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13권, 세종 28년 7월 19일 을유 10번째기사 1446년 명 정통(正統) 11년

능실의 제도

능실(陵室)의 제도

"현궁(玄宮)은 같이 하고 실(室)은 다르게 한다. 왕후의 실(室)은 동쪽에 있고 수실(壽室)105) 은 서쪽에 있다. 광(壙)의 깊이는 10척(尺)이요, 【영조척(營造尺)을 사용한다. 】 동서(東西)가 29척이며, 【숯가루[炭末]로 쌓은 것이 동서(東西)가 각각 5촌(寸)이고, 석회(石灰)·세사(細沙)·황토(黃土)의 세 가지 물질로써 합해 쌓은 것이 각각 4촌(寸)으로서 9척(尺)이 되고, 석실(石室)의 동서(東西) 외면(外面)의 상거(相去)가 20척이므로, 29척이 된다. 】 남북(南北)이 25척 5촌(寸)이다. 【숯가루 등 세가지 물질이 모두 9척이 되고, 석실의 남북(南北) 외면(外面)의 상거(相去)가 14척 5촌이며, 문의 의석(倚石)이 2척이 되므로, 모두 25척 5촌이 된다. 】 남면(南面)을 열어 놓아 연도(羨道)를 삼는다. 그 실(室)을 만드는 순서는 격석(隔石)과 방석(傍石)·우석(隅石) 등 사면석(四面石) 아래 지석(支石)과 박석(博石)을 입배(入排)하는 땅에 깊이 2척 5촌을 더 파서 그 밑의 본토(本土)를 쌓고, 【그 남면(南面)의 박석(博石)은 문역석(門閾石)이라 이름한다. 지석(支石)의 높이는 1척이요, 박석(博石)의 높이는 1척 5촌이니, 무릇 2척 5촌이다. 】 다음에 지석(支石)을 들여 넣어 가로 두 줄로 배열(排列)하여 광(壙) 밑의 원토(元土)와 면(面)을 가지런하게 한다. 【그 박석(博石)의 양쪽 머리가 닿는 곳을 버티게 한다. 】 그 지석(支石) 사이는 삼물(三物)을 사용하여 메워서 쌓는다. 【삼물(三物) 안에 석회(石灰) 3분(分)과 황토(黃土)·세사(細沙)는 각각 1분(分)을 유피(楡皮)의 끓인 물로써 타게 한다. 】 석체(石砌)가 닿는 곳의 사면(四面) 원토(元土)에 깊이 7촌을 더 파고, 【굵은 모래를 사용하여 본토와 도로 메우되 쌓지는 말며, 돌을 끼운 곳에는 견고하게 쌓는다. 】 다음에 동망(銅網) 각기 1개씩을 두 실(室)의 안에 펴고, 【동망(銅網) 사변(四邊)을 지석(支石) 위에 각기 1촌씩 덮는다. 】 유회(油灰)를 지석(支石) 위에 펴고, 그 다음에 박석(博石)과 문역석(門閾石)을 더한다. 【무릇 두 돌이 닿는 곳에는 모두 유회(油灰)로 발라 채워서 빈틈이 없게 한다. 】 서방(西傍)으로부터 격석(隔石)을 내려서 두 실(室) 사이에 두고, 다음에 양북우석(兩北隅石)과 양방석(兩傍石)을 내리되 각기 그 옆으로부터 내린다. 【격석(隔石)과 북우석(北隅石)의 아래에 박석(博石)이 광내(壙內)에 들어간 것이 각각 2촌씩이 되고, 방석(傍石) 아래에 박석(博石)이 광내에 들어간 것이 각각 3촌씩이 되며, 문역석(門閾石)이 광내에 들어간 것이 각각 5촌씩이 된다. 】 우석(隅石)과 방석(傍石)이 서로 닿는 곳에는 모두 무쇠못[水鐵錠]으로써 파고 넣어 서로 물려서 물러나오지 못하도록 하고, 【사우석(四隅石) 서쪽 끝의 안쪽 가와 우방석(右傍石) 북쪽 끝의 바깥쪽 가의 상접(相接)한 곳과, 동우석(東隅石) 동쪽 끝의 안쪽 가와 좌방석(左傍石) 북쪽 끝의 바깥쪽 가의 상접(相接)한 곳에는 모두 파고 철정(鐵錠)을 넣는다. 】 다음에 석체(石砌)를 내리고는 사방에 모두 협석(挾石)을 둔다. 【석체(石砌)는 격석(隔石) 및 북우석(北隅石)과 떨어지기가 각기 5촌씩이고, 방석(傍石)과 떨어지기가 각기 1척 1촌씩이며, 문비석(門扉石)과 떨어지기가 각기 8촌씩이 된다. 】

【○ 협석(挾石)은 석체(石砌)와 사면(四面) 박석(博石)의 사이에 끼우는데, 남북이 각각 1개씩이고, 동서가 각각 2개씩이다. 석체(石砌)의 가운데 빈 곳에는 세사(細沙)와 황토를 사용하여 튼튼하게 쌓아서 석체(石砌)와 가지런하게 한다. 협석(挾石)의 사이에는 굵은 모래를 사용하여 본토와 같게 하고, 그 지면(地面)은 박석(博石)·협석(挾石)·문역석(門閾石)과 함께 상면(上面)을 가지런하게 한다. 】

【○ 석체(石砌)는 땅에 들어간 것이 1척 5촌이고, 땅 밖으로 나온 것이 5촌이다. 그 석체(石砌)의 외면(外面)에는 모래와 흙을 다시 파서 도로 펴되, 견고하게 쌓지 못하도록 하여 물기운이 스며드는 데 대비한다. 】 다음에 두 개석(蓋石)을 두고, 【빈 섬[空石]으로써 흙과 모래·자갈을 담아 두 실(室)의 안팎을 메우고 그 위에 흙을 덮은 뒤에 개석(蓋石)을 끌어들인다. 】 다음에는 가치개석(加置蓋石)을 두고, 다음에는 서실 안의 격석(隔石) 창혈(牕穴)에 황장판(黃腸板)을 사용하여 막고, 본토와 세사와 굵은 돌과 회재(灰滓) 등의 정물(淨物)을 사용하여 실(室) 안에 메우고 문비석을 임시로 가로 걸쳐서 막게 한다. 또 수회(水灰)를 사용하여 틈을 바르고, 【정문 비석(正門扉石)의 문의석(門倚石)은 능의 산기슭 서방(西方)에 묻고 돌을 새겨 표를 세운다. 】 다음은 북우석·양방석·서실 문비의 밖에 각기 4척을 떨어져서 속판을 빙 두르고 삼물을 사용하여 쌓고 나서, 또 그 속판을 삼물의 밖으로 올려서 광변(壙邊)에 떨어지기 5촌 안에 숯가루를 사용하여 쌓게 한다. 【쌓은 것이 지대석(地臺石) 하면(下面)에 서로 닿는 곳에 이르면, 판(板) 안의 네 모퉁이에 소판(小板)을 가로 세워 그 뾰족한 끝을 끊어 빈 곳이 있게 하여 본토의 둘레에 연축(連築)하는 데 대비하게 한다. 만약 그 뾰족한 끝을 끊지 않는다면 네 모퉁이가 지대석(地臺石)에 붙어서 본토의 쌓은 것이 서로 연맥(連脈)이 되지 않는다. 】 이대로 빙 둘러 가치개석(加置蓋石) 위에 쌓아 올려 가운데는 높고 사면(四面)은 낮아 가마솥을 덮은 형상과 같게 하니, 만약 스며드는 물이 있더라도 멈출 곳이 없게 된다. 【그 개석(蓋石)과 가치개석(加置蓋石)의 위에 삼물(三物)과 숯가루의 쌓은 것은 돌의 높고 낮은 것은 헤아리지 아니하고, 각기 돌 위로부터 상항(上項)의 소정된 수량에 의거하여 이를 쌓게 된다. 】 그 광(壙) 밖의 평지(平地) 위에는 동·서·북 삼면(三面)에 그 지대석(地臺石)의 배치한 곳을 헤아려 그 밑을 견고하게 쌓아 올린다. 【그 개석(蓋石)을 끌어 들일 때에 동서면의 판 곳에는 지석(支石)과 흙을 사용하여 에워서 쌓는다. 】 먼저 초지대석(初地臺石)을 배치(排置)하고, 다음에 정지대석(正地臺石)으로써 초지대석(初地臺石)의 위에 가치(加置)하고, 그 다음에 우석(隅石)과 면석(面石)으로써 정지대석의 위에 두며, 다음에 만석(滿石)으로써 우석(隅石)과 면석(面石)의 위에 가치(加置)하고, 또 인석(引石)으로써 만석(滿石)에 더 얹어 상면(上面)의 판 곳에 연접(連接)하게 하고, 정지대석·우석·면석·만석의 서로 연접(連接)한 곳에는 모두 무쇠를 사용하여 끌어 매[引錠]고, 그 사면석(四面石) 안과 숯가루의 위에는 본토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쌓되, 만석(滿石)의 상변(上邊)에 5촌이 되지 못해서 그치게 하고, 중앙은 높고 사면(四面)은 낮게 한다. 다음은 동실(東室)의 개석(蓋石)에 있어서는 우러러 먹을 칠하여 하늘의 모양을 만들고, 【홍유연묵(鬨油煙墨). 】 해와 달을 동서(東西)에 그리고 성신(星辰)과 은하를 모두 성좌(星座)로써 둥글게 그린다. 【해는 연지[朱]를 사용하고, 달과 별과 은하수는 모두 분(粉)을 사용하여 그린다. 】 그 천상(天上)의 밖과 사면의 벽(壁)에는 모두 분을 칠하여 바탕으로 삼고, 격석(隔石) 창(窓) 밑에는 백호(白虎)를 그리고, 북우석(北隅石)에는 현무(玄武)를 그리고, 방석(傍石)에는 청룡(靑龍)을 그리고, 문비 양석(門扉兩石)에는 주작(朱雀)을 그리는데, 【두 문짝에 나누어 그려서, 문짝을 합하면 하나의 형상을 이루게 한다. 】 백호(白虎)와 청룡(靑龍)은 머리가 남쪽으로 향하게 하고, 현무(玄武)와 주작(朱雀)은 머리가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기일 전에 황장목판(黃腸木板)을 석체(石砌)에 놓고 지의(地衣)와 욕석(褥席)을 그 위에 설치하고, 또 석체(石砌) 밖의 사면(四面) 땅위에 갈대자리[蘆簟]와 지의를 펴고 윤여(輪轝)를 석체 위와 현궁(玄宮) 문밖에 두고 외재궁(外梓宮)으로써 외윤여(外輪轝)에 안치하고 재궁(梓宮)을 받들게 하며, 또 윤여를 외재궁 위에 굴러 이르[轉至]게 하여 비단을 사용해서 매달아 내려서, 뚜껑을 덮고 나비은살대[衽]를 넣고 칠포(漆布)로써 그 틈을 바르고, 마침내 윤(輪)을 현궁(玄宮)에 들여서 안치하되 북쪽으로 머리를 두게 하고, 윤여(輪轝)를 물려 내고 나서, 옥백(玉帛)을 드리고 명기(明器) 등을 진열하는 일을 의식과 같이 한다. 마침내 발[簾]을 문안에 드리우고 【문내(門內)의 양쪽 가의 격석(隔石)·방석(傍石)·개석(蓋石)이 서로 연접하는 틈에 작은 환구(環鉤)를 두어 매어단다. 】 비석(扉石)을 닫되, 먼저 서쪽 문짝을 세우고, 다음에 동쪽 문짝을 세우고는 유회(油灰)를 두 문짝의 틈난 곳을 바르고, 자물쇠통에 자물쇠를 채우는 것을 감독한다.

마침내 문의석(門倚石) 1개를 문비(門扉)의 밖에 더 세우고, 【의석(倚石)의 내면에는 유회(油灰)를 꽉 차게 발라서 채우고, 자물쇠를 채운 곳에는 끊고 파서 서로 합하게 한다. 】 의석(倚石) 밖에는 돌로써 편방(便房)을 만들어 명기(明器)를 간수하고, 다음에 삼물(三物)을 그 밖에 쌓아 두께가 4척(尺) 되게 하고, 숯가루 두께가 5촌(寸) 되게 하여 삼면(三面)을 쌓는 제도와 같이 하고, 그 네 가지 물질[四物] 밖에는 돌로써 배열(排列)하고 흙을 사이에 넣어 메우고 쌓아 올린다. 초지대석(初地臺石)을 두 실(室)의 전면(前面)에 배치하고, 다음에 정지대석(正地臺石)을 배치하며, 다음에 우석(隅石)과 면석(面石)을 배치하고, 다음에 만석(滿石)을 배치하고 인석(引石)을 가치(加置)한다. 【그 돌을 배치하고 흙을 쌓고 정을 끌어당기[引錠]는 제도는 모두 삼면(三面)과 같이 한다. 】 다음에 삼물(三物)을 만석(滿石) 안에 배치하되 만석(滿石) 상변(上邊)으로부터 5촌(寸)을 쌓지 않고서, 빙 둘러쌓아 형상을 엎어 놓은 가마솥과 같게 하여, 두께가 2척 5촌이 되면 그치게 한다. 【그 만석(滿石) 상면(上面)의 외변(外邊)에 1척(尺)은 돌로 쌓고 삼물(三物)로 본토를 대신 쌓을 때에 아울러 쌓는다. 】 또 본토를 그 위에 쌓아서 깎아서 둥글게 된 후에 그치게 하고, 그 바르지[正] 않은 곳은 이를 깎아서 바르게 한다. 대개 사토(沙土)·만석(滿石) 위의 능(陵) 높이가 12척 5촌인데, 또 12면(面) 초지대석(初地臺石) 밖에 먼저 난간을 설치하고, 밑의 지대석(地臺石)과 우석(隅石) 상간(相間)에 연배(連排)한다. 초지대석과 난간 아래의 지대석과 우석 사이에 두 박석(博石)이 서로 연접하는 곳을 헤아려 각각 지석(支石)을 배치하고, 그 돌 사이를 삼물(三物)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쌓고, 위에는 외박석(外博石)을 배치하되 밖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하여, 물이 정류(停留)하지 못하게 한다. 【박석(博石)의 상단(上端)이 초지대석(初地臺石)과 정지대석(正地臺石) 사이에 판 곳에 6촌이나 들어간다. 】 주석(柱石)을 우석(隅石)의 위에 세우고, 다음에 동자석주(童子石柱)를 지대석(地臺石)의 위에 세우며, 【동자주(童子柱)를 석주(石柱)의 사이에 세운다. 】 죽석(竹石)을 석주(石柱)의 사이와 동자석(童子石)의 위에 가로 배치하고, 【한 끝은 석주(石柱)의 덮어서 연접한 사이에 접해 있고, 한 끝은 동자석(童子石)의 위에 접해 있다. 】 차례대로 빙 둘러 그 연접된 곳에 연하여 배치하고 모두 유회(油灰)를 사용하여 이를 채운다. 난간은 1면의 길이가 15척 3촌이고, 둘레가 1백 83척 6촌이다. 난간마다 우석(隅石)의 외면에 흙을 파서 외지석(外支石)를 배치하여 우석(隅石)을 빠져 나오지 못하게 한다. 그 지대석(地臺石)과 우석(隅石) 밖의 빈 땅에 둘레가 3척, 깊이가 2척 가량 파서 삼물(三物)로서 견고하게 쌓고, 동·서·북 3면에는 원장(垣墻)으로써 두르게 한다. 지대석(地臺石)의 높이가 1척이고 원장의 높이가 3척 4촌이다. 북면(北面)에 두 섬돌을 설치하니, 초계(初階)는 높이가 4척, 넓이가 3척이고, 길이가 50척이며, 상계(上階)는 높이가 2척, 넓이가 2척이고, 길이가 56척이다. 북쪽 뜰의 넓이는 북쪽 섬돌과의 거리가 25척이다. 동쪽·서쪽 모퉁이의 곡장(曲墻)은 길이가 각기 42척이다. 【곡장(曲墻) 섬돌의 높이와 넓이는 북쪽 섬돌과 같다. 】 동쪽·서쪽 뜰의 넓이는 원장 밑과의 거리가 각기 25척이다. 【곡계(曲階)가 높고 모가 나서, 동쪽·서쪽 원장 밑의 사이는 원장 쌓는 것을 없이 한다. 】 원장 안에 석양(石羊) 4개와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2개이다. 】 석호(石虎) 4개를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2개이다. 】 벌려 놓는데, 석양은 남쪽에 있고 석호(石虎)는 북쪽에 있게 하되, 서로 뒤섞어 이를 배치하여 모두 밖을 향하게 한다. 남쪽에는 삼계(三階)를 설치하였는데, 초계(初階)의 넓이가 16척이고 길이가 1백 7척이다. 【아래 이계(二階)의 길이도 이것과 같다. 】 동실(東室)의 남쪽 7척 가량 되는 곳에 땅을 5척 파서 삼물(三物)을 사용하여 밑을 쌓으니, 두께가 1척 5촌인데, 지석(誌石)의 내면 사변(四邊)을 잠시 유회(油灰)를 발라서 자획(字畫)을 침근(侵近)하지 못하게 하고, 개석(蓋石)을 상합(相合)하고 또 유회(油灰)를 틈에 발라 동철(銅鐵)로 이를 묶어서 【세로 한 번 묶고 가로 한 번 묶는다. 】 그 위에 놓고, 삼물(三物)로써 사방과 상면(上面)에 천천히 견고하게 쌓아서 두께가 또한 각각 1척 5촌이 된 후에 그친다. 또 본토로써 메워 쌓아서 한복판에 이를 묻는다. 남쪽 가까이 석상(石床)을 두고 왼쪽과 오른쪽에 망주석(望柱石)을 세운다. 중계(中階)는 넓이가 20척인데, 한가운데에 북쪽 가까이 장명등(長明燈)을 설치하고, 왼쪽과 오른쪽에 문관 석인(文官石人) 각각 1개와 석마(石馬) 각각 1개를 세우는데, 석마는 석인의 남쪽 조금 뒤에 있다. 【동쪽과 서쪽에서 서로 향해 있다. 】 하계(下階)는 넓이가 30척인데, 왼쪽과 오른쪽에 무관 석인(武官石人) 각각 1개와 석마(石馬) 1개를 세우는데, 석마는 석인의 남쪽 조금 뒤에 있다. 산기슭으로부터 바로 남쪽 45척 사이에 정자각(丁字閣) 8간(間)을 세우고, 또 뜰 동쪽에 장기고(藏器庫) 3간(間)을 짓고, 정자각(丁字閣) 앞길에 홍문(紅門)을 세우고, 안산(案山) 동남쪽에 재실(齋室) 17간(間)을 지었다.


  • 【태백산사고본】 36책 113권 17장 A면【국편영인본】 4책 692면
  • 【분류】
    왕실-종사(宗社)

  • [註 105]
    수실(壽室) : 살아 있을 때에 미리 만들어 놓은 무덤. 여기서는 세종 대왕의 무덤이 될 곳을 이름.

○陵室制度:

同宮異室, 王后室在東, 壽室在西, 壙深十尺, 【用營造尺】 東西二十九尺, 【炭末所築東西各五寸, 石灰細沙黃土三物合築各四寸爲九尺。 幷石室東西外面相距二十尺, 爲二十九尺。】 南北二十五尺五寸, 【炭末三物幷九尺, 石室南北外面相距十四尺五寸, 幷門倚石二尺, 爲二十五尺五寸。】 開南面以爲羨道。 其作室之序則於隔石及旁石隅石等四面石下支石博石入排之地, 加堀深二尺五寸, 仍築其底本土, 【其南面博石, 號曰門閾石。 支石高一尺, 博石高一尺五寸, 凡二尺五寸。】 次入支石, 縱排二行, 與壙底元土齊面。 【支其博石兩頭隔處。】 其支石間用三物塡築, 【三物內石灰三分, 黃土細沙各一分, 和以楡皮煎水。】 石砌當處外四面元土, 加堀深七寸, 【用麤沙與本土還塡勿 築, 當挾石處則堅築。】 次布銅網各一於兩室之內, 【銅網四邊, 覆於支石上各一寸。】 布油灰於支石上, 次加博石。 與門閾石 【凡兩石相接處, 皆以油灰塗彌, 使無空隙。】 從西旁下隔石, 置於兩室間, 次下兩北隅石兩旁石, 各從其旁。 【隔石及北隅石之下博石, 入壙內各二寸, 旁石下博石入內各三寸; 門閾石入內各五寸。】 隅石旁石相接處, 皆以水鐵錠鑿入交牙, 勿令退出。 【西隅石西端內邊右旁石北端外邊相接處及東隅石東端內邊左旁石北端外邊相接處, 竝鑿入鐵錠。】 次下石砌, 四方皆置挾石, 【石砌距隔石及北隅石各五寸, 距旁石各一尺一寸, 距門扉石各八寸。 挾石挾於石砌及四面博石之間, 南北各一, 東西各二。 砌中空虛處, 用細沙黃土堅築, 與砌齊平。 挾石間用麤沙與本土塡之, 其地面與博石挾石門閾石上面齊。 石砌入地一尺五寸, 出地五寸, 其石砌外面沙土更堀還布, 勿令堅築, 以備滲漏水氣。】 次置兩蓋石, 【以空石盛土與沙礫, 塡兩室內外, 加土於其上, 而後引入蓋石。】 次置加置蓋石。 次於西室內隔石牕穴, 用黃腸板防塞, 用本土細沙麤石灰滓等淨物, 塡於室內假門扉石, 橫排積塞, 又用水灰塗隙。 【正門扉石門倚石則埋于陵山足庚方, 刻石立標。】 次於北隅石兩旁石西室門扉之外, 各距四尺, 周廻束板, 用三物築之。 訖, 又升其板三物之外距壙邊五寸內, 用炭末築之。 【築至地臺石下面相當處, 於板內四隅, 橫立小板, 截其銳端, 使有空處, 以備本土周回連築, 若不截其銳端, 則恐四隅屬於地臺石, 而本土之築, 不相連脈也。】 依此周回築上於加置蓋石, 上中高, 四下如覆釜形, 如有滲水, 無停留之處。 【其蓋石及加置蓋石上三物炭末之築, 不計石之高低, 各從石, 上依上項所定之數, 築之。】 其壙外平地上於東西北三面量其地臺石排處堅築其底。 【其蓋石曳入時, 東西面堀處, 用支石與土塡築。】 先排初地臺石, 次以正地臺石, 加置於初地臺之上, 次以隅石面石, 置於正地臺之上, 次以滿石加置於隅石面石之上。 又以引石加於滿石連接上面鑿處, 於正地臺石隅石面石滿石相接處, 皆用水鐵引錠, 其四面石內及炭末之上, 用本土堅築, 未至滿石上邊五寸而止。 中高四下, 次於東室蓋石仰掃黑作天形, 【鬨油烟墨】 畫日月於東西, 星辰銀(何)〔河〕 ,皆以躔次圓畫。【日用朱, 月與星辰銀(何) 〔河〕, 皆用粉畫之、】 其天上之外及四壁, 皆掃粉爲質, 隔石窓下畫白虎, 北隅石畫玄武, 旁石畫靑龍, 門扉兩石畫朱雀。 【分畫兩扉, 合成一形。】 白虎靑龍頭向南, 玄武朱雀頭向西。 前期, 置黃腸木板於石砌, 設地衣褥席於其上。 又砌外四面地上, 鋪蘆簟與地衣, 置輪輿於石砌上與玄宮門外以外, 梓宮安于外輪轝, 捧梓宮。 又以輪轝, 轉至外梓宮上, 用帛懸下, 加蓋納衽, 以漆布塗其隙, 遂輪入安于玄宮北首, 退出輪轝, 贈玉帛陳明器等事如儀。 遂垂簾於門內, 【門內兩邊隔石旁石蓋石相接之隙, 置小環, 鉤以懸之。】 閉扉石。 先立西扉, 次立東扉, 塗油灰於兩扉石鏬隙處, 監鏁懸鑰於鏁, 遂加門倚石一於門扉之外、 【倚石內面滿塗油灰彌之, 當鑰處斷鑿, 使之吻合。】 於倚石外, 以石作便房, 藏明器。 次築三物於其外, 厚四尺; 炭末厚五寸, 如築三面之制。 其四物之外, 以石排列, 間土塡築, 排初地臺石於兩室前面, 次置正地臺石, 次置隅石面石, 次置滿石, 加置引石, 【其排石築土引錠之制, 竝同三面。】 次置於三物滿石之內, 從滿石上邊末築五寸而始周廻築之, 形如覆釜, 厚二尺五寸而止。 【其滿石上面外邊一尺石築, 三物代築本土時竝築也。】 又築本土於其上, 至剡圓而止。 其不正處削正之, 蓋以沙土滿石上陵高十二尺五寸。 又於十二面初地臺石之外, 先置欄干下地臺石, 隅石相間連排。 初地臺石及欄干下地臺石隅石間, 量兩博石相接處, 各置支石。 其石間用三物堅築, 上置外博石, 向外欹傾, 使水不得停留。 【博石上端, 入於初地臺石及正地臺石之間鑿處五寸。】 以柱石立於隅石之上, 次立童子石柱於地臺石之上, 【童子柱立石柱之間】 橫置竹石於石柱之間童子石之上, 【一端接於石柱仰覆連之間, 一端接於童子石柱之上。】 以次周廻連排, 其接處, 皆用油灰彌之。 欄干一面長十五尺三寸, 周廻一百八十三尺六寸。 每欄干隅石外面, 堀土排外支石, 使隅石不得出退。 其地臺石隅石外空地周廻廣三尺深二尺許堀取, 堅築三物, 東西北三面, 繚以垣墻, 地臺石高一尺, 墻高三尺四寸。 北面設二階, 初階高四尺, 廣三尺, 長五十尺; 上階高二尺, 廣二尺, 長五十六尺。 北庭廣距北階二十五尺。 東西隅曲墻, 長各四十二尺, 【曲墻階高廣, 與北階同。】 東西庭廣距墻底各二十五尺。 【曲階高方東西墻底, 其間〈■畢〉除築墻。】 墻內列石羊四 【左右各二】 石虎四 【左右各二】 石羊在南, 石虎在北, 相間排之, 皆外向。 南設三階, 初階廣十六尺、長一百七尺。【下二階長, (典) 〔與〕此同、】 東室南七尺許堀地, 五尺用三物築底, 厚一尺五寸。 以誌石內面四邊, 暫塗油灰, 勿使侵近字畫。 蓋石相合, 又塗油灰於隙, 以銅鐵束之, 【縮一橫】 置於其上, 以三物, 四方及上面, 徐徐堅築, 厚亦各一尺五寸而止。 又以本土塡築埋之, 正中近南置石床, 左右竪望柱石。 中階廣二十尺, 正中近北置長明燈, 左右立文石人各一、石馬各一, 在石人之南差後。 【東西相向】 下階廣三十尺, 左右立武石人各一、石馬各一, 在石人之南差後。 自山足直南四十五尺間, 建丁字閣八間, 又於庭東構藏器庫三間, 丁字閣前路, 立紅門; 案山東南, 構齋室十七間。


  • 【태백산사고본】 36책 113권 17장 A면【국편영인본】 4책 692면
  • 【분류】
    왕실-종사(宗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