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89권, 세종 22년 6월 29일 기해 4번째기사 1440년 명 정통(正統) 5년

예조에서 여제 의주를 지어 바치다

예조(禮曹)에서 여제 의주(厲祭儀注)를 지어 바치었는데, 【성황단(城隍壇)에서 발고(發告)하고, 북교단(北郊壇)에서 제사를 행한다. 】

"시일이 되어 장차 제사지내려 하면 서운관(書雲觀)에서 봄에는 청명일(淸明日)로, 가을에는 7월 15일로, 겨울에는 10월 1일로 【모두 3일을 전기하여 성황(城隍)에 발고(發告)한다. 】 예조(禮曹)에 보고하면 예조에서 유사(攸司)에게 산고(散告)하여 직책에 따라 공판(供辦)하게 한다. 제계(齊戒)는 제사지내기 전에 사흘 동안 하는데, 행사에 응할 집사관(執事官)은 모두 2일 동안을 산재(散齋)하여 정침(正寢)에서 자고, 1일을 제소(祭所)에서 치재(致齋)한다. 무릇 산재(散齋)는 일 다스리는 것을 전과 같이 하고 오직 술을 마시지 않으며 파·부추·마늘을 먹지 않으며, 조상(弔喪)과 문병을 하지 않으며, 풍악을 듣지 않으며, 형벌(刑罰)을 행하지 않으며, 형살(刑殺)하는 문서에 서명(署名)하지 않으며, 더럽고 악한 일에 참예하지 않는 것이며, 치재(致齋)은 오직 제사를 행하는 일뿐인 것이다. 【무릇 제사에 참예하는 자는 모두 2일 전에 목욕하고 옷을 갈아 입는다. 】 성황(城隍)에는 발고(發告)하기 하루 전에 충호위(忠扈衛)가 여러 제관의 위차(位次)를 마련하고, 또 찬만(饌幔)을 설치하되 모두 동문(東門) 밖에 땅의 형편에 따른다. 전사관(典祀官)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단(壇)의 안팎을 소제하고, 성황좌(城隍座)를 단(壇) 위 북쪽에 남향하게 마련하고 완석(莞席)을 깐다. 헌관(獻官)의 자리를 단 아래 동남쪽에 서향하게 마련하고, 집사자의 자리를 그 뒤에 조금 남쪽으로 서향하여 마련하되 북쪽을 위로 한다. 감찰의 자리를 집사의 남쪽에 서향하여 마련하고, 서리(書吏)는 그 뒤에 모시게 한다.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의 자리는 동계(東階) 서쪽에 서향하게 마련하되 북쪽을 위로 한다. 예감(瘞坎)을 단의 북쪽 임방(壬方)의 땅에 파되, 깊이는 물건을 용납할 만큼으로 한다.

제사날 축시(丑時) 전 5각(刻)에 【축시 전 5각은 곧 3경(更) 3점(點)이다. 행사는 축시 1각을 쓴다. 】 전사관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들어가 축판(祝版)을 신위(神位) 오른쪽에 놓고, 【점(坫)이 있다. 】 향로·향합과 촉(燭)을 신위 앞에 설치하고, 다음에 제기를 설치하고 찬구(饌具)를 채운다. 왼쪽에 변(籩)이 한 개이고 【황률(黃栗)로 채운다. 】 오른쪽에 두(豆)가 한 개이다. 【녹해(鹿醢)로 채운다. 】 작(爵)은 한 개인데 변(籩)과 두(豆) 사이에 있다. 【점이 있다. 】 상준(象尊) 두 개를 설치하되, 【하나는 현주(玄酒)로 채워 상준(上尊)으로 하고, 하나는 청주(淸酒)로 채운다. 】 단(壇) 위 동남쪽 모퉁이에 북향하여 있게 하여 서쪽을 위로 한다. 세(洗)는 남쪽 계폐(階陛)의 동남쪽에 북향하게 설치한다. 【관세(盥洗)는 동쪽에 있고, 작세(爵洗)는 서쪽에 있다. 】 뇌(罍)는 세(洗) 동쪽에 있고 작(勺)을 얹는 비(篚)는 세(洗)의 서남쪽 자리에 있는데, 건(巾)과 작(爵)을 담고, 점(坫)이 있다. 진설이 끝나면 전사관이 물러나서 위차에 나가 자기 옷을 갈아입고 올라가 신위판을 신좌(神坐)에 설치한다. 3각 전에 헌관(獻官)과 여러 집사가 각각 그 제복을 입는다.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은 동문으로 들어와서 먼저 단 남쪽 배위(拜位)에 나가, 북향하여 서쪽을 위로 하여 서서 사배하기를 마치고서 위차에 나아간다. 알자가 헌관 이하를 인도하여 함께 동문 바깥 위차에 나아간다. 1각 전에 찬인이 감찰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각각 위차에 나아간다. 재랑(齋郞)이 작세위(爵洗位)에 나가서 작(爵)을 씻어 수건으로 훔치어 비(篚)에 넣어 받들어 가지고 준소(尊所)에 나가 점(坫) 위에 놓는다.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들어가 위차에 나가 서향하여 선다. 찬자가 ‘사배하라.’ 하고 말하면, 헌관이 사배한다. 알자가 헌관의 왼쪽으로 나가 행사하기를 찬(贊)하여 청하고,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에 나가 북향하여 서면, 찬하여 홀(笏)을 꽂고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고,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는 것은 찬하지 않는다. 】 찬하여 홀을 잡고 인도하여 단에 나가 남쪽 계폐(階陛)로 올라가 신위 앞에 나가 북향하여 선다. 찬하여 꿇어앉고 홀을 꽂는다. 집사자 한 사람은 향합(香盒)을 받들고, 집사자 한 사람은 향로(香爐)를 받든다. 알자가 찬하여 세 번 향을 올리는데, 집사자가 향로를 신위 앞에 놓는다. 【대개 봉향(捧香)은 헌관의 오른쪽에 있고, 전로(奠爐)는 헌관의 왼쪽에 있다. 수작(授爵) 전작(奠爵)도 여기에 준한다. 】 알자가 찬하여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인도하여 내려와 위차에 돌아온다. 조금 있다가 찬자가 ‘작헌례(酌獻禮)를 행하라.’ 하고 말하면,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남쪽 계폐로 올라가서 준소(尊所)에 나가 서향하여 선다.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고 술을 따르고, 집사자가 작(爵)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가 북향하여 서면, 찬하여 꿇어앉아 홀을 꽂는다. 집사자가 작을 헌관에게 주면, 헌관이 작을 잡아 작을 드리는데,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 앞에 놓게 한다. 알자가 찬하여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서 북향하여 꿇어앉는다. 대축이 신위의 오른쪽에 나가 동향하여 꿇어앉아서 축문을 읽기를 마치면, 알자가 찬하여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인도하여 내려와 위차에 돌아온다. 찬자가 ‘변두를 거두라. ’고 말하면, 대축이 나가서 변두를 거두기를 의식과 같이 한다. 찬자가 ‘사배하라.’ 하고 말하면, 헌관이 사배한다. 알자가 헌관의 왼쪽에 나가 ‘예가 끝났습니다. ’고 아뢰고, 헌관을 인도하여 나간다. 찬인이 감찰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단 남쪽 배위(拜位)에 나가 서서 고정한다. 찬자가 ‘사배하라.’ 하고 말하면, 감찰 이하가 모두 사배한다. 알자가 차례로 인도하여 나간다. 알자·찬자·찬인이 단 남쪽 배위에 나가 사배하고 나간다. 전사관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신위판을 간직하고 예찬(禮饌)을 거두어 가지고 내려가서 물러간다. 축판은 구덩이에 묻는다. 북교(北郊)의 진설(陳設)은 제사 하루 전에 충호위(忠扈衛)가 여러 제관의 위차를 마련하고, 또 찬만(饌幔)을 베풀되 모두 동문 밖에 땅의 형편에 따라 한다. 전사관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단(壇)의 안팎을 소제하고, 헌관의 자리를 단 아래 동남에 서향하게 마련하고, 【무사귀신(無祀鬼神) 헌관의 위차는 조금 물린다. 】 집사자의 위차는 그 뒤에 마련하되, 모두 서향하여 북쪽을 위로 한다. 감찰의 자리는 집사의 남쪽에 서향하게 마련하고, 서리는 그 뒤에 모신다. 알자·찬자·찬인의 자리는 헌관의 서남쪽에 서향하게 마련하되 북쪽을 위로 한다.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고 찬인은 감찰을 인도하여, 모두 평상복으로 주방(廚房)에 나가 척탁(滌濯)한 것을 보고 찬구를 살피고, 생(牲)의 살찌고 실찌지 아니한 것을 보고 함께 재소(齋所)에 돌아온다. 신시(申時) 뒤에 전사관이 재인(宰人)038) 을 거느리고 생(牲)을 벤다. 【가죽째 삶아 익힌다. 】

제삿날 행사하기 전에 전사관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성황신(城隍神)의 자리를 단 위 북방에 남향하게 마련하고 완석(莞席)으로 깐다. 향로·향합과 촉(燭)을 신위 앞에 설치하고, 다음에 제기를 설치하여 찬구를 세운다. 변(籩) 네 개는 왼쪽에 있어 두 줄로 하여 오른쪽을 위로 하고, 【첫째 줄은 형염(形鹽)이 앞에 있고 건조(乾棗)가 다음이며, 둘째 줄은 율황(栗黃)이 앞에 있고 어수(魚鱐)가 다음에 있다. 】 두(豆) 네 개는 오른쪽에 있어 두 줄로 하여 왼쪽을 위로 한다. 【첫째 줄은 부추 김치가 앞에 있고 담해(醞醢)가 다음이며, 둘째 줄은 무 김치가 앞에 있고 녹해(鹿醢)가 다음이다. 】 조(俎)는 두 개인데 하나는 변의 앞에 있고, 하나는 두의 앞에 있다. 【변 앞의 조는 양성(羊腥)으로 채우고, 두 앞의 조는 시성(豕腥)으로 채운다. 】 보(簠)·궤(簋)는 각각 두 개인데 변과 두 사이에 있다. 보는 좌편에 있고 궤는 우편에 있다. 【보는 벼와 수수로 채우는데 수수가 벼 앞에 있고, 궤는 기장과 피로 채우는데 피가 기장의 앞에 있다. 】 형(鉶)은 하나인데 보·궤의 뒤에 있고, 【화갱(和羹)으로 채우고 모활(芼滑)을 가한다. 】 작(爵)은 셋인데, 보·궤의 앞에 있다. 【각각 점(坫)이 있다. 】 상준(象尊) 두 개를 설치하되, 【한 개는 현주(玄酒)를 담아 상준(上尊)으로 하고, 하나는 청주(淸酒)를 담는다. 】 단(壇) 위 동남쪽 모퉁이에 있어 북향하여 서쪽을 위로 한다. 또 무사귀신패(無祀鬼神牌)를 단 아래 좌우에 설치(設置)하되, 모두 완석(莞席)을 깐다. 【칼에 맞아 횡사한 자, 수화(水火) 도적에 죽은 자, 남에게 재물을 빼앗기고 핍박되어 죽은 자, 남에게 처첩을 강탈당하고 죽은 자, 형화(刑禍)를 만나서 억울하게 죽은 자, 천재(天災)가 유행하여 역길에 죽은 자는 좌편에 있어 서향하고, 맹수와 독충에게 해를 당한 자, 굶주리고 얼어 죽은 자, 전투로 인하여 죽은 자, 위급으로 인하여 스스로 목매어 죽은 자, 담[墻]이 무너져서 압사(壓死)한 자, 죽은 뒤에 자손이 없는 자는 우편에 있어 동향한다. 】 제기(祭器)를 설치하는데 매 위(位)마다 증반(烝飯) 한 그릇을 놓고, 【벼로 채운다. 】 조(俎) 두 개는 반(飯)과 갱(羹) 앞에 있고, 【양과 돼지를 쓸어서 목반(木盤)에 담는다. 】 갱(羹)은 한 그릇이고, 【화갱으로 채운다. 】 잔(盞)은 셋인데, 조(俎) 앞에 있다. 술병을 앞에 베풀고 제문(祭文) 【제문은 곧 교서(敎書)이다. 】 안(案)을 단 아래 중앙에 설치한다. 세(洗)는 단 아래 동남에 북향하게 설치한다. 【관세(盥洗)는 동쪽에 있고, 작세(爵洗)는 서쪽에 있다. 】 뇌(罍)는 세(洗)의 동쪽에 있고, 작(勺)을 얹은 비(篚)는 세의 서남쪽 자리에 있는데, 건(巾)과 작(爵)으로 채운다. 또 무사귀신(無祀鬼神) 헌관의 세위(洗位)를 신위 남쪽에 북향하게 설치하고, 여러 집사의 관세위(盥洗位)를 동남쪽에 베풀되, 모두 북향한다. 준(尊)·뇌(罍)·비(篚)·멱(羃)을 잡은 자의 자리는 준·뇌·비·멱의 뒤에 설치한다.

행례는 제삿날 축시(丑時) 전 5각에 【축시 전 5각은 곧 3경 3점이다. 행사는 축시 전 1각을 쓴다. 】 전사관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들어가 찬구를 채우기를 끝내면, 물러가 자리에 나가 자기의 옷을 입고 올라와 성황신 위판과 무사귀신 위판을 신좌(神座)에 설치한다. 3각 전에 행사 집사관이 각각 그 제복을 입는다. 알자·찬자·찬인이 먼저 단 남쪽의 배위에 나가 북향하여 서쪽을 위로 하여 서서 사배하기를 끝마치고서 자리에 나간다. 1각 전에 찬인이 감찰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각각 자리에 나간다. 집사자가 작세위(爵洗位)에 나가 작을 씻어 수건으로 훔친 뒤에, 광우리에 넣어서 받들어 가지고 성황 준소(尊所)에 나가 점(坫) 위에 놓는다. 또 집사자가 잔을 씻어 무사귀신 위 앞에 나누어 놓는다.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고, 찬인은 무사귀신 헌관을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가 서향하여 선다. 찬자가 ‘사배하라.’ 하고 말하면, 헌관 이하가 모두 사배한다. 알자가 헌관의 왼쪽에 나가, ‘유사(有司)가 삼가 갖추었으니 행사를 청합니다. ’고 아뢰고,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관세 위에 나가 북향하여 선다. 찬(贊)하여 홀(笏)을 꽂고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는다.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는 것은 찬하지 아니한다. 】 찬하여 홀을 잡고 인도하여 단에 나가 남쪽 계폐(階陛)로 올라 성황신 위 앞에 나가 북향하여 선다. 찬하여 꿇어앉아 홀을 꽂는다. 집사자 한 사람은 향합을 받들고, 집사자 한 사람은 향로를 받든다. 알자가 찬하여 세 번 향을 올리는데, 집사자가 향로를 신위 앞에 놓는다. 알자가 찬하여 홀로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인도하여 내려와서 위차에 돌아온다. 조금 있다가 찬자가 ‘초헌례를 행하라.’ 하고 말하면,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남쪽 계폐로 올라가 성황 준소에 나가 서향하여 선다.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고 술을 따르는데, 집사자가 작(爵)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가 북향하여 선다. 찬하여 꿇어앉아 홀을 꽂는다. 집사자가 작을 헌관에게 주면 헌관이 작을 잡아 작을 드리는데, 작을 집사에게 주어서 신위 앞에 놓는다. 찬하여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인도하여 내려와 자리에 돌아온다. 조금 있다가 찬자가 ‘아헌례를 행하라.’ 하고 말하면,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올라가 성황 준소에 나가 서향하여 선다.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고 술을 따르는데, 집사자가 작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가서 북향하여 선다. 찬하여 꿇어앉아 홀을 꽂는다. 집사자가 작을 헌관에게 주면 헌관이 작을 잡아 작을 드리는데,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서 신위 앞에 놓는다. 알자가 찬하여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인도하여 내려와 위차에 돌아온다. 조금 있다가 찬자가 ‘종헌례를 행하라.’ 하고 말하면,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행례하기를 아헌례와 같이 하고, 인도하여 내려와 위차에 돌아온다. 초헌관·종헌관이 이미 올라올 때, 찬이 무사귀신 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가 홀을 꽂고 손을 씻고 수건질을 하고나서 홀을 잡고 준소에 나간다. 집준자(執尊者)가 술을 따르면 집사자가 잔으로 술을 받는다. 헌관이 무사귀신 위 앞에 나가 선다. 【좌편이면 동향하고, 우편이면 서향한다. 】 찬인이 찬하여 홀을 잡는다. 집사자가 잔을 주면 헌관이 잔을 잡아 잔을 드리는데, 【연하여 석 잔을 드린다. 】 차례로 잔을 드리기를 다하면 찬인이 찬하여 홀을 잡고 인도하여 단(壇) 가운데 나가 북향하여 선다. 대축(大祝)이 제문을 취하여 무사귀신 헌관의 왼쪽에 나가 동향하여 서서 읽기를 끝마치면, 찬인이 인도하여 위차에 돌아간다. 찬자가 ‘변두를 거두라. ’고 말하면, 대축이 나와서 변·두를 걷는다. 【걷는다는[徹] 것은 변·두를 각각 하나씩을 조금씩 예전 있던 곳에서 옮기는 것이다. 】 찬자가 ‘사배하라.’ 하고 말하면, 헌관으로서 자리에 있는 자가 모두 사배한다. 대축이 제문을 태우기를 끝마치면 알자가 헌관의 왼쪽에 나아가 예가 끝났다고 아뢴다. 알자·찬인이 각각 헌관을 인도하여 차례로 나간다. 찬인이 감찰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단의 남쪽 배위(拜位)에 나가 서서 고정한다. 찬자가 ‘사배하라.’ 하고 말하면, 감찰 이하가 모두 사배하기를 끝마친다. 찬인이 차례로 인도하여 나간다. 알자·찬자·찬인이 단 남쪽 배위에 나가 사배하고 나간다. 전사관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성황신 위판과 무사귀신 위패를 간직하고 예찬(禮饌)을 거두고 물러간다. 행사 집사관은 헌관 【한성부(漢城府) 당상(堂上). 】 ·무사귀신 헌관 【한성부 소윤(小尹). 】 ·전사관 【한성부 판관(判官) 이하. 】 ·대축 【명신의 참외. 】 ·축사 두 사람 【참외. 】 ·재랑 두 사람 【참외. 】 ·알자 【참외. 】 ·찬자 【참외. 】 ·찬인 【참외. 】 ·감찰 이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28책 89권 36장 B면【국편영인본】 4책 297면
  • 【분류】
    풍속-예속(禮俗) / 출판-서책(書冊) / 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

○禮曹撰進厲祭儀注:

【發告城隍壇, 行祭北郊壇。】 時日: 將祭, 書雲觀以春淸明日、秋七月十五日、冬十月一日 【竝前期三日, 發告城隍。】 報禮曹。 禮曹啓聞, 散告攸司, 隨職供辦。 齋戒: 前祭三日, 應行事執事官, 竝散齋二日, 宿於正寢, 致齋一日於祭所。 凡散齋, 治事如故, 唯不縱酒, 不食葱韭蒜, 不弔喪問疾, 不聽樂, 不行刑, 不判署刑殺文書, 不預穢惡事; 致齊, 唯行祭事。 【凡預祭者, 皆前二日, 沐浴更衣。】 城隍發告: 前一日, 忠扈衛設諸祭官次, 又設饌幔, 皆於東門外, 隨地之宜。 典祀官帥其屬, 掃除壇之內外。 設城隍座於壇上北方南面, 席以莞; 設獻官位於壇下東南, 西向; 執事者位於其後稍南, 西向北上; 設監察位於執事之南, 西向; 書吏陪其後; 謁者贊者贊引位於東階之西, 西向北上; 開瘞坎於壇之北壬地, 方深取足(客)〔容〕 物。 祭日丑前五刻, 【丑前五刻, 卽三更三點。 行事用丑時一刻。】 典祀官帥其屬入, 奠祝版於神位之右, 【有坫】 設香爐香合幷燭於神位前, 次設祭器實饌具, 左一籩, 【實以黃栗】 右一豆。 【實以鹿醢】 爵一在籩豆間, 【有坫】 象尊二 【一實玄酒爲上尊一實淸酒。】 在壇上東南隅, 北向西上。 設洗於南陛東南, 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肆, 實以巾爵。 【有坫】 設訖, 典祀官退就次, 服其服升, 設神位版於座前。 三刻, 獻官及諸執事各服其服。 謁者贊者贊引入自東門, 先就壇南拜位, 北向西上四拜訖就位; 謁者引獻官以下俱就東門外位。 前一刻, 贊引引監察及諸執事各就位, 齋郞詣爵洗位, 洗爵拭爵訖, 置於篚捧詣尊所, 置於坫上。 謁者引獻官入就位西向立, 贊者曰: "四拜。" 獻官四拜。 謁者進獻官之左, 贊請行事。 謁者引獻官詣盥洗位北向立, 贊搢笏。 盥手帨手, 【盥手帨手不贊】 贊執笏, 引詣壇升自南陛, 詣神位前北向立, 贊跪搢笏。 執事者一人捧香合, 執事者一人捧香爐, 謁者贊三上香, 執事者奠爐于神位前, 【凡捧香在獻官之右, 奠爐獻官之左。 授爵奠爵, 準此。】 謁者贊執笏俯伏興平身, 引降復位。 少頃, 贊者曰: "行酌獻禮。" 謁者引獻官升自南陛, 詣尊所西向立, 執尊者擧羃酌酒, 執事者以爵受酒。 謁者引獻官詣神位前北向立, 贊跪搢笏, 執事者以爵授獻官, 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謁者贊執笏, 俯伏興少退北向跪, 大祝進神位之右, 東向跪讀祝文訖, 謁者贊俯伏興平身, 引降復位。 贊者曰: "徹籩豆。" 大祝進徹籩豆如式。 贊者曰: "四拜。" 獻官四拜。 謁者進獻官之左白禮畢, 引獻官出。 贊引引監察及諸執事, 就壇南拜位。 立定, 贊者曰: "四拜。" 監察以下皆四拜, 謁者以次引出。 謁者贊者贊引就壇南拜位, 四拜而出。 典祀官帥其屬藏神位版, 徹禮饌以降乃退。 祝版瘞於坎北郊。 陳設: 前祭一日, 忠扈衛設諸祭官次, 又設饌幔, 皆於東門外, 隨地之宜。 典祀官帥其屬掃除壇之內外, 設獻官位於壇下東南, 西向; 【無祀鬼神獻官位, 稍却。】 執事者位於其後, 俱西向北上; 設監察位於執事之南西向, 書吏陪其後; 謁者贊者贊引位於獻官西南, 西向北上。 謁者引獻官, 贊引引監察, 俱以常服詣廚, 視滌濯省饌具及視牲充腯, 俱還齋所。 晡後, 典祀官帥宰人割牲。 【連皮煮熟】 祭日未行事前, 典祀官帥其屬, 設城隍神座於壇上北方南向, 席以莞; 設香爐香合幷燭於神位前。 次設祭器實饌具, 籩四在左, 爲二行右上; 【第一行形鹽在前, 乾棗次之。 第二行栗黃在前, 魚次之。】 豆四在右, 爲二行左上。 【第一行韭菹在前, 醓醢次之。 第二行菁菹在前, 鹿醢次之。】 俎二一在籩前, 一在豆前。 【籩前俎實以羊腥, 豆前俎實以豕腥。】 簠簋各二在籩豆之間, 簠在左, 簋在右。 【簠實以稻粱, 粱在稻前。 簋實以黍稷, 稷在黍前。】 鉶一在簠簋後, 【實以和羹, 加芼滑。】 爵三在簠簋前。 【各有坫】 設象尊二 【一實玄酒爲上尊, 一實淸酒。】 在壇上東南隅, 北向西上。 又設無祀鬼神牌於壇下左右, 席皆以莞; 【遭兵刃而橫傷者、死於水火盜賊者、被人取財而逼死者、被人强奪妻妾而死者、遭刑禍而負屈死者、天災流行而疾死者在左西向, 爲猛獸毒蟲所害者、爲飢餓凍死者、因戰鬪而隕身者、因危急而自縊(苫) 〔者〕、因墻屋傾頹而壓死者、死後無子孫者在右東向。】 設祭器: 每位烝飯一盆, 【實以稻】 俎二在飯羹前。 【羊豕解置盛於木盤】 羹一器 【實以和羹】 盞三在俎前, 設酒甁於前。 設祭文 【祭文, 卽敎書。】 案於壇下居中, 設洗於壇下東南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肆, 實以巾爵。 又設無祀鬼神獻官洗於神位之南, 北向; 設諸執事盥洗位於東南, 俱北向; 執尊罍篚羃者位於尊罍篚羃之後。 行禮: 祭日丑前五(列)〔刻〕 , 【丑前五刻, 卽三更三點。 行事用丑前一刻。】 典祀官帥其屬入, 實饌具畢, 退就次服其服升, 設城隍神位版及無祀鬼神版於座。 前三刻, 行事執事官各服其服, 謁者贊者贊引先就壇南拜位, 北向西上四拜訖就位。 前一刻, 贊引引監察及諸執事各就位, 執事者詣爵洗位, 洗爵拭爵訖, 置於篚捧詣城隍尊所, 置於坫上。 又執事者洗盞, 分置於無祀鬼神位前。 謁者引獻官, 贊引引無祀鬼神獻官入就位西向立。 贊者曰: "四拜。" 獻官以下皆四拜。 謁者進獻官之左白: "有司謹具請行事。" 謁者引獻官詣盥洗位北向立贊搢笏, 盥手帨手, 【盥手帨手, 不贊。】 贊執笏, 引詣壇升自南陛, 詣城隍神位前北向立, 贊跪搢笏, 執事者一人捧香合, 執事者一人捧香爐, 謁者贊三上香, 執事者奠爐于神位前。 謁者贊執笏俯伏興平身, 引降復位。 少頃, 贊者曰: "行初獻禮。" 謁者引獻官升自南陛, 詣城隍尊所西向立, 執尊者擧羃酌酒, 執事者以爵受酒。 謁者引獻官詣神位前北向立, 贊跪搢笏, 執事者以爵授獻官, 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贊執笏俯伏興平身, 引降復位。 少頃, 贊者曰: "行亞獻禮。" 謁者引獻官升詣城隍尊所西向立, 執尊者擧羃酌酒, 執事者以爵受酒。 謁者引獻官詣神位前北向立, 贊跪搢笏, 執事者以爵授獻官, 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謁者贊俯伏興平身, 引降復位。 少頃, 贊者曰: "行終獻禮。" 謁者引獻官行禮如亞獻儀, 引降復位。 初, 終獻官旣升, 贊引引無祀鬼神獻官, 詣盥洗位, 搢笏盥手帨手訖, 執笏詣尊所, 執尊者酌酒, 執事者以盞受酒。 獻官詣無祀鬼神位前立, 【左則東向, 右則西向。】 贊引贊執笏, 執事者授盞, 獻官執盞奠盞, 【連奠三盞】 以次奠訖, 贊引贊執(勿)〔笏〕 , 引詣壇中北向立。 大祝取祭文進無(祝)〔祀〕 鬼神獻官之左, 東向立讀訖, 贊引引復位。 贊者曰: "徹籩豆。" 大祝進徹籩豆。 【徹者, 籩豆各一, 小移於故處。】 贊者曰: "四拜。" 獻官在位者皆四拜。 大祝焚祭文訖, 謁者進獻官之左白禮畢, 謁者贊引各引獻官以次出。 贊引引監察及諸執事就壇南拜位。 立定, 贊者曰: "四拜。" 監察以下皆四拜訖, 贊引以次引出。 謁者贊者贊引就壇南拜位, 四拜而出。 典祀官帥其屬, 藏城隍神位版及無祀鬼神牌, 徹禮饌乃退。 行事執事官: 獻官、 【漢城府堂上。】 無祀鬼神獻官、 【漢城府小尹。】 典祀官、 【漢城府判官以下。】 大祝、 【文臣參外】 祝史二、 【參外】 齋郞二、 【參外】 謁者、 【參外】 贊者 【參外】 贊引 【參外】 監察。


  • 【태백산사고본】 28책 89권 36장 B면【국편영인본】 4책 297면
  • 【분류】
    풍속-예속(禮俗) / 출판-서책(書冊) / 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