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49권, 세종 12년 7월 7일 을사 2번째기사 1430년 명 선덕(宣德) 5년

최양선이 헌릉의 산맥 배양하는 일에 대해 글을 올리다

전 서운 장루(書雲掌漏) 최양선(崔揚善)이 글을 올리기를,

"신이 그윽이 생각하건대, 헌릉(獻陵)의 산맥을 배양(培養)하는 일이 심중(心中)에 간절하와 잠시도 늦출 수 없는 일이옵기에 삼가 신의 소견을 써서 아래에 조열(條列)하나이다.

1. 착맥부(捉脈賦)의 주(註)에 이르기를, ‘용호선찰(龍湖禪刹)의 후룡(後龍)은 두 곳이나 끊겨 무력(無力)한 데가 있으니, 그 흥쇠를 징험해 알 수 있고, 구양 태수묘(歐陽太守廟)의 후룡은 병풍을 둘러치듯이 큰 산봉우리가 높이 솟아 있어 그의 응험(應驗)이 억만년을 내려가도 변동하지 않으리라.’ 하였으니, 신의 생각에는 본시 한 개의 산이라 할지라도 그 흥폐의 다름이 있는 것은 그 후룡이 끊기고 안 끊긴 데 있다고 여겨지나이다.

1. 곤감가(坤鑑歌)에 이르기를, ‘산을 끊어 가로 길을 내면, 그 기운을 연(連)하기 어려우나, 만약 봉요(蜂腰)로 된 것이라면 도리어 자연스럽다.’ 하였으니, 신의 생각은 조종(祖宗)의 맥(脈)이 들어온 곳에 다시 큰 길을 내어 이를 횡단한다면 그 봉요에 주는 손상을 어찌 자연스럽다고 이를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1. 문정(門庭)에 이르기를, ‘무릇 봉요(蜂腰)와 학슬(鶴膝)을 발견한 뒤에는 따로 입신(立身)을 쓰나니, 입신이 일어나지 않은 곳은 장원(長遠)하지 못하다.’ 하였는데, 신의 생각은 입신(立身)이란 조종(祖宗)을 말한 것이니, 조종의 입맥(立脈)이 끊겼다면 일어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어찌 사소한 말절(末節)로만 보아 넘길 일이오리까.

1. 입향편(立向篇)에 이르기를, ‘입신(立身)이 조종이 되고, 입수(入首)가 주(主)가 된다.’ 하였으니, 신의 생각은 큰 산봉우리가 병풍처럼 둘러선 것을 입신이라 이르고, 처음 머리가 들어온 그 마디가 곧 주산(主山)이 되는 것이온데, 그 근저(根底)가 되는 봉요(蜂腰)를 큰 길이 가로 끊은 것은, 이는 지리(地理)에 밝은 자들의 꺼려하는 바라 하겠습니다.

1. 귀겁편(鬼刼篇)에 이르기를, ‘한 마디[一節]의 주장하는 바가 12년이다.’ 하였으니, 신의 생각으로는 만약 이와 같다면 길을 끊어 놓은 것이 그 마디에 있어 손실이 적지 않은 것이니, 어찌 심상히 볼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1. 경(經)에 말하기를, ‘기운이 형상에 인하여 오나니 끊긴 산에는 장례할 수 없다.’ 하였습니다. 신의 생각으로는 자꾸만 밟아 뭉개면 반드시 형상의 휴손(虧損)을 가져올 것이니, 그 원기가 어디로부터 오겠습니까.

1. 사형편(砂刑篇)에 이르기를, ‘산이 파상(破傷)을 입는 것을 사람이 슬퍼한다.’ 하였습니다. 대저 산에 파상이 있어도 오히려 슬퍼하고 한탄하옵거든, 하물며 주산(主山) 뒤와 봉요(蜂腰)를 이룬 곳에 큰 길의 절단이 가중되는 것이겠습니까.

1. 《보감(寶鑑)》에 이르기를, ‘해[年]는 72후(候)를 넘어서야 세공(歲功)을 이루고, 산도 72후가 있어야만 진룡(眞龍)을 이루나니, 만약 그 수효에 미치지 못한 자는 그 후(候)에 응(應)함도 또한 박하다.’ 하였습니다. 신의 생각으로는 후룡(後龍)에 길이 있어 이를 끊어버렸다면 어찌 수효에 도달하며, 진룡(眞龍)을 이루었다 이르겠습니까. 신의 어리석음으로도 그윽이 생각하건대, 옛 사람의 풍수(風水)의 학(學)으로 본다면 사실 그러하오나, 당시에 사세(事勢)를 논한다면 또한 불가한 것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도로를 상고하여 보건대 그 동서(東西)로 왕래하는 멀고 가까운 거리의 차이가 일찍이 없고 보니, 만약 동쪽 길을 한번 개통해 놓는다면 길손들은 서로 뒤를 따라 이 길로 달릴 것이니, 그 누가 길을 멀리 돌아다닌다는 원성이 있겠습니까. 이와 같은 〈순편(順便)한〉 사세가 있는데도 풍수라 호칭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이를 깨닫지 못하고 고집을 버리지 않고 있으니 〈무슨 심리인지〉 알 수 없습니다. 신의 좁은 소견이 이와 같아서 차마 입만 다물고 있을 수 없어 자나깨나 잊지 못하고 있사오니, 엎디어 바라옵건대, 성상께서는 재단(裁斷)하여 시행하옵소서."

하니, 명하여 이를 예조에 내렸다.


  • 【태백산사고본】 15책 49권 1장 B면【국편영인본】 3책 244면
  • 【분류】
    왕실-종사(宗社) / 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 / 역사-고사(故事)

○前書雲掌漏崔揚善上書:

臣竊惟獻陵山脈培養之事, 切切于中, 不容少弛, 謹撰所見, 條列于左。 一。 《捉脈賦註》云: "龍湖禪刹後龍, 有兩處截斷無力, 興衰之有驗。 歐陽太守廟, 後龍峙大屛嶂, 其應垂億萬斯年而不替。" 臣以爲本是一山也, 而興廢有異者, 在於後龍斷不斷如何耳。 一。 《坤鑑歌》云: "斷山橫塹氣難連, 若是蜂腰却自然。" 臣以爲祖宗入脈之處, 加以大路而橫塹, 則蜂腰損傷, 豈可謂之自然? 一。 《門庭》云: "凡見蜂腰、鶴膝之後, 更用別立身。 不起立身者, 不長遠也。" 臣以謂立身者, 祖宗也。 祖宗入脈截斷, 則與不起同, 安敢以細故末節觀哉? 一。 《立向篇》云: "立身爲祖, 入首爲主者。" 臣以謂峙大屛嶂, 是謂立身, 初入首節, 是爲主山。 根底之蜂腰, 大路截斷, 此曉地理者所動心也。 一。 《鬼刦篇》云: "一節所主十二歲。" 臣以謂如是, 則路斷之於節目, 虧缺不小, 安敢恝然? 一。 《經》曰: "氣因形來, 斷山不可葬。" 臣以謂踐履不已, 則必有虧缺之形, 元氣何從而來? 一。 《砂形篇》云: "山破人悲。" 大凡山有破傷, 尙有悲嘆, 況於主山之後蜂腰之處, 加以路斷乎? 一, 寶鑑云: "年踰七十二候, 而成歲功, 山有七十二候, 而成眞龍。 如不及數者, 應候亦薄。" 臣以謂後龍有路截斷, 則安得謂之及數, 而成眞龍乎? 臣愚竊念古人風水之學, 則固然矣, 及論當時之事勢, 亦有不可焉。 考其道路, 則東西往來之遐近, 未嘗差池, 如或東路一開, 則行旅相率, 而驅馳於此矣。 誰敢有枉道邐迤之嘆乎? 有如此之勢, 而號爲風水者, 尙不覺悟, 固執如是, 獨何心哉? 獨何心哉? 臣見如是, 不忍緘默, 寤寐拳拳, 伏惟聖裁施行。

命下禮曹。


  • 【태백산사고본】 15책 49권 1장 B면【국편영인본】 3책 244면
  • 【분류】
    왕실-종사(宗社) / 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 / 역사-고사(故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