 굽는다. 】 어량(魚梁)이 2곳이요, 【홍어·숭어·민어·쌀새우[白蝦]·대합조개[生蛉]·미네굴[土花]·굴[石花]이 난다. 】 염소(鹽所)가 11곳이다. 목장(牧場)은 진강산(鎭江山)길상산(吉祥山)이 서로 연(連)한 데에 축장(築場)하였다. 【둘레가 41리인데, 국마(國馬) 1천 5백 필을 놓아 먹인다. 】

정포(井浦) 【부(府) 서쪽에 있는데, 수군 만호(水軍萬戶)가 수어(守禦)한다. 】 갑곶진(甲串津) 【부(府) 동쪽에 있다. 나룻배가 있고, 나루머리[渡頭]에 연미정(燕尾亭)이 있다. 】 인화석진(寅火石津)146) 【부(府) 북쪽에 있는데, 나룻배가 있다. 】 봉화가 5곳이니, 할미성[大母城]은 부(府) 남쪽에 있고, 【동쪽으로 통진(通津) 약산(藥山)에 응하고, 서쪽으로 진강산(鎭江山)에 응한다. 】 진강산(鎭江山)은 부(府) 남쪽에 있고, 【서쪽으로 망산(網山)에 응한다. 】 망산(網山)은 부(府) 서쪽에 있고, 【북쪽으로 별립산(別立山)에 응한다. 】 별립산(別立山)은 부(府) 북쪽에 있고, 【동쪽으로 본부(本府)의 송악(松岳)에 응한다. 】 송악(松岳)은 부(府) 동쪽에 있다. 【동쪽으로 통진현(通津縣) 주산(主山)에 응한다. 】 가릉포 대제(嘉陵浦大堤) 【부(府) 남쪽에 있는데, 길이 2천 척(尺)이다. 】 부(府) 서쪽 수로(水路) 2리에 글음섬[煤島]이 있고, 【옛날의 구음섬[仇音島]인데, 둘레가 60리이고, 나라의 말 3백 27필을 놓아 먹인다. 목자(牧子) 7호(戶)와 수군(水軍) 16호(戶)를 들여보내어 소금을 구워서 살게 한다. 섬에 광박석(廣博石)이 있는데, 캐서 국용(國用)에 쓰게 한다. 】 또 서쪽 수로(水路) 7리에 주문도(注文島)가 있으면, 【둘레가 30리이다. 】 또 서쪽 수로(水路) 30여 리에 밤섬[巴音島]이 있고, 【둘레가 40리이며, 밭 1백 6결(結)이 있는데, 우도 수군영(右道水軍營)의 밭이므로, 교동 수군(喬桐水軍) 8호(戶)가 들어가 산다. 옆에 작은 섬이 있는데, 길이 5리, 너비 2리이며, 밭 5결(結)이 있는데, 교동 수군(喬桐水軍) 4호가 들어가 산다. 】 또 서쪽 수로(水路) 15리에 말섬[末島]이 있으며, 【둘레가 10여 리인데, 밭 3결(結)이 있는데, 교동(喬桐) 사람들이 드나들면서 농사를 짓는다. 】 또 동쪽 수로(水路) 16리에 금북섬[今音北島]이 있고, 【길이 10리, 너비 2리이며, 밭 20결이 있는데, 교동 사람 7호가 들어가 산다. 】 또 동쪽 수로(水路) 2백 보(步)에 미법도(彌法島)가 있으며, 【둘레가 15리이며, 옛날에는 매잉도(買仍島)라 하였다. 밭 7결이 있는데, 교동 수군 6호가 들어가 산다. 】 또 남쪽 30리에 장봉도(長烽島)가 있고, 【길이 40리, 너비가 5리이며, 소를 놓아 먹이는데, 통진현(通津縣)에서 관장한다. 】 또 동쪽 60리에 신도(信島)가 있다. 【둘레가 30리인데, 나라의 말 36필을 놓아 먹인다. 】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22면

江華: 都護府, 本高句麗 穴口郡, 新羅改爲海口郡, 高麗改爲江華縣顯宗戊午, 置縣令。 高宗十九年壬辰, 【宋 理宗 紹定五年。】蒙古兵入都, 陞爲江華郡, 號江都元宗元年, 【元 世祖 中統元年。】 復還松都 【今府東十里松嶽里, 有古宮基。】 洪武丁巳, 陞爲府。 本朝太宗癸巳, 例改爲都護府, 屬縣二。 鎭江縣, 本高句麗 首知縣, 新羅改名守鎭河陰縣, 本高句麗 冬音柰縣, 新羅改名沍陰, 皆爲海口郡領縣, 高麗改今名, 仍屬江華任內。 鎭山, 高麗 摩利山 【在府南, 山頂有塹星壇, 壘石築之, 壇高十尺, 上方下圓。 壇上四面, 各六尺六寸, 下廣各十五尺。 世傳朝鮮檀君祭天石壇, 山麓有齋宮。 舊例, 每春秋遣代言設醮, 今上十二年庚戌, 始遣二品以上。 齋宮壁上, 有東字韻詩。 太宗潛龍, 嘗爲代言, 齋宿于此, 次韻, 今刻于板上, 以金塡之。】 傳燈山 【一名三郞城, 在塹城之東。 世傳朝鮮檀君使三子築之。】 府在海中, 直通津縣之西、海豐郡之南, 東西三十二里, 南北六十四里。 戶二千四百四十五, 口三千二百八十三。 軍丁, 侍衛軍二, 船軍一百九十五, 長番水軍二百七十九。 【全羅道羅州木浦人善騎船水戰, 洪武年, 國家刷其人, 分處喬桐、江華, 謂之左右邊水軍。】 土姓四, ; 來姓三, ; 續姓二, 鎭江姓五, 河陰姓五, ; 來姓一, 。 亡海寧鄕姓二, 。 厥土肥, 風氣早暖, 民俗以魚鹽爲業。 墾田五千六百六結。 【水田差多】 土宜五穀, 粟、唐黍、小豆、蕎麥、胡麻、桑麻、柿。 藥材, 川椒、獅子足艾、黃耆、續斷。 土産, 靑蘭石, 【産摩利山西海濱, 可刻碑。 獻陵神道碑, 用此石。】 又有嵓石。 【斲之燔石灰。】 魚梁二所, 【産洪魚、水魚、民魚、白蝦、生蛤、土花、石花。】 鹽所十一。 牧場, 鎭江山吉祥山, 相連築場。 【周回四十三里, 放國馬一千五百匹。】 井浦 【在府西, 水軍萬戶守禦。】 甲串津 【在府東, 有渡船, 渡頭有燕尾亭。】 寅火石津 【在府北, 有渡船。】 烽火五處, 大母城在府南, 【東準通津藥山, 西準鎭江山。】 鎭江山在府南, 【西準網山】 網山在府西, 【北準別立山。】 別立山在府北, 【東準本府松岳】 松岳在府東。 【東準通津縣主山。】 嘉陵浦大堤、 【在府南, 長二千尺。】 府西水路二里有煤島 【古之仇音島, 周回六十里, 放國馬三百二十七匹。 牧子七戶, 水軍十六戶入居, 煮海爲生。 島有廣博石, 採之以爲國用。】 又西水路七里有注文島, 【周回三十里。】 又西水路三十餘里有巴音島, 【周回四十里。 麻田百六結, 右道水軍營田喬桐水軍八戶入居。 傍有小島, 長五里, 廣二里, 有田單五結, 喬桐水軍四戶入居。】 又西水路十五里有末島, 【周回十餘里, 有田三結, 喬桐人往來耕穫。】 又東水路十六里有今音北島, 【長十里, 廣二里, 有田二十結, 喬桐人七戶入居。】 又東水路二百步有彌法島, 【周回十五里。 古稱買仍島, 有田七結, 喬桐水軍六戶入居。】 又南三十里有, 【長四十里, 廣五里。 牛隻入放, 通津縣掌之。】 又東六十里有信島 【周回三十里, 放國馬三十六匹。】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