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조로 하여금 역일을 맞이하는 의식을 찬진하게 하다
예조로 하여금 역일(曆日)을 맞이하는 의식을 찬진(撰進)하게 하니, 그 의식은,
"기일(期日) 전에 유사(有司)가 궐정(闕庭)을 근정전 한가운데에 남향하여 설치하고, 역일안(曆日案)을 궐패(闕牌)의 남쪽에 설치하며, 사인이 설 자리[立位]를 역일안의 동북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전하의 지영위(祇迎位)를 전정(殿庭)의 서계(西階) 아래에 동향하여 설치한다. 배위는 노대(露臺) 위에 설치하되, 북쪽으로 가까이 북향하여 설치하고, 【사인이 전(殿)에 오르기를 기다려서 설치한다. 】 왕세자의 막차(幕次)는 근정문 밖에 설치하되, 지형에 따라 적당히 설치한다. 왕세자 이하 군신(群臣)의 배위를 전정에 설치하되, 문관은 동쪽에, 무관은 서쪽에 있게 하고, 중심이 머리가 되게 하되, 자리를 달리 하여 겹줄로 하고, 모두 북향하게 한다. 통찬(通贊)과 봉례랑(奉禮郞)의 자리는 군신의 배위(拜位) 북쪽에 설치하되, 모두 동쪽과 서쪽이 서로 마주보게 한다. 의장(儀仗)은 전정의 동쪽과 서쪽에 진열하고, 악부(樂部)는 군신의 배위 남쪽에 설치하되, 모두 보통 때의 의식과 같게 한다. 그날에 사인이 역일을 받들고 이르면, 봉례랑은 여러 신하들을 인도하고, 첨지통례(僉知通禮)는 왕세자를 인도하여 먼저 전정의 배위로 나아간다. 사인이 광화문(光化門) 밖에 이르면, 판통례(判通禮)가 전하를 인도하여 서계(西階) 아래의 지영위(祗迎位)로 나아간다. 사인(舍人)이 역일을 받들고 중문으로부터 들어오면, 전하께서 왕세자 이하 여러 신하들을 거느리고 몸을 굽혔다가, 지나간 후에 몸을 편다. 사인이 전에 올라가 역일이 든 궤(櫃)를 열어 안상(案上)에 편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노대 위의 배위에 나아가서 판통례가 오배 고두(叩頭)하기를 계청(啓請)하고, 사찬(司贊)이 ‘국궁(鞠躬), 오배, 삼고두(三叩頭), 평신(平身)’이라 창(唱)하면, 전하께서 왕세자 이하 여러 신하들을 거느리고, 풍악을 연주한다. 오배 삼고두하고 평신하면 풍악이 그친다. 예를 마치면 이내 근정전에서 하마연(下馬宴)을 베푸는데, 전하는 북벽에 앉고 사인은 동벽에 앉는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22책 71권 1장 A면【국편영인본】 3책 663면
- 【분류】과학-천기(天氣) / 풍속-예속(禮俗)
○己巳/令禮曹撰迎曆日儀:
前期, 有司設闕庭於勤政殿當中, 南向, 曆日案於闕牌之南, 舍人立位於曆日案東北, 西向, 設殿下祗迎位於殿庭西階下, 東向, 設拜位於露臺上近北, 北向, 【待舍人升殿乃設。】 設王世子幕次於勤政門外, 隨地之宜, 設王世子以下群臣拜位於殿庭, 文東、武西, 中心爲頭, 異位重行, 俱北向, 設通贊奉禮郞位於群臣拜位之北, 俱東西相向, 陳儀仗於殿庭東西, 設樂部於群臣拜位之南, 竝如常儀。 其日, 舍人奉曆日將至, 奉禮郞引群臣, 僉知通禮, 引王世子先就殿庭拜位。 舍人至光化門外, 判通禮導殿下, 就西階下祗迎位, 舍人奉曆日從中門入, 殿下率王世子以下群臣躬身, 過後平身。 舍人升殿, 開曆日櫃, 布於案上。 判通禮導殿下, 就露臺上拜位, 判通禮啓請五拜叩頭, 司贊唱鞠躬五拜三叩頭平身, 殿下率王世子以下群臣, 樂作, 五拜三叩頭平身。 樂止, 禮畢, 仍設下馬宴於勤政殿, 殿下北壁, 舍人東壁。
- 【태백산사고본】 22책 71권 1장 A면【국편영인본】 3책 663면
- 【분류】과학-천기(天氣) / 풍속-예속(禮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