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25권, 세종 6년 9월 1일 계유 4번째기사 1424년 명 영락(永樂) 22년

대행 황제를 위하여 행하는 거애 의례·성복 의례·거림 의례

대행 황제를 위하여 거애하는 의주(儀注)는,

"전기(前期)하여 유사(有司)가 궐패(闕牌)를 근정전에 설치하되, 한가운데에 남향으로 한다. 향안(香案)은 그 앞에 설치하고, 전하의 욕위(褥位)는 월대(月臺) 위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통례문(通禮門)는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의 자리를 전정(殿庭)에 설치하되, 문관은 동쪽, 무관은 서쪽으로 하고, 중심이 머리가 되게 하고 관위(官位)를 달리 하여 여러 줄로 하되, 모두 북향하게 한다. 감찰의 자리 둘을 동·서반(東西班) 뒤에 북향되게 설치하되, 서리(書吏)가 각기 그 뒤에서 배종(陪從)하게 한다.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흰옷에 검은 사모를 쓰고 흑각대를 띠고 근정문 밖으로 나아간다. 전하가 사정전(思政殿)에 나와 흰옷에 오사모와 흑각대 차림으로 자리[座]로 나아가면, 판통례가 구부렸다 엎드렸다 꿇어앉아 계하기를, ‘신 아무개는 말씀 드립니다. 청컨대 전하께서는 대행 황제를 위하여 거애(擧哀)하시옵소서.’ 한다.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을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로 나아가게 한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욕위(褥位)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국궁, 배, 흥, 배, 흥, 배, 흥, 배’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께서 사배하고 나면, 통찬이 청하기를, ‘국궁, 배, 흥, 배, 흥, 배, 흥, 배’라 하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사배한다. 판통례가 곡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하기를 열 다섯 번 소리를 올린다. 통찬이 ‘곡하라. ’고 창하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곡하기를 열 다섯 번 소리를 올린다. 판통례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통찬이 창하기를,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라.’ 하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판통례가 사배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께서 사배한다. 통찬이 ‘사배하라.’ 창하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사배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판통례가 ‘예식이 끝났다. ’고 계하고, 통찬이 ‘예식이 끝났다. ’고 창한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내전으로 들어가게 하고,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을 인도하여 차례로 나간다."

하고, 성복(成服)하는 의주는,

"전기(前期)하여 유사가 궐패(闕牌)를 근정전에 설치하되, 한가운데에 남향으로 설치한다. 향안(香案)은 그 앞에 설치한다. 전하의 욕위(褥位)는 월대(月臺) 위에 북향으로 설치한다.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의 자리를 전정(殿庭)에 설치하되, 문관은 동쪽에, 무관은 서쪽으로 하되, 중심이 머리가 되게 하고 관위(官位)를 달리 하여 여러 줄로 하되, 모두 북향하게 한다. 감찰의 자리 둘을 동반·서반 뒤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서리(書吏)가 각기 그 뒤에서 배종(陪從)하게 한다.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최복(衰服)을 입고 근정문(勤政門) 밖으로 나아가고, 전하께서 사정전(思政殿)에 나와 자리[座]에 나아가면, 판통례가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꿇어앉아 계하기를, ‘신 아무개는 말씀드립니다. 청컨대, 전하께서 대행 황제를 위하여 성복(成服)하소서.’ 하면, 상의원(尙衣院)에서 최복을 올린다. 전하께서 흰옷을 벗고 최복을 입는다.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아간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욕위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사배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께서 사배한다. 통찬이 창하기를, ‘사배하라.’ 하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사배한다. 판통례가 곡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하기를 열 다섯 번 소리를 올린다. 통찬이 ‘곡하라.’ 창하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곡하기를 열 다섯 번 소리를 올린다. 판통례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통찬이 창하기를,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라.’ 하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판통례가 ‘예식이 끝났다. ’고 계하고, 통찬이 ‘예가 끝났다. ’고 창한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내전으로 들어가게 하고,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로 나간다."

하고, 거림(擧臨)하는 의주는,

"성복한 뒤로부터 복을 벗을 때까지 매일 아침에 유사가 궐패를 근정전에 설치하되, 한가운데에 남향하여 설치하고, 향안은 그 앞에 설치한다. 전하의 욕위를 월대 위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의 자리는 전정에 설치하되, 문관은 동쪽에, 무관은 서쪽으로 하여, 중심이 머리가 되게 하고, 관위(官位)를 달리 하여 여러 줄로 하되, 모두 북향하게 한다. 감찰의 자리 둘을 동반·서반 뒤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서리가 각기 그 뒤에서 배종(陪從)하게 한다.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게 한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욕위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사배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께서 사배한다. 통찬이 ‘사배하라.’ 창하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사배한다. 판통례가 곡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하기를 열 다섯 번 소리를 올린다. 통찬이 ‘곡하라.’ 창하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곡하기를 열 다섯 번 소리를 올린다. 판통례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통찬이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라. ’고 창하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이 모두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판통례가 ‘예식이 끝났다. ’고 계하고, 통찬이 ‘예식이 끝났다. ’고 창한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내전으로 들어가게 하고,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 백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로 나간다."

하고, 복을 벗는 의주는 위의 의주와 같은데, 임금이 내전으로 들어가서 최복을 벗고, 종실 이하는 밖으로 나가서 최복을 벗는다.


  • 【태백산사고본】 8책 25권 21장 B면【국편영인본】 2책 620면
  • 【분류】
    외교-명(明) / 왕실-의식(儀式)

○大行皇帝擧哀議註:

前期, 有司設闕牌於勤政殿當中南向, 設香案於其前, 設殿下褥位於月臺上北向。 通禮門設宗室以下文武群官位於殿庭, 文東武西, 中心爲頭, 異位重行, 俱北向, 設監察位二於東西班後北向, 書吏各陪其後。 宗室以下文武群官皆着白衣、烏紗帽、黑角帶, 詣勤政門外, 殿下出思政殿, 着白衣、烏紗帽、黑角帶卽座。 判通禮俛伏跪啓: "臣某言。 請殿下爲大行皇帝擧哀。"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入就位, 判通禮導殿下, 詣褥位北向立, 啓請鞠躬拜興拜興拜興拜, 殿下四拜。 通贊唱鞠躬拜興拜興拜興拜, 宗室以下文武群官皆四拜。 判通禮啓請哭, 殿下哭十五擧聲。 通贊唱哭, 宗室以下文武群官皆哭十五擧聲。 判通禮啓請哭止興平身, 殿下哭止興平身。 通贊唱哭止興平身, 宗室以下文武群官, 皆哭止興平身。 判通禮啓請四拜, 殿下四拜。 通贊唱四拜, 宗室以下文武群官, 皆四拜興平身。 判通禮啓禮畢, 通贊唱禮畢, 判通禮導殿下入內,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以次出。

成服儀註:

前期, 有司設闕牌於勤政殿當中南向, 設香案於其前, 設殿下褥位於月臺上北向。 通禮門設宗室以下文武群官位於殿庭, 文東武西, 中心爲頭, 異位重行, 俱北向, 設監察位二於東西班後北向, 書吏各陪其後。 宗室以下文武群官皆服衰服, 詣勤政門外。 殿下出思政殿卽座, 判通禮俛伏跪啓: "臣某言。 請殿下爲大行皇帝成服。" 尙衣院進衰服, 殿下釋素服, 服衰服。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入就位, 判通禮導殿下詣褥位北向立, 啓請四拜, 殿下四拜。 通贊唱四拜, 宗室以下文武群官皆四拜。 判通禮啓請哭, 殿下哭 十五擧聲。 通贊唱哭, 宗室以下文武群官皆哭十五擧聲。 判通禮啓請哭止興平身, 殿下哭止興平身。 通贊唱哭止興平身, 宗室以下文武群官皆哭止興平身。 判通禮啓禮畢, 通贊唱禮畢, 判通禮導殿下入內,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以次出。

擧臨儀註:

自成服後至釋服, 每朝有司設闕牌於勤政殿當中南向, 設香案於其前, 設殿下褥位於月臺上北向。 通禮門設宗室以下文武群官位於殿庭, 文東武西, 中心爲頭, 異位重行, 俱北向, 設監察位二於東西班後北向, 書吏各陪其後。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入就位, 判通禮導殿下詣褥位北向立, 啓請四拜, 殿下四拜。 通贊唱四拜, 宗室以下文武群官皆四拜。 判通禮啓請哭, 殿下哭十五擧聲。 通贊唱哭, 宗室以下文武群官皆哭十五擧聲。 判通禮啓請哭止興平身, 殿下哭止興平身。 通贊唱哭止興平身, 宗室以下文武群官, 皆哭止興平身。 判通禮啓禮畢, 通贊唱禮畢, 判通禮導殿下入內,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以次出。

除服儀註同上儀, 上入內釋衰服, 宗室以下出外釋衰服。


  • 【태백산사고본】 8책 25권 21장 B면【국편영인본】 2책 620면
  • 【분류】
    외교-명(明) / 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