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59권, 세종 15년 3월 8일 신유 1번째기사 1433년 명 선덕(宣德) 8년

도진무와 훈련관 제조를 불러 창을 쓰는 것에 관한 시취의 법을 의논하다

도진무(都鎭撫)와 훈련관 제조(訓鍊觀提調)를 불러 의논하기를,

"기사(騎士)가 무예를 익히는 데에는 창을 쓰는 것이 제일이니, 그 시취(試取)의 법을 잘 논의하여 아뢰라."

하니, 모두 논의하기를,

"갑(甲)과 을(乙)이 마주 대하는 거리를 1백 50보(步)로 하고, 북소리를 듣고 말을 달려, 각각 좌우를 만들고 창을 휘두르기를 모두 빨리 하되, 앞으로 3, 40보를 격하여 서로 맞붙는 형세를 짓고, 갑과 을이 이미 가까와지자 서로 말을 머뭇거리다가, 갑이 말을 달려 창을 휘두르기도 하고 채찍을 치기도 하여 쫓기는 형상을 지으면, 을도 창을 휘두르기도 하고 채찍을 치기도 하면서 쫓는 형상을 하여, 갑의 오른편에 미쳐서 왼쪽으로 부딪치는 형세를 짓고, 갑은 오른쪽으로 돌이키는 형세를 지어서 당하게 하며, 을이 말을 왼쪽으로 옮겨서 오른쪽으로 부딪치는 형세를 지으면, 갑은 왼쪽으로 돌이키는 형세를 지어서 당하게 하며, 그런 뒤에 갑이 그 말을 조금 더디게 하여 기다리면, 을이 도리어 앞에 있어서 쫓기는 형상을 하고, 갑이 뒤에 있어서 쫓는 형상을 하여 을의 오른쪽에 미쳐서 왼쪽을 부딪치는 형세를 지으면, 을은 오른쪽으로 돌이키는 형세를 지어서 당하게 한다. 갑이 말을 왼편으로 옮겨서 오른쪽을 부딪치는 형세를 지으면, 을은 왼쪽으로 돌이키는 형세를 지어서 당하게 하여 달려서 돌아오게 하되, 선후(先後)와 종횡(縱橫)을 헤아리지 말고 혹은 달리고 혹은 빨리 쫓아가며, 혹은 부딪치고 혹은 피하는 형상을 하여, 빼앗고 맞히다가, 징을 치는 소리를 듣고는 그칩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훈련 제조를 택하여 논의한 바와 같이 연습하게 하라. 내가 마땅히 친히 사열하겠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8책 59권 42장 B면【국편영인본】 3책 456면
  • 【분류】
    군사-병법(兵法)

    ○辛酉/召都鎭撫訓鍊觀提調議曰: "騎士習武, 用槍爲最, 其試取之法, 熟議以啓。" 僉議曰: "甲乙對立, 相距一百五十步, 聞鼓聲走馬, 各作左右, 揮槍皆疾, 前隔三四十步, 作相觸之勢。 甲乙旣近, 互相盤馬。 甲馳馬, 且揮且鞭, 爲被逐之狀, 乙亦且揮且鞭, 爲追逐之狀, 及於甲之右, 作左觸之勢, 甲作右背之勢以當之。 乙移馬於左, 作右觸之勢, 甲作左背之勢以當之。 旣而甲少遲其馬以待之, 乙反在前爲被逐之狀, 甲在後爲追逐之狀, 及於乙之右, 作左觸之勢, 乙作右背之勢以當之。 甲移馬於左, 作右觸之勢, 乙作左背之勢以當之。 甲乙走而回, 勿計先後縱橫, 或走或趨, 或觸或避之狀, 乃奪乃中, 聞金而止。" 上曰: "擇訓鍊提調, 如所議肄習, 予當親閱。"


    • 【태백산사고본】 18책 59권 42장 B면【국편영인본】 3책 456면
    • 【분류】
      군사-병법(兵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