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조에서 정조에 왕세자의 조하를 받는 의식에 대해 아뢰다
예조에서 정조(正朝)에 왕세자(王世子)의 조하(朝賀)를 받는 의식에 대하여 아뢰기를,
"기일(期日)에 앞서 예조에서 내외를 감독하여 각기 그의 직책을 받들게 한다. 충호위(忠扈衛)에서 왕세자(王世子)의 악차(幄次)를 근정문(勤政門) 밖의 길 동쪽에 설치하되, 북쪽으로 가까이 서향 되게 한다. 또 동궁(東宮)의 문밖에 궁관(宮官)의 자리[次]를 예법대로 마련한다. 그 날이 되면, 유사(有司)가 전하(殿下)의 자리[座]를 근정전(勤政殿) 북쪽 벽에 남향으로 설치하고, 향로(香爐) 두 개를 앞기둥 밖에 좌·우로 설치하고, 전악(典樂)은 헌현(軒懸)을 전정(殿庭)에 베풀되, 남쪽으로 가까이 북향하게 하고, 협률랑(協律郞)이 휘(麾)를 드는 자리를 전상(殿上)에 설치하되, 서계(西階)의 서쪽에 동향으로 하고, 사복(司僕)은 여연(轝輦)과 말[馬]을 뜰에 세워 놓는다. 전의(典儀)는 왕세자(王世子)의 자리를 전정(殿庭)의 길 동쪽에 북향하여 마련하고, 전상 전의(殿上典儀)의 자리를 전상(殿上)에 마련하되, 동계(東階)의 동쪽에 서향으로 마련하고, 계하 전의(階下典儀)와 치사관(致詞官)의 자리를 현(懸)의 동북쪽에 마련하며, 통찬(通贊) 한 사람의 자리는 현의 남쪽에 있게 하되, 조금 물려서 모두 서향 되게 하고, 통찬 한 사람의 자리는 현의 서북쪽에 동향으로 마련한다. 궁관(宮官)과 익위사(翊衛司)는 정해진 시간에 모두 악차에 집합하여 각기 복색(服色)을 갖추고, 장위(仗衛)는 보통 때와 같이 베풀어 놓는다. 북이 초엄(初嚴)을 울리면, 병조(兵曹)에서는 여러 위(衛)를 감독하여 대장(大仗)과 둔문(屯門)과 진(陳)을 전정(殿庭)에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베풀어 놓는다. 좌중호(左中護)가 찬(贊)하여 중엄(中嚴)을 청하면, 궁관(宮官)은 각기 제자리에 나아간다. 우중호(右中護)가 예식대로 인(印)을 지고 나오면, 시위하는 관원이 모두 합문(閤門)에 나아가 받들어 맞이한다. 북이 이엄(二嚴)을 울리면, 좌중호(左中護)가 외판(外辦)을 고한다. 왕세자가 조복(朝服)을 갖추고 나오면, 좌우의 시위는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좌중호가 인도하여 근정문(勤政門) 밖의 악차로 나아가 앉게 한다. 판통례(判通禮)가 중엄(中嚴)을 아뢰어 청하면, 전하는 사정전(思政殿)에서 나오는데, 원유관(遠遊冠)과 강사포(絳紗袍)를 입고 나온다. 전악(典樂)은 악공들을 데리고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고, 협률랑은 들어와서 거휘위(擧麾位)에 나아간다. 모든 시위하는 관원들은 각기 기구와 복색(服色)을 갖춘다. 상서관(尙瑞官)은 보(寶)를 받들고 모두 합문(閤門)에 나아가서 봉영(奉迎)한다. 북이 삼엄(三嚴)을 울리면, 전의(典儀)가 치사관(致詞官)과 통찬(通贊)을 데리고 먼저 들어와 자리에 나아간다. 봉례랑(奉禮郞)이 3품 이하의 여러 관원을 인솔하고 차례대로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간다. 첨지 통례(僉知通禮)가 아뢰어, 왕세자가 악차에서 나와 서향하여 서면, 【여러 시위는 좌중호와 근시자(近侍者)를 데리고 들어올 수 있는 대로 따라 들어오게 한다. 】 판통례(判通禮)가 외판(外辦)을 아뢰면, 중금(中禁)이 엄(嚴)을 전한다. 전하가 여(輿)를 타고 나오는데, 산선(繖扇)과 시위는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전하가 나오려 하여 의장(儀仗)이 움직이면, 협률랑이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휘(麾)를 들고 일어나면, 악공은 축(祝)을 쳐서 융안지악(隆安之樂)을 연주한다. 전하가 자리에 오르고, 향로에 향을 피워 올리면, 상서관(尙瑞官)이 보를 받들어 자리 앞에 놓기를 【탁자가 있다. 】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협률랑이 휘(麾)를 눕히면, 어(敔)를 쳐서 음악을 그친다. 첨지 통례(僉知通禮)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에 나아가 선다. 【여러 시위가 좌중호 이하 따라 들어간 사람을 거느리고 왕세자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꿇어앉되, 북쪽을 윗자리로 한다. 】 전의(典儀)가 ‘사배(四拜)하라.’ 하면, 통찬(通贊)이 이를 전찬(傳贊)한다. 왕세자가 몸을 굽히면 서안지악(舒安之樂)을 연주한다. 사배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면 음악을 정지한다. 치사관(致詞官)이 서계(西階)로 올라와 전하의 자리 앞에 북향하여 꿇어앉으면, 통찬이 ‘꿇어앉으라.’ 찬(贊)하여, 왕세자가 꿇어앉는다. 치사관이 하례를 올리기를, ‘왕세신(王世臣) 아무개는 이제 봄철이 돌아오며 만물이 모두 새로워지는 시기를 당하와, 【동지(冬至)에는, 「음률(音律)이 황종(黃鍾)에 해당하며 시기는 동지(冬至)가 되었사와」라고 한다. 】 공손히 생각하옵건대, 주상 전하께서는 지극히 인자[仁]하신 성품으로 첫기운을 몸소 받으시와 거룩히 만복을 누리소서.’ 한다. 하례가 끝나면,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난다. 통찬(通贊)이 ‘부복(俯伏), 흥(興), 사배(四拜), 흥(興), 평신(平身)’이라 찬하면, 왕세자가 구부렸다 엎디렸다 일어나고, 음악을 연주한다. 사배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음악을 그친다. 치사관은 제자리로 돌아간다. 대언(代言)이 앞으로 나아가 교지(敎旨)를 받고 물러와서 계(階)에 임(臨)하여 서향하여 서서, ‘교지가 있다. ’고 말하면, 통찬(通贊)이 ‘꿇어앉으라. ’고 찬(贊)한다. 왕세자가 꿇어앉으면, 대언이 교지(敎旨)를 받고 물러와서 계(階)에 임(臨)하여 서향하여 서서, ‘교지가 있다. ’고 말하면, 통찬(通贊)이 ‘꿇어앉으라. ’고 찬(贊)한다. 왕세자가 꿇어앉으면, 대언이 교지(敎旨)를 선언하기를, ‘새해를 맞이하는 경사 【동지(冬至)에는, 「동지를 맞이하는 경사」라고 한다. 】 를 세자와 함께 하노라.’ 한다. 선언을 마치고 나면 대언은 시위하는 자리로 돌아간다. 통찬이 ‘부복, 흥, 사배, 흥, 평신’ 이라 찬하면, 왕세자가 부복하였다 일어나고, 음악을 연주한다.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음악을 그친다. 첨지 통례(僉知通禮)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나가고 나면, 종실(宗室)과 문무 여러 신하가 들어와서 하례를 올린다. 의식은 따로이 정한 바와 같다."
하였다. 여러 신하의 정조 하례를 받는 의식은,
"기일에 앞서 예조에서 내외의 관원을 감독하여 각기 자기의 직무를 행하게 한다. 그날 밝기 전에 전하가 여러 신하를 거느리고 망궐례(望闕禮)를 행하고 나서, 전하는 내전(內殿)으로 돌아가고, 여러 신하는 악차(幄次)로 돌아간다. 유사(有司)가 전하의 자리[座]를 근정전의 북쪽 벽에 남향으로 설치하고, 향로 두 개를 앞기둥 밖에 좌우로 설치한다. 전악(典樂)은 헌현(獻懸)을 전정(殿庭)에 설치하되, 남쪽으로 가까이 북향(北向)하여 설치하고, 협률랑(協律郞)의 거휘위(擧麾位)를 전상(殿上)에 설치하되, 서계(西階)의 서쪽에 동향으로 설치하고, 사복(司僕)은 여연(轝輦)과 말을 전정(殿庭)에 베풀어 놓는다. 전의(典儀)는 문관(文官) 1품 이하의 자리를 전정(殿庭)의 길 동쪽에 설치하고, 종실(宗室)과 무관(武官) 1품 이하의 자리를 길 서쪽에 설치하되 관등(官等)마다 자리를 달리 하며, 겹줄로 하여 북향 되게 하고, 우두머리가 서로 마주보게 한다. 【종실(宗室)은 품등마다 따로 반두(班頭)의 자리를 설치하고, 대군(大君)의 자리는 특별히 정1품의 앞에 설치한다. 】 감찰(監察) 두 사람의 자리는 문·무반(文武班)의 뒤에다 북향으로 설치하고, 전상 전의(殿上典儀)의 자리는 전상(殿上)에 설치하되, 동계(東階)의 동쪽에 서향으로 설치하고, 판통례(判通禮)·계하 전의(階下典儀)·독전관(讀箋官)·치사관(致詞官)의 자리는 현(懸)의 동북쪽에 설치하고, 통찬(通贊) 한 사람의 자리는 그 남쪽으로 조금 물려서 설치하되, 모두 서향하게 한다. 통찬 한 사람의 자리는 현의 서북쪽에 설치하되 동향하게 한다. 봉례랑은 홍례문(弘禮門) 안에다 문밖 자리[內外位]를 설치한다. 문관(文官)은 길 동쪽으로, 종실(宗室)과 무관(武官)은 길 서쪽에다 있게 하되, 관등(官等)마다 자리를 달리 겹줄로 서로 마주보게 하고, 북쪽을 위가 되게 한다. 북이 초엄(初嚴)을 울리면, 병조에서 여러 위(衛)를 감독하여 대장(大仗)과 둔문(屯門)과 진(陳)을 전정(殿庭)에 벌여 놓되,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유사(有司)는 전문(箋文)을 올려놓는 탁자와 방물(方物)을 올려놓는 탁자를 전계(殿階)의 위에 설치하되, 【전문을 올려 놓는 탁자는 가운데에, 방물을 올려놓는 탁자는 좌우로 나누어 놓는다. 】 모두 의식과 같이 한다. 예조 정랑(禮曹正郞)이 조복(朝服)을 갖추고 용정(龍亭)으로 여러 도에서 들어온 전문(箋文)을 받들고, 음악이 앞에서 인도하여 서문(西門)으로 들어가서 【여러 도의 봉전원(奉箋員)이 조복(朝服)을 입고 양쪽에서 모신다. 】 근정문(勤政門)에 이르러서 그친다. 영사(令史)는 초록색 공복(公服) 차림으로 전문(箋文)이 들어 있는 함(函)을 마주 든다. 정랑이 인도하여 서계(西階)로 올라가서 탁자 위에 올려놓는다. 여러 도에서 온 사인(使人)은 각기 방물을 들고 동쪽 문과 서쪽 문으로 들어와서 탁자 위에 나누어 놓는다. 북이 이엄(二嚴)을 울리면, 종실(宗室)과 문무(文武) 여러 관원은 조복(朝服)을 갖추고 모두 문밖의 자리로 나아간다. 판통례(判通禮)가 아뢰어 중엄(中嚴)을 청하면, 전하가 사정전(思政殿)을 나오는데, 원유관(遠遊冠)과 강사포(絳紗袍) 차림을 한다. 유사(有司)가 산선(繖扇)을 베풀고 시위하기를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한다. 근신(近臣)과 집사관(執事官)이 【근신(近臣)이란 대언(代言)과 비신 상호군(備身上護軍)·부책 상호군(扶策上護軍)·사관(史官)과 같은 사람이며, 집사관(執事官)이란 판통례(判通禮)·전의(典儀)·독전관(讀箋官)·치사관(致詞官)·통찬(通贊)·감찰(監察)과 같은 사람들이다. 】 먼저 사배례(四拜禮)를 행하기를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전악(典樂)이 악공(樂工)을 데리고 들어와 자리에 나아가고, 협률랑(協律郞)이 들어와 거휘위(擧麾位)에 나아간다. 모든 시위하는 관원은 각기 자기의 의장과 복색(服色)을 갖춘다. 상서관(尙瑞官)이 어보(御寶)를 받들면, 모두 합문(閤門)에 나아가서 받들어 맞이한다. 북이 삼엄(三嚴)을 울리면, 전의(典儀)가 독전관(讀箋官)·치사관(致詞官)·통찬(通贊)을 데리고 먼저 자리에 나아가고, 봉례랑(奉禮郞)이 3품 이하의 여러 관원과 여러 도에서 올라온 봉전원(奉箋員) 등을 나누어 인도하여, 먼저 갖다 놓아야 할 사람을 인솔하고 들어가서 자리에 나아가게 한다. 【봉전원(奉箋員)은 각기 자기와 같은 관등의 말석에 선다. 】 판통례(判通禮)가 외판(外辦)을 아뢰면, 중금(中禁)이 엄(嚴)을 전한다. 전하가 여(輿)를 타고 나오는데, 산선(繖扇)과 시위는 보통 때의 의식과 같다. 전하가 나오려 하여 의장(儀仗)이 움직이면, 협률랑(協律郞)이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휘(麾)를 들고 일어난다. 악공(樂工)이 축(祝)을 두드려 융안지악(隆安之樂)을 연주한다. 전하가 자리에 오르고, 향로에서 연기가 올라가면, 상서관(尙瑞官)이 어보(御寶)를 받들어 자리 앞에 놓는데 【탁자가 있다. 】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협률랑(協律郞)이 휘(麾)를 눕히면, 어(敔)를 두드려 음악이 중지된다. 봉례랑(奉禮郞)이 종실(宗室)과 문무(文武)관원 2품 이상을 나누어 인솔하여 차례대로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 【만일 왕세자가 조회에 나오면, 왕세자가 조회를 끝내고 나온 뒤에, 봉례랑(奉禮郞)이 2품 이상을 인도하여 들어온다. 】 서면, 전의(典儀)가 ‘사배하라.’ 한다. 통찬(通贊)이 이를 받아서 찬(贊)하면, 여러 관원이 몸을 굽히고, 서안지악(舒安之樂)을 연주한다. 사배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음악을 그친다. 치사관(致詞官)이 서계(西階)로 올라가서 전하의 자리 앞에 나아가 북향하고 꿇어앉으면, 통찬(通贊)이 ‘꿇어앉으라.’ 찬(贊)한다. 모든 관원이 다 꿇어앉으면, 치사관(致詞官)이 하례하기를, ‘의정(議政) 관직을 구체적으로 열거함. 신(臣) 아무 등은 이제 봄철이 돌아와서 만물이 모두 새로워지는 시기를 당하와 【동지(冬至)에는, 「음률이 황종(黃鍾)에 해당하오며, 시기는 동지(冬至)를 당하와」라고 한다. 】 공경히 생각하옵건대, 전하께서는 지극히 인자하시며 첫기운을 몸소 받으시와 거룩히 큰 복을 누리소서.’ 한다. 하례를 마치고 나서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난다. 통찬(通贊)이 ‘부복, 흥, 사배, 흥, 평신’이라 찬(贊)하면, 여러 관원이 모두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고, 음악을 연주한다. 사배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음악을 그친다. 치사관(致詞官)이 제자리로 돌아오면, 대언(代言)이 앞으로 나아가 교지(敎旨)를 받고 물러와서 계(階)에 임하여 서향하여 서서, ‘교지가 있다. ’고 한다. 통찬이 ‘꿇어앉으라.’ 찬하면, 모든 관원이 다 꿇어앉는다. 대언이 교지를 전하기를, ‘새해를 맞이하는 경사를 【동지(冬至)에는 「동지를 맞이하는 경사」라 한다. 】 경(卿)들과 함께 하노라.’ 한다. 교지를 전달하기를 마치면, 대언(代言)은 제자리로 돌아가서 임금을 모신다. 통찬(通贊)이 ‘홀(笏)을 꽂고, 머리를 세 번 조아리고, 천세(千歲), 천세(千歲) 천천세(千千歲)하고, 홀을 꺼내고, 부복, 흥, 사배, 흥, 평신’이라 찬(贊)하면, 여러 관원은 모두 홀을 꽂고, 머리를 세 번 조아리고, 천세, 천세, 천천세 하고, 홀을 꺼내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고, 음악을 연주한다. 사배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음악을 그 친다. 집사자(執事者) 두 사람이 전문(箋文)을 올려 놓은 탁자를 마주 들고 서문(西門)으로 들어가서 전하의 자리 앞에 놓으면, 독전관(讀箋官)이 서계(西階)로 올라가서 전문을 올려놓은 탁자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꿇어앉는다. 집사자가 가장 높은 관원이 올린 전문을 집어서 마주 펴 든다. 독전관이 다 읽고 나서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제자리고 돌아간다. 집사자가 전문이 놓여 있는 탁자를 철거하여 어보(御寶)를 올려놓은 탁자의 남쪽에 놓고, 각기 제자리로 돌아간다. 전의(典儀)가 전계(殿階) 위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꿇어앉아서 여러 도에서 올려온 예물을 아뢰고, 이를 유사(攸司)에 회부하기를 청하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제자리로 돌아온다. 봉례랑(奉禮郞)이 종실(宗室)과 문무(文武) 관원 2품 이상을 인도하여 나온다. 판통례(判通禮)가 전하의 좌석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서, ‘예가 끝났다. ’고 아뢰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제자리로 돌아온다. 협률랑(協律郞)이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휘(麾)를 들고 일어난다. 음악을 연주한다. 전하는 어좌에서 내려와서 여(輿)를 타고 안으로 돌아간다. 산선(繖扇)과 시위는 올 때의 의식과 같다. 시신(侍臣)이 합문(閤門)까지 따라간다. 협률랑이 휘를 눕히면, 음악이 그친다. 봉례랑이 3품 이하의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대로 나간다."
하니, 그대로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15책 50권 43장 A면【국편영인본】 3책 284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禮曹啓正朝受王世子朝賀儀:
前期, 禮曹宣攝內外, 各供其職。 忠扈衛設王世子次於勤政門外道東近北西向, 又於東宮門外, 設宮官次如式。 其日, 有司設殿下座於勤政殿北壁南向, 設香爐二於前楹外。 左右典樂展軒懸於殿庭近南, 北向, 設協律郞擧麾位於殿上西階之西, 東向。 司僕陳轝輦及馬于庭。 典儀設王世子位於殿庭道東, 北向, 設殿上典儀位於殿上東階之東, 西向, 階下典儀致詞官位於懸之東北, 通贊一人在南差退, 俱西向, 通贊一人於懸之西北東向。 宮官翊衛司依時刻俱集於次, 各服其服, 仗衛陳設如常。 鼓初嚴, 兵曹勒諸衛列大仗屯門及陳於殿庭如常儀。 左中護贊請中嚴, 宮官各就位, 右中護負印如式。 侍衛之官, 俱詣閤奉迎。 鼓二嚴, 左中護白外辦, 王世子服朝服以出, 左右侍衛如常儀。 左中護引就勤政門外次坐。 判通禮啓請中嚴, 殿下出思政殿, 服遠遊冠絳紗袍。 典樂帥工人入就位, 協律郞入就擧麾位。 諸侍衛之官, 各服其器服, 尙瑞官奉寶, 俱詣閤奉迎。 鼓三嚴, 典儀帥致詞官通贊先入就位, 奉禮郞引群官三品以下〔以〕 次入就位。 僉知通禮白王世子出次西向立, 【諸衛率左中護及近侍者, 量人從入。】 判通禮啓外辦, 中禁傳嚴, 殿下升轝以出, 繖扇侍衛如常儀。 殿下將出仗動, 協律郞俛伏擧麾興, 工皷柷奏隆安之樂殿下升座, 爐烟升。 尙瑞官奉寶置於座前 【有案】 如常。 協律郞偃麾戞敔,樂止僉知通禮引王世子入就位。 立定, 【諸衛帥左中護以下從入者, 跪於王世子東南西向北上。】 典儀曰: "四拜。" 通贊傳贊, 王世子鞠躬舒安之樂作, 四拜興平身。 樂止, 致詞官升自西階, 進當殿下座前北向跪, 通贊贊跪, 王世子跪, 致詞官賀稱: "王世臣某, 玆遇三陽開泰, 萬物咸新。 【冬至云: ‘律應黃鍾, 日當長至。’】 恭惟殿下至仁體元, 茂膺景福。" 賀訖, 俯伏興。 通贊贊俯伏興、四拜興平身, 王世子俯伏興。 樂作, 四拜興平身。 樂止, 致詞官還本位, 代言前承敎退, 臨階西向立, 稱有旨。 通贊贊跪, 王世子跪, 代言宣敎曰: "履新之慶, 【冬至云: ‘履長之慶。’】 與世子同之。" 宣訖, 代言還侍位。 通贊贊俯伏興, 四拜興平身, 王世子俯伏興樂作, 四拜興平身, 樂止, 僉知通禮引出。 王世子旣出, 宗室及文武群官入賀如別儀。
受群臣朝賀儀:
前期, 禮曹宣攝內外, 各供其職。 其日未明, 殿下率群臣, 望闕行禮訖還內, 群臣退次。 有司設殿下座於勤政殿北壁, 南向, 設香爐二於前楹外。 左右典樂展軒懸於殿庭近南, 北向, 設協律郞擧麾位於殿上西階之西, 東向; 司僕陳轝輦及馬于庭。 典儀設文官一品以下位於殿庭道東, 宗室及武官一品以下位於道西, 每等異位重行, 北向, 相對爲首, 【宗室, 每品班頭別設位, 大君, 特設位於正一品之前。】 監察二位於文武班後, 北向, 殿上典儀位於殿上東階之東, 西向, 判通禮階下典儀讀箋官致詞官位於懸之東北, 通贊一人在南差退, 俱西向, 通贊一人於懸之西北東向。 奉禮郞設門外位於弘禮門內, 文官於道東, 宗室及武官於道西, 每等異位重行, 相向北上。 鼓初嚴, 兵曹勒諸衛列大仗屯門及陳於殿庭如常儀。 有司設箋案及方物案於殿階上, 【箋案在中, 方物案分左右。】 竝如儀。 禮曹正郞朝服, 以龍亭奉諸道箋, 皷樂前導, 由西門入, 【諸道奉箋員, 朝服夾侍。】 至勤政門止。 令史綠公服, 對擧箋函, 正郞引升自西階, 置于案上。 諸道使人, 各執方物由東西門入, 分置案上。 皷二嚴, 宗室及文武群官具朝服, 皆就門外位。 判通禮啓請中嚴, 殿下出思政殿, 服遠遊冠絳紗袍, 有司陳繖扇侍衛如常儀。 近臣及執事官, 【近臣, 如代言及備身上護軍、扶策大護軍、史官之類。 執事官, 如判通禮、典儀、讀箋官、致詞官、通贊、監察之類。】 先行四拜禮如常儀。 典樂帥工人入就位, 協律郞入就擧麾位, 諸侍衛之官, 各服其器服, 尙瑞官奉寶俱詣閤奉迎。 鼓三嚴, 典儀帥讀箋官致詞官通贊先就位, 奉禮郞分引群官三品以下及諸道奉箋員等, 應先置者, 入就位。 【奉箋員, 各就本品之末。】 判通禮啓外辦, 中禁傳嚴, 殿下升轝以出, 繖扇侍衛如常儀。 殿下將出仗動, 協律郞俛伏擧麾興, 工鼓柷奏隆安之樂殿下升座, 爐烟升。 尙瑞官奉寶置於座前 【有案】 如常。 協律郞偃麾戞敔, 樂止, 奉禮郞分引宗室及文武二品以上, 以次入就位。 【王世子來朝, 則王世子朝出訖, 奉禮郞引二品以上入。】 立定, 典儀曰: "四拜。" 通贊傳贊, 群官鞠躬, 舒安之樂作, 四拜興平身。 樂止, 致詞官升自西階, 進當殿下座前北向跪。 通贊贊跪, 群官皆跪, 致詞官賀稱: "議政具官臣某等, 玆遇三陽開泰, 萬物咸新。 【冬至云: ‘律應黃鍾, 日當長至。’】 恭惟主上殿下, 至仁體元, 茂膺景福。" 賀訖, 俯伏興。 通贊贊俯伏興, 四拜興平身, 群官皆俯伏興, 樂作, 四拜興平身。 樂止, 致詞官還本位。 代言前承敎退, 臨階西向立, 稱有旨, 通贊贊跪, 群官皆跪, 代言宣敎曰: "履新之慶, 【冬至云: ‘履長之慶。’】 與卿等同之。" 宣訖, 代言還侍位。 通贊贊搢笏三叩頭, 千歲千歲千千歲, 出笏俯伏興, 四拜興平身, 群官皆搢笏三叩頭, 呼千歲千歲千千歲, 出笏俯伏興。 樂作, 四拜興平身。 樂止執事者二人對擧箋案, 由西門入, 置於殿下座前。 讀箋官升自西階, 進詣箋案南北向跪, 執事者取最高官箋文對展, 讀箋官讀訖, 俯伏興還本位。 執事者徹箋案, 置於寶案之南, 各還本位。 典儀進詣殿階上北向跪啓: "諸道禮物, 請付攸司。" 俯伏興還本位。 奉禮郞分引宗室及文武二品以上出, 判通禮進當殿下座前跪啓禮畢, 俯伏興還本位。 協律郞俛伏擧麾興, 樂作, 殿下降座, 升轝還內, 繖扇侍衛如來儀, 侍臣從至閤。 協律郞偃麾, 樂止, 奉禮郞分引群官三品以下以次出。
從之。
- 【태백산사고본】 15책 50권 43장 A면【국편영인본】 3책 284면
- 【분류】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