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전의(遷奠儀)
천전의(遷奠儀)는,
"하루 전에 충호위가 영장(靈帳)과 길유(吉帷)를 묘(墓)의 서쪽에 남향하여 설치한다. 【길유(吉帷)는 영장(靈帳)의 서쪽에 있다. 】 그날에 집사자가 탑(榻)을 영장 안에 북쪽으로 가까이 설치하고, 영좌(靈座)를 탑 앞에 설치하며, 시책(諡冊)·시인(諡印)·애책안(哀冊案)을 영좌 앞에 설치하되, 조금 동쪽으로 설치한다. 유사(攸司)가 상주(喪主)의 자리[位]를 영장의 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내관(內官)은 그 뒤에 남쪽으로 가까이 북향하여 있게 한다. 집사자가 축판(祝版)을 영좌의 왼편에 올려 놓고, 향로·향합과 초를 영좌 앞에 진설하고, 준(樽)을 영장의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하며, 세(洗)를 영장의 바깥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여러 집사의 세(洗)도 또한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방상(方相)이 이르러서 광중(壙中)에 들어가 창[戈]으로 광(壙)의 네 귀퉁이를 친다. 명기(明器)는 소(筲)가 다섯, 옹(甕)이 셋, 무(甒)가 하나, 와종(瓦鍾)이 넷, 와경(瓦磬)이 넷, 와훈(瓦壎)이 하나, 소(簫)가 하나, 생(笙)이 하나, 지(篪)가 하나, 축(柷)이 하나, 어(敔)가 하나, 금(琴)이 하나, 슬(瑟)이 하나, 우(竽)·우(羽)·약(籥)·간(干)·순(楯)이 각각 하나, 와조(瓦竈)가 하나, 와부(瓦釜)가 하나, 와증(瓦甑)이 하나, 와정(瓦鼎)이 넷, 포작(匏勺)이 하나, 와주준(瓦酒尊)이 하나, 와배(瓦盃)가 다섯, 변(籩)이 열, 두(豆)가 열, 보(簠)가 하나, 궤(簋)가 하나, 준(樽)이 하나, 식발(食鉢)이 하나, 갱발(羹鉢)이 하나, 시접(匙楪)이 하나, 찬접(饌楪)이 하나, 소채(蔬菜)·포해접(脯醢楪)이 일곱, 적접(炙楪)이 하나, 주병(酒甁)이 하나, 식탁(食杔)이 하나, 시(匙)·저(筯)가 각각 하나, 식탁(食卓)이 하나, 관반(盥盤)이 하나, 관이(盥匜)가 하나, 향합(香合)이 하나, 향완(香椀)이 하나, 타우(唾盂)가 하나, 혼병(溷甁)이 하나, 수기(溲器)가 둘, 목안마(木鞍馬)가 둘, 목산마(木散馬)가 둘, 목노비(木奴婢)가 설흔, 목향악인(木鄕樂人)·목당악인(木唐樂人)이 열, 증백(贈帛)으로서 현(玄)이 여섯, 훈(纁)이 넷, 분홍릉 겹장삼(粉紅綾裌長衫)이 하나, 자적단자 겹격음(紫的段子裌隔音)이 하나, 홍단자의(紅段子衣)가 하나, 남라 겹상(藍羅裌裳)이 하나, 백릉 겹말군(白綾裌襪裙)이 하나, 백초 한삼(白綃汗衫)이 하나, 홍단자 대(紅段子帶)가 하나, 백저 활한삼(白苧闊汗衫)이 하나, 백저포 태의(白苧布苔衣)가 하나, 수건(手巾)이 하나, 초록 겹금(草綠裌衾)이 하나, 침(枕)이 하나, 홍단자 욕(紅段子褥)이 하나, 만화침석(滿花寢席)이 하나, 백포말(白布襪)이 하나, 백저포 이의(白苧布裏衣)가 하나, 홍단자 오지수(紅段子五指手)가 하나, 분홍단자 동화(粉紅段子同靴)가 하나, 분홍단자 온혜(粉紅段子溫鞋)가 하나, 소함(梳函)이 하나, 자황칠 목잠(紫黃漆木簪)·자황칠 목채(紫黃漆木釵)가 각각 하나, 토등상자(土藤箱子)가 둘, 주홍칠 간자(朱紅漆竿子)가 둘, 제음동(齊音同)이 하나, 거울[鏡]이 하나이니, 모두 광중(壙中)의 동남쪽에 북쪽을 위로 하여 진설한다.
혼백거(魂帛車)가 도착하면, 축(祝) 【내관(內官). 】 이 혼백함을 받들고, 영장(靈帳)에 나아가서 영좌에 봉안하고, 우주궤는 그 뒤에다 놓는다. 집사자 【내관. 】 가 시책·시인·애책과 평시책을 받들어 안상(案上)에 봉(封)하여 둔다. 유거가 도착하면, 섭첨지통례가 앞으로 나아가 유거 앞에 꿇어앉아, 거(車)에서 내려 순(輴)에 오를 것을 고(告)하여 청하고, 나서, 부복하였다 일어나 물러나서 꿇어앉는다. 봉구관(奉柩官)이 여구관(舁柩官)과 내관(內官)을 거느리고 영구(靈柩)를 받들어 순(輴)에 올리면, 섭첨지통례가 일어나서 영구를 인도하는데, 봉삽자(奉翣者)가 삽(翣)과 행장(行障)으로 영구를 가린다. 만사(挽士)가 순(輴)을 받들어 영장 앞에 이르면, 여구관과 내관이 영구를 받들어 탑(榻) 위에 남쪽을 위로 하여 봉안한다. 집사자가 명정(銘旌)을 취(取)하여 대[杠]를 떼어 버리고 그위에 놓는다.
때가 되면, 집사자가 손을 씻고 잔(盞)을 씻어서 닦아 가지고 준소(尊所)에 두며, 찬(饌)을 받들어 영좌 앞에 놓는다. 사의가 상주를 인도하여 자리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재배하고 곡하라.’ 창(唱)하여, 상주 이하가 재배하고 곡하기를 슬프게 한다. 사의가 상주를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서 관세하게 하고, 이를 마치면, 상주를 인도하여 영좌 앞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꿇어앉게 한다. 집사자 1인이 향합을 받들고, 집사자 1인이 향로를 받들어 꿇어앉아 올리면, 상주가 세 번 상향(上香)하고, 집사자가 향로를 영좌 앞에 올려 놓는다. 집사자가 차[茶]와 술을 올리면, 상주가 차를 올리고 술을 세 번 드리고 나서, 부복하였다 일어나 조금 물러나서 꿇어앉는다. 축이 영좌의 왼편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꿇어앉아 축문을 읽고 나면, 사의가 상주를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가게 하고, ‘재배하고 곡하라.’ 창(唱)하여, 상주 이하가 재배하고 곡하기를 슬프게 하고 차례로 나간다.
전기(前期)하여 상주(喪主)의 하직하는 자리[辭位]를 연도(羨道)의 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또 애책을 올리는 관원의 자리[進哀冊官位]를 연도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애책 받드는 관원의 자리[奉哀冊官位]를 또 그 남쪽에 설치하되, 조금 물려서 서향하게 한다. 서운 관원(書雲觀員)이 시간을 알리면, 유사(有司)가 영구를 봉안하는 욕위[安柩褥位]를 묘문(墓門) 밖에 남향하여 설치한다. 섭첨지통례가 영장(靈帳) 앞으로 나아가서 꿇어앉아, 순(輴)에 올려 광중(壙中)으로 나아가게 할 것을 고(告)하여 청한다. 고하기를 마치면, 부복하였다 일어나 물러나서 꿇어앉는다. 축 【내관. 】 이 요여(腰輿)로 혼백(魂帛)을 받들어 길유(吉惟)로 나아가서 영좌 앞에 봉안하고, 우주궤를 그 뒤에다 놓는다. 봉구관(奉柩官)이 수건[巾]을 가지고 나아가서 영구를 닦고, 아울러 구의(柩衣)를 턴다. 봉구관이 여구관과 내관을 거느리고 영구를 받들어 순(輴)에 올리면, 섭첨지통례가 일어나 영구를 인도하는데, 봉삽자가 삽(翣)과 행장(行障)으로 영구를 가린다. 만사(挽士)가 순(輴)을 받들어 광중(壙中)으로 나아가면, 상주 이하가 곡하며 따른다. 【궁인(宮人)은 따르지 아니한다. 】 진애책관(進哀冊官)과 봉책관(奉冊官)이 연도(羨道)의 동남쪽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면, 영구를 받들어 광외(壙外)의 욕(褥) 위에 봉안하고, 봉구관이 그 상하(上下)를 살피고, 영구를 받들어 연도로 들어가서 광내(壙內)의 탑욕(榻褥) 위에 봉안하되, 북쪽이 머리가 되게 한다. 봉구관이 다시 구의(柩衣)를 정돈하고, 명정(銘旌)은 평정(平正)하게 한다. 진책관(進冊官)이 애책을 가지고 들어가서 영구의 서쪽에 놓고, 광(壙) 밖에서 상주가 드리는 폐백[贈帛] 현(玄)여석과 훈(纁) 넷을 받아서 내관(內官)에게 주어 영구 동쪽에 놓게 하고, 보삽(黼翣)·불삽(黻翣)·화삽(畫翣)은 영구 옆에 세운다. 상주 이하가 사위(辭位)에 나아가서 재배하고 곡하고, 또 재배하고 곡하기를 슬프게 한다. 하직하기를 마치고 물러나면, 유사(攸司)가 후토(后土)118) 에게 제사하기를 의식과 같이 하고, 집사자가 명기(明器)를 넣어 두고 지석(誌石)을 묻는다. 조묘 도감(造墓都監)이 광문(壙門)을 잠그는데, 조묘 도감이 수석(首席)에 있고, 제조(提調)와 장령(掌令)이 함께 잠그는 것을 감시한다. 공조 참판(工曹參判)이 흙 아홉 삽을 덮으면, 유사(攸司)가 작공(作工)을 거느리고 흙을 덮는다. 일이 끝나면, 유거(柳車)와 순(輴) 등속은 경방(庚方) 【서편. 】 에서 태우는데, 기타(其他) 사람들이 통용(通用)할 수 있는 것은 태우지 아니한다. 진애책관(進哀冊官) 1인 【서연관(書筵官) 3품. 】 , 봉애책관(奉哀冊官) 1인 【참외(參外). 】 , 전작 집사자(奠爵執事者) 2인 【참외. 】 , 축(祝) 1인 【문관 참외(文官參外). 】 , 사의(司儀) 1인 【참외. 】 이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30책 93권 33장 A면【국편영인본】 4책 361면
- 【분류】왕실-비빈(妃嬪) / 왕실-의식(儀式)
- [註 118]후토(后土) : 토지신(土地神).
○遷奠儀:
前一日, 忠扈衛設靈帳及吉帷於墓之西, 南向。 【吉帷, 在靈帷之西。】 其日, 執事者設榻於靈帳內近北; 設靈座於榻前, 設諡冊印哀冊案於靈座前稍東。 攸司設喪主位於靈帳之南北向; 內官在後近南, 北向。 執事者奠祝(飯)〔版〕 於靈座之左; 設香爐香合幷燭於靈座前; 設樽於靈帳東南, 北向; 設洗於靈帳之外東南, 北向; 諸執事洗, 又於東南, 北向。 方相至, 入壙以戈擊壙四隅。 明器: 筲五、甕三、甒一、瓦鍾四、瓦磬四、瓦壎一、簫一、笙一、篪一、柷一、敔一、琴一、瑟一、竿羽籥干楯各一、瓦竈一、瓦釜一、瓦甑一、瓦鼎四、匏勺一、瓦酒尊一、瓦盃五、邊十、豆十、簠一、簋一、樽一、食鉢一、羹鉢一、匙楪一、饌楪一、蔬菜脯醢楪七、灸楪一、酒甁一、食托一、匙筯各一、食卓一、盥盤一、盥匜一、香合一、香椀一、唾盂一、溷甁一、溲器二、木鞍馬二、木散馬二、木奴婢各三十、木鄕唐樂人十、贈帛玄六、纁四、粉紅綾裌長衫一、紫的段子裌隔音一、紅段子衣一、藍羅裌裳一、白綾裌襪裙一、白綃汗衫一、紅段子帶一、白苧闊汗衫一、白苧布苔衣一、手巾一、草綠裌衾一、枕一、紅段子褥一、坐滿花寢席一、白布襪一、白苧布裏衣一、紅段子五指手一、粉紅段子同靴一、粉紅段子溫鞋一、梳函一、紫黃漆木簪釵各一、土藤箱子二、朱紅漆竿子二、齊音同一、鏡一等。 至, 陳於壙東南北上。 魂帛車至, 祝 【內官】 奉魂帛函, 就靈帳安於靈座, 虞主匱置其後。 執事者 【內官】 奉諡冊印哀冊及平時冊封, 置於案上。 柳車至, 攝僉知通禮進當柳車前跪, 告請降車升輴, 俯伏興退跪。 奉柩官帥舁柩官及內官, 奉柩升輴, 攝僉知通禮興導柩, 奉翣者以翣及行〔障〕 障柩。 挽士奉輴至靈帳前, 舁柩官及內官奉柩安於榻上, 南首。 執事者取銘旌去杠, 置其上。 時至, 執事者盥手, 洗盞拭盞, 置於尊所, 奉饌奠于靈座前。 司儀引喪主就位北向立, 唱再拜哭, 喪主以下再拜哭盡哀。 司儀引喪主詣盥洗位盥帨訖, 引喪主詣靈座前北向跪, 執事者一人奉香合, 執事者一人奉香爐跪進, 喪主三上香, 執事者奠爐于靈座前。 執事者進茶酒, 喪主酹茶三奠酒, 俯伏興小退跪。 祝進靈座之左, 西向跪讀祝文訖, 司儀引喪主復位, 唱再拜哭, 喪主以下再拜哭盡哀, 以次出。 前期, 設喪主辭位於羡道之南, 西向; 又設進哀冊官位於羡道東南, 西向; 奉哀冊官位又於其南小退, 西向。 書雲觀員報時, 有司設安柩褥位於墓門外, 南向。 攝僉知通禮進當靈帳前跪, 告請升輴詣壙, 告訖, 俯伏興退跪。 祝 【內官】 以腰轝奉魂帛就吉帷, 安於靈座前, 虞主匱置其後。 奉柩官以巾進拭柩, 幷拂柩衣。 奉柩官帥舁柩官及內官, 奉柩升輴, 攝僉知通禮興導柩, 奉翣者以翣及行障障柩。 挽士奉輴詣壙, 喪主以下哭從。 【宮人不從】 進哀冊官及奉冊官就羡道東南西向立, 奉柩安於壙外褥上。 奉柩官察其上下, 奉柩入自羡道, 安於壙內榻褥上, 北首。 奉柩官再整柩衣銘旌, 令平正。 進冊官以哀冊入, 跪奠於柩西於壙外。 喪主執贈帛玄六、纁四, 授內官置于柩東。 黼翣黻翣畫翣, 樹於柩旁。 喪主以下就辭位再拜哭, 又再拜哭盡哀辭訖退。 攸司祠后土如儀, 執事者藏明器下誌石。 造墓都監鎖閉壙門, 造墓都監居首提調與掌令, 竝監鎖閉。 工曹參判覆土九鍤, 攸司率作工覆土。 終事, 柳車及輴之屬, 於庚地焚之, 其他人通用者則不焚。 進哀冊官一 【書筵三品】 奉哀冊官一 【參外】 奠爵執事者二 【參外】 祝一 【文官參外】 司儀一 【參外】
- 【태백산사고본】 30책 93권 33장 A면【국편영인본】 4책 361면
- 【분류】왕실-비빈(妃嬪) / 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