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제 의주에 대한 예문의 계문
예조에서 마제(禡祭) 의주(儀注)를 계하기를,
" 【춘추로 강무(講武)할 때에 하루 전에 행제(行祭)한다. 】 제사지내기 하루 전에 헌관(獻官) 이하로 응당 참예해야 할 집사관이 모두 청재(淸齋)로 하룻밤을 지내고, 제사지내기 하루 전에 유사(有司)가 제사지낼 곳을 닦아서 깨끗하게 한다. 또 묻을 구덩이[瘞坎]를 신좌(神座) 서북방에 파되, 깊이는 물건을 넣을 수 있도록 넉넉히 한다. 집례(執禮)가 헌관의 자리를 신좌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집사자의 자리는 그 뒤에 조금 남쪽으로 하되, 모두 서향하게 하고 북쪽을 위[上]로 한다. 집례의 자리는 헌관의 서쪽으로 북쪽 가까이 설치하되, 서향하게 한다. 알자·찬자는 남쪽으로 조금 물러나 서향하여 설치하되, 모두 북쪽을 위로 한다. 또 묻는 것을 바라보는 자리[望瘞位]는 묻을 구덩이[瘞坎]의 남쪽에 북향되게 설치한다. 집사자가 두 개의 깃대를 남문 밖에 세우고, 그날 행사 전(行事前)에 헌관 이하 무릇 행사할 집사관이 모두 무복(武服)을 입고, 유사(有司)가 웅석(熊席)을 받들고 들어와서 치우(蚩尤) 신위(神位)를 남향하여 설치하고, 갑주(甲胄)와 궁시(弓矢)를 자리 옆에 놓고, 초(矟)050) 를 자리 뒤에 세운다. 전사관(典祀官)이 그 속관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축판(祝版)을 신위의 오른편에 올려놓는다. 【점(坫)이 있다. 】
폐백 광주리 【흰 빛깔을 사용한다. 】 를 준소(尊所)에 설치한다. 향로와 향합과 함께 초[燭]를 신위 앞에 설치하고, 다음에는 제기와 찬수를 담을 찬구(饌具)를 설치하는데, 변(籩)이 여덟인데, 왼편에 놓되, 석 줄로 해서 오른쪽을 상(上)으로 하고, 두(豆)가 여덟인데, 오른편에 놓되, 석 줄로 해서 왼쪽을 상으로 한다. 보(簠)와 궤[簋]는 각각 둘씩인데, 변과 두 사이에 보가 왼편에 있고, 궤가 오른편에 있게 놓는다. 조(俎)가 하나인데, 보·궤 앞에 놓고, 작(爵)이 셋인데, 조 앞에 놓는다. 상준(象尊) 둘을 신좌(神座)의 동남쪽에 북향하여 서쪽을 상으로 해서 설치하고, 세(洗)는 준소의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뇌(罍)는 세(洗)의 동쪽에 있게 하되 국자[勺]를 올려놓는다. 비(篚)는 세의 서남쪽에 벌여 놓는다. 여러 집사의 관세(盥洗)는 또 그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제삿날 축시전(丑時前) 5각(刻)에 전사관이 그 속관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찬수를 제기에 담기를 끝내고, 전(前) 3각에 헌관 이하 행사할 집사관이 각기 무복을 입고, 집례가 알자·친자를 거느리고 먼저 배위(拜位)에 나아가서, 여러 줄로 북향하여 서쪽을 위로 하여 사배하고 나서 자리로 나아간다. 전 1각에 알자가 전사관·대축·재랑을 인도하여 들어와서 배위에 나아가 여러 줄로 북향하여 서쪽을 위로 하여 서면, 집례가 말하기를, ‘사배하라.’ 하면, 찬자가 전창(傳唱)하여, 전사관 이하 모두 사배하고 나면, 알자가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관세하기를 마치면, 각기 자리로 나아간다. 재랑이 작세위(爵洗位)에 나아가 작을 씻고 닦아서 비(篚)에다 넣어 받들고 준소로 나아가 점(坫) 위에 놓는다.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하고, 집례가 말하기를, ‘사배하라.’ 하면, 헌관이 사배하고, 알자가 나아가서 헌관의 왼편에서 고하기를, ‘유사가 삼가 갖추었으니 행사하기를 청합니다.’ 한다.
집례가 말하기를, ‘폐백 드리는 예를 행하라.’ 하면,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 손을 씻고 수건에 닦고 나면, 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으라.’ 찬하고, 집사자 한 사람이 향합을 받들고, 한 사람이 향로를 받들면, 알자가 ‘세 번 향을 피우라.’ 찬하고, 집사자가 향로를 신위 앞에 전(奠)드린다. 대축이 폐백을 가져다가 헌관에게 주면, 헌관이 집폐(執幣) 헌폐(獻幣)하되, 폐백을 집사에게 주어 신위 앞에 전드린다. 알자가 찬하기를, ‘면(俛), 복(伏), 흥(興)’이라 하고, 인도하고 제자리로 돌아간다. 조금 있다가 집례가 ‘초헌례를 행하라.’ 하면,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준소에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하고, 집준자(執尊者)가 술을 따르면, 집사자가 작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으라. ’고 찬하고, 집사자가 작을 헌관에게 주면, 헌관이 집작(執爵) 헌작(獻爵)하되,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 앞에 전드린다. 알자가 찬하기를,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북향하여 꿇어앉으라.’ 하고, 대축이 신위 오른편으로 나아가 동향하여 꿇어앉아 축문을 읽고 나면, 알자가 찬하기를, ‘면, 복, 흥 재배’라 하고,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간다.
조금 있다가 집례가 말하기를, ‘아헌례를 행하라.’ 하면,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준소에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하고, 집준자가 술을 따르면, 집사자가 작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으라.’ 찬하고, 집사자가 작을 헌관에게 주면, 헌관이 집작 헌작하되,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 앞에 전드리게 한다. 알자가 찬하기를,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재배하라.’ 하고,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간다. 조금 있다가 집례가 말하기를, ‘종헌례를 행하라.’ 하면,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행례(行禮)하기를 아헌례와 같이 하고,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례가 말하기를, ‘음복(飮福)하고 조육(胙肉)을 받으라.’ 하면, 대축이 준소로 나아가서 작으로 복주를 떠낸다. 집사자가 조(俎)를 가지고 나아가서 신위 앞의 조(俎) 위의 고기를 덜어낸다.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음복하는 자리로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으라. ’고 찬하고, 대축이 헌관의 왼편에 나아가서 북향하고 작을 헌관에게 주면, 헌관이 작을 받아 마시고 작을 비우면, 대축이 빈 작을 받아서 점 위에 도로 올려놓는다. 집사자가 북향하고 조(俎)를 헌관에 주면, 헌관이 조를 받아서 집사자에게 주고, 집사자가 조를 받아 가지고 나간다. 알자가 ‘면, 복, 흥’이라 찬하고,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 간다. 집례가 말하기를, ‘재배하라.’ 하면, 자리에 있는 자는 모두 재배한다.
집례가 말하기를 ‘변·두를 걷어치우라.’ 하면, 대축이 나아가 변·두를 걷어치운다. 집례가 말하기를, ‘사배하라.’ 하면, 헌관이 사배한다. 집례가 말하기를, ‘묻는 것을 바라보라.’ 하면,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묻는 것을 바라보는 자리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집례가 찬자를 거느리고 묻는 것을 바라보는 자리로 나아가 서향하고 선다. 대축이 비(篚)에다 축판과 폐백을 담아 구덩이에 넣으면, 집례가 말하기를, ‘묻으라.’ 하여, 흙을 구덩이에 반쯤 넣는다. 알자가 헌관의 왼편에 나아가서 고하기를, ‘예식이 끝났다.’ 하고,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나간다. 집례가 찬자를 거느리고 본자리로 돌아오면, 알자가 전사관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배위에 나아가 서게 하고, 집례가 말하기를, ‘사배하라.’ 하여, 전사관 이하가 모두 사배하고 나면, 알자가 인도하여 나간다. 집례가 알자·찬자를 거느리고 배위에 나아가 사배하고 나가면, 전사관이 그 속관을 거느리고 예찬(禮饌)을 걷어치우고 물러간다. 【헌관 한 사람은 첨총제(僉摠制), 집례 한 사람은 사직(司直), 전사관 한 사람은 주부(注簿)이고, 이하 찬자·대축·알자 각 한 사람은 사정(司正)이요, 재랑 두 사람과 준소·관세위 각 한 사람은 부사정(副司正)이다. 】 ."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8책 25권 27장 A면【국편영인본】 2책 623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註 050]초(矟) : 창의 일종.
○禮曹啓禡祭儀注:
【當春秋講武時, 前期一日行祭。】 前祭一日, 獻官以下應行事執事官俱淸齋一宿。 前祭一日, 有司修除祭所, 又爲瘞坎於神座西北方, 深取足容物。 執禮設獻官位於神座東南西向, 執事者位於其後稍南, 俱西向北上, 執禮位於獻官之西近北西向, 謁者、贊者在南小退, 俱西向北上。 又設望瘞位於瘞坎之南北向, 執事者建二旗於南門外。 其日未行事前, 獻官以下凡行事執事官, 俱服武服, 有司奉熊席, 入設蚩尤神位南向, 置甲冑、弓矢於座側, 建矟 【矛屬】 於座後。 典祀官率其屬, 入奠祝版於神位之右, 【有坫】 陳幣 【用白色】 篚於尊所, 設香爐、香合幷燭於神位前, 次設祭器, 實饌具, 籩八在左爲三行右上, 豆八在右爲三行左上。 簠簋各二在籩豆間, 簠在左、簋在右, 俎一在簠簋前, 爵三在俎前。 設象尊二於神座東南, 北向西上, 設洗於尊所東南北向,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 肆設諸執事盥洗, 又於東南北向。 祭日丑前五刻, 典祀官率其屬, 入實饌具畢。 前三刻, 獻官以下行事執事官, 各服武服。 執禮率謁者、贊者, 先就拜位, 重行北向西上, 四拜訖就位。 前一刻, 謁者引典祀官、大祝、齋郞入就拜位, 重行北向西上。 立定, 執禮曰四拜, 贊者傳喝, 典祀官以下皆四拜訖, 謁者引諸執事, 詣盥洗位盥(洗)〔帨〕 訖各就位。 齋郞詣爵洗位, 洗爵拭爵, 置於篚, 奉詣尊所, 置於坫上。 謁者引獻官, 入就位西向立, 執禮曰四拜, 獻官四拜。 謁者進獻官之左, 白有司謹具請行事。 執禮曰行奠幣禮, 謁者引獻官, 詣盥洗位盥帨訖, 引獻官, 詣神位前北向立贊跪, 執事者一人奉香合, 一人奉香爐, 謁者贊三上香, 執事者奠爐于神位前。 大祝以幣授獻官, 獻官執幣獻幣, 以幣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謁者贊俛伏興引復位。 小頃, 執禮曰行初獻禮, 謁者引獻官, 詣尊所西向立, 執尊者酌酒, 執事者以爵受酒。 謁者引獻官, 詣神位前北向立, 贊跪, 執事者以爵授獻官, 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謁者贊俛伏興小退北向跪, 大祝進神位之右東向跪, 讀祝文訖, 謁者贊俛伏興再拜引復位。 小頃, 執禮曰行亞獻禮, 謁者引獻官, 詣尊所西向立, 執尊者酌酒, 執事者以爵受酒。 謁者引獻官, 詣神位前北向立贊跪, 執事者以爵授獻官, 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謁者贊俛伏興小退再拜引復位。 小頃, 執禮曰行終獻禮, 謁者引獻官, 行禮如亞獻禮, 引復位。 執禮曰飮福受胙, 大祝詣尊所, 以爵酌福酒, 執事者持俎進神位前俎肉。 謁者引獻官, 詣飮福位西向立贊跪, 大祝進獻官之左北向, 以爵授獻官, 獻官受爵, 飮卒爵, 大祝受虛爵復於坫。 執事者北向, 以俎授獻官, 獻官受俎, 以授執事者, 執事者受俎以出。 謁者贊俛伏興引復位, 執禮曰再拜, 在位者皆再拜。 執禮曰徹籩豆, 大祝進徹籩豆。 執禮曰四拜, 獻官四拜。 執禮曰望瘞, 謁者引獻官, 詣望瘞位北向立, 執禮帥贊者, 詣望瘞位西向立, 大祝以篚取祝版及幣置於坎。 執禮曰可瘞, 置土半坎。 謁者進獻官之左白禮畢, 謁者引獻官出, 執禮帥贊者還本位。 謁者引典祀官及諸執事就拜位。 立定, 執禮曰四拜, 典祀官以下皆四拜訖, 謁者引出。 執禮帥謁者贊者、就拜位四拜而出, 典祀官率其屬, 徹禮饌乃退。 【獻官一人僉摠制執禮一人司直, 典祀官一人注簿以下, 贊者、大祝、謁者各一人司正, 齋郞二人、尊所盥洗位各一人副司正。】
- 【태백산사고본】 8책 25권 27장 A면【국편영인본】 2책 623면
- 【분류】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