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가 성복하다
왕비가 성복(成服)하는데, 대수 장군(大袖長裙)163) 과 개두포(蓋頭布)164) 와 두수(頭𢄼)165) 와 죽차(竹釵)166) 와 과시수(裹顋手)167) 와 의대(衣帶)와 소구(疏屨)168) 를 갖추고, 시녀(侍女) 14사람, 수사(水賜) 6사람, 파지(巴只) 3사람, 방자(房子) 4사람은 다 추포장삼(麤布長衫)과 소립(素笠)과 소혜(素鞋)를 갖추고, 환관(宦官) 30사람, 사약(司鑰) 2사람, 반감(飯監) 4사람은 다 추포직령(麤布直領)과 추포두건(麤布頭巾)과 마대(麻帶)·백피혜(白皮鞋)를 갖추고, 소친시(小親侍) 8사람은 다 추포직령과 추포두건·마대·승혜(繩鞋)를 갖춘다. 성복의(成服儀)·별전(別殿)의 동벽(東壁) 밑에 상(床)과 자리[席]를 진설하여 성복위(成服位)를 서향(西向)으로 차리고, 왕비가 소복한 대로 자리에 나아가서 곡하며, 따르는 사람도 다 곡한다. 상의(尙儀)가 왕비께 곡을 그치고 성복하기를 아뢰어 청하면, 왕비가 곡을 그치고, 상복(尙服)이 자최복(齋衰服)을 받들고 꿇어앉아 올리면, 왕비가 제최복을 입는다. 찬(贊)이
"곡(哭)하라."
하면, 왕비가 곡한다. 당연히 배종(陪從)해야 할 자들은 자최복을 입고 성복위(成服位)에 들어가 북향으로 서서 네 번 절한다. 이를 마치면, 상의(尙儀)가 곡을 그치기를 아뢰어 청한다. 왕비가 곡을 그치고 따르는 사람도 다 곡을 그친다. 왕비는 붉은빛과 자줏빛 옷은 버리고 회색과 푸른색·검은색 옷을 입고, 시녀도 역시 같으며, 밖에 나가려면 상복을 입는다. 환관은 오사모(鳥紗帽)와 각대(角帶)를 쓰는데, 밖에 나가려면 역시 상복을 입는다.
- 【태백산사고본】 34책 106권 27장 A면【국편영인본】 4책 596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註 163]대수 장군(大袖長裙) : 큰 소매에 긴 치마.
- [註 164]
개두포(蓋頭布) : 머리를 덮는 상포.- [註 165]
두수(頭𢄼) : 상포댕기.- [註 166]
○壬寅/王妃成服, 大袖長裙蓋頭布頭𢄼竹釵裹腮手衣帶疏屨, 侍女十四人, 水賜六人, 巴只三人, 房子四人, 皆麤布長衫素笠素鞋。 宦官三十人、司鑰二人、飯監四人, 皆麤布直領麤布頭巾麻帶白皮鞋。 小親侍八人, 皆麤布直領麤布頭巾麻帶繩鞋。 成服儀:
別殿東壁下設床席, 爲成服位, 西向。 王妃仍素服就位哭, 從臨者皆哭。 尙儀啓請哭止成服, 王妃止哭。 尙服奉齊衰服跪進, 王妃服齊衰。 贊哭, 王妃哭。 應陪從者服齊衰入位, 北向立四拜訖, 尙儀啓請哭止, 王妃止哭, 從臨者皆止哭, 王妃就舍別次。 成服前, 王妃於別殿素服, 侍女同。 成服後亦同。 成服後闕內王妃服色, 除絳紫, 用灰色與靑黑色, 侍女亦同。 出外則服喪服。 宦官烏紗帽角帶, 出外則亦喪服。
- 【태백산사고본】 34책 106권 27장 A면【국편영인본】 4책 596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註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