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야 측후기인 일성정시의가 이룩되다
처음에 임금이 주야 측후기(晝夜測候器)를 만들기를 명하여 이름을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라 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이룩됨을 보고하였다. 모두 네 벌[件]인데, 하나는 내정(內庭)에 둔 것으로 구름과 용을 장식하였으며, 나머지 셋은 다만 발이 있어 바퀴자루[輪柄]를 받고 기둥을 세워 정극환(定極環)을 받들게 하였다. 하나는 서운관(書雲觀)에 주어 점후(占候)에 쓰게 하고, 둘은 함길·평안 두 도의 절제사 영에 나누어 주어서 군중의 경비하는 일에 쓰게 하였다. 또 승지 김돈(金墩)에게 명하여 서(序)와 명(鉻)을 짓게 하니, 그 글에 이르기를,
"의상(儀象)은 더 말할 것 없이 요·순으로부터 한·당에 이르기까지 모두 귀중히 여겨서 그 글이 경사(經史)에 갖추어 나타났으나, 예전과 시대가 멀어서 그 법이 자세하지 아니하였는데, 삼가 생각하건대, 우리 전하께서는 세상에 뛰어난 신성(神聖)한 자질로써 정무를 보살피는 여가에 천문법상(天文法象)의 이치에 유념하시어, 무릇 예전에 이른바, 혼의(渾儀)·혼상(渾象)·규표(圭表)·간의(簡儀) 등과 자격루(自擊漏)·소간의(小簡儀)、앙부(仰釜)·천평(天平)·현주일구(懸珠日晷) 등의 그릇을 빠짐 없이 제작하게 하셨으니, 그 물건을 만들어 생활에 이용하게 하시는 뜻이 지극하시었다. 그러나 하루의 시각이 1백 각이요, 그리고 밤과 낮이 반씩이로되 낮에는 햇볕을 헤아려서 시간을 아는 그릇은 이미 갖추었으나, 밤에 이르러서는 《주례(周禮)》에 별을 보고 밤 시각을 구분하는 글이 있고, 《원사(元史)》에도 별로써 시각을 정하는 말이 있으나 그 측정하는 방법은 말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이에 밤낮 시각을 알리는 그릇을 만들기를 명하여 이름을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라 하였다. 그 제도는 구리[銅]를 써서 만들었는데, 먼저 바퀴를 만들어 세(勢)를 적도(赤道)에 준하여 자루[柄]가 있고, 바퀴의 지름[徑]은 2척, 두께는 4분, 넓이는 3촌이다. 가운데 십자거(十字距)가 있는데, 넓이는 1촌 5분, 두께는 바퀴와 같다. 십자 가운데는 축이 있는데, 길이는 5분 반이고 지름은 2척이다. 북쪽 면을 깎아 파되, 중심에 1리(釐)를 두어서 두께를 하고 가운데 둥근 구멍을 겨자[芥]씨 같이 만들었다. 축은 계형(界衡)을 꿰고, 구멍은 별을 살피는 것이다. 아래에는 서리고 있는 용의 모양을 만들어 바퀴 자루를 물고 있는데, 자루의 두께는 1촌 8분이며 용의 입에 1척 1촌이 들어가고 밖에 3촌 6분이 나왔다. 용의 밑에는 대가 있는데, 넓이는 2척이고 길이는 3척 2촌이며, 도랑과 못을 만들었는데, 수평(水平)을 취한 것이었다. 바퀴의 윗면에 세 고리[環]를 놓았는데, 이름을 주천도분환(周天度分環)·일구백각환(日晷百刻環)·성구백각환(星晷百刻環)이라 한다. 그 ‘주천도분환’은 밖에 있으면서 움직이고 돌며, 밖에 두 귀[耳]가 있는데 지름은 두 자, 두께는 3분, 넓이는 8분이다. ‘일구백각환’은 가운데에 있어 돌지 아니하고, 지름은 1척 8촌 4분이고, 넓이와 두께는 밖의 것과 같다. ‘성구백각환’은 안에 있어 움직이고 돌며, 안에 두 귀가 있는데, 지름은 1척 6촌 8분이고, 넓이와 두께는 안팎 고리와 같다. 귀가 있는 것은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세 고리의 위에 계형(界衡)이 있으니, 길이는 2척 1촌, 넓이는 3촌, 두께는 5분인데, 양쪽에 머리가 있고 가운데는 비었으며, 길이는 2촌 2분이고, 넓이는 1촌 8분으로, 세 고리[環]의 그림을 덮지 못하게 한 것이다. 허리의 중간 좌우에 각각 용이 하나씩 있으니, 길이는 1척이고, 함께 ‘정극환(定極環)’을 받든다. ‘정극환’이 둘이 있는데, 바깥 고리와 안 고리의 사이에는 구진대성(句陳大星)이 나타나고, 안 고리의 안에는 천추성(天樞星)이 나타나니, 남북의 적도를 바르게 하는 것이다. 바깥 고리는 지름이 2촌 3분이고, 넓이가 3분이며, 안 고리는 지름이 1촌 4분 반, 넓이가 4리(釐)이고, 두께는 모두 2분인데 약간 서로 대여서 십자와 같다. ‘계형’ 두 끝에 빈 곳의 안팎에 각각 작은 구멍이 있고, ‘정극환’ 바깥 고리의 양쪽에도 작은 구멍이 있어, 가는 노끈으로 여섯 구멍[六穴]을 통해 꿰어서 ‘계형’의 두 끝에 매었는데, 위로는 해와 별을 살피고 아래로는 시각을 알게 한 것이다. ‘주천환(周天丸)’에는 주천도(周天度)를 새기되, 매도(每度)를 4분으로 하고, ‘일구환(日晷環)’은 1백 각을 새기되, 매각(每刻)을 6분으로 하였다. 성구환도 일구환과 같이 새겼으나, 다만 자정이 신전자정(晨前子正)에 지나서 하늘이 일주(一週)하는데, 1도를 더 지나가는 것과 같이 다름이 있다. ‘주천환’을 사용하는 법은, 먼저 수루(水漏)를 내려서 동지 신전자정을 맞추고, ‘계형’으로 북극 둘째 별이 있는 곳을 살펴서 바퀴 가에 표시하고, 인해 주천 첫 도의 초에 맞게 한다. 그러나 세월이 오래되면 천세에 반드시 차가 생기니, 《수시역(授時曆)》으로 상고하면, 16년이 약간 지나서 1분이 뒤로 물러나고, 66년이 약간 지나서는 1도가 뒤로 물러나므로, 이에 이르러 다시 살펴서 정한다. 북극 둘째 별은 북극에서 가깝고 가장 붉고 밝아서, 여러 사람이 보기 쉽기 때문에 이것으로 측후(測候)한다. ‘일구환’의 사용은 ‘간의(簡儀)’와 같고, ‘성구환’을 사용하는 법은 첫해 동지 첫날, 새벽 전 밤중 자정을 시초로 하여 ‘주천환’ 초도의 초에 맞게 하여 하루에 1도, 이틀에 2도, 사흘에 3도로 하여 3백 64일에 이르면 곧 3백 64도가 되고, 다음해 동지 첫날 자정에는 3백 65도가 되니, 하루에 공도(空度)가 3분이고, 이틀에 1도 3분으로 3백 64일에 이르면 곧 3백 63도 3분이 된다. 또 다음해 동지 첫날에는 3백 64도 3분이니 하루의 공도가 2분이고, 이틀에 1도 2분으로, 3백 64일에 이르면 곧 3백 63도 2분이 된다. 또 다음해 동지 첫날에는 3백 64도 2분이니 하루의 공도가 1분이고, 이틀에 1도 1분으로 3백 65일에 이르면 곧 3백 64도 1분이 되니 이를 일진이라고 이른다. 일진(一盡)이 되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온다. 무릇 인사의 동정(動靜)하는 기틀[機]은 실로 해와 별의 운행(運行)하는 법칙에 매였고, 해와 별의 운행은 의상 가운데 밝게 나타나므로, 옛 성인이 반드시 정치하는 도의 첫째 일로 삼았으니, 요의 역상(曆象)과 순의 선기(璇璣)가 이것이다. 우리 전하께서 제작하신 아름다운 뜻은 곧 요·순과 더불어 법을 같이 하였으니, 천고에 내려오면서 일찍이 없던 거룩한 일이다. 아아, 지극하도다. 이를 마땅히 새겨서 후세에 밝게 보여야 할 것이므로 신(臣) 돈이 감히 손으로 절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명을 지어 올리노라."
하고, 그 글에 이르기를,
"요임금은 역상을 공경하고, 순임금은 기형에 뜻을 두니 대대로 전하여서 제조가 정밀하다. ‘의(儀)’라 하고 ‘상(象)’이라 하여 그 이름이 같지 아니하나, 땅을 보고 하늘을 살펴서 백성의 일을 보여 주었다. 옛일이 이미 멀어서 제도가 퇴폐하여졌으니 책에 실려 있은들 그 뜻을 뉘가 알리오. 신성하신 임금이 시대에 응해 나시어, 요·순의 법을 받아 표(表)와 누(漏)와 의(儀)와 상(象)의 옛 제도를 회복했네. 백각(百刻)으로 때를 정해 밤낮을 나누었고, 햇볕으로 때를 아는 그릇은 있으나, 밤에도 살피고자 의상[儀]을 만들도록 명령을 내리셨네. 그 이름 무엇인고. ‘일성정시의’라 일컬으며, 쓰는 법은 어떠한고. 별자리를 살펴보고 햇볕과 마추었도다. 구리로 바탕하여 만든 솜씨가 뛰어나서 비할 수 없고, 둥근 바퀴[圓輪] 먼저 하고 거(距)가 있어 운용한다. 남북이 높고 낮아 적도를 모방하고, 대 위에 용이 서려[蟠], 바퀴 자루 물고 있다. 도랑과 못이 있어 물을 담아 바르고, 바퀴 위에 세 고리[環]가 서로 붙고 의지하여 바깥 것은 주천이니, 도와 분이 벌여 있고, 안의 두 고리는 일구·성구인데, 성구환의 각은 천도같이 지나도다. 안팎 것은 움직이나, 중간 것은 굳게 붙어 움직이지 아니한다. 계형이 전면에 가로[橫] 있어 굴대[軸]가 중심을 꿰었도다. 굴대에 구멍 뚫어 겨자[芥]같고 바늘 같아 계형의 빈[虛] 끝에는 도와 각이 새겨 있다. 쌍룡(雙龍)이 축을 끼고 정극환을 받들었다. 안팎에 환(環)006) 이 있고, 그 사이에 별이 있다. 그 별은 무엇인고. 구진(句陳)과 천추(天樞)로다. 남북이 정하였고 동서가 바르도다. 측후법(測候法)은 어떠한고. 실[線]을 써서 살펴본다. 고리[環] 위에 곧게 걸고 계형 끝에 내려 꿰어, ‘일구’에는 둘을 쓰고 ‘성구’에는 하나 쓴다. 제좌(帝座)007) 가 붉고 밝아 북극에 가까우니, 실을 써서 살펴보면 시각을 알 수 있다. 누수(漏水)를 먼저 내려 자정을 알아보고, 윤환(輪環)에 표지(標識)하여, 주천환의 도는 것을 여기에서 일으킨다. 밤마다 도는 것이 한 도를 지나가니 도와 분이 나뉘어서 비롯하고 끝맺는다. 그릇은 정밀하고 두루 쓰인다. 선철(先哲)이 많았으나 이 제도가 없었는데, 우리 임금 처음으로 이 의상을 만드시어 희(羲)·화(和)에게 내리시니 만세의 국보일세."
하였다. 그 글에, "구리를 써서 만들었다."로부터, "다하면 처음으로 돌아온다."까지는 임금이 친히 지은 것인데, 승지 김돈이 직제학 김빈(金鑌)에게 보이며 이르기를,
"내가 감히 글을 짓고자 함이 아니라, 다만 경들이 이를 가지고 깎고 보태어서 명과 서를 지어 오래 전하기를 도모하려고 한다."
고 하였는데, 임금이 시각을 정하는 제도를 서술한 글이 간이(簡易)하고 상세하여 손바닥을 가리킴과 같이 명백하기 때문에 돈 등이 능히 한 글자도 바꾸지 못하고 그 글의 머리와 끝만 보태어 그대로 명을 지었다고 한다. 그 소간의(小簡儀)는 예문관 대제학 정초(鄭招)가 명과 서를 함께 짓기를,
"당요(唐堯)가 세상을 다스리자 먼저 희(羲)·화(和)에게 명하여 햇볕을 살펴서 시각을 바르게 하였는데, 이로부터 내려오면서 시대마다 각각 그 그릇이 있었고, 원나라에 이르러 갖추었다. 금상 16년 가을에 이천(李蕆)·정초(鄭招)·정인지(鄭麟趾) 등에게 작은 모양의 간의를 만들기를 명하니, 비록 옛 제도에 말미암았으나 실은 새 법에서 나왔다. 밑바탕[趺]은 정한 구리로 하고, 개울물의 모양을 만들어서 수평을 정하고 남북의 위치를 바루었다. 적도환(赤道環)의 전면에는 하늘 둘레의 도·분을 나누어 동서로 운전(運轉)하여 칠정(七政)과 중외관(中外官)의 입숙(入宿)하는 도·분을 헤아린다. ‘백각환’은 ‘적도환’의 안에 있는데, 면에는 12시와 1백 각을 나누어 낮에는 햇볕으로 알고 밤에는 중성(中星)으로 정한다. 사유환(四游環)이 규형(窺衡)008) 을 가지고 동서로 운전하여, 남북을 내렸다 올렸다[低昻]하고 규측(窺測)하기를 기다린다. 기둥을 세워 세 환을 꿰었는데, 비스듬히 기대면, 사유환은 북극에 준하고, 적도환은 천복(天腹)에 준한다. 곧게 세우면 사유(四維)가 입운(立運)이 되고 백각이 음위(陰緯)가 된다. 공작이 겨우 끝나자, 여러 신하들이 명(銘)을 새겨 뒷세상에 전하기를 청하므로, 임금이 신(臣) 초에게 명하시니, 신이 절하고 명을 올리노라."
하고, 명하기를,
"하늘의 도는 하는 일이 없고, 그릇 또한 간략함을 숭상하였다. 옛 간의는 기둥이 많았는데, 지금의 이 그릇은 들고 갈 수 있겠도다. 사용하는 방법은 간의와 같았으나, 간략한 것을 더욱 더 간략하게 만든 것이다."
하고, 또 그 작은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에 이르기를,
"전에 만든 일성정시의는 너무 무거워서 행군할 때에 불편하기 때문에, 다시 작은 정시의(定時儀)를 만들었으니, 그 제도는 전의 것과 대동소이(大同小異)한데, 정극환을 없앤 것은 경편(輕便)하게 하려고 함이다. 먼저 누수로써 첫해의 새벽 전 밤중을 알아 맞추어서 북극 둘째 별이 있는 곳을 살펴 바퀴 가[輪邊]에 표지(標誌)하되, 그 획을 가장 길게 긋고, 북쪽으로 향하여 다시 세 획을 긋되, 점점 짧게 하고 사이의 거리는 모두 4분지 1도로 하였다. 첫해 동지 첫날 새벽 전 밤중에 주천환(周天環)의 초도를 바퀴 가의 긴 획에 닿게 하고, 다음 해에는 다음 획에 닿게 하며, 또 다음 해에는 또 다음 획에 닿게 하고, 또 다음 해에는 가장 짧은 획에 닿게 하여 해마다 한 번씩 옮겨서 5년째에 이르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다. 동지 첫날에 성구환의 신전자정이 주천환의 초도에 닿고, 1일 자정에는 1도, 2일에는 3도에 당하여, 매년 다 그렇게 되어 여분이 없고, 다른 것은 전의 정시의와 같다. 일구를 사용하는 법은 전의 것과 같다."
고 하였다. 그 간의대(簡儀臺)는 승지 김돈(金墩)이 기록을 지었는데, 이르기를,
"선덕 7년 임자년 가을 7월 일에 성상께서 경연에 거둥하여 역상의 이치를 논하다가, 예문관 제학 신정인지에게 이르기를, ‘우리 동방이 멀리 바다 밖에 있어서 무릇 시설하는 바가 한결같이 중화의 제도에 따랐으나, 홀로 하늘을 관찰하는 그릇에 빠짐이 있으니, 경이 이미 역산의 제조(提調)가 되었으므로, 대제학 정초(鄭招)와 더불어 고전을 강구하고 의표를 참작해 만들어서 측험(測驗)하는 일을 갖추게 하라. 그러나 그 요는 북극이 땅 위에 나온 높낮이를 정하는 데 있다. 먼저 간의를 만들어 올림이 가하다. ’고 하시므로, 이에 신 정초와 신 정인지는 옛 제도를 상고하는 일을 맡고, 중추원 사 신이천은 공역(工役)을 감독하는 일을 맡았다.
먼저 나무로 모양을 만들어, 북극이 땅에서 38도가 나온 것을 정하니, 《원사(元史)》에 측정한 것과 조금 합하므로, 드디어 구리로 간의를 만들어 장차 이룩되매, 호조 판서 안순(安純)에게 명하여 후원(後苑) 경회루 북쪽에 돌을 쌓아 대를 만드니, 높이는 31척이고, 길이는 47척, 넓이는 32척인데, 돌로 난간을 두르고 간의를 엎드려 놓았다. 정방안(正方案)을 그 남쪽에 펴고, 대의 서쪽에는 동표(銅表)를 세웠는데 높이는 5배(倍)고, 8척의 얼(臬)이다. 청석(靑石)을 깎아 규(圭)를 만들고 규의 면에는 장·척·촌·분을 새겼다. 그림자[影]를 일중(日中)의 그림자와 맞추어서 음양의 차[盈]고 주[縮]는 이치를 미루어 알도록 되었다. 표 서쪽에 작은 집을 세우고 혼의와 혼상을 놓았는데, 혼의는 동쪽에 있고 혼상은 서쪽에 있다. 혼의의 제도는 역대에 같지 아니하나, 이제 《오씨서찬(吳氏書纂)》에 실린 글에 의해 나무에 칠을 하여 혼의를 만들고, 혼상의 제도는 베[布]에 칠을 하여 몸통을 만들되 둥글기는 탄환(彈丸) 같고 둘레는 10척 8촌 6분이다. 종횡으로 하늘 둘레의 도·분을 그렸는데, 적도는 중간에 있고 황도는 적도의 안팎에 나들되 각각 24도가 약하다. 중외관성(中外官星)이 두루 벌여 있어 하루에 한바퀴를 돌고 1도를 더 지나간다. 노끈으로 해를 얽어 황도에 매고, 매일 1도씩 물러나서 행하여 하늘의 행함과 합하였다. 물을 이용하여 기계가 움직이는 공교로움은 숨겨져서 보이지 아니한다. 이 다섯 가지는 옛 사기에 자세히 기록되었다. 경회루 남쪽에 집 3간[楹]을 세워서 누기(漏器)를 놓고 이름을 ‘보루각(報漏閣)’이라 하였다. 동쪽 간[東楹] 사이에 자리를 두 층으로 마련하고 3신이 위에 있어, 시(時)를 맡은 자는 종을 치고, 경(更)을 맡은 자는 북을 치며, 점(點)을 맡은 자는 징[鉦]을 친다. 12신은 아래에 각각 신패(辰牌)를 잡고, 사람이 하지 아니하여도 때에 따라 시각을 보(報)한다. 천추전(千秋殿) 서쪽에 작은 집을 짓고 이름을 ‘흠경각(欽敬閣)’이라 하고, 종이를 붙여서 산 모양을 만들어 높이는 일곱 자 가량인데, 집 가운데 놓고 안에는 기륜(機輪)을 만들어서 옥루수(玉漏水)를 이용하여 치게 하였다. 오색 구름은 해를 둘러 나들고, 옥녀(玉女)는 때를 따라 방울을 흔들며, 사신 무사(司辰武士)는 스스로 서로 돌아보고, 4신과 12신은 돌고 향하고 일어나고 엎드린다. 산 사면에는 빈풍(豳風) 사시(四時)의 경(景)을 진열하여 백성의 생활이 어려움을 생각하게 하였다. 기기(攲器)를 놓고 누수의 남은 물을 받아서 천도의 영허(盈虛)하는 이치를 살피게 하였다. 간의는 비록 혼의보다 간략하나, 옮겨서 쓰기가 어렵기 때문에 작은 간의 둘을 만들었으니, 대개 모양은 극히 간단하다. 사용하는 것은 간의와 같은 것이다. 하나는 천추전 서쪽에 놓고, 하나는 서운관에 주었다. 무지한 남녀들이 시각에 어두우므로 앙부일구(仰釜日晷) 둘을 만들고 안에는 시신(時神)을 그렸으니, 대저 무지한 자로 하여금 보고 시각을 알게 하고자 함이다. 하나는 혜정교(惠政橋) 가에 놓고, 하나는 종묘 남쪽 거리에 놓았다.
낮에 측후하는 일은 이미 갖추었으나, 밤에 이르러서는 징험할 바가 없어서, 밤낮으로 시각을 아는 그릇을 만들어 이름을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라 하였다. 4벌[件]을 만들어, 하나는 만춘전 동쪽에 놓고, 하나는 서운관에 주고, 둘은 동서 양계의 원수영(元帥營)에 나누어 주었다. 일성정시의는 무거워서 행군하는 데 불편하므로 작은 정시의를 만들었는데, 그 제도는 대개 같고 조금 달랐다. 이 여섯 가지는 각각 서·명이 있어 자세히 기록되었다.
또 현주일구(懸珠日晷)를 만들었으니, 밑바탕을 네모나게 하였는데 길이는 6촌 3분이다. 밑바탕 북쪽에는 기둥을 세우고 남쪽에는 못을 팠으며, 북쪽에는 십자를 그리고 기둥 머리에 추(錘)를 달아서, 십자와 서로 닿게 하였으니, 수준(水準)을 보지 아니하여도 자연히 평하고 바르다. 1백 각을 작은 바퀴에 그렸는데, 바퀴의 지름은 3촌 2분이고 자루가 있어, 비스듬히 기둥을 꿰었다. 바퀴 중심에 구멍이 있어 한 가닥 가는 실을 꿰어서 위에는 기둥 끝에 매고 아래에는 밑바탕 남쪽에 매어 실 그림자가 있는 것을 보고 곧 시각을 안다. 흐린 날에는 시각을 알기 어려우므로 행루(行漏)를 만들었으니, 몸이 작고 제도가 간략하였다. 파수호(播水壺)와 수수호(受水壺)가 각각 하나씩인데, 갈오(渴烏)로 물을 바꾸어서 자·오·묘·유의 시각을 쓴다. 작은 정시의와 현주(懸珠)·행루 등을 각각 몇 개씩 만들어 양계에 나누어 주고, 남은 것은 서운관에 두었다.
말을 타고 가면서도 시각을 알지 않을 수 없으므로 천평일구(天平日晷)를 만드니, 그 제도는 현주일구와 대개는 같으나, 오직 남쪽과 북쪽에 못을 파고 중심에 기둥을 세워 노끈을 기둥 머리에 꿰고, 들어서 남쪽을 가리키는 것이 다르다.
하늘을 징험하여 시각을 알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정남침(定南針)을 쓰나, 사람이 만든 것을 면치 못하여 정남일구를 만드니, 대개 정남침을 쓰지 아니하여도 남북이 스스로 정하는 것이다. 밑바탕의 길이는 1척 2촌 5분이고, 양쪽 머리의 넓이는 4촌, 길이는 2촌이며, 허리의 넓이는 1촌, 길이는 8촌 5분이다. 가운데 둥근 못[池]이 있는데 지름은 2촌 6분이고, 물 도랑이 있어 양쪽 머리로 통하여 기둥 가를 돌게 하였다. 북쪽 기둥의 길이는 1척 1촌이고, 남쪽 기둥의 길이는 5촌 9분인데, 북쪽 기둥의 1촌 1분 아래와, 남쪽 기둥의 3촌 8분 아래에는 각각 축이 있어서 사유환(四游環)을 받는다. 사유환이 동서로 운전하여 1각 반에 하늘을 한 바퀴 돈다. 도는 4분으로 만들고, 북쪽의 16도로부터 1백 67도에 이르기까지 중간이 비어서 쌍환의 모양과 같고, 나머지는 전환(全環)으로 되었다. 안에는 한 획을 중심에다 새기고 밑에는 네모난 구멍이 있는데, 직거(直距)를 가로 설치하고 거 가운데 6촌 7분을 비워서 규형(窺衡)을 가지게 하였다. 규형은 위로는 쌍환을 꿰고, 아래로는 전환에 다달았다. 남쪽과 북쪽을 낮추고 올려서 지평환(地平環)을 평평하게 설치하되, 남쪽 기둥의 머리와 같게 하고, 하지(夏至)날 해가 뜨고 지는 시각에 준하여, 반환(半環)을 지평아래에 가로 설치한다. 안에는 낮 시각을 나누어서 네모난 구멍의 밑바탕에 닿게 하고, 북쪽에는 십자를 그리고, 북쪽 축 끝에 추를 달아 십자와 서로 닿게 하니, 또한 수평을 취하게 한 것이다. 규형(窺衡)을 쓰는 법은, 매일 태양이 극도분(極度分)에 갈 때를 당하여, 햇볕을 통해 넣어서 정원(正圓)이 되게 하고, 곧 네모난 구멍으로 반환의 각을 굽어보면, 자연히 남쪽의 위치가 정하고 시각을 알 것이다. 그릇이 무릇 열 다섯인데, 구리로 만든 것이 열이다.
두어 해를 지나서 만드는 일을 마치니 실로 무오년 봄이다. 유사가 그 시말(始末)을 기록하여 장래에 밝게 보이기를 청하니, 이에 신이 그 논의에 참예한 까닭으로 신에게 그 사실을 기록하기를 명하셨다. 신은 간절히 생각하건대, 때를 알려 주는 요는 하늘을 관측하는 데 있고, 하늘을 관측하는 요는 의표에 있으므로, 요가 희(羲)·화(和)에게 명하여 책력에 일월성신(日月星辰)을 형성하고, 순은 선기옥형(璇璣玉衡)을 만들어 칠정(七政)을 바루었으니, 진실로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의 일이 부지런함을 늦출 수 없기 때문이다. 한·당 이후로 시대마다 각각 그릇이 있었으나, 그 법을 혹은 얻고, 혹은 잃어서 쉽게 셀 수 없었는데, 오직 원나라 곽수경(郭守敬)이 만든 간의·앙의·규표 등의 그릇은 정교(精巧)하다 이를 만하다. 오직 우리 동방에는 제작한 것을 아직 듣지 못하더니, 하늘이 좋은 운수를 열어 문교가 바야흐로 일어나니, 삼가 생각하건대, 우리 전하께서 성신의 자질과 공경하는 마음으로 정무를 보살피는 여가에 역상이 정밀하지 못함을 염려하고, 측험(測驗)하는 일이 갖추지 못함을 생각하여 그릇을 만들게 하시니, 비록 요·순의 마음일지라도 어찌 이에 더하리오. 그 그릇을 만든 것이 한둘만이 아니나, 약간을 기록하여 참고에 갖추게 하고, 그 규모는 옛것만을 본받은 것이 아니라, 모두 성상의 마음으로 재결하여 다 정묘(精妙)를 극진히 하였으니, 비록 원나라 곽수경이라도 그 기교(技巧)를 베풀 수 없을 것이다. 아아, 이미 수시력(授時曆)을 교정하고, 또 하늘을 관측하는 그릇을 만들어, 위로는 천시를 받들고 아래로는 민사에 부지런하시니 우리 전하께서 물건을 만들어 일에 힘쓰게 하는 지극한 어지심과, 농사에 힘쓰고 근본을 중히 여기는 지극한 뜻은 실로 우리 동방에 일찍이 없었던 거룩한 일이니, 장차 높은 대와 더불어 무궁토록 함께 전할 것이다."
하였다. 그 그릇을 만든 척식(尺式)은, 옛사람이 법도의 그릇에는 반드시 주척(周尺)을 썼는데, 척식을 바루어 정하는 것은 예로부터 어려워하였다. 주자가 사마 문정공(司馬文正公)009) 의 집 석각본(石刻本) 척식을 취하여 《가례》에 실어서 후세의 법을 삼았으나, 《가례》의 판본이 세상에 행하는 것이 하나만이 아니어서 주척의 장단이 같지 아니하여 또한 의거하기 어려웠는데, 판중추원사 허조(許稠)가 홍무 계유년간에 아버지 상을 당하여 진우량(陳友諒)의 아들 진이(陳理)의 가묘에 신주 만드는 척식을 구해 얻어서 가척본(假尺本)을 만들었고, 또 의랑(議郞) 강천주(姜天霔)의 집에서 지본주척(紙本周尺)을 얻으니, 그것은 바로 그 아버지 강석(姜碩)의 아우 강유원(姜有元)이 원사(院使) 김강(金剛)의 간직한 상아척본(象牙尺本)을 전한 것인데, 전면에 쓰기를, ‘신주척 정식(神主尺定式)’이라 하였다. 지금의 관척을 2촌 5분을 없애고 7촌 5분을 쓰면, 바로 《가례부주(家禮附註)》에 반시거(潘時擧)가 이른바, ‘주척은 지금 성척(省尺)의 7촌 5분 약(弱)이라. ’고 한 말과 같다. 두 척본을 서로 비교해 보니 어긋나지 아니하므로, 비로소 신주 만드는 제도를 정하여 올리니, 이로부터 무릇 사대부집 사당의 신주와 도로의 이수(里數)와 사장(射場)의 보법(步法)을 모두 여기에 의거하여 정식을 삼았다. 근래에 또 판사역원사(判司譯院事) 조충좌(趙忠佐)가 북경에 가서 새로 만든 신주를 사 가지고 와서, 다시 이 자와 비교하니, 촌·분이 서로 합하니, 이 자는 지금 중국에서도 쓰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제 만든 의·상·표·누(儀象表漏) 등의 그릇을 모두 이 자를 써서 제정하였다고 한다.
- 【태백산사고본】 24책 77권 7장 A면【국편영인본】 4책 66면
- 【분류】과학-천기(天氣) / 과학-역법(曆法) / 역사-고사(故事) / 도량형(度量衡)
- [註 006]환(環) : 정극환.
- [註 007]
○初, 上命作晝夜測候之器, 名曰日星定時儀, 至是告成, 凡四件, 一置內庭, 飾以雲龍; 餘三件, 但有趺以受輪柄, 植柱而捧定極環。 一賜書雲觀, 以爲占候之用; 二分賜咸吉、平安兩道節制使營, 以爲軍中警守之備。 又命承旨金墩製序、銘曰:
儀象尙矣。 自堯、舜至漢、唐, 莫不重之, 其文備見於經史。 然去古旣遠, 其法不詳。 恭惟我殿下以聖神冠古之資, 萬機之暇, 留神於天文法象之理, 凡古所謂渾儀、渾象、圭表、簡儀與夫自擊漏、小簡儀、仰釜ㆍ天平ㆍ懸珠日晷等器, 制作無遺, 其欽若昊天、開物成務之意至矣。 然日周有百刻, 而晝夜居半, 晝則測晷知時, 器已備矣, 至於夜則《周禮》有以星分夜之文, 《元史》有以星定之之語, 而不言所以測用之術。 於是命作晝夜時刻之器, 名曰日星定時儀。
其制用銅爲之, 先作輪勢準赤道有柄。 輪經二尺、厚四分、廣三寸, 中有十字距, 廣一寸五分, 厚如輪。 十字之中有軸, 長五分半、經二寸。 北面剡掘, 中心存一釐以爲厚。 中爲圜穴如芥。 軸以貫界衡, 穴以候星也。 下有蟠龍, 含輪柄, 柄厚一寸八分, 入龍口一尺一寸, 出外三寸六分。 龍下有臺, 廣二尺、長三尺二寸, 有渠有池, 所以取平也。 輪之上面, 置三環, 曰周天度分環, 曰日晷百刻環, 曰星晷百刻環。 其周天度分環居外運轉, 外有兩耳, 經二尺、厚三分、廣八分。 日晷百刻環居中不轉, 經一尺八寸四分, 廣厚與外環同。 星晷百刻環居內運轉, 內有兩耳, 經一尺六寸八分, 廣厚與中外環同, 有耳, 所以運也。 三環之上, 有界衡, 長二尺一寸、廣三寸、厚五分。 兩頭中虛, 長二寸二分、廣一寸八分, 所以不蔽三環之畫也。 腰中左右, 各有一龍, 長一尺, 共捧定極環。 環有二。 外環內環之間, 勾陳大星見; 內環之內, 天樞星見, 所以正南北赤道也。 外環經二寸三分、廣三分, 內環經一寸四分半、廣四釐, 厚皆二分, 些少相接如十字。 界衡兩端虛處內外, 各有小穴, 定極外環兩邊亦有小穴, 以細繩通貫六穴而結於界衡之兩端, 所以上候日星, 而下考時刻者也。 周天環, 刻周天度, 每度作四分, 日晷環, 刻百刻, 每刻作六分, 星晷環亦刻如日晷, 但子正過晨前子正, 如周天, 過一度爲異耳。 用周天環之術, 先下水漏, 得冬至晨前子正, 以界衡候北極第二星所在, 以誌輪邊, 仍以周天初度之初當之, 然年久則天歲必差, 以《授時曆》考之, 十六年有奇, 退一分, 六十六年有奇, 退一度, 至是須更候以定之。 北極第二星, 近北辰而最赤明, 衆所易見, 故以之測候耳。 日晷環用, 如簡儀。 用星晷環之術。 初年冬至初日晨前夜半子正爲始, 當周天初度之初。 一日一度, 二日二度, 三日三度, 至三百六十四日乃三百六十四度, 次年冬至初日子正三百六十五度, 一日空度三分, 二日一度三分, 至三百六十四日乃三百六十三度三分, 又次年冬至初日三百六十四度三分, 一日空度二分, 二日一度二分, 至三百六十四日乃三百六十三度二分, 又次年冬至初日三百六十四度二分, 一日空度一分, 二日一度一分, 至三百六十五日乃三百六十四度一分, 是謂一盡, 盡則復初。 夫人事動靜之機, 實關於日星之運行, 而日星之運行, 昭著於儀象之中。 古之聖人, 必以爲治道之首務, 堯之曆象、舜之在璇璣是已。 我殿下制作之美意, 直與堯、舜同一揆, 吾東方千古以來未有之盛事也。 嗚呼至哉! 是宜銘之, 昭示來世, 臣墩敢拜手稽首而獻銘。 其辭曰:
堯欽曆象, 舜在璣衡。 歷代相傳, 制造彌精。 曰儀曰象, 不一其名。 俯察仰觀, 以授民事。 去古旣遠, 制度廢墜。 簡策雖存, 孰知其意? 聖神應期, 祖述二帝。 表漏儀象, 悉復古制。 時有百刻, 晝夜分軌。 測日之用, 器無不庀。 欲兼候夜, 命作新儀。 厥名伊何? 日星定時。 其用如何? 窺星配晷。 厥質惟銅, 制作無比。 先設圓輪, 有距交施。 南北低昻, 擬赤道規。 龍蟠于臺, 口含輪柄。 有渠連池, 惟水至正。 輪上三環, 自相依附。 外曰周天, 度分布列。 內有二環, 日星分路。 星環之刻, 過如天度。 內外則運, 中獨膠固。 衡橫于面, 軸貫其心。 鑿軸爲穴, 如芥如針。 虛衡之端, 度刻班班。 雙龍挾軸, 擎定極環。 環有表裏, 星見兩間。 其星伊何? 勾陳、天樞。 南北以定, 卯酉相須。 其候如何? 用線以察。 直跨環上, 下貫衝末。 測日用二, 推星用一。 帝座赤明, 近于北極。 用線而窺, 可知辰刻。 先下水漏, 子正是視。 誌標輪環, 天周所起。 每夜過周, 度分終始。 器簡而精, 用周而密。 幾經先哲, 玆制惟缺。 我后先天, 斯儀肇造。 畀厥羲、和, 萬歲攸寶。
自其制用銅爲之, 止盡則復初, 乃上親製也。 示承旨金墩、直提學金鑌曰: "予非敢爲文, 但欲卿等就此刪潤撰銘若序, 以圖不朽爾。" 上之鋪敍定時制度, 簡易詳悉, 昭若指掌, 故墩等不能贊易隻字, 而只補其首尾, 仍贊銘云。 其小簡儀則藝文館大提學鄭招爲銘幷序, 曰:
唐堯馭世, 首命羲、和, 以正日晷。 由玆以降, 代各有器, 至元而備。 今上十六年秋, 命李蕆、鄭招、鄭麟趾等, 作小樣簡儀, 雖由古制, 實出新規。 趺以精銅, 緣以水渠, 以定準平, 子午斯位。 赤道一環, 面分周天度分, 東西運轉, 以測七政、中外官入宿度分。 百刻環在赤道環內, 面分十二時百刻, 晝以知日晷, 夜以定中星。 四游環持窺衡, 東西運轉, 南北低昻, 以待窺測。 乃樹以柱, 以貫三環。 斜倚之, 則四游準北極, 赤道準天腹。 直竪之, 則四維爲立運, 百刻爲陰緯。 工作甫訖, 群下請刻銘示後, 王命臣招, 臣拜獻銘。 銘曰:
天道無爲, 器且尙簡。 古之簡儀, 架柱棧棧。 今玆器也, 近可提携。 其入用也, 同於簡儀, 蓋簡之又簡之者也。
其小日星定時儀曰:
前造日星定時儀太重, 不便於軍行, 故更造小定時儀, 其制與前儀大同小異, 去定極環, 蓋欲輕便也。 先以漏水, 得初年冬至晨前夜半, 候北極第二星所在, 以誌輪邊, 其晝最長。 向北更畫三畫, 以漸而短, 其間皆距四分度之一。 初年冬至初日晨前夜半, 以周天環之初度, 當輪邊之長畫, 次年當次畫, 又次年又當次畫, 又次年當最短之畫, 每年一移, 至第五年, 還復於初。 冬至初日, 以星晷環之晨前子正, 當周天環之初度。 一日字正當一度, 二日二度, 三日三度, 每歲皆然, 無有餘分, 此小異於前儀也。 日晷之用, 與前儀同。
其簡儀臺則承旨金墩作記曰:
宣德七年壬子秋七月日, 上御經筵, 論曆象之理, 乃謂藝文館提學臣鄭麟趾曰: "我東方邈在海外, 凡所施爲, 一遵華制, 獨觀天之器有闕。 卿旣提調曆算矣, 與大提學鄭招講究古典, 創制儀表, 以備測驗, 然其要在乎定北極出地高下耳, 可先制簡儀以進。" 於是臣鄭招、臣鄭麟趾掌稽古制, 中樞院使臣李蕆掌督工役, 先製木樣, 以定北極出地三十八度, 少與《元史》所測合符, 遂鑄銅爲儀。 將成, 命戶曹判書臣安純, 乃於後苑慶會樓之北, 築石爲臺, 高三十一尺、長四十七尺、廣三十二尺, 繚以石欄, 顚置簡儀, 敷正方案於其南。 臺之西植銅表高五倍八尺之臬, 斲靑石爲圭, 圭面刻丈尺寸分, 用影符取日中之影, 推得二氣盈縮之端。 表西建小閣, 置渾儀渾象, 儀東象西。 渾儀之制, 歷代不同。 今依《吳氏書纂》所載, 漆木爲儀。 渾象之制, 漆布爲體, 圓如彈丸, 圍十尺八寸六分, 縱橫畫周天度分, 赤道居中, 黃道出入赤道內外, 各二十四度弱, 徧布列舍中外官星, 一日一周而過一度。 用繩綴日, 絡於黃道, 每日却行一度, 與天行合。 其激水機運之巧, 藏隱不見。 此五件者, 古史詳之矣。
慶會樓之南, 建閣三楹而置漏器, 名曰報漏閣。 東楹之間, 設坐二層, 三神在上。 司時者撞鍾, 司更者擊鼓, 司點者扣鉦。 十二神在下, 各執辰牌, 不假人爲, 隨時自報。 千秋殿西建小閣, 名曰欽敬閣。 糊紙爲山, 高七尺許, 置於閣中, 內設機輪, 用玉漏水擊之, 五雲繞日而出沒, 玉女隨時而振鐸。 司辰武士, 自相顧視, 四辰、十二辰轉向起伏。 山之四面, 陳《豳風》四時之景, 所以念生民衣食之艱也。 置欹器以承漏水之餘, 所以察天道盈虛之理也。 簡儀雖簡於渾儀, 難於轉用, 作小簡儀二件, 蓋儀雖極簡, 而用同於簡儀者也。 一置千秋殿西, 一賜書雲觀。 愚夫愚婦昧於時刻, 作仰釜日晷二件, 內畫時神, 蓋欲愚者俯視知時也。 一置惠政橋(半)〔泮〕 , 一置宗廟南街。 晝之測候, 旣已備矣, 至於夜則無所考驗, 作晝夜知時之器, 名曰日星定時儀。 爲四件, 一置萬春殿東, 一賜書雲觀, 二分賜東西兩界元帥營。 日星定時儀重, 不便於軍行, 作小定時儀, 其制大同小異。 此六件者, 各有序銘盡之矣。 又作懸珠日晷, 方趺長六寸三分, 竪柱趺北, 鑿池趺南, 畫十字於趺北, 懸錘於柱頭, 與十字相當, 則不必水準, 自然平正。 畫百刻於小輪, 輪經三寸二分, 有柄斜貫於柱。 輪心有竅, 貫一細線, 上繫柱端, 下繫趺南, 線影所在, 便知時刻。 雲陰之日, 難於知時, 作行漏, 體小制簡。 播水壺、受水壺各一, 注以渴烏遞水, 用子午卯酉時。 小定時儀、懸珠行漏, 各爲幾件, 分賜兩界, 餘在書雲觀。 馬上不可不知時, 作天平日晷, 其制與懸珠日晷大同。 唯鑿池南北, 竪柱趺心, 貫繩柱頭, 擧以指南爲異耳。 欲驗天知時者, 必用定南針, 然未免人爲, 作定南日晷, 蓋雖不用定南針, 而南北自定者也。 趺長一尺二寸五分, 兩頭廣四寸、長二寸, 腰廣一寸、長八寸五分。 中有圓池, 經二寸六分。 有水渠通于兩頭, 環于柱旁。 北柱長一尺一寸, 南柱長五寸九分。 北柱一寸一分下、南柱三寸八分下, 各有軸以受四游環, 環東西運轉。 刻半周天, 度作四分, 自北十六度至一百六十七度, 中虛如雙環樣, 餘爲全環, 內刻一畫於中心。 底有方孔, 橫設直距, 距中六寸七分, 虛以持窺衡。 衡上貫雙環, 下臨全環, 低昻南北。 平設地平環, 與南柱頭齊, 以準夏至日出入時刻。 橫設半環於地平之下, 內分晝刻, 以當方孔。 趺北畫十字, 懸錘於北軸端, 與十字相當, 亦所以取平也。 用窺衡當每日太陽去極度分, 透入日影正圓, 卽據方孔, 俯視半環之刻, 則自然定南知時矣。 器凡十五, 以銅造者一十。 歷數年而功告成, 實戊午春也。 有司請記始末, 昭示將來, 於是以臣與其議, 命臣記其事。 臣竊惟授時之要, 本乎測天, 而測天之要, 在乎儀表。 是故堯命羲、和, 曆象日月星辰; 舜在璣衡, 以齊七政, 誠以敬天勤民爲不可緩也。 漢、唐以降, 代各有器, 或得或失, 未易遽數, 唯元之郭守敬所制簡儀、仰儀、圭表等器, 可謂精巧矣。 唯吾東方制作未聞, 天開景運, 文敎方興, 恭惟我殿下以聖神之資、欽敬之心, 萬機之暇, 念曆象之未精而使之考定, 慮測驗之未備而使之制器, 雖堯、舜之用心, 何以加此? 其制器也, 非獨一二, 至於若干, 以備參考, 其規模也, 非惟師古, 悉裁聖心, 皆極精妙。 雖元之郭守敬, 亦無以施其巧矣。
於戲! 旣校授時之曆, 又制觀天之器, 上以奉天時, 下以勤民事, 我殿下開物成務之至仁、務農重本之至意, 實吾東方未有之盛事, 而將與高臺竝傳於無期矣。
其制器尺式, 昔人於法度之器, 必用周尺, 而校定尺式, 自古爲難。 子朱子取司馬文正公家石刻本尺法, 載之《家禮》, 以爲後法, 然《家禮》板本, 行於世者不一, 而周尺長短, 皆不同, 亦難爲據。 判中樞院事許稠於洪武癸酉年間丁父憂, 求得陳友諒子陳理家廟神主式, 假作尺本, 又於議郞姜天霔家, 得紙本周尺, 乃其父判三司姜碩弟有元院使金剛所藏象牙尺所傳本也。 面書云: "神主尺定式。" 以今官尺, 去二寸五分, 用七寸五分, 卽與《家禮》 附註潘時擧所云周尺當今省尺七寸五分弱之語同。 二本相校不差, 始定造主之制上之。 自是凡大夫士家廟神主與夫道路里數射場步法, 皆據以爲定式。 近又判司譯院事趙忠佐赴京買得新造神主來, 復以此尺校之, 十分相合, 則此尺亦當今中國所用也。 故今所制儀象表漏等器, 竝用此尺制定云。
- 【태백산사고본】 24책 77권 7장 A면【국편영인본】 4책 66면
- 【분류】과학-천기(天氣) / 과학-역법(曆法) / 역사-고사(故事) / 도량형(度量衡)
- [註 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