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61권, 세종 15년 7월 4일 을묘 3번째기사 1433년 명 선덕(宣德) 8년

하경복·정흠지·정초 등이 왕명을 받들어 《진서》를 편찬하여 올리다

판중추원사 하경복(河敬復)·형조 판서 정흠지(鄭欽之)·예문 대제학 정초(鄭招)·병조 우참판 황보인(皇甫仁) 등이 왕명을 받들어 《진서(陣書)》를 편찬하여 올렸다.

행진(行陣)111)

각군(各軍)의 동정은 오로지 중군(中軍)의 지휘를 들을 것이니, 중군에서 각(角)을 한 번 불고 북 한 번 치면, 각군이 여기에 응하여 병졸을 정비한다. 중군이 북을 올리고 휘(麾)를 들어 앞을 가리키면, 【흰 휘[白麾]가 앞에 있고, 다음 붉은 휘[赤麾], 다음 누른 휘[黃麾], 다음은 검은 휘[黑麾], 다음은 푸른 휘[靑麾]로 차례차례 서서 모두 앞길을 가리킨다. 】 각군이 차례로 이에 응하여, 우군(右軍)이 먼저 앞서고, 다음은 전충(前衝), 다음은 중군, 다음은 후충(後衝), 다음은 좌군(左軍)으로서 기(旗)를 들고 천천히 행진하되, 기병이 앞서고 보병이 뒤서는데, 횡렬로 가고 직선으로 가는 것은 지형에 따라서 변한다. 빠른 북이 울리면 빨리 가고, 쇳소리가 들리면 정지한다. 몰래 숨은 기병(騎兵)이 오색기(五色旗)를 가지고 3마장쯤 먼저 가다가, 만약 깊은 숲과 초목이 있으면 푸른 기를 들고, 언덕의 험한 곳이 있으면 붉은 기를 들고, 흙으로 쌓은 것이나 동네의 좁은 곳을 만나면 누른 기를 들고, 적군의 소리나 모양이 있으면 흰 기를 들고, 물 있는 못이나 강이나 내를 만나면 검은 기를 든다. 만약 급한 일이 있으면 중군에서 각을 한 번 불고, 푸른 휘로 가리키고 흰 위로 뒤를 가리키며, 빠른 북이 울리면 좌·우군이 각각 그 방위로 나아가서 정지하여 진을 치고서 적군의 움직임을 기다린다. 무릇 행군하는 데에는 우군은 교량과 진흙창을 수리하고 좁은 길을 개척하며, 좌군은 뒤를 막고 비상 사태를 수습한다. 먼저 믿을 만한 사람을 시키어 날랜 기병과 길잡이[鄕導]를 거느리고 대군보다 수십 리 앞서 가면서 살펴보게 하되, 앞뒤가 서로 연락되게 하고 사방 중요한 곳을 수색하게 하는데, 극히 정숙하게 하여 사람이나 말이나 모두 소리 없이 할 것이요, 항렬에서 떠나지 말아야 한다. 무릇 군사가 험한 땅이나 좁은 길에 들어가게 될 때에는 고기꿰미처럼 외줄로 나아가는데, 한 대열을 50인씩으로 하되, 먼저 방패 든 군사가 한 사람, 다음에 창이나 장검을 든 한 사람, 다음에 화통(火㷁)이나 활잡이[弓手] 중의 한 사람으로 차례를 정하여 보졸 30인이 앞서고, 말탄 창잡이와 말탄 활잡이 20인이 뒤서서 간다. 길이 두 사람을 용납할 만하면 두 사람씩 나란히 가고, 세 사람을 용납할 만하면 세 사람씩 나란히 가고, 네 사람을 용납할 만하면 네 사람씩 나란히 가고, 다섯 사람을 용납할 만하면 다섯 사람씩 나란히 간다. 재촉하고 독려하여서 정지하거나 뭉쳐 서지 못하게 하여, 요긴한 길목부터 먼저 점령하고, 치중(輜重)이 행군의 뒤에 잇달아 나가는데, 3백 인마다에 50인씩을 뽑아 내어 치중을 보호하는 군대를 삼아 가지고 앞뒤로 대(隊)를 나누어 나가되, 앞끝과 뒤끝이 너무 동떨어지게 멀거든 3마장아니 4마장 간격마다에 한두 대씩 끼어서 불의의 변을 방비하게 하고, 또 경기병(輕騎兵)을 시키어 좌우로 나누어 가면서 으슥한 곳과 숨을 만한 곳을 수색하게 한다.

1. 결진(結陣)112)

중군이 각을 한 번 불면 각 군과 유군(遊軍)에서 마병(馬兵)이 먼저 나가서 사방으로 갈라 벌이어 서고, 중군의 다섯 휘가 다 나서고 북이 울리면, 각 군이 기와 북으로 여기에 응하여 【이하가 다 그리함. 】 각각 그 진형을 이루고, 【중군은 원형, 좌군은 직선형, 전군은 예각형, 우근은 방형, 후군은 곡선형으로 함. 】 유군은 쇠 치는 소리를 듣고서 도로 들어간다. 중근의 다섯 휘가 함께 누우면서 북이 울리고 흰 휘가 나서면, 각 군이 각각 방형의 진을 이루고, 【우군은 본형 그대로임. 】 중군의 다섯 휘가 한데 합쳐지면서 북이 울리고 흰 휘가 나서면, 4군이 중군을 싸고서 방형진을 이루는데, 4군이 각기 양면을 터서 8문을 만들고 각각 방위 빛깔의 기를 세우며, 중군은 원형을 터서 4문을 만들고 각기 짐승을 그린 기를 세우고서 안팎 문을 마병과 보병이 지키며, 전·후·좌·우군이 다 다섯 기를 누이고 오직 ‘관(官)’이란 기만을 세우고 중군의 검은 휘가 나서면서 북이 울리면, 방형의 진을 변하여 곡선형진으로 만들며, 【전군은 쭈그리어 배열하고, 좌우군은 각각 한 통(統)이 되어서 후면을 구부려 꺾음. 】 푸른 휘가 나서고 북이 울리면, 곡선형진을 변하여 직선형진으로 만들며, 【전후군의 양단이 각각 한 통이 되어서 구부려 꺾고, 좌우는 잇대어 배치함. 】 붉은 휘가 나서고 북이 울리면, 직선형을 변하여 예각형의 진으로 만들며, 【전군의 중심부가 예각으로 나오고, 좌우군이 각각 한 통이 되어서 후면을 구부려 꺾음. 】 누른 휘가 나서고 북이 울리면, 예각의 진형을 변하여 원형의 진으로 만들며, 【4면에 원형을 터 놓음. 】 흰 휘가 다시 나서고 북이 울리면, 원형진을 변하여 방형진으로 만든다. 만약 중군의 붉은 휘와 푸른 휘가 합쳐지고 북이 울리면, 전군과 좌군이 합하여 한 진이 되어서 좌편에 있고, 검은 휘와 흰 휘가 합쳐지고 북이 울리면, 후군과 우군이 합하여 한 진이 되어서 우편에 있고, 중군은 그대로 한 진이 된다. 만약 땅이 좁아서 각군을 용납할 수 없으면, 각군이 땅의 형편에 따라서 진형을 이루고, 한 군도 용납할 수 없으면 한 곳에 따로 한 진을 치게 하되, 일체로 한 군의 법칙대로 한다. 무릇 진치는 데는 각 진형의 바깥쪽에 방패를 연이어 배치하고, 다음에 창과 장검이요, 다음에 화통과 궁수이요, 다음에 창 가진 기병과 활 가진 기병이 진 안에 벌이어 서는데, 안팎의 진이 다 그리 한다. 각군에는 각기 5소(所)가 있는데 가로줄 5보(步)에 한 사람씩 서고, 세로줄로 4보에 한 사람씩 서게 한다. 진(陣)과 진 사이에 진 하나를 용납할 만하게 하고, 대(隊)와 대 사이에 대 하나를 용납할 만하게 한다. 5인씩 서로 뜻맞는 자끼리 한 오(伍)를 편성하는데, 오(伍) 안에 장(長)이 있고, 2오가 소대(小隊)가 되는데 소대에 장(長)이 있고, 5오가 중대(中隊)가 되는데 중대에는 정(正)이 있고, 50인이 대대(大隊)가 되는데 대대에는 교(校)가 있다. 50인이 모름지기 그 중심을 결합하여 행진하고 정지하며 나아가고 물러가는데, 그 대에 모두 따라 붙어야 하며, 싸울 때에는 5오씩이 벌여서고 장교가 뒤에 있어서 전투를 독려한다. 1천 명 중에서 2백 인을 나누어서 유격군을 삼았는데 항상 그 군의 후면에 있게 한다. 무릇 행군하고 결진하고 전투할 때에 의병(疑兵)을 세우는 일, 보충하는 일, 척후를 하는 일들은 오로지 이 유격군의 책임으로 한다. 만약 군의 수효가 더 많으면 이런 수효로 비율을 정한다. 모든 군이 머물러 숙소를 정하는 데에는 모두 다 지역을 나누어 갈피를 그어서 그 한계선을 분명히 하여 통행을 금하고, 길처를 말끔히 하여 대장의 명령이 아니면 통행할 수 없게 하고, 땔나무를 구해 오거나 목초 따위를 베어 오는 자는 모두 항오를 이루어야 하고, 항오를 이루지 아니한 자는 통행하지 못하게 한다. 모든 군영의 장에서 밥을 짓는 일은 모름지기 일찍이 할 것이요, 어두운 뒤에는 곧 불을 꺼야 한다. 각 군영마다 바깥 4면과 네 모퉁이에 반드시 작은 뚝[堡]을 세우고, 그 위에 땔나무를 쌓아 놓았다가, 밤 어두운 후에라도 먼저 적군이 오는 것을 알게 되면, 북을 치고 전령하여 달려가서 불을 질러 대낮같이 밝게 하여, 적군이 형체를 감추지 못하게 한다. 밤이 되면 군영 안에서 번갈아 순경도는 사람이라도 높은 소리로 부르거나 외치지 못하게 하며, 진마다 앞쪽 1백 보 바깥에다 소리 듣는 사람 둘씩을 세우되, 1경(更)에 한 번씩 교대하여 불의의 변을 듣게 하는데, 순경도는 자나 소리 듣는 자들은 잠자지 못하게 한다. 만약 군중에서 밤에 놀랄 만한 기척이 있으면 군의 구실아치들은 굳게 앉아 있고, 진의 대장이 병기를 가지고 떠들거나 동요하지 못하게 하며, 낮이 되거든 모든 군의 앞쪽에 각각 높은 곳을 따라서 척후병을 배치하여 동정을 알리게 한다. 무릇 결진하는 법은 본래 일정한 형태가 없는 것이나, 그 대요는 오행(五行)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휘장 복색[章服]으로는 각군이 각기 휘장이 있어서, 중군은 누른 휘장을 둥글게 다섯 치로 하여 옷깃 앞에 붙이고, 전충(前衝)은 붉은 휘장을 세모지게 일곱 치로 하여 배에 붙이고, 좌군은 푸른 휘장을 길이 여덟 치, 넓이 세 치로 하여 왼편 어깨에 붙이고, 우군은 흰 휘장을 사방 네 치로 하여 오른편 어깨에 붙이고, 후충(後衝)은 검은 휘장을 구붓하게 여섯 치로 하여 등에 붙이는데, 각기 군의 칭호와 각소(各所) 각대의 칭호를 쓰고 아울러 방위의 짐승 하나씩을 그린다. 교련장[敎場]으로는 4표(表)에 나아가고 물러가고 함으로써 교련장을 삼나니, 1천 2백 방보(方步)를 두편으로 나누어 동쪽·서쪽으로 마주 향하게 하되, 중간의 상거가 3백 보(步)로서 50보씩마다 표(表)를 1줄[行]씩 세워 모두 다섯 줄[行]을 세우게 되는데, 표와 표의 사이가 각각 50보(步)로서 군사들의 진퇴하는 표준이 된다. 중군에서 각을 한 번 불면, 각 군의 기잡이가 각기 제 방위의 기를 진터에 내다 세우고, 중군에서 북을 울리면, 각군이 병졸을 정돈하여 각각 저희 기의 아래로 나아가서 진치고 난 뒤에, 중군에서 북이 울리고 다섯 휘가 앞을 가리키면, 각군이 첫째 표(表)에 나아가 선두를 나란히 하여 가지고 가운데 줄로 북을 치고 행진하여, 둘째 표(表)에 이르러서 쇠를 치고 휘를 내리면 그 자리에 그치어 모두 앉고, 【무릇 앉는 것은 기병은 말에서 내리고, 보병은 무릎을 꿇음. 】 중군에서 북을 올리고 휘를 흔들면, 각 군이 모두 일어나서 【무릇 일어나는 것은 기병은 말에 오르고, 보병은 일어섬. 】 북을 치고 나아가되, 기병은 달리고 보병은 달음질하는데, 셋째 표(表)에 이르러서 쇠를 치고 휘를 내리면 그 자리에 그치어 모두 앉으며, 북이 또 울리고 휘를 올리면, 각군이 모두 일어나서 북을 치면서 기병과 보병이 모두 빨리 달리는데, 넷째 표(表)에 이르러서 쇠를 치고 휘를 내리면 그 자리에 그치어 앉아 가지고는, 휘와 각이 한 번 움직이고 북이 한 번 울리면, 기병은 한바퀴 돌아 달리고, 보병은 한 바퀴 돌아 싸우기를 무릇 세 번하고 그치는데, 쇳소리 한번에 싸움을 늦추고, 두 번째 소리에 싸움을 그치고, 세 번째 소리에 등을 돌려서 물러나와 셋째 표(表)에 이르러 그치어서 앉고 일어나기를 처음과 같이 하며, 【다만 넷째 표(表)를 향하여 돌아앉는 것이 조금 다를 뿐이고 이하는 다 같음. 】 쇳소리 네 번째에는 빠른 걸음으로 퇴각하여 둘째 표(表)에 이르러서 그치어 가지고 앉고 일어나기를 처음과 같이 하며, 쇳소리 다섯 번째에는 급하게 퇴각하여 첫째 표(表)에 이르러서 그치어 가지고 앉고 일어나기를 처음과 같이 하며, 각을 한 번 불면서 다섯 번째 쇳소리가 나면, 각군이 급하게 진터로 돌아가서 각각 그전 형태로 회복한다. 기휘가(旗麾歌)를 【휘의 빛은 오색이요, 기도 다섯 가지로다. 지휘에는 휘로 하고 응하기는 기로 한다. 중군에는 황색이요, 후충에는 흑색이며, 전충인즉 적색이요, 좌청 우백 마땅하다. 동서 남북 가리킬 때 들면 서고 뉘면 앉고, 흔들면 모두 싸워 늦춤 빠름 알맞추네. 】 부르며, 고진금퇴가(鼓進金退歌)를 【북 한 번에 벌여 서고 두 번째에 결진하며, 세 번째에 전진하고, 네 번째에는 빨리 걷고, 다섯 번엔 급히 달려 바로 급히 싸우나니, 삼군의 전진함이 모두 같은 방법이요, 첫쇠 치면 싸움 늦춰 두 번 칠 때 그치고서, 세 번째에 등을 돌려 네 번째에는 물러서서, 다섯 번엔 급히 달려 본진으로 돌아오니, 삼군의 물러옴이 모두 같은 방법이라. 】 부른다.

1. 군령(軍令).

무릇 출병하는데에, 중군에서 각을 한 번 불면 각군의 장수가 모두 중군의 기와 북의 아래로 모이어, 대장이 영을 내려 이르기를,

"무릇 진영에 있는 자들은 휘와 각과 쇠와 북의 조절함은 보고 들어, 앉고 서고 나아가고 물러남에 그 차서를 잃지 말 것이며, 떠들거나 난동함으로서 군법에 범함이 없게 하라."

하면, 여러 장수들이 모두 앉아서 영을 들은 뒤에 각기 본진으로 돌아가는데, 중군의 시중꾼 두 사람이 요령을 흔들며 나누어 순행하여 뭇사람을 조용하게 하고, 각군의 장수들이 그 들은 명령을 소(所)와 부대에 두루 고한다. 그래서 응당 나아가야 할 경우에 나아가지 아니하고, 응당 물러나야 할 경우에 물러나지 아니하며, 나아가지 말아야 할 경우에 나아가고, 물러나지 말아야 할 경우에 물러나며, 제맘대로 이리 저리 가거나, 휘장 복색이 없는 자는 목베며, 군사 일을 누설한 자는 목베며, 군을 배반하고 달아나는 자는 목베며, 싸우지 않고 적에게 항복한 자는 그 가산을 몰수하며, 기일에 뒤떨어진 자는 목베며, 【비·눈·물·불에 막혀서 못 댄 자는 용서함. 】 항렬이 정제하지 못하거나, 깃대 깃발이 바르지 못하거나, 쇠와 북을 울리지 않는 자는 목베며, 적군과 사사로 교통하는 자는 목베며, 주관하는 장수를 잃은 자는 목베며, 기와 북과 절(節)과 월(鉞)을 잃은 자는 그 부대 전원을 목베며, 어지러운 경우를 당하여 서로 구원하지 않는 자는 목베며, 괴상한 말에 헛되이 혹하고, 음양설과 점치는 말을 망령되이 하는 자는 목베며, 까닭 없이 군을 놀라게 하는 자는 목베며, 다섯 가지 병기와 군의 장비를 유기한 자는 목베며, 장교와 군속으로 직무의 불공평한 것을 사정을 써서 서로 용서해 준 자는 목베며, 강포한 힘으로 약한 자를 짓누르거나, 노름하다가 분해서 싸우거나, 술주정으로 야료를 부리어 고약한 욕설로 무례하게 굴고 사리에 순응하지 않는 자는 목베며, 【공식 연회로 취한 것은 용서함. 】 군중에서 수레를 달리거나 말을 달리는 자는 목베며, 【장군 이하가 모두 걸어서 영문으로 들어감. 】 적군을 부수었을 때 노략질부터 먼저하는 자는 목베며, 밤 시각을 지키지 못하고 밤중에 다니다가 군호를 잃고서 딴 집에 유숙한 자는 목베며, 지키고 포위함에 견고하지 못한 자는 목베며, 파견함에 불복하거나 직무 맡김에 불평하는 자는 목베며, 백성을 침해하고 속이거나, 민간의 여자를 간음하거나, 부녀자를 데리고 영문에 들어온 자는 목베며, 주관하는 장수의 한때의 명령이라도 위반한 자는 목베며, 오(伍)에서 두 사람을 잃으면 구제하지 아니한 세 사람을 벌하고, 소대에서 네 사람을 잃으면 구제하지 아니한 여섯 사람을 벌하고, 25인 대에서 8인을 잃으면 구제하지 아니한 전원을 벌하며, 오(伍)를 잃었어도 〈포로로〉 오를 얻었거나, 장(長)을 잃었어도 장을 얻었거나, 장수를 잃었어도 장수를 얻었으면 각각 그대로 두고, 오를 잃고 오를 얻지 못하였거나, 장(長)을 잃고 장을 얻지 못하였거나, 장수를 잃고 장수를 얻지 못하였으면 벌하며, 오를 얻어 가지고 오를 잃지 아니하고, 장을 얻어 가지고 장을 잃지 아니한 자는 상준다.

1. 응적(應敵).

중군과 전충이 열에 머물러 움직이지 않는 것을 수병(守兵)이라 하고, 후충이 전투에 당할 때에 먼저 나와서 적군을 동하게 하는 것을 정병(正兵)이라 하고, 좌우군이 전투에 당할 때에 옆에서 나와서 돌격하는 것을 기병(奇兵)이라 한다. 【무릇 적구에 응전할 때에는 대(隊)마다 기를 달리 하는데, 기사대(騎射隊)는 푸른 기를 잡고, 기창대(騎槍隊)는 검은 기를 잡고, 화통 궁수대(火㷁弓手隊)는 백기를 잡고, 보창장 검대(步槍長劍隊)는 붉은 기를 잡는다. 】 중군에서 북을 한 번 치면, 각군의 우격군이 먼저 4방면으로 나와서 저편 적군을 바라보고 살피어 각으로 자기 군에 보고하면, 그 군에서는 각으로 중군에 보고한다. 중군에서 각을 불고 붉은 휘가 일어났다가 엎드리면, 전충이 적군을 맞을 것이요, 검은 휘가 앞을 가리키고 북이 울리면, 후충이 먼저 나가서 적군에게 당할 것이요, 푸른 휘와 흰 휘가 앞을 가리키고 북이 울리면, 좌우군이 옆으로 나가서 구원할 것이니, 한 면이 적을 받게 되면 다른 군이 이런 방법으로써 닥치는 대로 앞장이 되되, 모두 중군의 휘와 북과 각의 지휘에 따라 응전할 것이며, 만약 4면이 적을 받게 되면 각각 그 군의 기와 북과 각의 지휘를 바라보고 들어서 싸우되, 중군이 병졸을 나누어 가지고 가서 구원한다. 무릇 군이 진을 나가서 적군과 응전할 때는 일제히 나아가 10보에 흩어져 서고, 마군도 역시 50보 이내에서 정지하여 전투한다. 적군이 패하여 달아나면 북과 각이 함께 울리면서 마병이 나아가 추격하고, 보병은 대열을 벌이어 마병을 구원해 주며, 그런 뒤에 뒤따라 추격할 때에는 항오를 잃지 아니하고 쇳소리를 들으면 정지하고, 북이 급하게 울리면 다시 나아가서 급히 공격할 것이며, 만일 군을 거두어 퇴각하려면, 중군에서 각을 한 번 불고 휘를 내리고 쇠가 다섯 번 울리는데, 각군이 이에 응하여 각기 제자리로 복귀하고, 유격군이 뒷막음하며 돌아온다. 무릇 조운진(鳥雲陣)으로 바꿀 때는, 중군에서 큰 각과 작은 각을 함께 불면서 북을 울리고, 청·백·적·흑의 네 휘를 내렸다 올렸다 하면, 각군이 이에 응하면서 먼저 유격군을 내세워 각기 방위 빛깔의 기를 가지고 그 지면의 경계를 정한 다음, 중군은 그 진터를 튼튼하게 자리 잡아 안배한 대열로 요동하지 않고서 4면을 관제하고, 각 군은 4면의 안팎으로 방패를 세워 본곳을 굳게 지키고, 보병의 창과 장검이 방패의 바깥 주변에 나서서 두 겹으로 포열하여 부딪는 곳마다 앞이 되게 한다. 가령 전군 같으면 전소(前所)의 기사병(騎射兵)과 중소(中所)의 기사병과, 전소의 기창병(騎槍兵)과 중소의 기창병과, 전소의 화통 궁수(火㷁弓手)와 중소의 화통 궁수가 횡렬로 진앞에 벌여서서 저편 적군과 마주 대하고, 【전소의 기사병과 중소의 기사병이 한 줄이 되어서 앞줄로 서는데, 전소 기사병은 나누어서 좌우 모퉁이의 조금 앞으로 서고, 중소 기사병은 가운데에 늘어서며, 다음은 전소의 기창병이 한 줄이 되고, 다음은 중소의 기창병이 한 줄이 되고, 다음은 전소의 화통 궁수가 한 줄이 되고, 다음은 중소의 화통궁수가 한 줄이 되어 모두 다섯 줄이 되는 것이니, 이것이 정병(正兵)으로 적군을 대적하는 것이다. 】 중·좌·우·후 4소(所)의 기사병·기창병·화통 궁수가 좌우로 짜고 나와서 엄호하는데, 모두 안에서 밖을 향하여 직선으로 줄지어서 서면 고기꿰미 같고, 행진하면 기러기 떼와 같게 하여, 안쪽은 진에 맞붙고 바깥쪽은 좀 넓게 벌어져서 형상이 키와 같게 한다. 【중소(中所)의 기창병이 앞에 있고, 화통궁수가 뒤에 있어 한 줄이 되는데, 좌우가 같이 안쪽에 맞붙게 하고, 다음은 좌소(左所)의 기창병이 앞에 있고, 화통 궁수가 뒤에 있어 한 줄이 되어 왼편에 있고, 우소(右所)의 기창병이 앞에 있고, 화통 궁수가 뒤에 있어 한 줄이 되어 우편에 있으며, 다음은 좌소의 기사병이 앞에 있고, 중소의 기사병이 뒤에 있기를 두 줄로 하여 좌편에 있고, 우소의 기사병이 앞에 있고, 중소의 기사병이 뒤에 있는 것이 한 줄로 우편에 있고, 다음은 좌소의 기창병이 앞에 있고, 중소의 기창병이 뒤에 있고, 좌소의 화통 궁수와 중소의 화통 궁수가 대를 연하여 또 그 뒤에 있어서 한 줄이 되어 좌편에 있고, 우소의 기창병이 앞에 있고, 중소의 기창병이 뒤에 있고, 우소의 화통 궁수와 중소의 화통 궁수가 대를 연하여 또 그 뒤에 있어서 한 줄이 되어 우편에 있으며, 다음은 후소(後所)의 기창병이 앞에 있고, 중소의 기창병이 뒤에 있고, 후소의 화통 궁수와 중소의 화통 궁수가 대를 연하여 또 그 뒤에 있어서 한 줄이 되는데 좌우가 같고, 다음은 후소의 기사병이 앞에 있고, 중소의 기사병이 뒤에 있어 한 줄이 되는데 좌우가 같이 외면에 여기저기 있게 한다. 그래서 모두가 좌우 각각 일곱 줄이 되나니, 이것이 곧 기병(奇兵)으로 옆에서 협공하는 것이다. 】 다른 군도 다 이와 같이 하는데, 만약 땅이 좁으면 각군이 각각 저희대로 포진하되, 그 횡으로 서든가 직선으로 서든가 항오를 짜는 수는 군의 많고 적음에 따라 하여 구름이 피어오르듯, 새떼가 흩어지듯, 냇물을 주름잡고 들을 누비어 종횡으로 포진과 행렬을 함에 아무쪼록 소통이 잘 되도록 힘쓸 것이며, 이리저리 돌로 꺾고 함에 부대장의 지휘를 들으면서 각자가 제 힘껏 싸워서 장점에는 단점을 참작하고 단점에는 장점을 참작하며, 전군은 그 전면을 막고 후군은 그 후면을 담당하며, 좌군은 그 좌편을 막고 우군은 그 우편을 막으며, 전진하여 적진으로 나갈 때에 빠져 도망하지 못하게 하고, 후퇴하여 대열로 돌아올 때에 딴 길로 달아나지 못하게 하며, 왼쪽은 그 오른쪽을 응원하고 오른쪽은 그 왼쪽을 응원하며, 만약 그 중간을 쳐들어오면 좌우가 함께 구원하여, 휘날리는 깃발들과 뒤얽힌 병졸들이 보기에는 흩으러진 것 같고 움직임에 문란한 것 같으나, 그러나 법령이 미리부터 정해져 있어서, 기치가 분명하고 대오가 정제하여 나고 듦에 법도가 있고 지휘에 호응이 있어서, 비록 끊어져도 진형을 이루고, 비록 흩어져도 항열을 이루므로, 어즈러운 것 같으면서도 실상은 어즈러워질 수가 없는 것이다. 만약 군을 철수하려면, 중군에서 각을 한 번 불고 청·적·백·흑의 네 휘를 다 내리고 쇠를 치면, 4군이 이에 응하여 각각 제자리로 복귀한다. 골짜기에 싸운다든가 숲속에서 싸우는 법에 있어서도 역시 이 법에 따라서 하는데, 주관하는 정수의 판단에 있는 것은 이루 다 기록하기 어렵다.


  • 【태백산사고본】 19책 61권 1장 B면【국편영인본】 3책 487면
  • 【분류】
    군사-병법(兵法) / 군사-통신(通信) / 군사-군정(軍政) / 출판-서책(書冊)

  • [註 111]
    행진(行陣) : 행진하는 진법.
  • [註 112]
    결진(結陣) : 집결하는 법.

○判中樞院事河敬復、刑曹判書鄭欽之、藝文大提學鄭招、兵曹右參判皇甫仁等, 承命撰《陳書》以進:

行陳: 各軍動靜, 專聽中軍指揮。 中軍角一通鼓一通, 各軍應之整兵。 中軍行鼓動麾指前, 【白麾在前, 次赤麾, 次黃麾, 次黑麾, 次靑麾序立, 俱指前啓。】 各軍以次應之, 右軍先引, 次前衝, 次中軍, 次後衝, 次左軍張旗徐行, 騎先步後, 橫直行因地形而變。 疾鼓動則疾行, 聞金則止。 密伏騎兵持五色旗, 先行三里, 若有深林草木則擧靑, 有丘陵險阻則擧赤, 有土封邑里隘窄則擧黃, 有寇賊音色則擧白, 有水澤江河則擧黑。 若有急, 中軍角一通, 靑麾指前, 白麾指後。 疾鼓動則左右軍, 各就其方, 止而成陣, 以候彼敵。 凡行軍, 右軍修理橋梁泥滓, 開拓窄路; 左軍捍後, 收拾闌遺, 先使腹心, 率精騎及鄕導, 去大軍數十里前覘, 令前後相接, 搜索四方要處, 切在整肅人馬無聲, 不失行列。 凡軍入險地狹經, 魚貫而行, 則每隊五十人, 先防牌一人, 次槍長劍中一人, 次火㷁弓手中一人, 以此爲次。 步卒三十人先行, 騎槍騎射二十人次之。 道容二人則二人齊行, 容三人則三人齊行, 容四人則四人齊行, 容五人則五人齊行, 催督不得停擁, 先據要害。 輜重在行陣後繼發, 每三百人抽減五十人, 爲護輜重軍, 分隊前後行。 首尾相去大遠, 則每三四里許間一二隊, 以備不虞, 又令輕騎分行左右, 披討幽隱。 一。 結陣: 中軍角一通, 各軍遊軍, 馬兵先出, 分布四方。 中軍五麾皆點而鼓動, 則各軍以旗鼓應之, 【下倣此】 各成其陣, 【中圓, 左直, 前銳, 右方, 後曲。】 遊軍聞金還入。 中軍五麾俱臥, 鼓動而白麾點, 則各軍各成方陣, 【右軍因本陣】 中軍五麾合鼓動而白麾點, 則四軍合中軍成方陣, 四軍各排其面作八門, 各立方色旗。 中軍圓排作四門, 各立獸旗, 內外門馬步兵守之。 四軍皆臥五旗, 獨立官旗, 中軍黑麾點鼓動, 則變方爲曲, 【前軍縮排, 左右軍各一統, 曲折後面。】 靑麾點鼓動, 則變曲爲直, 【前後軍兩端, 各一統 曲折左右連排。】 赤麾點鼓動, 則變直爲銳, 【前軍中心銳出, 左右軍各一統, 曲折後面。】 黃麾點皷動, 則變銳爲圓, 【四面圓排】 白麾復點鼓動, 則變圓爲方。 若中軍赤靑二麾合而鼓動, 則前左軍合爲一陣而在左; 黑白二麾合而鼓動, 則後右軍合爲一陣而在右, 中軍自爲一陣。 若地狹不能容各軍, 則各軍隨地之宜成陣, 不能容一軍, 則一所別爲一陣, 一依一軍之法。 凡陣各面防牌連排, 次槍長劍, 次火㷁弓手, 次騎槍騎射, 陣內布列, 內外皆然。 各軍各有五所, 橫五步立一人, 縱四步立一人。 陣間容陣, 隊間容隊。 五人自相得意者結爲伍, 伍中有長。 二伍爲小隊, (中)〔隊〕 有長。 五伍爲中隊, 隊有正。 五十人爲大隊, 隊有校。 五十人須結其心, 行立前却, 當隊幷須依附, 戰則伍伍而立, 將校在後督戰。 每一千人, 以二百人爲遊軍, 在其軍陣之後, 凡行軍、結陣、合戰、設疑、補闕、斥候, 專在遊軍。 若軍數更多, 以此爲率。 諸軍下營, 皆有分地, 畫其溝域, 而明其界限, 禁行、淸道, 非將令不得通行; 採薪芻牧者, 皆成行伍, 不成行伍者, 不得通行。 諸營幕作食須及早, 昏暗以後, 須卽滅火。 每營壘外四面四隅, 必立小堡, 上致燔柴, 夜黑之後, 先知賊至, 擊皷傳令走, 火燎之明如晝日, 使賊不得遁形。 至夜, 令營內分更巡探人, 不得高聲唱號, 每陣前百步外, 各著聽子二人, 一更一替, 以聽不虞, 仍令探聽子勿令眠睡。 若軍中夜驚, 則軍吏堅坐, 陣將持兵, 無得喧嘩動搖。 其晝日, 諸軍前各亦逐高處安置斥候, 以示動靜。 凡結陣之法, 本無常形, 然其大要, 不過五行而已。 章服: 各軍各有章, 中軍黃章, 圓五寸, 置於衿前。 前衝赤章, 三方七寸, 置於腹。 左軍靑章, 長八寸、廣三寸, 置於左肩。 右軍白章, 方四寸, 置於右肩。 後衝黑章, 曲面六寸, 置於背。 各書軍號及各所各隊之號, 幷畫認獸。 一。 敎場: 四表進退爲敎場。 方一千二百步, 分爲兩廂, 東西相向。 中間相去三百步, 每五十步立表, 一行凡立五行, 表間相去各五十步, 爲軍士進退之節。 中軍各一通, 各軍旗人各以其方, 立旗于陣場。 中軍鼓動, 各軍整兵, 各就其旗下陣訖, 中軍鼓動, 五麾指前, 各軍出就第一表, 齊頭中行鼓行, 至第二表, 擊金弊麾, 乃止皆坐。 【凡坐, 騎下馬步跪。】 中軍鼓動作麾, 各軍皆作, 【凡作, 騎上馬步立。】 皷進騎馳步趨, 及第三表, 擊金弊麾, 乃止皆坐。 皷又動作麾, 各軍皆作, 鼓進騎步皆疾走, 及第四表, 擊金弊麾, 乃止皆坐。 作麾角一通鼓一通, 騎一旋馳, 步一旋鬪, 凡三而止。 金一聲緩鬪, 二聲止鬪, 三聲回背行退, 及第三表乃止, 坐作如初。 【但向第四表回坐爲小異耳, 下倣此。】 金四聲, 趨退却行, 及第二表乃止, 坐作如初。 金五聲, 急退却行, 及第一表乃止, 坐作如初。 角一通金五聲, 各軍急就陣, 各復其局。 旗麾歌。 【麾色有五, 旗亦五, 指揮以麾, 應以旗。 中黃後黑, 前則赤, 左靑右白各隨宜。 東西南北視麾指, 擧則軍動伏止之。 揮則騎步皆戰鬪, 或徐或疾將所期。】 鼓進金退歌。 【鼓一整兵二結陣, 鼓三前進四疾行。 鼓五急走仍急鬪, 三軍之進同一情。 金一緩鬪二止鬪, 金三曲背四退行。 金五急退還就陣, 三軍之退同一情。】 一。 軍令: 凡出軍, 中軍角一通, 各軍將俱集中軍旗鼓之下, 大將令曰: "凡在陣者望聽麾角金鼓之節, 坐作進退, 毋失其次, 毋嘩毋亂, 以干兵法。" 諸將皆坐聽令, 各還本陣。 中軍伺候二人, 振鐸分循警衆, 各軍將以其令, 遍告所部, 其有應進而不進、應退而不退、不應進而進、不應退而退、擅左右者、亡章服者斬; 漏軍事者斬; 背軍走者斬; 不戰而降敵者沒其家; 後期者斬; 【阻雨雪水火不坐】 行列不齊、旌旗不正、金革不鳴者斬; 與敵私交通者斬; 失主將者斬; 失旗鼓節鉞者全隊斬; 臨亂不相救者斬; 訛言誑惑、妄說陰陽卜筮者斬; 無故驚軍者斬; 遺棄五兵軍裝者斬; 將吏職事不平藏情相容者斬; 以强陵弱、樗蒲忿爭、酗酒喧嘩惡罵無禮於、理不順者斬; 【因公宴會, 醉不坐】 軍中奔車走馬者斬; 【將軍以下, 竝步入營。】 破敵先擄掠者斬; 更鋪失候、犯夜失號、止宿他舍者斬; 守圍不固者斬; 不伏差遣及主吏役不平者斬; 侵欺百姓、奸居人子女及將婦女入營者斬; 違主將一時之令者斬。 伍中失二人, 罰不救三人; 小隊失四人, 罰不救六人; 二十五人隊失八人者, 罰全隊不救。 亡伍而得伍、亡長而得長、亡將而得將者, 各當之。 亡伍不得伍、亡長不得長、亡將不得將者罰。 得伍而不失伍、得長而不失長、得將而不失將者賞。 一。 應敵: 中軍與前衡按列不動曰守兵, 後衝當戰時先出致敵曰正兵, 左右軍當戰時旁出突擊曰奇兵。 【凡應敵時每隊異旗, 騎射隊執靑旗, 騎槍隊執黑旗, 火㷁弓手隊執白旗, 步槍長劍隊執赤旗。】 中軍鼓一通, 各軍遊軍先出四方, 望候彼敵, 角報其軍, 其軍角報中軍。 中軍吹角, 而赤麾起伏, 則前衝受敵也。 黑麾指前鼓動, 則後衝先出當敵, 靑白二麾指前鼓動, 則左右軍旁出救之。 一面受敵, 他軍倣此, 觸處爲前, 皆以中軍麾鼓角之節而應之。 若四面受敵, 則望聽其軍旗鼓角之節而戰, 中軍分兵往救。 凡軍出陣, 應敵齊進, 十步而散立, 馬亦不過五十步而止戰。 敵敗奔走, 則鼓角合動, 馬兵進而追擊, 步卒布列, 救援馬兵, 然後就次。 追擊之時, 不失行伍, 聞金則止, 鼓急則復進急擊。 如欲斂軍而退, 則中軍角一通, 麾伏金五聲, 各軍應之, 各復其局, 遊軍殿而還之。 凡變爲鳥雲陣, 中軍大小角合吹鼓動, 靑白赤黑四麾乍伏乍起, 則各軍應之。 先出遊軍, 各執方色旗, 定其地界。 中軍厚執其陣, 按列不動, 以制四面。 各軍四面內外防牌, 堅守本處, 步槍長劍出列於防牌外, 周二匝, 觸處爲前。 如前軍則前所騎射、中所騎射、前所騎槍、中所騎槍、前所火㷁弓手、中所火㷁弓手, 橫列於陣前, 以當彼敵。 【前所騎射、中所騎射, 爲一行在前行, 前所騎射, 分居左右角少前, 中所騎射連排居中, 次前所騎槍爲一行, 次中所騎槍爲一行, 次前所火㷁弓手爲一行, 次中所火㷁弓手爲一行, 凡五行。 此乃正兵當敵者也。】 中左右後四所騎射騎槍火㷁弓手, 夾出左右以救, 皆自內向外直列, 立如魚貫, 行若雁行, 內附於陣, 外稍開闊, 而遠狀類箕。 【中所騎槍居先, 火㷁弓手居後爲一行, 左右同附裏面。 次左所騎槍居先, 火㷁弓手居後爲一行在左, 右所騎槍居先, 火㷁弓手居後爲一行在右。 次左所騎射居先, 中所騎射居後者二行在左, 右所騎射居先, 中所騎射居後者一行在右。 次左所騎槍居先, 中所槍居後, 左所火㷁弓手、中所火㷁弓手連排, 又居後爲一行在左, 右所騎槍居先, 中所騎槍居後, 右所火㷁弓手、中所火㷁弓手連排, 又居後爲一行在右。 次後所騎槍居先, 中所騎槍居後, 後所火㷁弓手、中所火㷁弓手連排, 又居後爲一行, 左右同。 次後所騎射居先, 中所騎射居後爲一行, 左右同散居外面。 凡左右各七行, 此乃奇兵旁出夾擊也。】 他軍倣此。 若地狹, 則各軍各自布陳, 其橫立直立行伍之數, 隨軍之多少爲之。 如雲蒸鳥散、彌川絡野、縱橫布列, 務要疏闊得宜, 周旋曲折, 聽隊主指揮, 人自爲戰, 長以參短, 短以參長, 前禦其前, 後當其後, 左防其左, 右防其右。 進而就敵, 不得奔逬; 退而就列, 不得違走。 左救其右, 右救其左。 若衝其中, 左右俱救, 紛紛旌旗, 紜紜士卒, 示之若散, 擾之若亂。 然而法令素定, 旗幟分明, 什伍整齊, 出入有度, 指揮有應, 雖絶成陣, 雖散成行, 似亂而實, 不可亂也。 若欲收兵, 則中軍角一通, 靑赤白黑四麾, 皆伏擊金, 四軍應之, 各復其局。 至於谷戰林戰等法, 亦依此法爲之, 在主將制勝, 不可殫記。


  • 【태백산사고본】 19책 61권 1장 B면【국편영인본】 3책 487면
  • 【분류】
    군사-병법(兵法) / 군사-통신(通信) / 군사-군정(軍政) / 출판-서책(書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