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45권, 세종 11년 8월 16일 경인 3번째기사 1429년 명 선덕(宣德) 4년

사정전에서 공녕군 인 등에게 전별연을 베풀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계품사(計稟使) 공녕군(恭寧君) 인(䄄)과 부사(副使) 우군 도총제(右軍都摠制) 원민생(元閔生), 종사관(從事官)·수종관(隨從官) 등에게 전별연(餞別宴)을 열고 월대(月臺) 위에 좌석을 정해 주었으며, 여러 종친들과 부마(駙馬)가 입시(入侍)하였다. 날이 저물어서 연회를 파하고, 인(䄄)에게 전립(氈笠)·초립(草笠) 각 1개, 초구(貂裘)·모관(毛冠)·이엄(耳掩)·비단옷 1 벌, 명주옷 1벌, 호슬(護膝)·녹비(鹿皮)로 지은 신과 사피(斜皮)로 지은 신 각각 하나씩 하사(下賜)하고, 민생(閔生)에게는 초구(貂裘)·모관(毛冠)·이엄(耳掩)·옷·갓·신을, 종사관·수종관 등 12인에게는 갓·모관(毛冠)·이엄(耳掩)을 하사하였으며, 따로 반전(盤纏)103) 으로 마포 60필, 저포 10필, 석등잔 10구(具), 초서피(貂鼠皮) 50장, 침석(寢席) 10장, 후지(厚紙) 40권, 차[茶] 3말[斗], 도자(刀子) 80개를 내렸다.


  • 【태백산사고본】 14책 45권 13장 B면【국편영인본】 3책 194면
  • 【분류】
    외교-명(明) / 왕실-의식(儀式) / 왕실-사급(賜給)

○御思政殿, 餞計稟使恭寧君 、副使右軍都摠制元閔生, 從事官隨從官等, 賜坐于月臺上, 諸宗親駙馬入侍, 日暮乃罷。 賜氈草笠各一、貂裘、毛冠、耳掩、段子、衣一襲、紬衣一襲、護膝、鹿皮ㆍ斜皮靴各一, 閔生貂裘、毛冠、耳掩、衣、笠、靴, 從事官隨從官等十二人笠、毛冠、耳掩。 別賜盤纏、麻布六十匹、苧布十匹、石燈盞十事、貂鼠皮五十張、寢席十張、厚紙四十卷、茶三斗、刀子八十部。


  • 【태백산사고본】 14책 45권 13장 B면【국편영인본】 3책 194면
  • 【분류】
    외교-명(明) / 왕실-의식(儀式) / 왕실-사급(賜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