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105권, 세종 26년 7월 1일 무신 2번째기사 1444년 명 정통(正統) 9년

친·포·합·수·이군생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채(寀)를 소덕 대부(昭德大夫) 의성군(誼成君)으로 하고, 개(𧪚)를 소덕 대부 순성군(順成君)으로, 친(𡩁)을 숭덕 대부(崇德大夫) 서원윤(瑞原尹)으로, 포(𧦞)를 숭덕 대부 함양윤(咸陽尹)으로, 합(㝓)을 숭덕 대부 보성윤(寶城尹)으로, 수(洙)를 승헌 대부(承憲大夫) 예천군(醴泉君)으로, 이군생(李群生)을 중의 대부(中義大夫) 순평군(順平君)으로, 영(寧)을 중의 대부 평안윤(平安尹)으로, 혜(譿)를 중의 대부 서산윤(瑞山尹)으로, 질(秩)을 중의 대부 고양군(高陽君)으로, 정(定)을 중의 대부 영천윤(永川尹)으로, 우직(友直)을 중의 대부 의춘군(宜春君)으로, 주(澍)를 중의 대부 오산군(烏山君)으로, 이귀생(李貴生)을 명선 대부(明善大夫) 종의정(從義正)으로, 이덕생(李德生)을 명선 대부 수도정(守道正)으로, 이녹생(李祿生)을 명선 대부 임언정(林偃正)으로, 이복생(李福生)을 명선 대부 석보정(石保正)으로, 이후생(李厚生)을 명선 대부 덕원정(德原正)으로, 이호생(李好生)을 명선 대부 임성정(任城正)으로, 이융생(李隆生)을 명선 대부 정석정(貞石正)으로, 선생(善生)을 명선 대부 무림정(茂林正)으로, 의(宜)를 명선 대부 원천정(原川正)으로, 제(濟)를 명선 대부 저천정(紵川正)으로, 민(敏)을 명선 대부 곤의정(坤義正)으로, 이종생(李終生)을 명선 대부 진남정(鎭南正)으로, 이보생(李普生)을 명선 대부 장천정(長川正)으로, 숙평(淑平)을 광휘 대부(廣徽大夫) 신의령(新義令)으로, 검(儉)을 광휘 대부 어산령(語山令)으로, 중지(仲智)를 병직랑(秉直郞) 죽청감(竹靑監)으로, 이백강(李伯剛)을 수록 대부(綏祿大夫)로, 안맹담(安孟聃)을 광덕 대부(光德大夫)로, 박종우(朴從愚)를 광덕 대부 호조 판서(光德大夫戶曹判書)로, 윤계동(尹季童)·이등(李登)을 모두 봉헌 대부(奉憲大夫)로, 윤암(尹巖)·황유(黃裕)·윤평(尹泙)을 모두 통헌 대부(通憲大夫)로, 윤사로(尹師路)를 자의 대부(資義大夫)로 하였으며, 한확(韓確)을 병조 판서로, 성억(成抑)을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이맹진(李孟畛)·정연(鄭淵)을 모두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정인지(鄭麟趾)를 예문관 대제학, 신인손(辛引孫)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성염조(成念祖)를 병조 참판, 김의지(金義之)·유효통(兪孝通)을 모두 동지중추원사, 이익박(李益朴)을 호조 참의, 이선제(李先齊)를 병조 참의, 이사임(李思任)을 형조 참의, 윤창(尹敞)을 공조 참의로 임명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34책 105권 1장 A면【국편영인본】 4책 567면
  • 【분류】
    인사-임면(任免) / 인사-관리(管理)

    ○以爲昭德大夫誼成君, 𧪚昭德大夫順成君, 𡩁崇德大夫瑞原尹, 𧦞崇德大夫咸陽尹, 崇德大夫寶城尹, 承憲大夫醴泉君, 群生中義大夫順平君, 中義大夫平安尹, 譿中義大夫瑞山尹, 中義大夫高陽君, 中義大夫永川尹, 友直中義大夫宜春君, 中義大夫烏山君, 貴生明善大夫從義正, 德生明善夫夫守道正, 祿生明善大夫林偃正, 福生明善大夫石保正, 厚生明善大夫德原正, 好生明善大夫任城正, 隆生明善大夫貞石正, 善生明善大夫茂林正, 明善大夫原川正, 明善大夫紵川正, 明善大夫坤義正, 終生明善大夫鎭南正, 普生明善大夫長川正, 淑平廣徽大夫新義令, 廣徽大夫語山令, 仲智秉直郞竹靑監, 李伯剛綏祿大夫, 安孟聃光德大夫, 朴從愚光德大夫戶曹判書, 尹季童李登並奉憲大夫, 尹巖黃裕尹泙竝通憲大夫, 尹師路資義大夫, 以韓確爲兵曹判書, 成抑判中樞院事, 李孟畛鄭淵竝知中樞院事, 鄭麟趾藝文館大提學, 辛引孫漢城府事, 成念祖兵曹參判, 金義之兪孝通竝同知中樞院事, 李益朴戶曹參議, 李先齊兵曹參議, 李思任刑曹參議, 尹敞工曹參議。


    • 【태백산사고본】 34책 105권 1장 A면【국편영인본】 4책 567면
    • 【분류】
      인사-임면(任免) / 인사-관리(管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