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에서 병조의 첩정에 의거해 소나무에 관한 감독 관리에 대해 상신하다
의정부(議政府)에서 병조(兵曹)의 첩정에 의거하여 상신하기를,
"병선(兵船)은 국가의 도둑을 막는 기구이므로 배를 짓는 소나무를 사사로 베지 못하도록 이미 일찍이 입법을 하였는데, 무식한 무리들이 가만히 서로 작벌(斫伐)하여 혹은 사사 배를 짓고, 혹은 집재목을 만들어 소나무가 거의 없어졌으니 실로 염려됩니다. 지금 연해(沿海) 주현(州縣)의 여러 섬[島]과 각 곶(串)의 소나무가 잘되는 땅을 방문하여 장부에 기록하였는데, 경기 남양부(南陽府)의 선감미(仙甘彌)·대부(大部)·연흥(鷰興) 세 섬과 거재곶(巨才串), 인천군(仁川郡)의 자연도(紫鷰島)와 용류도(龍流島), 부평부(富平府)의 문지도(文知島)와 보지곶(甫只串), 안산군(安山郡)의 오질이도(吾叱耳島), 강화부(江華府)의 금음북(今音北)·미법도(彌法島)·말도(末島)·정포(井浦) 이북의 망산(網山)·남건동을산(南巾冬乙山)·사도(蛇島), 교동현(喬桐縣)의 서빙장곶(西憑將串), 수원부(水原府)의 둑삼곶(纛三串)·형두산(荊頭山)·홍원곶(弘原串)·광덕성산(廣德城山)·통진현(通津縣)의 고리곶(古里串)·대명곶(大明串)·어모로(於毛老), 황해도(黃海道) 안악군(安岳郡)의 영진(迎津)·대산(大山), 풍천군(豊川郡)의 귀림곶(貴林串)·초도(椒島)·석도(席島), 장련현(長連縣)의 사곶(蛇串)·가을곶(加乙串), 장연현(長淵縣)의 보구장령(甫仇長嶺)·백령도(白翎島)·장산곶(長山串), 해주(海州)의 둔다산(屯多山)·추적곶(槌赤串), 황주(黃州)의 모곶(茅串), 강령현(康翎縣)의 사장곶(沙匠串)·등산곶(登山串)·허사포(許沙浦) 배 대는 곳과, 서령(西嶺) 오차포(吾叉浦)·육사외도(六沙外島)·용매갈곶(龍媒葛串)·가을포(茄乙浦)·무지곶(無知串)·소강(所江) 금물여곶(今勿餘串)·백암곶(白岩串)·아랑포(阿郞浦), 옹진현(甕津縣)의 서장곶(西粧串), 강원도(江原道) 강릉부(江陵府)의 빈지(賓之), 울진현(蔚珍縣)의 어물리(於勿里)·북산(北山)과 약사산(藥師山), 통천군(通川郡)의 소산(所山)·마산(馬山)·총석정(叢石汀), 충청도(忠淸道) 면천군(沔川郡)의 장택곶(藏宅串)·천곡(泉谷) 등처, 서산군(瑞山郡)의 파치도(波治島)·대야도(大也島)·안면곶(安眠串)·광지곶(廣知串), 홍주(洪州) 임내(任內)의 신평현(新平縣)의 명해곶(明海串)과 내도(內島)·진두(津頭)·웅도(熊島)·초도(草島)·연륙곶(連陸串), 당진현(唐津縣)의 당진포(唐津浦)·북산(北山)·탕자도(湯字島)·난지도(難知島), 결성현(結城縣)의 용생두산(龍生頭山)·동산산(東山山), 해미현(海美縣)의 훤길곶(喧吉串)·승선산(勝善山)·선현산(扇峴山), 보령현(保寧縣)의 능성곶(陵城串)·송도(松島)·우현(牛峴)·고만도(高巒島), 비산현(庇山縣)의 도둔곶(都芚串), 서천군(舒川郡)의 개야조도(開也助島), 함길도(咸吉道) 안변부(安邊府)의 압융곶(押戎串)과 여도(女島) 낭성포(浪城浦) 등처, 덕원부(德原府)의 신도(薪島)·서현(西峴)과 대모성(大母城), 용진현(龍津縣)의 가퇴도(加退島)·조지포(曹至浦)·북봉(北峯), 영흥부(永興府)의 영인사(寧仁社)·구리지(仇里池)·백안포곶(白安浦串) 등처, 함흥부(咸興府)의 보청사(甫靑社)·퇴조사(退潮社)·동명사(東溟社)·선덕사(先德社) 등처, 북청부(北靑府)의 장진포 해정(長津浦海汀)·속후 해정(俗厚海汀), 길주(吉州)의 고다포리(古多布里) 해변곶(海邊串), 경성부(鏡城府) 남황가진곶(南黃加津串), 회령부(會寧府)의 호음야곶(好音也串)·쌍포곶(雙浦串), 경흥부(慶興府)의 두이산(豆伊山)·녹둔도(鹿屯島), 평안도(平安道) 박천군(博川郡)의 덕안곶(德安串)·대장산(大藏山) 등처, 가산군(嘉山郡) 남미동음리(南未冬音里), 정주(定州)의 잉박곶(仍朴串) 등처, 수천군(隨川郡)의 진해곶(陳海串) 등처, 곽산군(郭山郡)의 금로곶(金老串)·우리곶(亐里串) 등처, 선천군(宣川郡)의 검산굴곶(撿山屈串) 등처, 철산군(鐵山郡)의 서소곶(西所串)·다지도(多只島)·대곶(大串), 용천군(龍川郡)의 석곶(石串)·신지도(信知島) 덕천산(德泉山), 인산군(麟山郡)의 창포곶(倉浦串), 의주(義州)의 진병곶(鎭兵串) 등처, 안주(安州)의 고맹산(古孟山)·청천강변(淸川江邊) 등처, 숙천부(肅川府)의 검음산(檢音山), 영유현(永柔縣)의 유원소산(柔遠所山)·대선곶(大船串) 등처, 함종현(咸從縣)의 백석산(白石山), 삼화현(三和縣)의 오음산(吾音山), 용강현(龍崗縣)의 가을곶산(加乙串山), 강서현(江西縣)의 동부(東部) 금정량산(金丁梁山), 전라도(全羅道) 부안현(扶安縣)의 외도(猬島)·구도(鳩島)·화이도(火伊島), 영광현(靈光縣)의 모야도(毛也島)·매음점도(每音岾島)·고이도(古耳島)·증도(甑島)·사도곶(沙島串)·창두곶(槍頭串)·구수산(九岫山)·임치도(臨淄島), 함평현(咸平縣)의 해제곶(海際串)·서발포(西鉢浦)·아사라산(阿士羅山)·석포곶(石浦串)·김포곶(金浦串), 나주(羅州)의 가야산(可也山)·다리도(多利島)·비시도(飛示島)·도초도(都草島)·암태도(巖泰島)·안창도(安昌島)·자은도(慈恩島)·기좌도(其佐島)·팔시도(八示島)·하의도(河衣島)·이시도(伊示島)·송도(松島), 영암(靈巖) 임내(任內)의 귀산(貴山)·갈두산(葛頭山)·보길도(甫吉島)·두와두산(豆臥頭山)·노도(露島)·해제곶(海際串), 당진(唐津)의 월이곶(月伊串)·좌곡곶(佐谷串)·산달도(山獺島)·완도(莞島)·고시도(古示島)·선산도(仙山島), 해남현(海南縣)의 진산곶(珍山串)·백야포(白也浦)·백방산(百房山)·초도(草島)·평도(坪島)·가아도(加兒島), 장흥부(長興府)의 대이매도(大伊每島)·우두곶(牛頭串)·장내곶(帳內串), 순천부(順天府)의 송도(松島)·장성포곶(長省浦串)·삼일포곶(三日浦串)·경도(京島)·금오도(金鰲島), 광양현(光陽縣)의 묘도(猫島), 낙안군(樂安郡)의 장도(獐島)·용두곶(龍頭串), 보성군(寶城郡)의 초라산(草羅山), 무장현(茂長縣)의 이진곶(梨津串), 옥구현(沃溝縣)의 천방산(千方山), 흥양현(興陽縣)의 송곶(松串)·주포곶(舟浦串)·우두곶(牛頭串)·망지곶(望智串)·황산곶(荒山串)·장암곶(場巖串)·박길곶(朴吉串)·이로도(伊老島)·협도(俠島)·정도(井島)·주도(酒島)·경죽도(頃竹島)·사포곶(蛇浦串)·가라포(加羅浦)·수덕산(愁德山)·유주산(楡朱山)·소흘라곶(所訖羅串)·말개도(末介島)·기화도(其火島)·팔전산(八巓山)·천등산(天燈山)·재산도(災山島)·성두곶(城頭串), 진도군(珍島郡)의 가사도(加士島)·평도(坪島)·초도(草島), 무안현(務安縣)의 고철금산(古鐵金山)·유달산(鍮達山)·모두곶(茅頭串), 흥덕현(興德縣)의 소요산(所要山), 임파현(臨陂縣)의 성산(城山), 함열현(咸悅縣)의 성산(城山), 경상도(慶尙道) 영해부(寧海府)의 봉송평(奉松坪)·오항곶(烏項串), 동래현(東萊縣)의 소과정산(蘇苽亭山)·절영도(絶影島)·염포(鹽浦) 이북 삭장포곶(朔長浦串) 등처, 울산(蔚山)의 장생포곶(長生浦串)·가리곶(加里串)·남해도(南海島)·망소흘산(望所訖山)·장도(場島), 고성현(固城縣)의 임포곶(林浦串)·어리도(於里島)·초도(草島)·오비도(吾非島)·곤이도(昆伊島)·상박도(上樸島)·하박도(下樸島)·추도(楸島)·자란도(自亂島)·국정도(國正島)·신이도(申伊島)·노대도(爐大島)·욕지도(欲知島)·두밀도(豆密島)·질법길곶(叱法吉串)·소비포(所非浦)·고반계곶(古反溪串)·행랑암곶(行廊巖串)·미을가조음곶(彌乙加助音串)·고가배량(古加背梁)·안도(鞍島)·종해도(終海島)·심수도(深水島)·개도(介島)·미륵산(彌勒山), 거제현(巨濟縣)의 사화곶(沙火串)·거대곶(巨大串)·송용곶(松茸串)·적을도(赤乙島)·오시항곶(吾時項串)·주원도(朱元島)·소좌리도(小左里島)·대좌리도(大左里島)·송도(松島)·송곶(松串)·굴량곶(崛梁串), 사천현(泗川縣)의 초영도(初永島)·초도(草島)·백야도(白也島)·저도(楮島)·구랑도(仇郞島)·김해부(金海府)의 우음도(亐音島)·벌도(伐島)·수도(水島)·가덕도(加德島)·명지도(鳴旨島)·마도(馬島)·감물도(甘勿島), 진주(晉州)의 부화곡리(夫火谷里), 곤양군(昆陽郡)의 비도리곶(非刀里串)·영덕현(盈德縣)의 사동포(沙冬浦)·남역포(南驛浦)·하저포(下渚浦)·오보포(烏保浦), 남해현(南海縣)의 고독절도(孤獨絶島)·금산(錦山)·소흘산(所屹山)·호을포(呼乙浦)·우물포(亐勿浦)·소가도(小柯島)·양가도(兩柯島), 영일현(迎日縣)의 삼사랑(三士郞) 등처, 창원부(昌原府)의 사도(蓑島), 기장현(機張縣)의 금음말곶(今音末串)·냉정산(冷井山), 양산군(梁山郡)의 대저도(大渚島) 등 상항(上項) 주현(州縣)의 도(島)와 곶(串)에 전부터 소나무가 있는 곳에는 나무하는 것을 엄금하고, 나무가 없는 곳에는 그 도 감사(監司)로 하여금 관원을 보내어 심게 하고서 옆 근처에 있는 수령(守令) 만호(萬戶)로 하여금 감독 관리하고 배양하여 용도가 있을 때에 대비하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38책 121권 3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96면
- 【분류】군사-군기(軍器) / 교통-수운(水運) / 농업-임업(林業) / 사법-법제(法制)
○庚辰/議政府據兵曹呈申: "兵船, 國家禦寇之器, 造船松木, 使不得私自斫伐, 已曾立法, 無識之徒, 潛相斫伐, 或造私船, 或爲屋材, 松木殆盡, 實爲可慮。 今以沿海州縣諸島各串宜松之地, 訪問置簿。
京畿 南陽府 仙甘彌ㆍ大部ㆍ鷰興三島ㆍ巨才串、仁川郡 紫鷰ㆍ龍流島、富平府 文知島ㆍ甫只串、安山郡 吾叱耳島、江華府 今音北ㆍ彌法島ㆍ末島ㆍ井浦以北ㆍ網山ㆍ南巾 冬乙山ㆍ蛇島、喬桐縣 西憑將串、水原府 纛三串ㆍ荊頭山ㆍ弘原串ㆍ廣德城山、通津縣 古里串ㆍ大明串ㆍ於毛老。
黃海道 安岳郡 迎津ㆍ大山、豐川郡 貴林串ㆍ椒島ㆍ席島、長連縣 蛇串ㆍ加乙串、長淵縣 甫仇 長嶺ㆍ白翎島ㆍ長山串、海州 屯多山ㆍ槌赤串、黃州 茅串、康翎縣 沙匠串ㆍ登山串ㆍ許沙浦船泊處ㆍ西嶺 吾叉浦ㆍ六沙 外島ㆍ龍媒 葛串ㆍ茄乙浦ㆍ無知串ㆍ所江ㆍ今勿餘串ㆍ白巖串ㆍ阿郞浦、瓮津縣 西粧串。
江原道 江陵府 賓之、蔚珍縣 於勿里。 北山及藥師山、通川郡 所山ㆍ馬山ㆍ叢石汀。
忠淸道 沔川郡 藏宅串ㆍ泉谷等處、瑞山郡 波治島ㆍ大也島ㆍ安眼串ㆍ廣知串、洪州任內新平縣 明海串ㆍ內島ㆍ津 頭ㆍ熊島ㆍ草島ㆍ連陸串、唐津縣 唐津浦 北山ㆍ湯字島ㆍ難知島、結城縣 龍生頭山ㆍ東山山、海美縣 喧吉串ㆍ勝善山ㆍ扇峴山、保寧縣 陵城串ㆍ松島ㆍ牛峴ㆍ高巒島、庇山縣、都芚串、舒川郡 開也助島。
咸吉道 安邊府 押戎串及女島ㆍ浪城浦等處、德原府 薪島ㆍ西峴及大母城、龍津縣 加退島ㆍ曹至浦 北峯、永興府 寧仁社ㆍ仇里池ㆍ白安浦串等處、咸興府 甫靑社ㆍ退潮社ㆍ東溟社ㆍ先德社等處、北靑府 長津浦海汀、俗厚海汀、吉州 古多布里海邊串、鏡城府 南黃加津串、會寧府 好音也串ㆍ雙浦串、慶興府 豆伊山ㆍ鹿屯島。
平安道 博川郡 德安串ㆍ大藏山等處、嘉山郡 南未 冬音里、定州 仍朴串等處、隨川郡 陳海串等處、郭山郡 金老串ㆍ亏里串等處、宣川郡 撿山屈串等處、(鈇山郡)〔鐵山郡〕 西所串ㆍ多只島ㆍ大串、龍川郡 石串ㆍ信知島ㆍ德泉山、麟山郡 倉浦串、義州 鎭兵串等處、安州 古孟山ㆍ淸川江邊等處、肅川府 檢音山、永柔縣 柔遠 所山ㆍ大船串等處、咸從縣 白石山、三和縣 吾音山、龍崗縣 加乙串山、江西縣 東部 金丁梁山。
全羅道 扶安縣 猬島ㆍ鳩島ㆍ火伊島、靈光縣 毛也島ㆍ每音岾島ㆍ古耳島ㆍ甑島ㆍ沙島串ㆍ槍頭串ㆍ九岫山ㆍ臨淄島、咸平縣 海際串ㆍ西鉢浦ㆍ阿士羅山ㆍ石浦串ㆍ金浦串、羅州 可也山ㆍ多利島ㆍ飛示島ㆍ都草島ㆍ巖泰島ㆍ安昌島ㆍ慈恩島ㆍ其佐島ㆍ八示島ㆍ河衣島ㆍ伊示島ㆍ松島、靈巖任內貴山ㆍ葛頭山ㆍ甫吉島ㆍ豆臥頭山ㆍ露島ㆍ海際串ㆍ唐津ㆍ月伊串ㆍ佐谷串ㆍ山獺島ㆍ莞島ㆍ古示島ㆍ仙山島、海南縣 珍山串ㆍ白也浦ㆍ百房山ㆍ草島ㆍ坪島ㆍ加兒島、長興府 大伊每島ㆍ牛頭串ㆍ帳內串、順天府 松島ㆍ長省浦串ㆍ三日浦串ㆍ京島ㆍ金鰲島、光陽縣 猫島、樂安郡 獐島ㆍ龍頭串、寶城郡 草羅山、茂長縣 梨津串、沃溝縣 千方山、興陽縣 松串ㆍ舟浦串ㆍ牛頭串ㆍ望智串ㆍ荒山串ㆍ場巖串ㆍ朴吉串ㆍ伊老島ㆍ俠島ㆍ井島ㆍ酒島ㆍ頃竹島ㆍ蛇浦串ㆍ加羅浦ㆍ愁德山ㆍ楡朱山ㆍ所訖羅串ㆍ末介島ㆍ其火島ㆍ八巓山ㆍ天燈山ㆍ灾山島ㆍ城頭串、珍島郡 加士島ㆍ坪島ㆍ草島、務安縣 古鐵金山ㆍ鍮達山ㆍ茅頭串、興德縣 所要山、(臨波縣)〔臨陂縣〕 城山、(減悅縣)〔咸悅縣〕 城山。
慶尙道 寧海府 奉松坪ㆍ烏項串、東萊縣 蘇苽亭山ㆍ絶影島ㆍ鹽浦以北ㆍ朔長浦串等處、蔚山 長生浦串ㆍ加里串ㆍ南海島ㆍ望所訖山ㆍ場島、固城縣 林浦串ㆍ於里島ㆍ草島ㆍ吾非島ㆍ昆伊島ㆍ上撲島ㆍ下撲島ㆍ楸島ㆍ自亂島ㆍ國正島ㆍ申伊島ㆍ爐大島ㆍ欲知島ㆍ豆密島ㆍ叱法吉串ㆍ所非浦ㆍ古反溪串ㆍ行廊巖串ㆍ彌乙加助音串ㆍ古加背梁ㆍ鞍島ㆍ終海島ㆍ深水島ㆍ介島ㆍ彌勒山、巨濟縣 沙火串ㆍ巨大串ㆍ松茸串ㆍ赤乙島ㆍ吾時項串ㆍ朱元島ㆍ小左里島ㆍ大左里島ㆍ松島ㆍ松串ㆍ崛梁串、泗川縣 初永島ㆍ草島ㆍ白也島ㆍ楮島ㆍ仇郞島、金海府 亏音島ㆍ伐島ㆍ水島ㆍ加德島ㆍ鳴旨島ㆍ馬島ㆍ甘勿島、晋州 夫火谷里、昆陽郡 非刀里串、盈德縣 沙冬浦ㆍ南驛浦ㆍ下渚浦ㆍ烏保浦、南海縣 孤獨絶島、錦山 所屹山ㆍ呼乙浦ㆍ亏勿浦ㆍ小柯島ㆍ兩柯島、迎日縣 三士郞等處、昌原府 蓑島、機張縣 今音末串ㆍ冷井山、梁山郡 大渚島。 上項州縣島串, 前此有松木之處, 則嚴禁樵採, 無木之處, 令其道監司差官栽植, 使旁近守令萬戶監掌培養, 以待有用。"
從之。
- 【태백산사고본】 38책 121권 3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96면
- 【분류】군사-군기(軍器) / 교통-수운(水運) / 농업-임업(林業) / 사법-법제(法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