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 양주 도호부 임진현

지리지 / 경기 / 양주 도호부 / 임진현

임진현(臨津縣)

본래 고구려진임현(津臨縣)인데, 【오가홀(烏呵忽)이라고도 한다. 】 신라가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개성군(開城郡)의 영현(領縣)으로 삼고, 고려 현종(顯宗)무오080)장단현(長湍縣) 임내(任內)에 붙이어 상서도성(尙書都省)의 관장[所掌]으로 삼았고, 문종(文宗) 17년 임인에 【곧 송나라 인종(仁宗) 가우(嘉祐) 8년. 】 개성부(開城府)에 직속시켰다가, 공양왕(恭讓王)기사081) 에 비로소 감무관(監務官)을 두었다. 본조(本朝) 태종(太宗)갑오082)장단(長湍)에 합치고 임단현(臨湍縣)이라 하다가, 기해083) 에 다시 갈라서 임진 현감(臨津縣監)으로 삼았다.

대천(大川)은 덕진(德津) 【현 동남쪽에 있으니, 임진강(臨津江)의 하류(下流)이다. 봄·가을에 〈나라에서〉 향·축(香祝)을 내리어 제사를 지내는데, 중사(中祀)이다. 】 사방 경계[四境]는 동쪽으로 장단(長湍)에 이르기 10리, 서쪽으로 해풍(海豐)에 이르기 20리, 남쪽으로 원평(原平)에 이르기 3리, 북쪽으로 송림(松林)에 이르기 5리이다.

호수가 2백 74호, 인구가 6백 13명이요,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2명, 선군(船軍)이 16명이다.

토성(土姓)이 1이니, 김(金)이요, 망성(亡姓)이 5이니, 송(宋)·함(咸)·형(邢)·표(標)·선(宣)이며, 속성(續姓)이 1이니, 종(宗)이다. 【지금 아전[人吏]이 된 자가 많다. 】

땅은 기름지고 메마른 것이 반반 되며, 간전(墾田)이 2천 5백 71결(結)이다. 【논과 밭이 반반이다. 】 토의(土宜)는 오곡(五穀)과 조·팥·메밀이요, 토공(土貢)은 지초(芝草)이며, 약재(藥材)는 사자발쑥[獅子足艾]·현호색(玄胡索)이다.

궁성 옛터[宮城舊址]【현 북쪽 5리에 있으니, 백악산(白岳山) 남쪽이다. 둘레가 7백 27보(步)이다. 공민왕(恭愍王) 기해084) 에 창건하였는데, 신축년085) 홍건적(紅巾賊)의 난리에 무너져서 모두 없어졌으나, 지금도 신경(新京)이라 한다. 】 역(驛)이 1이니, 동파(東坡)요, 【또는 통파(通坡)라 한다. 】 목장(牧場)이 2이니, 하나는 병곶이[壺串]이요, 하나는 백안두곤(伯顔頭昆)이다. 【모두 현 남쪽에 있다. 두 목장이 서로 연하여 둘레가 30리가 되며, 서남쪽에는 물이 막혀 있고, 동북쪽에는 토장(土場)을 쌓아서 국마(國馬) 수백 필을 놓아 먹인다. 】 임진도(臨津渡) 【현 동쪽에 있는데, 도승(渡丞)이 있다. 관방(關防)의 긴요한 땅으로서, 인마(人馬)가 폭주(輻奏)하는 요충(要衝)이다. 】 봉화가 1이니, 도라산(都羅山)이다. 【현 서쪽에 있다. 북쪽으로 임강(臨江) 천수산(天水山)에 응하고, 동쪽으로 원평(原平) 성산(城山)에 응한다. 】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1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18면

臨津縣: 本高句麗 津臨縣, 【一云烏呵忽。】 新羅改今名, 爲開城郡領縣。 高麗 顯宗戊午, 屬長湍縣任內, 爲尙書都省所掌。 文宗十七年壬寅, 【卽宋 仁宗 嘉祐八年】 直(肄)〔隷〕 開城府, 恭讓王己巳, 始置監務官。 本朝太宗甲午, 合于長湍, 號臨湍縣, 己亥, 復析爲臨津縣監。 大川曰德津 【在縣東南, 臨津之下流也。 春秋降香祝行祭, 中祀。】 四境, 東距長湍十里, 西距海豐二十里, 南距原平三里, 北距松林五里。 戶二百七十四, 口六百十三。 軍丁, 侍衛軍二, 船軍十六。 土姓一, ; 亡姓五, ; 續姓一, 【今爲人吏者多】 厥土肥塉相半, 墾田二千五百七十一結。 【水旱田相半。】 土宜五穀, 粟、小豆、蕎麥。 土貢, 芝草。 藥材, 獅子足艾、玄胡索。 宮城舊址。 【在縣北五里白岳山南, 周回七百二十七步。 恭愍王己亥, 始創, 辛丑紅頭之亂, 毁都盡, 至今號爲新京。】 驛一, 東坡 【一云通坡】 牧場二, 一曰壼串, 一曰伯顔頭昆 【皆在縣西, 兩牧場相連, 周回三十里, 西南阻水, 東北築土場, 放國馬數百匹。】 臨津渡 【在縣東, 有渡丞。 關防緊要之地, 人馬輻湊之衝。】 烽火一處, 都羅山 【在縣西, 北準臨江天水山, 東準原平城山。】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1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