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신상·김자지 등이 경복궁이 명당자리를 얻어 있음을 아뢰다
영의정 황희·예조 판서 신상·유후 김자지·전 대제학 하연·예문 제학 정인지 등이 아뢰기를,
"신 등이 보현봉·백악·목멱에 올라 그 내맥의 가지와 줄기와 제생원의 자리를 살펴보온즉, 보현봉으로부터 멀리멀리 내려와서 기운과 정신[情意]이 백악에 이르러 멈추었으니 그것의 맥의 본줄기이오며, 내려와 백악에 이르러 동쪽을 향하여 가지를 나누어서 정업원(淨業院)에 이르러 북쪽으로 가로다지 언덕을 이루고, 한 줄기를 다시 나누어 내어서 휘둘러서 동으로 가서 동대문에 이르러 그치어서 왼편을 막는 난간이 되었고, 또 한 줄기는 동남으로 내려가서 종묘 창덕궁의 맥이 되었는데, 기운과 정신[情意]이 오로지 위의 두 맥에 있고 가로다지 언덕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가느스름한 맥이 옆기슭에서 내려와서 제생원의 땅이 되었는데, 가지를 나눈 후에는 다시 일어나서 형체를 생긴 것이 없으니, 이것은 내맥과 지맥 중의 지맥입니다. 땅을 선택하는 데에는 모름지기 네 가지 짐승을 보는 것이온데, 이제 용[靑龍]과 범[白虎]이 갈라지기 시작한 곳이 현무(玄武)의 자리이온바, 낮고 연약하여 전연 형세가 없고, 또 주맥이 곧고 길게 누웠는데, 청룡은 서운관 이북은 그대로 괜찮으나, 그 이남은 매우 낮고 약하게 곧장 내려오다가 그 끝이 밖으로 향해 버렸고, 백호는 명통사(明通寺) 이상은 그대로 괜찮으나, 이남은 역시 낮고 약하며 안으로 비뚤어져서 용과 범이 수습하지 못하고 돌아싸는 형세가 없사오며, 주작(朱雀)은 너무 높아서 세 짐승과 상대가 되지 않아서 주인 없이 객만이 강하여, 이것은 지리학의 크게 꺼리는 것이니, 이것은 곧 네 짐승의 불길함이오며, 명당 좌우의 물이 곧게 흘러서 면전에서 합하고, 용과 범은 따라서 곧게 가다가 수백 보를 지난 뒤에 동쪽으로 빠져 나갔으니, 이것은 곧 득수득파(得水得破)가 무정하게 된 것이오며, 명당이라는 것은 너그럽고 평평하고 둥글고 넓어야 좋은 것인데, 이제 이 땅은 매우 협소하게 되었으니, 이것은 곧 명당이 없는 것입니다. 말하는 자가 이 땅을 좋다고 말하는 것은 《의룡경(疑龍經)》에, ‘바른 용의 몸 위에는 봉우리가 생기지 않나니 보이는 위에 낱봉우리도 전연 만들어지지 않고서, 반듯한 몸으로 낮고 평평한 것이 가장 귀중한 것이니 판국 중심이 곧 명당이 된다. ’고 한 말과, 《금낭경(錦囊經)》에, ‘큰 자는 특별히 작고 작은 자는 특별히 크다. ’고 한 따위의 두어 가지 말에 의거한 것일 뿐입니다. 그러나 《감룡경(撼龍經)》과 《의룡경》의 뜻을 자세히 보오면, 《감룡경》에 낱봉우리로서 찾는 법을 삼은 것은 그 정칙(正則)을 말한 것이옵고, 《의룡경》에 낱봉우리 없는 것도 또한 참 용이 된다고 논한 것은 그 변칙(變則)을 말한 것이온데, 그 요지는 다만 내맥의 가지인지 줄기인지와, 네 짐승의 갖추이고 못갖추임과, 호위의 완전하고 불완전함과, 득수득파의 안고 등짐과, 명당의 있고 없음의 어떠함을 볼 뿐이오니, 어찌 한갓 특히 작고 특히 큼과 낱봉우리 없이 낮고 평평한 것만으로서 참 용이라 하겠나이까. 이 땅의 취할 만한 것은 단지 서울 안에 있다는 것뿐입니다. 경복궁 자리로 말하면 보현봉에서부터 내려와서 두 번이나 낱봉우리를 일으키고 종횡으로 솟았다 처졌다 하다가 백악에 이르러 특별히 낱봉우리를 지어 멈추어 가지고, 보현봉과 더불어 구덩이 땅은 구덩이 땅으로 응하고, 돌 땅은 돌 땅으로 응하여 자식이 어미를 떠나지 아니하였고, 그리고 목멱이 남쪽에 있어서 주객이 서로 응하고 있으니, 이는 곧 백악의 정맥됨이 분명하옵니다. 현무의 형세는 풍성한 형상이 특별히 빼나 있고, 백호의 형세는 쭈그리고 앉는 것이 실로 형세에 부합하오며, 다만 청룡이 낮고 약하고 한성부와 전의감 등의 여러 언덕이 약간 등져 있고, 또 안산이 낮고 약하오나, 사면에 둘린 난간이 이미 이루어져 있사오니, 옛글로서 상고하건대, ‘백호가 있고 청룡이 없는 것은 역시 흉하지 아니하니, 만약 바깥 산이 연해 닿아서 응한 것이 있으면 분명히 조회받는 혈자리에 복이 서로 온다. ’고 하였으니, 큰 기운이 이미 모였으면 가지나 마디가 해되지 않는다는 것이온데, 호순신(胡舜臣)의 말한바 ‘백호가 있고 청룡이 없다. ’는 것은 건해산(乾亥山)120) 따위인 것입니다. 또 《감룡경》에 이르기를, ‘바른 용에는 귀산(鬼山)이 없으며, 귀산이 있더라도 반 마장만큼도 나가지 못한다. 그 용의 귀산이 짧음은 감싸인 용이 뒷목에 있기 때문임을 알아야 한다. 이미 감싸인 용이 있어서 달라붙어 보호해 오므로 귀산이 공연히 늘어짐을 허락치 아니한다.’ 하였사오며, 더구나 여러 언덕이 창끝같이 된 형상이 없사오니 이만하면 청룡이 낮고 약함과 여러 언덕의 약간 등진 것이 해될 것 없사옵고, 안산이 비록 낮아도 역시 가슴보다 낮지는 아니하니 과연 고중안(高仲安)의 말한바 ‘가까운 책상은 좀 낮아야 하고 먼 책상은 높아야 한다. ’는 것과 같사옵니다. 만일 평평한 언덕이 없이 목멱산이 높이 막아서 바깥 조정이 보이지 않게 되었다면, 한 겹 책상 안이 깊은 우물에 곡식 쌓은 것 같아서 한갓 지식만 많고 생각이 완고한 것으로 될 것이오니, 이는 곧 가까운 안산의 낮은 것이 또한 해되지 않는 것이옵니다. 명당은 너그럽고 평평한 것으로 귀한 것을 삼는지라, 그렇기 때문에 옛말에 이르기를, ‘사람을 상보는 데는 먼저 얼굴을 보고, 땅을 상보는 데는 먼저 명당을 보는 것이니, 명당이 너그럽고 평평하면 천 년 동안 길하고 경사스럽다.’ 하였으니, 이는 곧 백악 명당을 이른 것입니다. 다만 좌우의 물줄기가 끊임없이 흐르지 못할 뿐입니다. 말하는 자가 이 땅을 흠잡는 것은 전번 기록에 임방(壬方)을 등지고 병방(丙方)을 향한 세 군대의 꽃자리[花穴]가 있다는 말을 보고서, 제생원의 주맥이 임방을 등지고 병방을 향하였고 서울 안에 있으므로, 드디어 끌어 붙이어 참 명당이라 하고 백악을 가리켜 지나가는 협(峽)으로서 공연히 꽃자리를 없애 버린 가짜혈이라 하옵는데, 특히 전번 기록에 ‘명당이 삼각산 중심에 있어서 임방을 등지고 병방을 향하였는데, 눈앞에 세 강이 읍(揖)하기를 둥근 달처럼 둘러 있어 세대 수가 무궁할 것이다. 천신의 첫자리 될 오방 땅[天一千地]에 형성된 것이 【주에 이르기를,「천신의 첫자리를 기워 이르면 곧 영험이 있어 나라 터가 된다.」 하였다. 】 없고, 땅 신령의 자리인 자방 땅[神后子地]에 길과 언덕이 있고, 인아(仁牙)에 나무가 있다. 【주에 이르기를, 「인아라는 것은 땅이 있고 초목이 없는 데다가 푸른 솔을 심어야 백 년이 지나면 무성하게 되는 곳이다.」 하고, 또 이르기를,「인아라는 것은 땅이 있고 초목이 없어서 왼팔처럼 모자라고 척박한 곳이니 솔을 심어서 돕는다.」 하였다. 】 삼각산 남쪽에 다섯 덕의 언덕[五德丘]이 된다. 【해석하기를 명당 주맥의 전면에 있는 멧부리는 둥근 형상이니 토덕(土德)인 것이니, 전면 멧부리는 곧 백악이요, 감악(紺岳)은 구붓하게 이루어졌으니 수덕(水德)인 것이요, 관악(冠岳)은 삐쭉삐쭉하고 날카로우니 화덕(火德)인 것이요, 양주의 남행산(南行山)은 곧게 이루어졌으니 목덕(木德)인 것이요, 수주(樹州)의 북악(北岳)은 모난 형상이니 금덕(金德)인 것이라 하였다. 】 등의 말을 알지 못한 것이옵고, 백악이 명당임은 실로 이것들과 부합되는 것입니다. 세 군데 꽃자리[三花]라는 것은 구변도(九變圖)를 가지고 상고해 보면 목멱이 첫째 꽃자리요, 송악(松嶽)이 둘째 꽃자리요, 평양이 셋째 꽃자리이니, 처음부터 이 도성 안에 세 꽃자리가 갖추어 있다는 것이 아니옵니다. 그런즉 경복궁이 그대로 명당자리를 얻어 임방을 등지고 병방을 향해 앉아서 삼각산의 중심에 응하였사오니, 말하는 자의 말은 아마도 옳은 의논이 된다고 할 수 없사옵니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9책 61권 20장 B면【국편영인본】 3책 497면
- 【분류】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 / 출판-서책(書冊) / 왕실-종사(宗社)
- [註 120]건해산(乾亥山) : 서북방의 산.
○庚辰/領議政黃喜、禮曹判書申商、留後金自知、前大提學河演、藝文提學鄭麟趾等啓曰:
臣等登普賢峰、白嶽、木覓, 察其來脈支幹, 濟生院坐地, 則自普賢峯迢迢而降, 情意至白嶽而住, 乃脈之幹也。 來至白嶽, 向東分支, 至淨業院北作橫崗, 分生一條, 迤邐而東, 至東大門而止, 爲左關欄。 又一條東南而下, 爲宗廟、昌德宮之脈, 情意專在上二脈矣。 未及橫崗, 微脈從旁麓而下, 爲濟生院之地, 分支以後, 更無頓起留形, 是則來脈及支中之支也。 擇地須觀四獸, 今龍虎始分處, 乃玄武之位也, 而低軟全無形勢, 又主脈臥直而長。 靑龍自書雲觀以北猶可也, 以南甚低弱直下, 而其末外向; 白虎自明通寺以上猶可也, 以南亦低弱而內斜, 龍虎不收拾, 皆無回抱之勢。 朱雀過高, 與三獸不對, 無主而客强, 此山家之大忌也。 是則四獸之不吉也。 明堂左右, 水皆直流, 合於面前, 隨龍虎而直去, 過數百步而後東破, 是則水破之無情也。 明堂者, 以寬平圓廣爲貴, 今此地甚爲狹小, 是則無明堂也。 說者謂此地爲吉者, 據《疑龍經》"正龍身上不生峯, 看上星峰全不作。 正身低平最貴重, 局心偏是明堂山。 《錦曩經》"大者特小, 小者特大"等數語而已。 然詳其《撼龍》、《疑龍經》之旨, 《撼龍經》以星峯爲尋龍之法, 語其正也; 《疑龍經》論無星峰者, 亦爲眞龍, 言其變也。 其要只觀來脈之支幹、四獸之備不備、護衛之完缺、水破之向背、明堂之有無如何耳, 豈徒以特小特大無星峯低平者爲眞龍也哉? 此地所可取者, 但居國中而已。 景福宮坐地, 則自普賢峯而降, 再起星峰, 縱橫起伏, 至白岳特作星峯而住, 與普賢峯坎以坎應, 石以石應, 子不離母, 而木覓在丙方, 主客相應, 是則白嶽之爲正脈明矣。 玄武之勢, 豐狀特秀; 白虎之勢蹲居, 實合形勢, 但靑龍低弱, 而漢城府、典醫監等諸阜稍背, 又案山低微。 然而四面關欄旣成, 以古文考之, 有虎無龍亦不凶, 若有外山連接應, 分明朝穴福相逢。 大氣旣種, 支節不害, (胡舜申)〔胡舜臣〕 所言有虎無龍者, 乾亥山之類也。 且《撼龍經》曰: "大抵正龍無鬼山, 有鬼不出半里間。 要識其龍鬼山短, 緣有纏龍在後段。 旣有纏龍貼護來, 不許鬼山空散漫。" 況諸阜無戈矛之形, 是則靑龍之低弱、諸阜之稍背, 不爲害也。 案山雖低, 亦不下心, 果如高仲安所言"近案須低遠案高, 或無平岡, 而木覓遮障, 不見外朝。"則一重案內如深井積穀, 徒多知慮頑者也。 是則近案之低, 亦不爲害也。 明堂以寬平爲貴, 是故古語云: "相人先看面上, 相地先看明堂。 明堂寬平, 千年吉慶。" 是則白嶽明堂之謂也, 但左右水派, 不能源源而已。 設者歸咎此地者, 見前志背壬向丙三花之說, 以濟生院主脈, 背壬向丙居國中, 遂附會爲眞明堂, 而指白嶽爲過峽, 空亡花穴假穴, 殊不知前志"明堂在三角山心, 背壬向丙, 案前三江, 揖如滿月, 代數無窮"、"天一午地無形, 【註曰: "補成天一位,乃有靈而成國基。"】 神后子地有路岡"、"仁牙有木。"、 【註曰: "仁牙者, 有地無牙 乃植靑松, 過百年而葱蔚。" 又曰: "仁牙者, 有地無牙 左臂劣薄處, 植松裨補。"】 "三角山南爲五德丘 【解曰: "明堂主脈面岳圓形, 土德也。 面岳, 卽白岳也。 紺岳曲成, 水德也。 冠岳尖銳, 火德也。 楊州南行山直成, 木德也。 樹州北岳方形, 金德也。"】 等語, 白岳明堂, 實與之符合。 三花則以《九變圖》考之, 木覓爲第一花, 松嶽爲第二花, 平壤爲第三花, 初非謂此都之內具三花也。 然則景福宮, 其得明堂背壬向丙而坐, 以應三角山之心。 說者之言, 恐不可以爲定論。
- 【태백산사고본】 19책 61권 20장 B면【국편영인본】 3책 497면
- 【분류】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 / 출판-서책(書冊) / 왕실-종사(宗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