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렴하다. 전·빈소를 설치하고, 기일 전에 찬궁을 짓게 하다
대렴(大斂)하였다.
내시가 대렴상을 서계의 서쪽에 두고, 지의(地衣)와 욕석(褥席)을 상위에 진열하고는, 먼저 염매의 횡포 다섯 개를 아래에 펴되, 백세저포 두폭을 찢어 여섯 개로 만들어 그 다섯 개만 쓰고, 다음은 염매의 종포(縱布) 세 개를 위에 펴되, 백세저포 한 폭을 찢어 세 개를 만들어 쓰고, 다음은 포금(布衾), 그 다음은 포의(布衣)인데, 혹은 뒤집어 놓기도 하고, 혹은 거꾸로 놓기도 하되, 다만 방정(方正)만을 취하고, 오직 명복(命服)만은 거꾸로 놓지 않으며, 합계 90칭(稱)이다. 이를 들고 서계로 올라가매, 나인이 받아 들어 시체의 남쪽에 둔다. 이에 조석전(朝夕奠)을 옮기고, 나인이손을 씻고 함께 시체를 들어 대렴상으로 옮기고는 금(衾)을 거두어 먼저 발[足]을 가리우고, 다음은 머리를 가리우고, 다음은 왼쪽을 가리우고, 다음은 오른쪽을 가리우되, 그 방정함을 취한다. 염매를 잡아매되 먼저 끝[殺]으로써 발을 감추고 올라가며, 뒤에 덮개[冒]로써 머리[首]를 감싸고 내려와서, 마침내 일곱개의 띠[帶]를 잡아맨다. 기일 전에 아주 부드러운 재를 관(棺) 안의 밑에 4촌 가량 펴고, 칠성판(七星板)을 그 위에 놓고, 두꺼운 종이로써 칠성판의 구멍을 발라서 막고, 욕석을 칠성판 위에 설치하고, 이에 관을 들고 들어와서 전중(殿中)의 조금 서쪽에 두고, 염하고 남은 의상(衣裳)은 적당히 관의 밑바닥에 펴고, 나인이 함께 시체를 들어 관에 들여넣으며, 또 의상을 시체 위에 펴되, 편편하게 꽉 차게 하고, 생존할 때의 빠진 치아(齒牙)·모발(毛髮)과 깎은 손톱·발톱을 소대(小帒)에 담아서 재궁 안의 네 모퉁이에 채운다. 왕세자가 기대어 통곡하기를 슬피 하고, 대군 이하와 공주 이하가 통곡하기를 슬피 한다. 왕세자와 대군 이하가 자리[次]로 물러가고, 공주 이하도 모두 자리로 물러간다. 내시가 장인(匠人)을 불러 뚜껑을 덮고 옻칠을 하고서 나비은살대[衽] 세 개를 끼운다. 나비은살대는 나무로써 만들었는데, 그 모양은 양쪽 머리가 넓다. 먼저 관 가의 양쪽머리과 중앙의 합치는 곳[合處]을 뚫어서 움푹 패인 모양[坎刑]을 만들고는 나비는 살대로써 이를 연결시켜, 밑과 뚜껑이 서로 합친 곳을 튼튼하게 하고, 서로 합친 외면(外面)에 옻칠로써 이를 바르고, 또 흰 생초(生綃)로써 가로세로[縱橫] 이를 묶고는 관의(棺衣)로써 덮는다. 이에 전(奠)을 설치하고, 드디어 시어소(時御所)의 서청(西廳)에 빈소(殯所)를 설치한다. 기일 전에 찬궁(欑宮)을 정전(正殿)안에 지어, 북쪽에 의거하고 남쪽을 향하게 하는데, 【수양 대군(首陽大君) 집의 서청(西廳)인데, 청(廳)의 앞과 뒤로써 동서 남북으로 삼다. 】 재궁 평상(梓宮平牀)의 길이와 넓이를 미리 헤아려 사면에 각각 1척(尺) 5촌(寸)을 더 넓도록 하고, 먼저 벽돌로써 땅에 펴고 석회(石灰)로써 그 틈을 발라서 찬궁의 기지(基址)를 만들고, 다음에 땅에 네모진 나무를 설치하고, 네 개의 기둥을 그 위에 세우고는, 들보를 걸치고 서까래를 걸어 벽을 만들어 집 모양과 같이 하되, 다만 그 동쪽 벽만을 비워서 대자리[竹簟]로써 그 안의 삼면(三面)과 위에 붙이고, 편죽(片竹)을 사용하여 가로세로 못[釘]을 끼우되, 못의 튼튼한 것으로써 한도로 삼고, 또 두꺼운 종이로써 이를 바르되, 종이로써 주작(朱雀)·현무(玄武)·청룡(靑龍)·백호(白虎)를 그려서 방위에 따라 이를 붙이고, 그 외의 삼면과 상면(上面)에는 먼저 진흙으로써 바르고, 다음은 정포(正布)를 바르고, 그 다음은 두꺼운 종이를 바르며, 유둔(油芚)과 지의를 안에 펴고 발 없는 평상[無足平牀]을 설치하고 대자리[竹簟]와 욕석을 그 위에 펴 놓는다. 시각이 되자, 내시(內侍)가 재궁(梓宮)을 받들어 평상위에 안치(安置)하되, 머리를 남쪽으로 향하게 하고, 관의(棺衣)로써 덮은 뒤에 유둔(油芚)으로 거듭 싸고, 흰 정포를 사용하여 가로세로 이를 묶는다. 【내시 1인은 향탁(香卓)을 받들고 앞에서 인도하고, 다음 2인은 혼백(魂帛)·유의함(遺衣函)과 교의(交椅)를 받들고, 다음 1인은 명정(銘旌)을 받들고, 다음 2인은 책보(冊寶)를 받들고, 내시가 함께 재궁을 들고 그제야 간다. 왕세자와 대군 이하가 이를 따라 빈전에 나아갔다가 왕세자와 대군 이하가 자리[次]로 물러나온다. 】 미리 동벽기(東壁機)를 만들어 이를 막아 못을 치되, 튼튼하게 하고, 진흙으로 안팎을 바르고 도배(塗排)하기를 위와 같이 한다. 백초 만정(白綃滿頂)과 백초 장막[白綃帳]을 설치하고, 【그것을 깊숙이 하기 위한 때문이었다. 】 다시 영상(靈牀)을 찬궁의 동남쪽에 남쪽을 향하여 설치하고, 【만정(滿頂)을 설치하여 평상·욕석·병풍·베개·의복·이불의 등속을 그 안에 두되, 남쪽으로 머리를 두게 하고, 조석(朝夕)으로 낯을 씻고 머리를 빗는 도구를 설치하되, 모두 평상시와 같게 한다. 】 영좌(靈座)를 찬궁의 서남쪽에 남쪽을 향하여 설치하고, 【평상·욕석과 병풍을 설치하고, 교의를 욕석 위에 두고, 혼백과 유의함을 교의위에 안치하였다. 】 명정을 받들어 영좌의 오른편에 세우고, 책보안(冊寶案)을 영좌의 동남쪽에 두고, 덮개[蓋]와 문짝[扇] 각각 두 개를 영좌 앞 좌우에 설치하고, 【덮개와 문짝은 모두 백저포(白苧布)를 사용하고, 덮개의 제도는 한 처마[簷]이다. 】 이에 전을 차려 놓는다. 【유사(攸司)가 찬(饌)을 갖추어 올리면, 상식(尙食)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이를 전해 받들어 영좌 앞에 드린다. 향로·향합과 초[燭]를 설치하고, 또 준(尊)을 지게문 밖[戶外]의 왼쪽에 설치하고, 술잔 3개를 준소(尊所)에 둔다. 왕세자가 들어와서 빈전(殯殿) 지게문 밖의 동쪽에 나아가서 서쪽을 향하여 통곡하여 슬픔을 다하고, 대군 이하는 그 뒤에 겹줄로 하여 서쪽을 향하되, 남쪽을 위로 하여 부복하고, 공주 이하는 지게문 밖의 서쪽에 나아가서 겹줄로 하여 동쪽을 향하고 자리에 올라가서 모두 통곡하여 슬픔을 다한다. 상식이 향안(香案) 앞에 나아가서 상향(上香)하고, 또 술 석 잔을 따라 연달아 안(案)에 드린다. 지게문 밖에는 상시 장막을 설치하여 꼬불꼬불하게 해서 서쪽과 동쪽을 가로 막았다. 】 나인(內人)이 빈소(殯所)를 모시기를 평상시의 예절과 같이 한다. 왕세자가 상차(喪次)로 돌아오고, 대군 이하와 공주 이하가 각기 상차로 돌아온다.
- 【태백산사고본】 35책 111권 24장 A면【국편영인본】 4책 660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甲午/大斂:
內侍置大斂床于西階之西, 陳地衣褥席於床上, 先布絞之橫者五於下, 用白細紵布二幅, 裂而爲六, 用其五。 次布縱者三於上, 用白細紵布一幅, 裂而爲三用之。 次布衾, 次布衣, 或顚或倒, 但取方正, 唯命服不倒, 摠九十稱。 擧之, 升自西階, 內人傳擧, 置于尸南乃遷。 朝夕〔奠〕 , 內人盥手, 共擧尸遷于大斂床收衾, 先掩足, 次掩首, 次掩左, 次掩右, 取其方正結絞。 先以殺, 韜足而上; 後以冒, 韜首而下, 遂結七帶。 前期, 爛熟(牀)〔秫〕 米灰鋪於棺內底四寸許, 加七星板於其上, 以厚(低)〔紙〕 塗閉七星孔。 設褥席于板上, 乃擧棺入置殿中小西, 以斂餘衣裳, 量宜鋪于棺之底, 內人共擧尸納于棺。 又以衣裳鋪于尸上, 務令平滿。 將生時所落齒髮及所剪爪盛于小帒, 實于梓宮內四隅。 王世子憑哭盡哀, 大君以下及公主以下哭盡哀。 王世子及大君以下退, 次公主以下皆退, 次內侍召匠, 加蓋漆而三衽。 衽以木爲之, 其形兩頭廣, 中央小。 先鑿棺邊兩頭及中合處作坎形, 以衽連之, 令固底蓋相合處, 相合外面, 以漆涂之。 又以白綃束之, 縱橫覆以棺衣。 乃設奠, 遂殯于時御所西廳。 前期, 作攢宮于正殿中, 依北向南。 【首陽大君第之西廳, 以廳之向背爲東西南北也。】 預量梓宮平牀長廣, 四面各加闊一尺五寸, 先以甎鋪地, 石灰塗其隙, 作攅宮基址。 次設地方木, 竪四柱於其上, 架樑拘椽, 作壁如屋之狀, 唯虛其東壁, 以竹簟貼其內。 三面及上, 用片竹縱橫挾之, 以釘釘之, 牢固爲度。 又以厚紙塗之, 以紙畫朱雀玄武靑龍白虎, 隨方貼之。 其外三面與上面, 先以泥塗之, 次塗正布, 次塗厚紙, 鋪油芚地衣于內。 設無足平牀, 施竹簟及褥席于其上。 時至, 內侍奉梓宮安於牀上南首, 覆以棺衣後, 以油芚重裹用白正布縱橫束之。 【內侍一人奉香卓前導, 次二人奉魂帛遺衣函及交倚, 次一人奉銘旌, 次二人奉冊寶。 內侍共擧梓宮乃行, 王世子及大君以下隨之。 就殯殿, 王世子及大君以下退次。】 預作東壁機, 乃塞之加釘, 務令牢固。 泥塗之, 內外塗排如上。 設白綃滿頂及白綃帳於外, 【欲具深邃也】 復設靈牀於攢宮之東南, 南向; 【設滿頂置牀褥席屛抭衣被之屬于內, 南首。 朝夕設盥櫛之具, 皆如平時。】 設靈座於攢宮之西南南向, 【設平牀褥席及屛, 置交倚于褥席上, 安魂帛遺衣函於交倚上。】 奉銘旌立於靈座之右, 置冊寶案于靈座東南, 設蓋扇各二於靈座前左右, 【蓋扇皆用白紵布, 蓋制一簷。】 乃設奠。 【攸司具饌以進, 尙食帥其屬, 傳奉奠于靈座前, 設香爐香合幷燭, 又設尊於戶外之左, 置盞三於尊所。 王世子入就殯殿戶外之東, 西向哭盡哀。 大君以下在其後, 重行西向南上俯伏, 公主以下就戶外之西, 重行東向上坐, 俱哭盡哀。 尙食詣香案前上香, 又酌酒三盞, 連奠于案。 戶外常設帷, 曲折以隔西東。】 內人侍殯平時禮。 王世子還喪次, 大君以下及公主以下, 各歸喪次。
- 【태백산사고본】 35책 111권 24장 A면【국편영인본】 4책 660면
- 【분류】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