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조에서 현덕빈의 사시(賜諡)및 상장(喪葬)에 관한 의주를 아뢰다
예조에서 현덕빈(顯德嬪)의 사시(賜諡) 및 상장(喪葬)에 대한 여러가지 의주(儀注)를 아뢰기를,
"시호(諡號)를 내리는 의식.
하루 전에 충호위(忠扈衛)가 임시로 책(冊)과 인(印盝)을 모셔 둘 악차(幄次)를 빈궁(殯宮) 문밖에 남향(南向)하여 설치하고, 사자(使者)의 장막[次]은 책(冊)·인(印)의 악차의 남쪽에 설치하되, 땅의 형편에 따라 적당하게 한다. 책안(冊案)·인안(印案)은 빈궁 월대(月臺) 위에 설치하되, 동북쪽에 남향으로 설치한다. 사자의 자리[位]를 책안·인안의 동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상주(喪主)가 대신하여 책·인을 받는 자리를 책안 앞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상주가 설 자리[立位]를 동계(東階) 아래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상주의 배위(拜位)를 뜰 가운데[庭中]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그날에 유사(有司)가 책·인의 누자(樓子)를 근정문(勤政門) 밖에 베풀어 놓고, 노부(鹵簿)를 【소가(小駕)의 의장(儀仗). 】 홍례문(弘禮門) 밖에 설치한다. 유사가 책함(冊函)과 인록(印盝)114) 을 받들고 안으로 들어오고, 【책안·인안은 사정전(思政殿) 문밖에 놓아둔다. 】 사자(使者)와 행사(行事)할 집사관(執事官)이 모두 상복(常服) 차림으로 예궐(詣闕)하여, 근정전 뜰에 들어와 길 동쪽으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선다. 승지(承旨)가 사정문(思政門)에 나아가 시책(諡冊)·시인(諡印)을 받들어 집사자에게 【내시 별감(內侍別監). 】 주면, 집사자가 꿇어앉아 받아서 책안과 인안에 놓고, 【안(案)마다 두 사람이 마주 든다. 】 근정전 동쪽 가[東邊]로 해서 사자의 동북쪽에 나아가 서향하고 서서, ‘교지(敎旨)가 있다.’ 한다. 통찬(通贊)이 ‘꿇어앉으라. ’고 찬(贊)하여, 사자가 꿇어앉으면, 승지가 교지를 전하여 말하기를, ‘왕세자빈 권씨의 시책(諡冊)과 시인(諡印)을 내리는데, 경(卿)에게 명하여 예를 실시[展禮]하게 한다.’ 한다.
선포가 끝나면, 집사자가 책안을 가지고 나아가서 승지의 남쪽에 서되, 조금 물러나서 함께 서향한다. 승지가 책함(冊函)을 취(取)하여 서향하고 사자에게 주면, 사자가 이를 받아 봉책관(奉冊官)에게 준다. 집사자가 인안(印案)을 가지고 나아가서 승지의 남쪽에 서면, 승지가 인록(印盝)을 취(取)하여 서향하고 사자에게 주면, 사자가 이를 받아 봉인관(奉印官)에게 준다. 【내시 집사자(內侍執事者)가 각기 책안과 인안을 행사 집사자에게 주고, 책안과 인안을 든 자는 물러간다. 】 책안과 인안을 든 자가 봉책관과 봉인관의 뒤에 선다. 사자가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봉책관과 봉인관이 앞서 가[前行]서 【책안과 인안을 든 자가 이를 따른다. 】 근정문 동편문(東偏門)으로 해서 나가고, 사자가 이를 수행(隨行)한다.
근정문 밖에 이르러 누자(樓子)에다 책함과 인록을 싣고 행(行)하여 홍례문 밖에 이르면, 노부(鹵簿)가 앞서 인도[前導]하여 빈궁(殯宮) 문밖 악차(幄次)에 이르러 임시로 안상(案上)에 봉안한다. 장차자(掌次者)가 사자를 인도하여 장막[次]에 나아가고, 사의(司儀)가 상주(喪主)를 인도하여 동계(東階) 아래에 나아가 서면, 사자가 장막에서 나와 문(門)의 서쪽에 동향하여 서고, 봉책관이 책함을 받들고, 봉인관이 인록을 받들고 사자의 북쪽에 서되, 모두 동향한다. 책안·인안을 든 자는 봉책관과 봉인관의 뒤에 선다. 사의가 들어가서 고(告)하면, 상주(喪主)가 상장(喪杖)을 버리고 질(絰)을 벗는다. 사의가 상주를 인도하여 문밖으로 나와 맞이한다. 【서쪽에서 동향한다. 】 사의가 사자를 인도하여 들어가는데, 봉책관과 봉인관이 먼저 가고, 안(案)을 가진 자가 이를 따라 올라가서 월대 위의 동쪽에 놓되, 북쪽으로 가까이 남향하여 놓는다. 사자는 그 동쪽에 서향하여 서고, 봉책관과 봉인관 및 안(案)을 든 자는 사자의 뒤에 서되, 조금 남쪽으로 서향하여 선다.
사의가 상주를 인도하여 배위(拜位)에 나아가서 북향하면, 사의가 ‘궁궁(鞠躬), 사배(四拜), 흥(興), 평신(平身)’ 이라 찬(贊)하여, 상주가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서 평신한다. 사자가 ‘교지가 있다. ’고 말하면, 사의가 ‘꿇어앉으라. ’고 찬하여, 상주가 꿇어앉는다. 사자가 교지를 선포하기를, ‘시책(諡冊)과 시인(諡印)을 하사한다.’ 한다. 선포가 끝나면, 사의가 ‘부복(俯伏), 흥(興), 사배(四拜), 흥(興), 평신(平身)’이라 찬하여, 상주가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고,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사의가 상주를 인도하여 서계(西階)로 올라가서 들어가, 대신하여 책·인을 받는 자리로 나아가서 꿇어앉으면, 사자가 책함(冊函)을 취(取)하여 상주에게 준다. 상주가 책함을 받으면, 책안(冊案)을 드는 자[擧冊案者]가 책안을 들고 앞으로 나아가서 꿇어앉아 영좌(靈座) 앞에 놓는다. 상주가 책함을 꿇어앉아 영좌 앞에 놓고, 상주가 돌아와 대신하여 책·인을 받는 자리로 나아가서 꿇어앉으면, 사자가 인록을 취하여 상주에게 준다. 상주가 인록을 받으면, 인안을 드는 자[擧印案者]가 인안을 들고 앞으로 나아가서 꿇어앉아 영좌 앞에 놓는다. 상주가 인록을 꿇어앉아 영좌 앞에 놓고 내려와서 동계(東階) 아래에 서면, 사의가 사자를 인도하여 나가는데, 상주가 문밖까지 전송한다. 사자가 돌아가면, 사의가 상주를 인도하여 질(絰)을 띠고 상장(喪杖)을 짚고 들어온다. 사(使) 1인 【정2품. 】 , 봉책관(奉冊官) 1인 【참외(參外). 】 , 봉인관(奉印官) 1인 【참외(參外). 】 , 거책안자(擧冊案者) 1인 【참외(參外). 】 , 거인안자(擧印案者) 1인 【참외(參外). 】 , 통찬(通贊) 1인 【통례문(通禮門). 】 , 사의(司儀) 1인 【참외(參外). 】 이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30책 93권 28장 B면【국편영인본】 4책 358면
- 【분류】왕실-종사(宗社) / 왕실-비빈(妃嬪) / 왕실-의식(儀式)
- [註 114]인록(印盝) : 인을 담은 궤(櫃).
○禮曹啓顯德嬪賜諡及喪葬諸儀注:
賜諡儀: 前一日, 忠扈衛設權安冊印幄次於殯宮門外, 南向; 設使者次於冊印幄之南, 隨地之宜; 設冊印案于殯宮月臺上東北, 南向; 設使者位于冊印案之東, 西向; 設喪主代受冊印位於冊案前, 北向; 設喪主立位於東階下, 西向; 設喪主拜位于庭中北向。 其日, 有司陳冊印樓子於勤政門外, 設鹵簿于弘禮門。 【小駕儀仗】 有司奉冊函印盝入內。 【冊印案, 置於思政殿門外。】 使者及行事執事官, 竝常服詣闕, 入就勤政殿庭道東北向立。 承旨詣思政門, 奉諡冊諡印授執事者, 【內侍別監】 執事者跪受, 置于冊印案, 【每案二人對擧】 由勤政殿東邊, 詣使者東北西向立, 稱有旨。 通贊贊跪, 使者跪, 承旨宣旨曰: "賜王世子嬪權氏諡冊諡印, 命卿展禮。" 宣訖, 執事者以冊案進, 立於承旨之南小退, 俱西向。 承旨取冊函, 西向授使者, 使者受, 以授奉冊官。 執事者以印案進立於承旨之南, 承旨取印盝西向授使者, 使者(授)〔受〕 , 以授奉印官。 【內侍執事者, 各以冊印案授行事擧冊印案者, 退。】 擧冊印案者立於奉冊印官之後, 使者俯伏興平身, 奉冊印官前行, 【擧冊印案者隨之】 由勤政門東偏門出, 使者隨行至勤政門外, 以樓子載冊函印盝而行, 至弘禮門外。 鹵簿前導, 至殯宮門外幄次, 權安於案上。 掌次者引使者就次, 司儀引喪主就東階下立, 使者出次, 立於門西東向。 奉冊官奉冊函, 奉印官奉印盝立於使者之北, 俱東向; 擧冊印案者立於奉冊印官之後。 司儀入告, 喪主去杖免絰, 司儀引喪主出迎於門外。 【在西東向】 司儀引使者入, 奉冊印官先行, 持案者從之, 升置於月臺上東近北, 南向。 使者立於其東, 西向; 奉冊印官及擧案者立於使者之後稍南, 西向。 司儀引喪主就拜位北向, 司儀贊鞠躬四拜興平身, 喪主鞠躬四拜興平身。 使者稱有旨, 司儀贊跪, 喪主跪, 使者宣旨曰: "賜諡冊印。" 宣訖, 司儀贊俯伏興四拜興平身, 喪主俯伏興四拜興平身。 司儀引喪主升自西階, 入就代受冊印位跪, 使者取冊函授喪主, 喪主受冊函, 擧冊案者進, 擧冊案跪奠于靈座前, 喪主以冊函跪奠于靈座前。 喪主還就代受冊印位跪, 使者取印盝授喪主, 喪主受印盝, 擧印案者進, 擧印案跪奠于靈座前, 喪主以印盝跪奠于靈座前, 降立於東階下。 司儀引使者出, 喪主送于門外。 使者還, 司儀引喪主, 絰杖而入。 使一 【正二品】 奉冊官一 【參外】 奉印官一 【參外】 擧冊案者一 【參外】 擧印案者一 【參外】 通贊一 【通禮門】 司儀一 【參外】
- 【태백산사고본】 30책 93권 28장 B면【국편영인본】 4책 358면
- 【분류】왕실-종사(宗社) / 왕실-비빈(妃嬪) / 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