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조와 의례 상정소에서 조사한 조정의 관복 제도
예조에서 계하기를,
"본조와 의례 상정소에서 삼가 조정의 관복(冠服) 제도를 조사하오면, 홍무 2년 10월 일에 중서성(中書省)에서 삼가 태조 고황제의 명령을 받들어 고려 공민왕에게 관복을 내리는 자문(咨文) 가운데, ‘면복(冕服) 【규(圭)가 9촌(寸), 면(冕)이 9류(旒), 푸른 웃옷과 붉은 치마가 9장(章), 백사(白紗)로 만든 중단(中單)·붉은 빛깔의 폐슬(蔽膝)·혁대(革帶)·옥패(玉佩)·큰 띠[大帶]·흰 버선[白襪]·검은 신[黑舃]. 】 과 조회하러 들어올 때와 사절로 들어올 때의 의복인 원유관(遠遊冠)·강사포(絳紗袍)【원유관은 일곱 줄[七梁], 서각(犀角)으로 만든 잠도(簪導)012) ·강사포(絳紗袍)·홍색 치마[紅裳]·백사(白紗)로 만든 중단(中單)·군유(裙襦)·강사(絳紗)로 만든 폐슬(蔽膝)·흰 가대(假帶)·방심곡령(方心曲領)·홍색 혁대(革帶)·흰 버선[白襪]·붉은 신[舃]. 】 이라.’ 하였고, 배신(陪臣)이 조현(朝見)하는 의복과 배신이 제사지낼 때의 관복(冠服)은, ‘중국 조정의 신하 9등 보다 2등을 내려 왕국(王國)에는 7등으로 하며, 통복(通服)은 홍색 나의(羅衣)·백사(白紗)로 만든 중단(中單)·홍색 나군(羅裙)·폐슬(蔽膝)·홍백색 대대(大帶)·방심곡령(方心曲領)·혁대(革帶)·수환(綬環)·흰 버선·붉은 신[赤舃]이요, 관(冠)은 다섯 줄[五梁]에서 한 줄까지로 하며, 각(角)으로 만든 잠도(簪導)를 쓴다.’ 하였고, 영락 원년 8월 일에 예부(禮部)에서 태종 문황제의 명을 받들어 우리 태종 공정 대왕에게 관복을 내린 자문(咨文) 가운데에는, ‘구류(九旒)인 평천관(平天冠)과 금잠(金簪), 구장(九章)인 심청색(深靑色)으로 꽃을 수놓은 곤복(袞服)·백소색(白素色) 중단(中單)·붉은 색[纁色]으로 꽃을 수놓은 앞뒤 치마·폐슬·금수(錦綬)·패대(佩帶)·홍백색의 대대(大帶)·옥규(玉圭)·홍색 신[紅舃]과 흰 버선[白襪]이라.’ 하였고, 영락 6년 정월 일에 왕세자에게 내린 조복(朝服)은, ‘오량관(五梁冠)·적라의(赤羅衣)·백사중단·적라상(赤羅裳)·폐슬·혁대·패수·흰 버선·검은 신[履]·상홀(象笏)이고, 제복(祭服)은 오량관·청라의·백사중단·적라상·폐슬·방심곡령·홍백색 대대(大帶)·혁대·패수·흰 버선·검은 신[履]·상홀이라.’ 하였으며, 홍무 예제(洪武禮制) 가운데에 문무관의 조복은 양관(梁冠)·적라의(赤羅衣)·백사중단 【모두 청색으로 깃에 선을 두른다. 】 ·적라(赤羅)로 만든 폐슬·대대 【적색과 흰색으로 두 가지 색깔의 견(絹)을 쓴다. 】 ·혁대·패수·흰 버선·검정 신이며 【1품의 관(冠)은 여덟 줄[八梁]에 농건(籠巾)과 초선(貂蟬)을 얹는다. 공(公)에 봉한 사람이 이를 착용한다. 관이 일곱 줄에다 농건과 초선을 얹은 것은 후(侯)에 봉한 사람이 이를 착용한다. 이상은 혁대와 패수에 모두 옥(玉)을 쓴다. 수(綬)는 노랑·녹색·붉은색·자주색 등 네 가지의 실을 가지고 구름·봉황 무늬를 놓아서 짠 꽃비단으로 만들고, 아래에 청색 실로 망수(網綬)를 맺는다. 고리가 둘인데 옥을 사용한다. 홀은 상아를 쓴다. 2품의 관은 여섯 줄을 사용하며 혁대에는 서각을 쓰며, 다른 것은 1품과 같다. 3품의 관은 다섯 줄이며, 혁대에는 금을 쓴다. 패에는 옥을 쓰며, 수는 노랑·녹색·붉은색·자주색 등 네 가지의 실을 가지고 구름·학의 무늬를 놓은 꽃비단을 짜서 만들고, 아래는 청색 실로 망수를 맺는다. 고리는 둘인데 금을 쓰며, 홀은 상아를 쓴다. 4품의 관은 네 줄이요, 패는 약옥(藥玉)을 쓰며, 다른 것은 모두 같다. 5품의 관은 세 줄이요, 혁대는 은에 도금(鍍金)을 사용하며, 수는 노랑·녹색·붉은색·자주색 등 네 가지 실로 매[盤鵰]의 무늬를 수놓은 꽃비단을 짜서 만들고, 아래는 청색 실로 망수를 맺는다. 고리는 둘인데 은에 도금한 것을 쓴다. 홀은 상아를 쓴다. 6품과 7품의 관은 두 줄이요, 어사관(御史冠) 위에 해태를 얹는다. 혁대는 은을 쓰며, 패는 약옥(藥玉)을 쓰며, 수는 노랑·녹색·붉은색 등 세 가지 실로 연작(練鵲) 무늬를 수놓은 꽃비단으로 만든다. 아래는 청색 실로 망수를 만든다. 고리는 둘인데 은을 쓰며, 홀은 괴목(槐木)을 쓴다. 8품, 9품의 관은 한 줄이며, 혁대는 동을 쓰며, 패는 약옥을 쓰며, 수는 노랑·녹색의 두 가지 실로 뜸부기[鸂鶒]의 무늬를 수놓은 꽃비단으로 만든다. 아래는 청색 실로 망수를 만든다. 고리는 둘인데 동을 쓰며, 홀은 괴목을 쓴다. 】 배제복(陪祭服)은 1품에서 9품까지는 청색 나의(羅衣)와 백사중단(白紗中單) 【모두 검정색으로 깃에 선을 두른다. 】 ·적색 나상(羅裳) 【검정선. 】 ·적라(赤羅)로 만든 폐슬(蔽膝)·방심곡령(方心曲領) 【그 관대(冠帶)와 패수 등의 등급은 모두 조복(朝服)과 같다. 】 ·평상시의 의복으로 사무를 볼 때에는 오사모(烏紗帽)·단령삼(團領衫)에 띠를 띤다. 이것은 공복(公服)이다. 【1품은 옥대(玉帶), 2품은 화서대(花犀帶), 3품은 금은화대(金銀花帶), 4품은 소금대(素金帶) 5품은 은급화대(銀鈒花帶), 6품과 7품은 소은대(素銀帶), 8품과 9품은 오각대(烏角帶). 】 ’ 하였고, 홍무 35년 10월 일 예부의 방문(榜文) 가운데에, ‘공복(公服)은 반령(盤領)·우임포(右衽袍) 【혹 저사(紵絲)나 사라(紗羅)나 견(絹)을 적당한 대로 사용하여 만든다. 소매 넓이는 3척이다. 1품에서 4품까지는 붉은 포[緋袍], 5품에서 7품까지는 청색 포, 8품에서 9품까지는 녹색 포. 】 ·복두(幞頭) 【칠사(漆紗)로 2등 전각(展角)을 쓴다. 각기 길이는 1척 2촌이다. 】 ·홀(笏) 【조복(朝服)대로 만든다. 】 ·요대(腰帶) 【1품은 옥을 사용하는데, 꽃을 조각하기도 하고 그대로 두기도 한다. 2품은 서각(犀角)을 쓰며, 3품·4품은 금려지(金荔枝)를 쓰며, 5품 이하는 오각(烏角)을 쓴다. 신은 청색 가죽을 사용하며 그대로 아래에 달미(撻尾)를 늘어뜨린다. 】 ·신[舃] 【검정색을 쓴다. 】 을 사용한다.’ 하였습니다. 신 등이 중국에서 내려 준 관복(冠服)의 등급을 상세히 참고하오면, 먼저의 것이나 뒤의 것이 다를 것이 없사오나, 다만 배신(陪臣)이 사용하는 조복(朝服)과 공복(公服)의 등급이 분명치 못합니다. 삼가 《두씨통전(杜氏通典)》·《문헌통고(文獻通考)》·《산당고색(山堂考索)》을 조사하온즉, 당(唐)의 제도에는, ‘황태자가 원일(元日)과 동지에 황제와 황후에게 조하(朝賀)를 드릴 때에는 원유관과 강사포 【원유관은 세 줄[三梁]로 된 관인데, 금당(金璫)과 선(蟬)의 장식 9개를 붙인다. 머리에는 주취(珠翠)를 쓰며, 흑개(黑介)로 머리를 동이며, 영(纓)에는 취유(翠緌)를 달며, 서각(犀角)으로 만든 잠도(簪導)를 쓰며, 강사(絳紗)로 만든 곤(袞)·백사중단(白紗中單)·흰 군유(裙襦)·흰 가대(假帶)·방심곡령(方心曲領)·강사(絳紗)로 만든 폐슬(蔽膝)·혁대·금포(金袍)·철(䚢)로 만든 대대(大帶)·옥으로 장식한 검(劍)·유옥(瑜玉)으로 만든 쌍패(雙佩)·주색(朱色)으로 짠 쌍대수(雙大綬)·흰 버선·검정 신[舃]을 사용하며, 아직 관을 쓰지 아니한 자는 쌍동계(雙童髻)·공정흑개적(空頂黑介幘)·쌍옥도(雙玉導)에 보식(寶飾)을 얹는다. 】 여러 신하의 축하을 받으면 곧 종생복(從省服)013) 【공복(公服)이라고도 한다. 원유관·서각으로 만든 잠도(簪導)·강사단의(絳紗單衣)·흰 군유(裙襦)·혁대·유옥(瑜玉)으로 만든 쌍패(雙佩)·방심분반낭(方心粉鞶囊)·흰 버선·오피이리(烏皮裏履). 】 을 착용하며, 여러 신하가 원일이나 동지에 황제와 황후에 하례를 올릴 적에는 곧 조복(朝服) 【진현관(進賢冠)·검정색의 적(幘)·잠도(簪導)·강사단의(絳紗單衣)·흰 군유(裙襦)·붉은 군삼(裙衫)·혁대는 고리를 철(䚢)로 하며, 가대(假帶)·곡령방심(曲領方心)·강사(絳紗)로 만든 폐슬·버선·신[舃]·검(劍)은 쌍유(雙緌)로 한다. 】 을 착용하며, 황태자에 하례를 올릴 때에는 공복(公服) 【관(冠)·적(幘)·영(纓)·잠도(簪導)·강사단의(絳紗單衣)·흰 군삼(裙衫)·혁대의 고리[鉤]는 철(䚢)로 하며, 가대(假帶)·방심(方心)·버선·신[履]·분반낭(粉鞶囊)·쌍패(雙佩)로 한다. 】 을 착용하였으며, 송나라의 제도에는, 황태자는 조회(朝會)에서 원유관과 주명복(朱明服) 【원유관은 줄[梁]이 18개가 있는 관이며, 서각으로 만든 잠도(簪導), 홍색 실로 박산(博山)을 짜서 쓰며, 주명복(朱明服)은 홍화금조사의(紅花金條紗衣)에 홍색 실로 안[裏]을 받치며, 검정색으로 선을 두르며, 홍사(紅紗)로 만든 상(裳), 홍사(紅紗)로 만든 폐슬에 모두 홍사로 안을 받치며, 백화중단(白花中單)에 검정 선을 두르며, 방심곡령·백라 버선[白羅襪]·검은 신[舃], 혁대는 도금한 은에 철(䚢)로 고리를 만들며, 유옥(瑜玉)으로 만든 쌍패(雙佩), 네 가지 채색으로 수(綬) 8개를 짜서 2개의 옥환(玉環)을 맺으며, 옥으로 장식한 검(劍)을 사용한다. 】 이며, 평상시의 의복은 조사(皂紗)로 만든 절상건(折上巾)·자색(紫色)의 공복(公服)·통서금옥대(通犀金玉帶)를 착용한다. 【절상건(折上巾)은 《옥해(玉海)》에 이르기를 ‘군려(軍旅)에서 입는 것이니, 지금의 복두(幞頭)라.’ 한다. 】 문무관(文武官)으로 조회에 올라올 관원은 대조회(大朝會)에서는 모두 조복(朝服)을 착용한다. 【일곱줄의 관·초선농건(貂蟬籠巾)·서각으로 만든 잠도(簪導)·추립필(錘立筆)·주의 주상(朱衣朱裳)·백라중단(白羅中單)에 모두 검정 선을 두르며, 폐슬(蔽膝)은 상(裳)의 색깔대로 하며, 방심곡령·배백색(緋白色) 나(羅)의 대대(大帶)·혁대(革帶)·옥패(玉佩)·금수(錦綬)·청사망(靑絲網)사이에 3개의 옥환(玉環)을 달며, 흰 버선·검정 신[履]이 제1등이니, 재상(宰相)·친왕(親王)·사상(使相)·삼사(三師)·삼공(三公) 등이 이를 착용하며, 제2등 이하는 이에 따라서 차례로 내려가서, 어사 대부(御史大夫)·중승(中丞) 등은 모두 해치관(獬豸冠)을 쓰며, 청하련금수(靑荷蓮錦綬)를 쓴다. 】 평상시의 조회와 평상시의 거처에는 모두 공복(公服)을 착용한다. 【공복은 복두(幞頭)를 쓰며, 대(帶)는 금(金)도 있고, 은·서각도 있으며, 그 아래는 동·철·각·돌·묵옥(墨玉)의 종류가 있다. 4품 이상은 자포(紫袍)를 입으며, 6품 이상은 배포(緋袍)를 입으며, 모두 상홀(象笏)을 가지며 어(魚)를 찬다. 9품 이상은 녹포(綠袍)를 입으며, 나무로 홀을 만든다. 】 하였사오니, 바라건대 당(唐)과 송(宋)의 제도에 따라, 왕세자는 대조회(大朝會)에서는 조복(朝服)을 착용하고, 【다섯 줄로 관·각으로 만든 잠(簪)·적라의(赤羅衣)·백사중단(白紗中單)에 모두 청색으로 깃에 선을 두르며, 적라상(赤羅裳)에 청색 선을 사용하고, 적라폐슬(赤羅蔽膝)·대대(大帶)는 붉은 빛과 흰 빛 두 가지의 견(絹)을 사용하며, 혁대에는 금(金)을 사용하고, 패(佩)에는 옥을 사용하며, 수(綬)는 노랑·녹색·붉은색·자주의 네 가지 실로 구름과 학의 무늬를 짜서 만든 꽃비단을 사용하며, 아래는 청사망수(靑絲網綬)로 맺고, 고리 둘에 금을 쓰며, 홀(笏)은 상아(象牙)를 쓰고, 흰 버선에 검정 신[履]을 신는다. 】 정조(正朝)와 동지(冬至)의 조회에 중궁(中宮)께 하례를 올릴 때에는 조복(朝服)을 착용하고, 여러 신하의 하례를 받을 때에는 공복(公服) 【복두(幞頭)·홍포(紅袍)·서각대·상아로 만든 홀(笏)과 검정 신을 신는다. 】 을 착용하며, 여러 신하는 대조회(大朝會)에서는 조복(朝服)을 착용하며, 【1품의 관은 다섯 줄이며, 혁대는 금을 쓰며, 패(佩)에는 옥을 쓰며, 수(綬)는 노랑·녹색·붉은색·자주색의 실로 구름과 학의 무늬를 수놓은 꽃비단을 짜서 쓰며, 아래의 매듭은 모두 청색 실의 망(網)을 쓰며, 수(綬)의 고리는 둘인데, 금을 쓰며, 홀(笏)은 상아로 쓰며, 적라의(赤羅衣)·백사중단에는 모두 청색으로 깃에 선을 두르며, 적라상(赤羅裳)에는 청색 선을 두른다. 적라로 만든 폐슬, 대대(大帶)는 적색과 흰색 두 가지의 견(絹)으로 하며, 흰 버선·검정 신·각잠(角簪)으로 한다. 2품의 관은 네 줄이며, 혁대에는 금을 쓰며, 패는 옥을 쓰며, 수는 노랑·녹색·붉은색·자주의 네 가지 실로 구름과 학의 무늬를 수놓은 꽃비단을 짜서 쓰며, 아래의 매듭은 청색 실의 망(網)을 쓰며, 수의 고리는 둘인데 금을 쓰며, 홀은 상아를 쓰며, 의(衣)·중단(中單)·상(裳)·폐슬(蔽膝)·대대(大帶)·버선·신·잠(簪)은 이에서 9품까지 1품과 같다. 3품의 관은 세 줄이며, 혁대는 은을 쓰며, 패는 약옥을 쓰며, 수는 노랑·녹색·붉은색·자주의 네 가지 실로 매[盤鵰]의 무늬를 수놓은 꽃비단을 짜서 쓰며, 아래의 매듭은 청색 실의 망(網)을 쓰며, 수의 고리는 둘인데 은을 쓰며, 홀은 상아를 쓴다. 4품의 관은 두 줄이며, 혁대는 은을 쓰며, 패는 약옥을 쓰며, 수는 노랑·녹색·붉은색·자주의 네 가지 실로 연조(練鵰)의 무늬를 수놓은 꽃비단을 짜서 쓰며, 아래의 매듭은 청색 실의 망(網)을 쓰며, 수(綬)의 고리는 둘인데 은을 쓰며, 홀은 상아를 쓴다. 5품과 6품의 관은 두 줄이며, 혁대는 동을 쓰며, 패는 약옥을 쓰며, 수는 노랑·녹색·붉은 색·자주의 네 가지 실로 연작(練鵲)의 무늬를 수놓은 꽃비단을 짜서 쓰며, 아래의 매듭은 청색 실의 망(網)을 쓰며, 수(綬)의 고리는 둘인데 동을 쓰며, 홀은 괴목을 쓴다. 7, 8, 9품의 관은 한 줄이며, 혁대는 동을 쓰며, 패는 약옥을 쓰며, 수는 노랑과 녹색의 두 가지실로 뜸부기[鸂鶒]의 무늬를 수놓은 꽃비단을 짜서 쓰며, 아래의 매듭은 청색 실의 망을 쓰며, 수의 고리는 둘인데, 동을 쓰며, 홀은 괴목을 사용한다. 】 임금께 알현(謁見)하거나 사은(謝恩) 또는 부임 전에 배사하러 뵈올 때에는 공복(公服)을 착용하며, 【1품은 홍포(紅袍)·서각대(犀角帶)·상아의 홀이며, 2품 이하 정3품 이상은 홍포·여지금대(荔枝金帶)·상아의 홀이며, 종3품 이하는 청포(靑袍)·흑각대(黑角帶)·상아 홀이며, 5, 6품은 청포·흑각대·목홀(木笏)이며, 7, 8, 9품은 녹포(綠袍)·흑각대·목홀이다. 이상 각 품의 검정 신과 복두는 같다. 】 정조와 동지의 조회에서 중궁에게 하례를 올릴 때에는 조복을 착용하며, 왕세자에게 하례를 올릴 때에는 공복(公服)을 착용하며, 중궁과 왕세자에게 사은(謝恩)할 때에는 또한 공복을 착용하게 하소서."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0책 31권 20장 B면【국편영인본】 3책 10면
- 【분류】의생활(衣生活) / 역사-고사(故事) / 역사-전사(前史) / 왕실-의식(儀式) / 외교-명(明)
○禮曹啓: "曹與儀禮詳定所, 謹按朝廷冠服之制, 洪武二年十月日, 中書省欽奉太祖高皇帝聖旨, 賜與高麗 恭愍王冠服咨文內: ‘冕服, 【圭九寸, 冕九旒, 靑衣纁裳九章。 白紗中單、纁色蔽膝、革帶、玉佩、大帶、白襪、赤舃。】 朝覲及奉使之服, 遠遊冠、絳紗袍,【遠遊冠七梁、犀簪導絳紗袍、紅裳、白紗中單、裙襦、絳紗蔽膝、白(假) 〔緞〕帶、方心曲領、紅革帶、白襪、黑舃。】 受陪臣朝見之服。 陪臣祭祀冠服, 比中朝臣下九等, 遞降二等, 王國七等, 通服靑羅衣、白紗中單、紅羅裙、蔽膝、紅白大帶、方心曲領、革帶、綬環、白襪、黑履。 冠五梁至一梁, 角簪導。’ 永樂元年八月日, 禮部欽奉太宗文皇帝聖旨, 給賜我太宗恭定大王冠服咨文內, ‘九旒、平天冠、金簪、九章深靑粧花袞服、白素中單、纁色粧花、前後裳、蔽膝、錦綬、佩帶、紅白大帶、玉圭、紅舃、白襪。’ 永樂六年正月日, 賜王世子朝服, 五梁冠、赤羅衣、白紗中單、赤羅裳、蔽膝、革帶、佩綬、白襪、黑履、象笏。 祭服, 五梁冠、靑羅衣、白紗中單、赤羅裳、蔽膝、方心曲領、紅白大帶、革帶、佩綬、白襪、黑履、象笏。 《洪武禮制》內, 文武官朝服, 梁冠、赤羅衣、白紗中單、 【俱用靑飾領緣。】 赤羅蔽膝、大帶, 【用赤白二色絹。】 革帶、佩綬、白襪、黑履。 【一品官八梁, 加籠巾貂蟬, 封公者服之。 冠七梁, 加籠巾貂蟬, 封侯者服之。 已上革帶與佩, 俱用玉, 綬用黃、綠、赤、紫四色絲, 織成雲鳳花錦, 下結靑絲網綬, 環二用玉, 笏用象牙。 二品官六梁, 革帶用犀, 餘同一品。 三品冠五梁, 革帶用金, 佩用玉, 綬用黃、綠、赤、紫四色絲, 織成雲鶴花綿, 下結靑絲網綬, 環二用金, 笏用象牙。 四品官四梁, 佩用藥玉, 餘竝同。 五品官三梁, 革帶用銀鍍金, 綬用黃綠赤紫四色絲, 織成盤鵰花錦, 下結靑絲網綬, 環二用銀鍍金, 笏用象牙。 六品七品冠二梁, 御史冠, 上加獬豸, 革帶用銀, 佩用藥玉, 綬用黃、綠、赤三色絲, 織成練鵲花錦, 下結靑絲網綬, 環二用銀, 笏用槐木。 八品九品冠一梁, 革帶用銅, 佩用藥玉, 綬用黃綠二色絲, 織成鸂鶒花錦, 下結靑絲網綬, 環二用銅, 笏用槐木。】 陪祭服, 一品至九品, 靑羅衣, 白紗中單, 【俱用皂飾領緣。】 赤羅裳, 【皂緣。】 赤羅蔽膝, 方心曲領。 【其冠帶、佩綬等 第, 竝同朝服。】 常服視事, 以烏紗帽, 團領衫, 束帶爲公服。 【一品玉帶, 二品花犀帶, 三品金鈒花帶, 四品素金帶, 五品銀鈒花帶, 六品七品素銀帶, 八品九品烏角帶。】 洪武三十五年十月日禮部榜文內, 公服用盤領, 右衽袍, 【或紵絲, 紗羅絹, 從宜製造。 袖寬三尺。 一品至四品裶袍, 五品至七品靑袍, 八品至九品綠袍。】 幞頭, 【用漆紗二等展角,各長一尺二寸。】 笏, 【依朝服爲之。】 腰帶, 【一品用玉, 或花或素, 二品用犀, 三品四品用金荔枝, 五品以下用烏角, 革用靑革, 仍垂撻尾於下。】 鞾, 【用皂。】 臣等參詳, 朝廷賜與冠服等第, 前後無異, 但陪臣用朝服、公服之節未明。 謹按杜氏 《通典》、《文獻通考》、《山堂考索》, 唐制, 皇太子於元日、冬至朝賀, 皇帝、皇后, 則服遠遊冠、絳紗袍,【遠遊三梁冠, 加金附蟬九。 首施珠翠黑介幘, 髮纓翠(緌) 〔綏〕犀簪導, 絳紗袞, 白紗中單, 白裙襦, 白(假)〔緞〕 帶, 方心曲領, 絳紗蔽膝, 革帶, 金袍, 䚢大帶玉具劍瑜, 玉雙佩, 朱組雙大綬, 白襪, 墨舃。 未冠則雙童䯻, 空頂黑介幘, 雙玉導加寶飾。】 受群臣賀, 則着從省服。 【亦名公服。 遠遊冠, 犀簪, 導絳紗單衣, 白裙襦, 革帶瑜玉隻佩, 方心粉鞶囊, 白襪, 烏皮裏履。】 群臣於元日、冬至朝賀, 皇帝皇后, 則服朝服,【進賢冠黑幘簪, 導絳紗單衣, 白裙襦, 赤裙袗, 革帶鉤䚢假帶, 曲領方心, 絳紗蔽膝, 襪、舃、劍雙(緌) 〔綬〕】 賀皇太子, 則服公服。 【冠幘, 纓簪, 導絳紗單衣, 白裙袗, 革帶鉤䚢假帶方心, 襪履粉鞶囊隻佩,】 宋制, 皇太子於朝會, 遠遊冠, 朱明服, 【遠遊梁十八冠犀簪, 導紅絲組, 慱山朱明, 服紅花金條紗衣, 紅絲裹皂標襈紅紗裳, 紅紗蔽膝, 竝紅紗裹白花中單, 皂褾, 襈方心曲領, 白羅襪, 黑舃, 革帶畫金銀鉤䚢, 瑜, 玉雙佩, 四釆織成八綬, 結二玉環玉具劍。】 常服皂紗折上巾, 紫公服, 通犀金玉帶。 【折上巾, 玉海云軍旅所服, 今幞頭是也。】 文武陞朝官, 於大朝會, 竝朝服, 【七梁冠, 貂蟬籠巾, 犀簪, 導銀立筆, 朱衣, 朱裳, 白羅中單, 竝皂褾襈蔽膝, 隨裳色方心曲領, 緋白羅、大帶、革帶、玉佩、錦綬, 靑絲網間施三玉環, 白襪、黑履, 爲第一等, 宰相親王使相三師三公等服之。 第二等以下, 自此遞降, 御史大夫中丞等, 竝冠獬豸冠, 靑荷蓮錦綬。】 常朝、常起居竝公服。【公服幞頭, 帶有金、有銀、有犀, 其下銅鐵、角石、墨玉之類。 四品以上服紫袍, 六品以上服(俳) 〔緋〕袍, 皆象笏佩魚。 九品以上, 則服綠袍, 以木爲笏。】 乞依唐、宋之制, 王世子凡大朝會, 服朝服, 【五梁冠、角簪、赤羅衣、白紗中單, 俱用靑飾領緣, 赤羅裳靑緣, 赤羅蔽膝, 大帶用赤白二色絹。 革帶用金, 佩用玉, 綬用黃、綠、赤、紫四色絲, 織成雲鶴花錦, 下結靑絲網綬。 環二用金, 笏用象牙, 白襪黑履。】 正朝、冬至, 朝賀中宮, 服朝服、受群官賀, 着公服。 【幞頭、紅袍、犀帶、象笏、黑靴。】 群臣凡大朝會, 服朝服, 【一品冠五梁, 革帶用金, 佩用玉, 綬用黃綠赤紫四色絲, 織成雲鶴花錦, 下結靑絲網。 綬環二用金, 笏用象牙。 赤羅衣, 白紗中單, 俱用靑飾領緣。 赤羅裳靑緣, 赤羅蔽膝, 大帶赤白二色絹, 白襪、黑履、角簪。 二品, 冠四梁, 革帶用金, 佩用玉, 綬用黃綠赤紫四色絲織成雲鶴花錦, 下結靑絲網綬, 環二用金, 笏用象牙, 衣中單, 裳蔽膝, 大帶襪履簪。 自此至九品, 竝同一品。 三品冠三梁, 革帶用銀, 佩用藥玉, 綬用黃綠赤紫四色絲, 織成盤鵰花錦, 下結靑絲網綬, 環二用銀, 笏用象牙。 四品冠二梁, 革帶用銀, 佩用藥玉, 綬用黃綠赤三色絲, 織成練鵰花錦, 下結靑絲網綬, 環二用銀, 笏用象牙。 五品六品冠二梁, 革帶用銅, 佩用藥玉, 綬用黃綠赤三色絲織成練鵲花錦, 下結靑絲網綬, 環二用銅, 笏用槐木。 七八九品冠一梁, 革帶用銅, 佩用藥玉, 綬用黃綠二色絲, 織成鸂鶒花錦, 下結靑絲網綬, 環二用銅, 笏用槐木。】 見及謝辭, 服公服。 【一品, 紅袍、犀帶、象笏。 二品以下正三品以上, 紅袍荔枝金帶象笏。 從三品以下, 靑袍、黑角帶、象笏。 五六品, 靑袍、黑角帶、木笏。 七八九品, 綠袍、黑角帶、木笏。 以上各品, 黑靴、幞頭同。】 正朝冬至朝賀中宮, 服朝服。 賀王世子, 服公服。 謝中宮及王世子, 亦服公服。
- 【태백산사고본】 10책 31권 20장 B면【국편영인본】 3책 10면
- 【분류】의생활(衣生活) / 역사-고사(故事) / 역사-전사(前史) / 왕실-의식(儀式) / 외교-명(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