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24권, 세종 6년 6월 14일 정사 4번째기사 1424년 명 영락(永樂) 22년

태종의 신주를 부묘하는 의주에 관한 예조의 계

예조에서 태종의 신주를 부묘(祔廟)하는 의주(儀註)를 계하기를,

"기일에 앞서 의식(儀式)을 세 차례 연습하고 사직(社稷)에 기청(祈晴)한다. 노차 배반(路次排班)은 군사가 위용(威容)을 갖추어 앞에 가고, 다음은 문무 백관이 좌우(左右)로 갈라 앞에서 인도(引導)한다. 다음은 양산(陽繖)이고, 다음은 대가(大駕)이고, 다음은 양선(陽扇)을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홍문대기(紅門大旗)가 한복판에 서고, 다음은 삭기(矟旗)를 좌우로 갈라 세운다. 다음은 중기(中旗)를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백택기(白澤旗)를 좌우로 갈라 세운다. 다음은 백호기(白虎旗)를 한복판에 세우고, 다음은 현학기(玄鶴旗)를 왼편에 있게 하고, 백학기(白鶴旗)를 오른편에 있게 한다.

다음은 웅골타자(熊骨朶子)를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표골타자(豹骨朶子)를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은골타자(銀骨朶子)를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금골타자(金骨朶子)를 좌우로 갈라 세운다. 다음은 쟁(錚)과 북[鼓]을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금등자(金鐙子)를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금·은장도(金銀粧刀)를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당기(幢旗)를 좌우로 갈라 세운다. 다음은 은도끼[銀斫子]를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금도끼[金斫子]를 좌우로 갈라 세운다. 다음은 공작선(孔雀扇)을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청색 일산(靑色日傘)을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홍색 일산(紅色日傘)을 좌우로 갈라 세운다.

다음은 붉게 수(繡)놓은 안장을 차린 말이 한복판과 좌우에 갈라 서고, 다음은 악부(樂部)가 한복판과 좌우에 갈라 선다. 다음은 보루자(寶樓子), 다음은 책루자(冊樓子), 다음은 요여(腰轝), 다음은 향정자(香亭子)이며, 다음은 용선(龍扇)과 봉선(鳳扇)을 좌우로 갈라 세운다. 다음은 양산(陽繖), 다음은 태종(太宗)의 상로(象輅), 다음은 공신(功臣)의 누자(樓子), 다음은 청색 일산(靑色日傘)과 홍색 일산을 좌우로 갈라 세운다. 다음은 공작선(孔雀扇)을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봉선을 좌우로 갈라 세운다. 다음은 푸른색으로 수놓은 안장을 차린 말을 한복판에 좌우로 갈라 세우고, 다음은 악부(樂部)가 한복판에 좌우로 갈라 선다. 다음은 보루자(寶樓子), 다음은 책루자(冊樓子), 다음은 요여(腰轝), 다음은 향정자(香亭子), 다음은 양산(陽繖), 다음은 왕태후의 상로(象輅), 다음은 내관(內官), 다음은 친속(親屬), 다음은 군사가 위용(威容)을 갖추어 뒤에 있게 된다."

하였다. 의주(儀註)는,

"기일에 앞서 예조에서 아뢰어 유사(攸司)에게 산고(散告)하여 직분(職分)에 따라 〈모든 것을〉 갖추 마련한다. 부묘(祔廟)하기 2일 전에 종묘령(宗廟令)은 소속(所屬)을 거느리고 묘(廟) 안팎을 소제(掃除)하고, 한성부(漢城府)는 광효전 문밖에서 종묘 대문까지 길을 닦는다. 태종 묘실에 〈사용할〉 선[緣]을 두른 장막[幄]·휘장[帳]·자리·요[褥] 등의 물건은 유사가 먼저 만들어 두었다가, 부묘하는 날 실(室) 안에 진설(陳設)한다. 하루 앞서 종묘에 예고(預告)하는데, 제구(祭具)와 찬수(饌需)와 행례(行禮)는 모두 삭망제 의식(朔望祭儀式)과 같게 하고, 또 광효전(廣孝殿)에 고(告)하는 데에도 【고하는 관원은 제복을 갖춘다. 】 제구와 찬수와 행례도 또한 삭망제 의식과 같게 한다. 【축문(祝文)에 부묘한다는 뜻을 갖추어 부기(附記)하고, 겸해서 종향(從享)하는 일도 기술한다. 】 충호위(忠扈衛)는 광효전 대문 밖에 동쪽으로 가까이 전하의 악차(幄次)를 서향으로 설치하고, 또 전하의 악차 동남쪽에다 왕세자의 악차를 서향으로 설치하되, 모두 땅의 형편에 따라 한다. 또 종묘 대문 안 길 동쪽에 땅의 형편에 따라 악차를 설치하고, 지영위(祇迎位)는 악차 앞에 서향으로 설치한다. 대차(大次)는 재궁(齋宮)에서 남향으로 설치하고, 소차(小次)는 묘(廟)의 조계(阼階) 동쪽에 서향으로 설치하며, 왕세자의 악차(幄次)는 재궁 동남쪽에 서향으로 설치한다. 또 신주(神主)의 악좌(幄座)는 묘 남문(南門) 바깥 길 서쪽에 동향으로 설치하고, 악좌 안에 상(床)과 요자리[褥席]는 각각 둘씩 진설(陳設)한다. 상연(尙輦)이 【병조 승여(乘輿)와 같다. 】 상로(象輅)·요여(腰轝)·누자(樓子)·장위(杖衛)·산(繖)·선(扇) 등을 광효전 대문 밖에 진배(進排)하면, 거가(車駕)가 출궁(出宮)한다.

하루 앞서 주루(晝漏)의 물이 1각(刻)에 오르면 북[鼓]을 쳐서 초엄(初嚴)을 알린다. 통례문(通禮門)이 왕세자 이하 배제(陪祭)할 문무 군신의 위차(位次)를 대궐 문밖에 설치하는데, 문신(文臣)은 동쪽, 무신(武臣)는 서쪽에 서로 대하도록 하되, 모두 여러 줄로 북쪽이 위[上]가 되게 한다.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은 각기 조복(朝服)을 갖추고, 3각에 북을 쳐서 2엄(嚴)을 알리면, 판통례(判通禮)가 꿇어앉아서 중엄(中嚴)하기를 계청(啓請)한다. 배제(陪祭)할 문무 여러 관원이 모두 대궐 문밖에 모이고, 【대향(大享)에 행사(行事)할 집사관(執事官)은 바로 향소(享所)로 나아간다. 】 유사(攸事)는 대가(大駕)의 노부(鹵簿)를 궐문 밖에다가 베푼다. 5각에 북을 쳐서 3엄(嚴)을 알리면, 여러 위(衛)의 속관(屬官)은 각기 그 대(隊)를 독촉하여 전정(殿庭)에 들어와서 벌여 서고, 봉례랑(奉禮郞)은 배제(陪祭)할 여러 관원을 인도하여 문밖의 위차(位次)에 나아가며, 지통례(知通禮)는 왕세자를 인도하여 문밖의 위차에 나아간다. 시위(侍衛)하는 관원은 각기 의장(儀仗)과 복색을 갖추고, 문무 시신(文武侍臣)은 모두 근정전(勤政殿) 서계(西階)에 나아가 봉영(奉迎)한다. 판사복(判司僕)은 근정전 문 앞에다가 상로(象輅)를 남향으로 진배(進排)하고, 천우 장군(千牛將軍) 한 사람은 긴 칼을 잡고 상로 앞에 선다. 지통례는 판통례의 앞에 있고, 통찬(通贊) 두 사람은 지통례의 앞에 있다.

판통례가 끓어앉아서 외판(外辦)을 아뢰면, 판사복(判司僕)이 옷을 걷고 올라가 바로 서서 수(綬)를 잡으면, 전하는 관(冠)과 도포[袍]를 입고 여(轝)를 타고 나와 서계(西階)로 내려오는데, 악부(樂部)는 진열하여 놓되, 잡히지는 않는다. 천우 장군이 앞에서 고삐[轡]를 잡으면, 전하는 여(轝)에서 내려 노(輅)를 탄다. 판사복이 서서 수(綬)를 주면, 시신(侍臣)은 상시(常時)와 같이 양옆에서 모신다. 지통례가 노(輅)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서 거가(車駕)가 진발(進發)하기를 계청(啓請)하고, 계가 끝나면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서 제자리에 돌아간다. 【지통례가 계청할 때는 모두 거가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계하고, 계하기를 마치면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난다. 】 거가가 움직이면 지통례와 통찬이 양쪽에서 인도하여 나가고, 천우 장군은 노(輅) 양쪽에서 빠르게 모신다. 거가가 궐문 밖을 나와, 시신이 말을 타는 장소에 이르면, 지통례가 꿇어앉아서, ‘거가를 잠깐 머물러 문무 시신들이 말타기를 허락하는 교지를 내리소서. ’라고 계청하면, 판통례가 앞으로 나아가 교지를 받들어 가지고 물러나와 말하기를, ‘가하다고 하신다.’ 하고, 통찬이 ‘문무 시신은 말을 타라.’ 창한다. 여러 시위하는 신하는 각기 그 소속을 독촉해서 좌우에서 거가를 호위하게 한다. 상서관(尙瑞官)은 보(寶)를 받들어 앞에서 인도하고, 좌우 시신은 노(輅) 앞에서 양쪽으로 모신다. 문무 시신이 다 말을 타면, 지통례가 꿇어앉아서 〈천우 장군을〉 수레 오른편에 타라는 교지를 내리기를 계청한다. 판통례가 앞으로 나아가 교지를 받들어 가지고 물러나와 ‘가하다고 하신다.’ 하면, 지통례는 물러나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천우 장군이 〈수레에〉 타고 나면, 지통례는 꿇어앉아서 거가가 진발(進發)하기를 계청하고 물러나 제자리에 돌아간다.

거가가 움직이면 고취(鼓吹)024) 도 울리지 아니하고 시끄럽게 지껄이지 못하게 한다. 배제(陪祭)할 관원이 현무대(玄武隊) 뒤에 있는 것은 상시 의식(常時儀式)과 같다. 거가가 종묘 동구(洞口)에 도착하면, 【시위하는 문무 관원은 모두 말에서 내린다. 】 판통례가 꿇어앉아 노(輅)에서 내리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노에서 내리면,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배위(拜位)에 나아가서 【유사(攸司)가 먼저 길 옆에다 묘(廟)를 향해 작은 악차를 설치하되, 악차 안에는 욕위(褥位)를 설치한다. 】 북향하여 서면, 꿇어앉아 사배(四拜)하기를 계청한다. 전하가 사배하고 나면,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다시 돌아와서 노를 타게 한다. 【시위하는 문무 관원이 모두 말을 탄다. 】 거가가 광효전 외문(外門) 밖의 시신이 하마(下馬)하는 곳에 이르면, 거가는 잠깐 멈추고, 문무 시신은 모두 말에서 내려, 〈양편으로〉 갈라 서서 국궁(鞠躬)한다. 천우 장군은 노 오른편에 내려 서고, 거가가 움직이면 천우 장군은 길 양 옆에서 빠르게 모신다. 거가가 외문(外門) 밖에 이르면, 노를 돌려 남향이 되도록 하고, 판통례가 노에서 내리기를 계청하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다시 시립(侍立)한다. 전하는 노에서 내려 여(轝)를 타고 재전(齋殿)으로 들어가는데, 산(繖)·선(扇)·화개(華蓋)·시위는 평상 의식과 같이 한다.

유사(攸司)는 전하의 욕위(褥位)를 광효전 동문(東門) 밖에다가 서향(西向)으로 땅의 형편에 따라 적당하게 설치한다. 통례문(通禮門)은 왕세자 이하 배제(陪祭)할 여러 관원의 자리를 전하의 욕위 뒤에 동쪽 가까이 설치하되, 문신은 왼편에, 무신은 오른편으로, 중심(中心)이 머리가 되게 하고, 관위(官位)를 달리 여러 줄로 모두 서향하게 한다. 〈통례문이〉 배제(陪祭)할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가 자리에 나아가면, 지통례는 왕세자를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아가고,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욕위(褥位)에 이르러서 서향으로 서면, 사배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사배하면, 통찬이 ‘사배하라.’ 찬(贊)한다. 왕세자 이하 자리에 있는 자가 모두 사배하고 나면,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재전(齋殿)으로 돌아가고, 통례문은 왕세자 이하 배제하는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재전의 남쪽에 모이게 하되, 문신은 동쪽에, 무신은 서쪽에 서게 한다. 통찬은 교지를 받아, 여러 관원이 각기 자리에 나아가 숙위(宿衛)하기를 상시(常時)와 같이 하게 한다. 교서 관원(校書館員)이 축판(祝板)을 받들어 올리면, 근신(近臣)이 받아 전하에게 올려 서(署)하기를 마치면, 근신이 받들고 나가서 전사(殿司)에게 교부(交付)한다.

동가(動駕)를 고(告)하기 하루 전에, 통례문은 전하의 판위(板位)를 광효전 동계(東階)의 동남쪽에다가 서향으로 설치하고,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신하의 위차는 외정에 설치하되, 문신은 동쪽에, 무신은 서쪽으로, 중심이 머리가 되게 하고, 관위를 달리 여러 줄로 모두 북향하여 서게 한다. 그날에 전사관(典祀官)이 그 소속들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축판을 신위의 오른편에 놓고, 향로(香爐)와 향합(香合)과 촉(燭)은 모두 신위 앞에 진설(陳設)하며, 찬수를 제구에 담는다. 【찬품은 예고제(預告祭)와 같다. 】 준소(尊所)는 지게문[戶] 밖의 왼쪽에 설치한다. 전하는 면복(冕服)을 갖추고, 왕세자는 조복(朝服)을 입고, 행사(行事)할 집사관(執事官)은 제복(祭服)을 입고, 배제(陪祭)할 여러 관원은 조복(朝服)을 입는다.

〈행사할〉 시각이 되면, 통례문은 종실(宗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아가고, 지통례는 왕세자를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아간다. 대축(大祝)이 〈신주〉 궤(櫃)를 열고 태종의 신주를 받들어 좌차(座次)에 모셔 놓고 흰 모시 수건으로 덮고, 다음에 궁위령(宮闈令)이 궤를 열고 왕태후(王太后)의 신주를 받들어 내어 좌차에 모셔 놓고 푸른 모시 수건으로 덮되, 서쪽을 위로 하게 한다. 찬례(贊禮)는 전하를 인도하여 판위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아서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한다. 전하가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하면, 통찬이 ‘국궁, 사배, 흥, 평신’이라 창하면, 왕세자 이하 자리에 있는 자는 모두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 준소(尊所)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면, 집준자(執尊者)가 술을 따르고, 근시(近侍) 두 사람이 작(爵)으로 술을 받는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면, 꿇어앉아서 규(圭)를 〈띠에〉 꽂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꿇어앉아서 규를 꽂는다. 【만약 꽂기가 불편하면 근시가 받든다. 】 근시 한 사람이 향합을 받들고 꿇어앉아 올리며, 근시 한 사람은 향로를 받들고 꿇어앉아서 올린다. 찬례가 향을 세 번 올리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향을 세 번 올린 다음, 근시는 향로를 향안(香案)에 드린다. 【진향(進香)은 동쪽에서 서향하여 하고, 전로(奠爐)는 서쪽에서 동향하여 한다. 진작(進爵)·전작(奠爵)도 이와 같다. 】 근시가 작을 받들어 꿇어앉아서 올리면, 찬례가 집작(執爵) 헌작(獻爵)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집작 헌작하는데, 작을 근시에게 주어 신위 앞에 드린다. 근시가 꿇어앉아서 부작(副爵)을 올리면, 찬례가 집작 헌작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집작 헌작하는데, 작을 근시에게 주어서 왕태후 신위 앞에 드린다. 찬례가 규(圭)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나서, 북향하여 꿇어앉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북향하여 꿇어앉는다. 대축(大祝)이 신위의 오른편에 나아가 동향하여 꿇어앉아 축문(祝文)을 읽고 나면, 찬례가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서, 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와서 동계(東階)로 내려 제자리로 돌아간다. 찬례가 꿇어앉아서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통찬이 ‘국궁, 사배, 흥, 평신’이라 창(唱)하면, 왕세자 이하 자리에 있는 자는 모두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찬례가 예(禮)를 마쳤음을 아뢰고, 전하를 인도하여 나와 대문 밖의 악차에 나아가 자리[座]에 앉게 한다. 지통례는 왕세자를 인도하여 나와 외문(外門) 밖의 길 왼편에 서게 하고, 통례문은 종실 이하 문무 여러 신하를 나누어 인도하여 외문 밖에 나와 좌우로 나누어 차례대로 서게 한다. 대축과 궁위령(宮闈令)은 신주를 의식대로 들여 넣고, 전사관(典祀官)은 그 소속(所屬)을 거느리고 예찬(禮饌)을 걷어치우고, 축판을 구덩이에 묻는다. 신주를 〈모시고〉 종묘(宗廟)에 나아가는 동가제(動駕祭)를 마쳤음을 고유(告由)한다. 유사(攸司)가 욕위(褥位) 둘을 전상(殿上)에 설치하되, 신위(神位) 앞에 남향으로 한다. 지유(指諭)·견룡(牽龍) 등은 각기 그 복색(服色)을 한다. 요여(腰轝) 둘을 욕위 위[上]에 놓는다. 【태종의 〈신주를 모실〉 여(轝)는 오른편에, 왕후의 〈신주를 모실〉 여는 왼쪽에 둔다. 】 산(繖)과 선(扇)을 들여다가 전(殿)의 섬돌 사이에 좌우로 나누어 진열(陳列)한다. 도지(都知) 등은 그 복색을 하고 탁자(托子)를 받들고 좌우로 나누어 서며, 책보 누자(冊寶樓子) 등은 전정(殿庭)에 둔다. 【양위(兩位)의 누자를 각각 좌우로 나누어 둔다. 】 또 욕위(褥位) 둘을 남문(南門) 밖에 설치하고, 상로(象輅) 둘을 그 앞에 남향으로 둔다. 【양위(兩位)의 상로를 좌우로 나누어 둔다. 】 의장(儀仗)과 악부(樂部)는 그 남쪽에 의식대로 배립(排立)한다.

시각이 되면, 섭판통례(攝判通禮)가 들어와 태종의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서, 좌차(座次)에서 내려 여(轝)를 타고 가서 부묘(祔廟)하기를 계청한다. 계청하기를 마치면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다음은 왕태후의 신위 앞에 나아가서 태종 신위 앞에서와 같이 하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 물러난다. 내시(內侍)가 태종의 책보(冊寶)를 받들고, 또 한 내시는 왕태후의 책보를 받들어 차례로 섬돌을 내려와 누자(樓子)에 둔다. 또 내시는 안석[几]을 받들어 여(轝) 위에 둔다. 대축은 태종의 신주궤를 받들어 여 위에 있는 안석 뒤에 봉안하고, 다음에 궁위령(宮闈令)은 왕태후의 신주궤를 받들어 여 위에 있는 안석 뒤에 봉안하여 【무릇 신주를 꺼낼 때에는 선왕의 신주를 먼저 꺼내고, 들여 넣을 때에는 선왕후의 신주를 먼저 들여 넣는다. 】 받들어 모시고 서계(西階)로 내려오는데, 책보 누자 등이 앞에 가고, 지유(指諭)·견룡(牽龍) 등이 신여(神轝)를 받들어 메고 나가 상로(象輅) 뒤의 욕위에 이르러 잠깐 머무른다. 섭판통례가 꿇어앉아서 여(轝)에서 내려 노에 타기를 계청하고 나서,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내시는 안석을 받들어 노 안에 두고 대축은 태종의 신주궤를 받들어 노에 태운다. 【대축은 노 안에 편승(便乘)하여 받들어 모신다. 】 다음은 궁위령이 왕태후의 신주궤를 받들어 태우는데,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공신 누자(功臣樓子)는 노가 머문 앞 길[街]의 동쪽에서 노가 출발하기를 기다려서 가는데, 노의 뒤를 의식대로 따른다. 】

천우 장군은 노를 양쪽에서 빠르게 모시고, 【태종의 노가 먼저 가고, 왕태후의 노가 다음에 가는데, 각각 의장과 악부가 있다. 】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연(輦)을 타고 앞에서 간다. 섭판통례가 노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노를 잠깐 머물러 여러 관원들의 말 타기를 허락하는 교지를 내리소서. ’라고 계청한다.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은 모두 말을 타고 앞에서 인도한다. 섭판통례는 노가 진발(進發)하기를 계청하고 나서,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물러난다. 노가 진발하면 고취(鼓吹)를 시작한다. 종묘 대문 밖에 이르러서는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이 모두 말에서 내려 좌우로 차례대로 선다. 전하가 연(輦)에서 내려 대문 안으로 들어가서 악차의 자리[座]에 앉으면, 고취는 중지하고 좌우로 나누어 선다. 【고취는 제향(祭享) 마치기를 기다려서 물러나고, 의장(儀仗) 등은 아울러 묘 남문 밖에서 좌우로 벌여 섰다가 제향례 마치기를 기다려서 물러난다. 】 노가 이르면,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이 모두 국궁하고, 노가 지나가면 평신(平身)한다. 노가 대문에 이르면 노를 돌려서 남향하게 하고, 상연(尙輦)이 요여(腰轝)를 노(輅)의 뒤 욕위(褥位) 위에 놓는다. 【임시로 욕위 둘을 설치한다. 】 섭판통례가 노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서 노에서 내려 여(轝)를 타기를 계청하고, 계청하기를 마치면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내시는 안석을 받들어 여 위에 두면, 대축과 궁위령이 각각 신주궤(神主櫃)를 받들어 여 위에 봉안하되, 앞의 의식과 같게 한다. 신여(神轝)가 대문에 들어가게 하면,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지영위(祇迎位)에 나아간다. 신여가 이르면, 전하는 국궁했다가, 여가 지나간 뒤에 평신한다.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에 돌아간다. 신여가 묘 남문의 악좌(幄座) 앞에 이르면, 섭판통례는 꿇어앉아 여에서 내려 악좌에 들기를 계청하고, 계청하기를 마치면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난다. 내시는 안석을 받들어 악좌에 두고, 대축과 궁위령은 각각 신주궤를 받들어 악좌에 봉안한다. 【왕후의 신주는 왼쪽에 둔다. 】 산·선·누자 등은 악좌 앞에 머물러 정렬(整列)한다. 【공신 누자는 신문(神門) 밖에 머무른다. 신주를 승부(升祔)한 뒤에 집사자(執事者)가 위판(位版)을 받들고 서문(西門)으로 들어와서 그 위차에 봉안한다. 】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여(轝)를 타고 재궁(齋宮)으로 들어가는데, 산·선·화개(華蓋)·시위는 보통의 의식과 같이 한다. 지통례는 왕세자를 인도하여 위차로 들어간다. 종묘에 준(尊)·이(彝)·술[酒]·단술[醴]·점(坫)·작(爵)을 진설하고, 희생(犧牲)을 살펴 정결하다고 아뢰며, 축판을 서(署)하고, 【축문에는 부향(祔享)한다는 뜻을 아울러 기술한다. 】 악기를 진설하는 것 등은 평상 의식과 같이 한다. 처음 신로(神輅)가 장차 묘에 이르게 되면, 유사는 부알(祔謁)할 욕위 둘을 묘정(墓庭) 횡계(橫階)의 남쪽 한가운데에 북향으로 설치한다. 【태종 신위의 욕위는 서쪽에 있게 한다. 】 집례(執禮)는 전하의 판위(版位)를 설치하고, 찬자(贊者)는 여러 향관(享官)의 자리와 배제(陪祭)할 여러 관원의 자리를 설치하되, 모두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새벽 강신(降神)할 시각이 되면, 종묘령(宗廟令)과 전사관(典祀官)은 각기 그 소속(所屬)을 거느리고 들어가 찬수를 찬구(饌具)에 담고 나면, 찬인(贊引)은 감찰(監察)을 인도하여 조계(阼階)로 올라와 당(堂)의 위아래를 살펴서 의식대로 못하지나 않았는가를 규찰(糾察)한 다음 돌아간다. 집례(執禮)는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을 거느리고 동문(東門)으로 들어와, 먼저 섬돌 사이[階間]의 배위(拜位)에 나아가 여러 줄로 서서 북향하고 서쪽을 윗자리로 하여 사배(四拜)하고 나서 각기 자리로 나아간다. 아악 령(雅樂令)이 악공(樂工)과 이무(二舞)를 거느리고 들어와 자리에 나아가는데, 문무(文舞)는 들어와 현(懸) 북쪽에 늘어서고, 무무(武舞)는 현(懸)의 남쪽 길 서쪽에 선다. 통례문은 배제(陪祭)하는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아가고, 지통례는 아헌관(亞獻官)을 인도하고, 【아헌관이 만약 왕세자가 아니면 알자가 인도한다. 】 알자·찬인은 각각 여러 향관을 인도하여 모두 동문(東門)밖의 자리로 나아간다. 찬인이 감찰·전사관·대축·축사(祝史)·재랑(齋郞)·종묘령(宗廟令)·궁위령·협률랑(協律郞)·봉조관(奉俎官)과 준(尊)·뇌(罍)·비(篚)·멱(羃)을 맡은 자와 칠사공신(七祀功臣)의 축사·재랑과 준·뇌·비·멱을 맡은 자를 인도하여 들어와 현의 북쪽 배위(拜位)에 나아가, 여러 줄로 북향하고 서쪽을 위로 하여 서면, 집례(執禮)가 ‘사배하라.’ 하면, 찬자는 ‘국궁, 사배, 흥, 평신’이라 전창(傳唱)한다. 【무릇 집례가 말을 하면 찬자가 모두 전창한다. 】 감찰 이하가 모두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이를 마치면, 찬인은 감찰을 인도하여 자리에 나아가고, 찬인은 여러 집사(執事)을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관세하기를 마치고 각각 제자리로 나아간다.

지통례는 아헌관을 인도하고, 알자·찬인은 각각 종헌관(終獻官)·진폐 찬작관(進幣瓚爵官)·천조관(薦俎官)·전폐 찬작관(奠幣瓚爵官)과 칠사 공신(七祀功臣)의 헌관(獻官)을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아간다. 찬인은 대축·종묘령·궁위령을 인도하여 조계(阼階)로 올라와 제1실에 들어가서 감실(埳室)을 열면, 대축과 궁위령이 신주를 받들어 내어 좌(座)에 모신다. 【신악(神幄) 안의 안석[几]뒤에 나아가 궤(櫃)를 열고 좌(座)에 모신다. 선왕의 신주는 대축이 받들어 내어 흰 모시 수건으로 덮고, 선후(先后)의 신주는 궁위령이 받들어 내어 푸른 모시 수건으로 덮는데, 서쪽을 위로 한다. 】 제2실 이하의 신주도 차례로 받들어 내는데, 제1실의 의식과 같이 한다. 찬인이 재랑을 인도하여 작세위(爵洗位)에 나아가 찬(瓚)과 작(爵)을 씻고 닦아서 광주리[篚]에 담아, 받들어 태계(泰階)로 나아가면, 여러 축사가 각각 섬돌 위에서 맞이하여 준소(尊所)의 점(坫) 위에 둔다. 이를 마치면, 전(殿) 위의 여러 집사는 각각 형편에 따라 섬돌을 내려가서 서로 마주보고 차례대로 섰다가, 신여(神轝)가 전(殿)에 오르기를 기다려 각각 섬돌 위의 제자리로 돌아간다.

판통례가 꿇어앉아서 외판(外辦)을 아뢰고, 전하를 인도하여 나오는데, 산·선·화개·시위는 보통의 의식과 같이 한다. 예의사(禮儀使)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문(東門) 밖에 이르면, 근시가 꿇어앉아 규(圭)를 올린다. 예의사가 꿇어앉아서 규를 잡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잡으면, 화개와 의장은 문밖에서 머무른다. 상서사(尙瑞司) 관원이 보(寶)를 받들어 소차(小次) 옆에 진설하고,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정문(正門)으로 들어온다. 【정문은 동문(東門)을 말한다. 시위로서 들어오지 못할 자는 문밖에서 머무른다. 】 협률랑(協律郞)이 꿇어앉아서 구부렸다 엎드렸다 하고 휘기(麾旗)를 들고 일어나면, 【무릇 물건을 취(取)하려는 자는 모두 꿇어앉아서 구부렸다 엎드렸다 하고 취하여 일어난다. 물품을 드리는 때는 꿇어앉아서 드린 다음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 악공(樂工)이 축(柷)을 치면, 헌가(軒架)는 승안지악(承安之樂)을 시작한다. 전하는 판위(版位)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면, 【설 때마다 예의사는 전하의 왼편으로 물러선다. 】 협률랑이 휘기를 눕히고 어(敔)를 치면, 풍악은 그친다. 【무릇 풍악은 협률랑이 꿇어앉아서 구부렸다 엎드렸다 하고 휘기를 들고 일어나면, 악공이 축을 친 뒤에 악을 시작하고, 휘기를 눕히며 어를 치면 악을 정지한다. 】

처음에 전하가 문을 들어오려 하면, 섭판통례가 태종의 신주 악차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좌(座)에서 내려 여를 타고 가서 부알(祔謁)하기를 계청하고, 계하기를 마치면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내시는 안석을 받들어 여 위에 두고, 대축은 태종의 신주궤를 받들어 안석 뒤에 봉안한다. 다음에 궁위령이 왕태후의 신주궤를 받들어 안석 뒤에 봉안하고 나면, 집례 【당하관의 집례이다. 】 가 신여를 인도하여 묘 남문에 이르면, 산·선은 문밖에 정열(整列)한다. 【시위하는 원리(員吏)는 모두 물러간다. 】 재랑(齋郞)들이 신여를 모시고 정문으로 들어와 부알(祔謁)할 욕위(褥位)에 이르면, 대축과 궁위령이 각각 신주궤를 받들어 욕위에 봉안하고 궤를 열면, 대축은 태종의 신주를 받들어 내어 부(趺)위에 봉안하고, 다음에 궁위령은 왕태후의 신주를 받들어 내어 부 위에 봉안한다. 【태종의 신주는 서쪽에 놓는다. 】

섭판통례가 욕위 서쪽에 나아가 북향하여 꿇어앉아, 지금 길신(吉辰)이므로 태종 공정 성덕 신공 문무 광효 대왕(太宗恭定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창덕 소열 원경 왕태후(彰德昭烈元敬王太后)를 부알하기를 계청하고 나서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물러난다. 조금 있다가 섭판통례가 욕위의 서쪽에 나아가 동향하여 꿇어앉아, 여를 타고 가서 부향(祔享)하기를 계청하고 나서,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물러나 본래의 반차(班次)로 내려온다. 대축과 궁위령은 욕위에 나아가 꿇어앉아 각각 신주를 받들어서 여에 봉안한다. 【신주궤 뚜껑도 여 위의 뒷편 가까운 곳에 둔다. 】 신여가 올라오면 【태계(泰階)로 올라온다. 】 대축과 궁위령이 제6실로 인도하여 들어가서 악좌 앞에 이른다. 내시가 안석을 받들어 악좌에 놓고, 대축과 궁위령은 각기 신주를 받들어 악좌에 봉안하고 수건으로 덮는데, 서쪽을 위로 한다. 【집사자(執事者)는 책보를 받들고 들어와서 안(案) 위에 둔다. 】 요여(腰轝)는 조계(阼階)로 내려와 동문(東門)으로 나간다. 예의사가 앞에 꿇어앉아서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집례가 ‘사배하라.’ 하면, 자리에 있는 자는 모두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먼저 절한 자는 절하지 아니한다. 】 집례가 ‘예의사는 행사(行事)하기를 계청하라.’ 하면, 예의사가 앞에 꿇어앉아 ‘유사(有司)가 삼가 갖추었으니 행사하기를 청한다.’ 하고 물러나 제자리에 돌아간다. 헌가(軒架)는 경안지악(景安之樂)열문지무(烈文之舞)를 시작하여 아홉 번을 거듭하고 그친다. 근시(近侍)가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관세를 마친 다음 돌아와 시립(侍立)한다. 알자는 진폐 찬작관과 전폐 찬작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 관세를 마친 다음 조계로 올라가 익조실(翼祖室)의 준소(尊所)로 나아가 북향하여 선다.

집례가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관창례(祼鬯禮)를 행하라.’ 하면,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고, 헌가는 승안지악(承安之樂)을 시작한다. 관세위에 나아가 북향으로 서면, 꿇어앉아 규(圭)꽂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규를 꽂는다. 내시(內侍)가 꿇어앉아 대야[匜]를 가지고 일어나서 물을 붓고, 또 내시 한 사람은 꿇어앉아 반(盤)을 가지고 물을 받는다. 전하가 손을 씻으면 내시는 꿇어앉아 비(篚)에서 수건을 가져다 올린다. 전하가 손을 닦으면 내시는 수건을 받아 비(篚)에 담는다. 예의사는 규(圭)를 잡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홀을 잡는다.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조계로 올라가고 나면, 【예의사·근시·내시가 따라 오른다. 】 악은 그친다. 익조실의 준소에 나아가 서향으로 서면, 등가(登歌)는 숙안지악(肅安之樂)열문지무(烈文之舞)를 시작한다.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면, 진폐 찬작관이 울창(鬱鬯)을 따르고, 근시는 찬(瓚)으로 울창을 받는다.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아가 북향으로 서게 하고, 꿇어앉아서 〈전하에게〉 꿇어앉아 규를 꽂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꿇어앉아 규를 꽂는다. 근시 한 사람은 향합을 받들어 꿇어앉아 올리고, 근시 한 사람은 향로를 받들어 꿇어앉아 올린다. 예의사가 삼상향(三上香)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세 번 향을 올리고, 근시는 향로를 향안(香案)에 드린다. 근시가 찬(瓚)을 진폐 찬작관(進幣瓚爵官)에게 주면, 진폐 찬작관이 받아 꿇어앉아서 올린다. 예의사가 찬 잡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찬을 잡아 땅에 부은 다음 찬을 전폐 찬작관(奠幣瓚爵官)에게 주면, 전폐 찬작관은 받아서 대축에게 준다. 근시가 폐비(幣篚)를 진폐 찬작관에게 주면, 진폐 찬작관이 폐백을 받들어 꿇어앉아서 올린다. 예의사가 집폐(執幣) 헌폐(獻幣)하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집폐 헌폐하는데, 폐백을 전폐 찬작관에게 주어 안(案)에 드리게 한다. 【무릇 진향(進香)·진찬(進瓚)·진폐(進幣)는 모두 동쪽에서 서향하여 하고, 전로(奠爐)·수찬(受瓚)·전폐(奠幣)는 모두 서쪽에서 동향하여 하는데, 진작(進爵)·전작(奠爵)도 이에 준한다. 】 예의사가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와 도조실(度祖室)에 나아가고, 다음은 환조실(桓祖室)에, 다음은 태조실에, 다음은 공정왕실(恭靖王室)에, 다음은 태종실에 나아가서 향을 올리고 관창(祼鬯)하며, 폐백을 드리는 것도 아울러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이것이 끝나면, 예의사가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고, 등가(登歌)는 그친다.

진폐 찬작관과 전폐 찬작관은 모두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와 앞기둥[前楹] 밖의 한가운데에 북향으로 서게 하면, 예의사가 꿇어앉아 몸을 굽혀 재배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몸을 굽혀 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고, 헌가(軒架)는 승안지악(承安之樂)을 시작하고, 〈전하가〉 조계(阼階)로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오면, 악은 그친다. 등가가 그칠 때에 여러 축사(祝史)가 앞기둥 밖에서 각각 모혈반(毛血盤)·간료등(肝膋鐙)을 가지고 함께 들어가서 신위 앞에 놓는데, 【모혈반은 등(鐙)의 뒤쪽에 놓고, 간료등은 변(籩)의 왼쪽에 놓는다. 】 여러 축사가 함께 간요를 가져와서 화로의 숯불에 구워 준소(尊所)로 돌아가 궤식(饋食)한다. 전하가 이미 관창(祼鬯)을 올렸으며, 찬인이 전사관(典祀官)을 인도하고, 진찬자(進饌者)를 거느리고 부엌[廚]에 나아가, 비(匕)로 우(牛)를 확(鑊)에서 들어올려 정(鼎)에 담고, 다음은 양(羊)을 들어올려 정에 담고, 다음은 시(豕)를 들어올려 정에 담는데, 【실(室)마다 우·양·시가 각각 한 정씩이다. 】 모두 경멱(扃羃)을 설치한다. 축사(祝史)가 맞들고 들어가서 찬만(饌幔) 안에 진설한다. 알자(謁者)는 천조관(薦俎官)을 인도하여 나와 찬소(饌所)에 나아가는데, 봉조관(奉俎官)이 따른다. 전하가 관창을 마치고 나서 제자리로 돌아오면, 악이 그친다. 집례가 ‘진찬(進饌)’ 하면, 축사는 경(扃)을 뽑아 정(鼎) 오른쪽에 두고, 멱(羃)을 벗긴 다음 비(匕)와 필(畢)을 정(鼎)에 얹어 둔다. 전사관(典祀官)이 비(匕)로 우를 들어올려 생갑(牲匣)에 담고, 다음에 양과 시를 들어올려 각각 생갑에 담는다. 【실(室)마다 우·양·시가 각각 한 갑씩이다. 】 다음은 천조관(薦俎官)을 인도하여 익조실의 조(俎)를 받들고, 봉조관(奉俎官)은 각각 생갑을 받드는데, 전사관이 찬(饌)을 인도하여 정문(正門) 【남문. 】 으로 들어온다. 조(俎)가 문에 처음 들어올 무렵에, 헌가(軒架)는 옹안지악(雍安之樂)을 시작한다. 여러 축사는 함께 나아가서 모혈반(毛血盤)을 걷어서 조계(阼階)를 통해 재랑(齋郞)에게 주어 보낸다. 찬(饌)이 태계(泰階)에 이르면, 여러 대축(大祝)이 섬돌 위에서 맞이한다. 천조관(薦俎官)이 익조의 신위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꿇어앉아 드리는데, 먼저 우를 드리고, 다음은 양, 다음은 시를 드린다. 【여러 대축이 드리는 것을 돕는다. 】 드리기를 마치고, 생갑(牲匣)의 뚜껑을 연다. 도조실에 나아가고, 다음은 환조실, 다음은 태조실, 다음은 공정왕실, 다음은 태종실에 나아가서 받들어 드리는데, 모두 위의 의식과 같이 하고 나면, 악은 그친다.

알자는 천조관 이하를 인도하여 조계로 내려가 제자리로 돌아간다. 여러 대축은 각기 소(蕭)·서직(黍稷)을 가지고 고기 기름을 묻혀 화로의 숯불에 구워서 준소로 들어간다. 알자는 진폐 찬작관과 전폐 찬작관을 인도하여 익조실(翼祖室)의 준소로 올라가 북향하여 서면, 집례가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초헌례(初獻禮)를 행하라.’ 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면, 헌가는 승안지악(承安之樂)을 시작하는데, 〈전하가〉 조계로 오르기를 마치면 악이 그친다.

익조실의 준소 앞에 나아가 서향하여 서면, 등가(登歌)는 수안지악(壽安之樂)열문지무(烈文之舞)를 시작한다. 집준자가 멱(羃)을 들면, 진폐 찬작관이 예제(醴齊)를 따르고, 근시 두 사람이 작(爵)으로 술을 받는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면, 〈예의사는〉 꿇어앉아 규(圭)를 꽂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꿇어앉아서 규를 꽂는다. 근시가 작을 진폐 찬작관에게 주면, 진폐 찬작관이 작을 받들어 꿇어앉아서 올린다. 예의사가 집작(執爵) 헌작(獻爵)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집작 헌작하는데, 작을 전폐 찬작관에게 주어서 신위 앞에 드리도록 한다. 근시가 부작(副爵)을 진폐 찬작관에 주면, 진폐 찬작관이 작을 받들어 꿇어앉아서 올린다. 예의사가 집작 헌작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집작 헌작하는데, 작을 전폐 찬작관에게 주어 왕후 신위 앞에 드리도록 한다. 예의사가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북향하여 꿇어앉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북향하여 꿇어앉으면, 악은 그친다. 대축이 신위의 오른편에 나아가 동향하여 꿇어앉아서 축문을 읽고 나면, 악은 시작된다. 예의사가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오고, 악은 그친다. 차례로 작헌(酌獻)하는데, 모두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익조실에는 소녕지곡(昭寧之曲)을, 도조실에는 정명지곡(貞明之曲)을, 환조실에는 위명지곡(威明之曲)을, 태조실에는 소명지곡(昭明之曲)을, 공정왕실에는 순명지곡(純明之曲)을 태종실에는 인명지곡(仁明之曲)을 노래한다. 】 예의사가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고, 곡(曲)이 끝나고, 악도 그친다. 진폐 찬작관과 전폐 찬작관도 모두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와 앞기둥[前楹] 밖의 한가운데에 북향하여 서면, 예의사는 꿇어앉아서 몸을 굽혀 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몸을 굽혀 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고, 헌가는 승안지악(承安之樂)을 시작하고, 조계로 내려와 위차로 돌아간다. 예의사가 꿇어앉아 소차(小次)에 들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소차에 이르면 예의사는 꿇어앉아 규 놓기를 계청하여, 근시가 규를 받는다. 전하가 소차에 들면, 주렴을 내리고, 악은 그친다. 문무(文舞)는 물러나고, 무무(武舞)가 나오면, 헌가는 서안지악(舒安之樂)을 시작하는데, 무자(舞者)가 지정된 자리에 서면, 악도 그친다.

아헌·종헌은 【칠사 공신의 작헌(酌獻)도 덧붙인다. 】 처음에 전하가 소차로 돌아가게 되면, 집례(執禮)가 ‘아헌례를 행하라.’ 하면, 지통례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고, ‘홀(笏)을 꽂으라.’ 찬(贊)한다. 손을 씻고 닦기를 마치면, 【손을 씻고 닦는 것은 찬하지 아니한다. 】 ‘홀을 잡으라.’ 찬한다. 아헌관을 인도하여 조계로 올라 익조실의 준소(尊所)에 나아가 서향하여 서면, 헌가는 수안지악(壽安之樂)과 소무지무(昭武之舞)를 시작하며, 향악(鄕樂)도 섞어 아뢴다. 집준자가 멱(冪)을 들고 앙제(盎齊)를 따르면, 집사자(執事者) 두 사람이 작(爵)으로 술을 받는다. 지통례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면, ‘꿇어앉아 홀을 꽂으라.’ 찬하여, 아헌관은 꿇어앉아서 홀을 꽂는다. 집사자가 작을 아헌관에게 주면, 아헌관이 집작 헌작하는데, 작을 집사에게 주어 신위 앞에 드린다. 집사자가 부작(副爵)을 아헌관에 주면, 아헌관이 집작 헌작하는데,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 왕후 신위 앞에 드리게 한다. 지통례가 ‘홀을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라. ’고 찬하면, 아헌관이 홀을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난다. 인도하여 나와 차례대로 작헌하는데, 모두 위의 의식과 같게 한다. 지통례가 ‘홀을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라. ’고 찬하면, 아헌관이 홀을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고, 악이 그친다. 인도하여 나와 앞기둥 밖의 한가운데에서 북향하여 서면, 지통례가 ‘국궁, 재배, 흥, 평신’이라 찬하면, 아헌관은 몸을 굽혀 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인도하여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아헌관이 헌작을 마치게 되면, 집례가 ‘종헌례(終獻禮)를 행하라.’ 한다.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아헌(亞獻)하던 의식대로 행례(行禮)하고, 인도하여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처음에 종헌관이 올라오면, 찬인이 칠사 헌관(七祀獻官)을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홀을 꽂고, 손을 씻고 닦기를 마치고 나서, 홀을 잡고 준소로 나아간다. 집준자가 멱(羃)을 들고 술을 따르면, 집사자는 작으로 술을 받는다. 헌관은 신위 앞에 나아가 서향하여 꿇어앉아 홀을 꽂으면, 집사자가 작을 준다. 헌관이 집작(執爵) 헌작(獻爵) 전작(奠爵)하는데, 차례로 작을 드리기를 마치고 나서, 홀을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사명(司命) 신위 앞에 나아가 서향하여 꿇어앉으면, 축(祝)이 헌관의 왼편에 나아가 북향하여 꿇어앉아서 축문을 읽는다. 이것이 끝나면, 헌관은 조금 물러나 한가운데에서 서향하여 재배하고, 찬인은 〈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간다. 처음에 칠사 헌관이 관세위에 나아가게 되면, 찬인이 배향 공신(配享功臣)의 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 홀을 꽂고 손을 씻고 닦기를 마치고 나서, 홀을 잡고 준소로 나아간다. 집준자가 멱(冪)을 들고 술을 따르면, 집사자는 작으로 술을 받는다. 헌관이 신위 앞에 나아가 동향하여 서서 홀을 꽂으면, 집사자는 작을 주어, 헌관이 집작 헌작 전작한다. 차례로 작을 드리기를 마치고 나서 홀을 잡으면, 축사가 교서(敎書)를 받들고 신위의 오른쪽에 나아가 서서 읽는다. 〈읽는 것이 끝나면〉 찬인이 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간다.

음복(飮福)은, 초헌·종헌관이 제자리로 돌아오면, 알자가 진폐 찬작관과 천조관(薦俎官)을 인도하여 조계로 올라가 음복위(飮福位)에 나아가 북향하여 선다. 대축이 익조실의 준소에 나아가 작으로 상준(上尊)의 복주(福酒)을 따른다. 또 대축이 조(俎)를 가지고 신위 앞에 나아가 조의 〈담긴〉 고기를 들어낸다. 집례가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음복위에 나아가라.’ 하면, 예의사는 꿇어앉아서 음복위에 나아가기를 계청한다. 주렴을 걷고 소차에서 나오면, 헌가는 승안지악을 시작한다. 근시가 꿇어앉아서 규(圭)를 올리면, 예의사는 꿇어앉아서 규를 잡도록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잡으면,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음복위에 나아가 서향하여 서고, 악은 그치고, 등가는 수안지악을 시작한다. 대축이 작을 진폐 찬작관에게 주면, 진폐 찬작관이 작을 받들고 북향하여 꿇어앉아 올린다. 예의사가 꿇어앉아서, 꿇어앉아 규를 꽂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꿇어앉아 규를 꽂고, 작을 받아 마시고 나면, 진폐 찬작관이 빈 잔을 받아서 대축에게 준다. 대축은 이를 받아서 다시 점(坫) 위에 놓고, 대축은 조(俎)를 천조관에게 주면, 천조관이 조를 받들고 북향하여 꿇어앉아 올린다. 예의사가 조(俎)받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조를 받아 근시에게 주는데, 근시는 조를 받들고 조계로 내려와 문을 나와 사옹(司饔)에게 주고, 진폐 찬작관과 천조관은 모두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예의사가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잡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고, 악은 그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고, 헌가는 승안지악(承安之樂)을 시작하며,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오면, 악이 그친다. 꿇어앉아 몸을 굽혀 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몸을 굽혀 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집례가 ‘재배하라’ 하면, 자리에 있는 자는 모두 몸을 굽혀 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집례가 ‘변(籩)·두(豆)를 철거하라.’ 하면, 여러 대축이 묘실에 들어가 변·두를 철거하며, 【철거한다는 것은 변·두 각 하나를 그 자리에서 조금씩 옮긴다. 】 등가는 옹안지악(雍安之樂)을 시작한다. 칠사 공신의 축사·재랑도 각각 변·두를 철거하는데, 철거를 마치면, 악은 그치고, 헌가는 경안지악(景安之樂)을 아뢰며, 향악(鄕樂)도 섞어서 아뢴다. 예의사가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하기를 계청하여, 전하는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집례가 ‘사배하라’ 하면, 자리에 있는 자는 모두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하며, 악도 한 차례 연주하다가 그친다. 예의사는 예(禮)를 마쳤음을 아뢰고, 전하를 인도하여 재궁(齋宮)으로 돌아가고, 헌가는 승안지악(承安之樂)을 시작하고, 문을 나오면, 악은 그친다. 예의사가 꿇어앉아 규를 놓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놓으면, 근시가 꿇어앉아 규를 받고, 시위(侍衛)는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재궁에 들어가 면복(冕服)을 벗는다. 】 집례가 ‘망예(望瘞)’라 하면, 지통례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망예위(望瘞位)에 나아가 북향하여 선다. 집례가 찬자를 거느리고 망예위에 나아가 서향하여 서면, 여러 대축이 서직반(黍稷飯)을 백모(白茅)로 깔아서 묶고, 비(篚)로 축판과 폐백을 담아 서계(西階)로 내려와서 구덩이에 놓는다. 집례가 ‘가예(可瘞)’라 하면, 흙으로 구덩이를 반쯤 메우는데, 종묘령이 감시한다. 지통례는 아헌관을 인도하고, 알자와 찬인은 여러 향관을 인도하여 나가고, 집례는 찬자를 거느리고 제자리로 돌아간다. 통례문은 배제한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로 나간다. 찬인은 감찰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함께 현(懸) 북쪽의 배위(拜位)에 돌아가 선다. 집례가 ‘사배하라.’ 하면, 감찰과 여러 집사는 모두 몸을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찬인이 차례로 인도하여 나가고, 아악 령(雅樂令)은 악공(樂工)과 이무(二舞)를 거느리고 나간다. 대축·종묘령·궁위령은 〈감실(埳室)에〉 신주를 들여넣기를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하고, 집례는 알자·찬자·찬인을 거느리고 배위에 나아가 사배하고 나간다. 칠사(七祀)의 헌관은 서문(西門) 밖의 칠사의 예감(瘞坎) 남쪽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면, 집사자가 축판을 예감에 넣고 묻는다. 공신의 축사(祝史)는 교서(敎書)를 받들어 서문 밖에 나가서 불사르고 물러난다. 전사관·종묘령은 각기 그 소속을 거느리고 예찬(禮饌)을 걷어치우고, 궁위령은 지게문을 닫고 내려와 물러간다.

거가 환궁(車駕還宮)은, 유사가 대가(大駕)의 노부(鹵簿)를 돌아갈 길에 진열하는데,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전악 령(典樂令)은 제궁(齊宮) 남문 밖에다가 악부(樂部)를 베푼다.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은 각기 조복(朝服)을 갖추고, 전하는 관을 쓰고 도포[袍]를 입는다.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은 대문 밖에 차례대로 서고, 문무 시신(侍臣)은 제궁에 나아가서 맞이한다. 판사복(判司僕)은 상로(象輅)를 대문 밖에 남향하여 진배(進拜)하고, 천우 장군(千牛將軍)은 노(輅) 앞에 선다. 판통례는 꿇어앉아서 외판(外辦)을 아뢰고, 판사복은 올라와 유(綏)를 잡는다. 전하가 여(轝)를 타고 악차에서 나오면, 산(繖)·선(扇)·화개(華蓋)·시위는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천우 장군이 앞에서 고삐를 잡는다. 전하가 문밖에 이르러, 여에서 내려 노를 타면, 판사복은 서서 유(綏)를 받는다. 지통례가 꿇어앉아서 거가가 진발하기를 계청하고 물러나 제자리로 돌아간다. 거가가 움직이면, 천우 장군은 노 양쪽에서 빠르게 모신다. 시신(侍臣)이 말을 타는 장소에 이르면, 지통례가 꿇어앉아, ‘거가를 잠깐 머물러 시신들이 말 타기를 허락하는 교지를 내리소서. ’라고 계청하면, 판통례가 앞으로 나아가 교지를 받들어 가지고 물러나와 말하기를 ‘가(可)하다고 하신다.’ 하고, 통찬(通贊)이 ‘문무 시신은 말을 타라. ’고 창한다. 상서관(尙瑞官)은 보(寶)를 받들고 앞에서 인도한다. 지통례가 꿇어앉아서, ‘수레 오른편에 타기를 허락하는 교지를 내리소서.’ 하고 계청하면, 판통례가 앞으로 나아가 교지를 받들어 가지고 물러나와 말하기를, ‘가하다고 하신다.’ 하고, 지통례는 물러나 제자리로 돌아간다. 천우 장군이 타고 나면, 지통례는 꿇어앉아서 거가가 진발(進發)하기를 계청하고 물러나 제자리로 돌아간다. 거가가 움직이면, 고취(皷吹)를 울리면서 환궁하는데, 문무 여러 신하가 인도하여 따르는 것은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거가가 경복궁 문밖의 시신이 말에서 내리는 장소에 이르면, 거가는 잠깐 멈추고, 문무 시신은 모두 말에서 내려 나누어 서서 국궁(鞠躬)하고, 천우 장군은 〈수레에서〉 내려 노 오른편에 선다. 거가가 움직이면, 천우 장군은 노 양쪽에서 빠르게 모신다. 거가가 근정문(勤政門)에 이르면, 악은 그치며, 노를 돌려서 남쪽을 향하게 한다. 판통례가 노 앞에 꿇어앉아서, 노에서 내리기를 계청하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서 돌아와 시립(侍立)한다. 전하는 노에서 내려 여를 타고 들어가는데, 산·선·화개·시위는 보통때의 의식과 같이 하고 시신은 전정(殿庭)까지 따른다. 유사는 근정전 한가운데에 남향으로 악좌(幄座)를 포설(鋪設)하고, 향로(香爐) 둘을 앞기둥 밖에 베풀며, 안(案)은 전(殿)의 섬돌 위에 베푼다. 통례문은 협률랑(協律郞)의 자리를 전(殿)의 섬돌 위에 서쪽으로 가까이 동향하여 설치하고, 좌우 시신(侍臣)과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의 자리를 설치하되,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산·선·장위(仗衛)는 전의 섬돌 위 아래에 진열(陳列)하고, 악부(樂部)는 여러 관원의 남쪽에 진열(陳列)하되,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예조 관원(禮曹官員)이 여러 도(道)의 전문(箋文)을 올리는 관원을 인도하여 동문으로 들어오면, 악관(樂官)이 악을 아뢰면서 앞에서 인도하고, 정문(正門) 밖에 이르면, 악은 그친다. 동계로 올라가서 전문(箋文)을 안(案) 위에 놓고 나서 물러간다.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관원과 여러 도의 진전관(進箋官)은 모두 문밖의 자리로 나아가고, 전악 령(典樂令)은 악공을 거느리고 자리에 나아가며, 협률랑도 자리로 나아간다. 통례문이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로 나아가면, 통찬은 ‘반열(班列)을 정제(整齊)하라.’ 창(唱)한다. 판통례가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아서 전(殿)에 오르기를 계청하고, 중금(中禁)이 엄(嚴)을 전(傳)하고, 향로에서 향연(香烟)이 오르면, 상서관(尙瑞官)이 보(寶)를 받들어 앞서 가고, 전하는 여(轝)를 타고 나오는데, 상호군(上護軍)이 간심(看審)하기를 아뢴다. 협률랑이 꿇어앉아서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휘(麾)를 들고 일어나면, 악은 시작된다. 전의(典儀)가 통찬(通贊)을 불러서 ‘국궁하라.’ 찬하면, 여러 관원은 모두 국궁한다. 전하가 좌(座)에 오르면, 상호군이 간심하기를 아뢴다. 협률랑이 휘를 눕히면, 악은 그친다. 통찬이 ‘평신(平身)하라.’ 찬하면, 여러 관원이 모두 평신한다. 전의가 통찬을 불러서 ‘치사(致詞)하라.’ 찬하면, 치사관(致詞官)이 【치사관은 통례문이다. 】 반수(班首)를 대신하여 월대(月臺)의 중심에서 북쪽으로 가까이 나아간다. 통찬이 ‘꿇어앉으라.’ 찬하면, 여러 관원이 모두 꿇어앉는다. 치사(致詞)가 말하기를, ‘구함(具銜) 신 아무 등은 대사(大祀)를 이미 마쳤으니, 경하(慶賀)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하고,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서 제자리로 물러 나간다. 통찬이 ‘면, 복, 흥, 사배, 흥, 평신’이라 찬하면, 악이 시작되고, 여러 관원은 모두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하며, 악은 그친다. 통찬이 ‘꿇어앉으라.’ 찬하면, 여러 관원은 모두 꿇어앉아, ‘산호(山呼) 【천세(千歲). 】 , 산호 【천세(千歲). 】 , 재산호(再山呼) 【천천세. 】 ’ 한다. 통찬이 ‘면, 복, 흥, 사배, 흥, 평신’이라 찬하면, 악이 시작되고 여러 관원은 모두 구부렸다 엎드렸다 일어나서, 사배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하며, 악은 그친다.

전의(典儀)가 ‘전문(箋文)을 올리라. ’고 창(唱)하면, 집사관이 여러 도의 전문안(箋文案)을 들고 동문(東門)으로 들어오는데, 판통례가 주렴 앞까지 인도해 와서 안(案)에다 놓는다. 판통례가 ‘전문을 펴라. ’고 찬하면, 선전관(宣箋官)은 〈직계(職階)가〉 가장 높은 관원의 전문을 선독(宣讀)한다. 이를 마치면, 집사관이 전문안을 거두어 보안(寶案) 남쪽에 놓는다. 판통례는 꿇어앉아서, ‘예(禮)가 끝났다. ’고 계하면, 통찬이 ‘예가 끝났다. ’고 찬한다. 전하가 좌에서 내려오면, 악이 시작되고, 통찬이 ‘국궁’ 이라 찬하면, 여러 관원이 모두 몸을 굽히고, 전하가 여를 타고 들어오면, 악은 그친다. ‘평신’이라 찬하면, 여러 관원이 모두 몸을 바로 한다. 통례문이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로 나온다.

환궁(還宮)할 때에 의금부와 군기감(軍器監)에서는 나례(儺禮)와 잡희(雜戲)를 종묘의 동구(洞口)에서 벌이고, 성균관 생도(成均館生徒)들은 종루(鍾樓) 서가(西街)에서 가요(歌謠)를 아뢰며, 교방(敎坊)에서는 혜정교(惠政橋) 가에서 가요를 아뢰고, 이어 정재(呈才)하며, 또 경복궁 문밖 좌우에는 산디[山臺]를 맺는다. 전하가 환궁한 뒤에 하례를 의식대로 받고 나서, 이어 교서(敎書)와 유지(宥旨)를 내리고, 향관(享官)과 여러 집사에게 잔치를 하사한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8책 24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2책 600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왕실-종사(宗社) / 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 / 과학-천기(天氣) / 의생활(衣生活) / 예술-음악(音樂) / 예술-연극(演劇)

  • [註 024]
    고취(鼓吹) : 북·피리 따위.

○禮曹啓太宗祔廟儀註:

前期, 三度習儀, 祈晴于社稷。 路次排班: 軍威前行, 次文武百官分左右前導, 次陽繖, 次大駕, 次陽扇左右分立, 次紅門大旗中立, 次矟旗左右分立, 次中旗左右分立, 次白澤旗左右分立, 次白虎旗中立, 次玄鶴旗在左, 白鶴旗在右, 次熊骨朶子左右分立, 次豹骨朶子左右分立, 次銀骨朶子左右分立, 次金骨朶子左右分立, 次錚鼓左右分立, 次金鐙左右分立, 次金銀粧刀左右分立, 次幢左右分立, 次銀斫子左右分立, 次金斫子左右分立, 次孔雀扇左右分立, 次靑蓋左右分立, 次紅蓋左右分立, 次紅繡鞍馬居中左右分立, 次樂部居中左右分立, 次寶樓子, 次冊樓子, 次腰轝, 次香亭子, 次龍鳳扇左右分立, 次陽繖, 次太宗象輅, 次功臣樓子, 次靑紅蓋左右分立, 次孔雀扇左右分立, 次鳳扇左右分立, 次靑繡鞍馬居中左右分立, 次樂部居中左右分立, 次寶樓子, 次冊樓子, 次轝腰, 次香亭子, 次陽繖, 次王太后象輅, 次內官, 次親屬, 次軍威在後。

儀註: 前期, 禮曹啓聞散告攸司隨職供辦。 祔廟前二日, 宗廟令帥其屬, 掃除廟之內外。 漢城府修路, 從廣孝殿外門至宗廟大門。 其太宗室應緣幄帳席褥等物, 攸司先造, 其日陳設於室中。 前一日, 預告宗廟。 其具饌行禮, 竝如朔望儀。 又告廣孝殿, 【告官具祭服】 其具饌行禮, 又如朔望儀。 【祝文具祔廟意, 兼述從享。】 忠扈衛設殿下幄次於廣孝殿大門外近東, 西向, 又設王世子次於殿下幄次東南, 西向, 皆隨地之宜。 又於宗廟大門內道東, 設幄次, 隨地之宜。 設祗迎位於幄前, 西向, 設大次於齋宮, 南向, 設小次於廟之阼階東, 西向, 設王世子次於齋宮東南, 西向。 又設神主幄座於廟南門外道西東向, 幄內設床及褥席各二。 尙輦 【兵曹乘輿司】 進象輅、腰轝、樓子、仗衛、繖扇等於廣孝殿大門外。

車駕出宮: 前一日晝漏上水一刻, 搥鼓爲一嚴, 通禮門設王世子以下陪祭文武群臣位於闕門外, 文東武西相對, 俱重行北上。 王世子以下文武群官各具朝服。 三刻搥鼓爲二嚴, 判通禮跪啓請中嚴。 陪祭文武群官, 俱集闕門外, 【大享行事執事官直詣享所。】 攸司陳大駕鹵簿於闕門外。 五刻搥鼓爲三嚴, 諸衛之屬各督其隊, 入陳於殿庭。 奉禮郞引陪祭群官就門外位, 知通禮引王世子就門外位。 侍衛之官各服其器服, 文武侍臣俱詣勤政殿西階奉迎。 判司僕進象輅於勤政門前南向, 千牛將軍一人執長刀立於輅前。 知通禮在判通禮之前, 通贊二人在知通禮之前。 判通禮跪啓外辦, 判司僕攝衣而上, 正立執綏, 殿下服冠袍, 升轝以出, 降自西階。 【樂部懸而不作】 千牛將軍前執轡, 殿下降轝升輅, 判司僕立授綏, 侍臣夾侍如常。 知通禮進當輅前跪, 啓請車駕進發, 啓訖俛伏興退復位。 【凡知通禮啓請, 皆進駕前跪啓, 啓訖俛伏興。】 車駕動, 知通禮與通贊夾引以出, 千牛將軍夾輅而趨。 駕出闕門外, 至侍臣上馬所, 知通禮跪啓請車駕小住, 敎文武侍臣上馬。 判通禮前承旨退稱曰敎可。 通贊唱文武侍臣上馬。 諸侍衛之官各督其屬, 左右翼駕。 尙瑞官奉寶前導, 左右侍臣夾侍於輅前。 文武侍臣上馬畢, 知通禮跪啓請敎車右升, 判通禮前承旨退稱曰敎可, 知通禮退復位。 千牛將軍升訖, 知通禮跪啓請車駕進發, 退復位。 車駕動, 不鳴鼓吹, 不得諠譁, 其陪祭之官, 在玄武隊後如常儀。 車駕至宗廟洞口, 【文武侍衛之官皆下馬。】 判通禮跪啓請降輅, 殿下降輅。 判通禮導殿下詣拜位 【攸司先於道傍, 向廟設小幄, 幄內設褥位。】 北向立, 跪啓請四拜, 殿下四拜訖, 判通禮導殿下還升輅。 【文武侍衛之官皆上馬。】 車駕至廣孝殿外門外侍臣下馬所, 車駕小住, 文武侍臣皆下馬, 分立鞠躬, 千牛將軍降立於輅右。 車駕動, 千牛將軍夾路而趨。 駕至外門外回輅南向, 判通禮啓請降輅, 俛伏興還侍立, 殿下降輅, 升轝入(齊)〔齋〕 殿, 繖扇、華蓋、侍衛如常儀。 攸司設殿下褥位於廣孝殿東門外西向, 隨地之宜。 通禮門設王世子以下陪祭群官位於殿下褥位之後近東, 文左武右, 中心爲頭, 異位重行, 俱西向。 分引陪祭群官入就位, 知通禮引王世子入就位。 判通禮導殿下至褥位西向立, 啓請四拜, 殿下四拜。 通贊贊四拜, 王世子以下在位者, 皆四拜訖, 判通禮導殿下還齋殿。 通禮門分引王世子以下陪祭群官, 集齋殿之南, 文東武西。 通贊承旨, 敎群官各就次, 宿衛如常。 校書館員以祝版捧進, 近臣傳捧以進, 殿下署訖, 近臣捧出附殿司。

告動駕: 前一日, 通禮門設殿下版位於廣孝殿東階東南, 西向, 設王世子以下文武群官位於外庭, 文東武西, 中心爲頭, 異位重行, 俱北向。 其日, 典祀官帥其屬, 入奠祝版於神位之右, 設香爐、香合幷燭於神位前, 實饌具 【饌品與預告祭同】 設尊於戶外之左。 殿下具冕服, 王世子具朝服, 其行事執事官服祭服, 陪祭群官服朝服訖。 時至,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入就位, 知通禮引王世子入就位。 大祝開櫃, 捧出太宗神主, 設於座, 覆以白苧巾。 次宮闈令開櫃, 捧出王太后神主, 設於座, 覆以靑苧巾, 以西爲上訖, 贊禮導殿下, 詣版位西向立, 跪啓請鞠躬四拜興平身, 殿下鞠躬四拜興平身。 通贊唱鞠躬四拜興平身, 王世子以下在位者, 皆鞠躬四拜興平身。 贊禮導殿下升自東階, 詣尊所西向立。 執尊者酌酒, 近侍二人以爵受酒, 贊禮導殿下, 詣神位前北向立, 跪啓請跪搢圭, 殿下跪搢圭。 【如搢不便, 近侍承奉。】 近侍一人奉香合跪進, 近侍一人奉香爐跪進, 贊禮啓請三上香, 殿下三上香, 近侍奠爐于案。 【進香在東西向, 奠爐在西東向。 進爵奠爵準此。】 近侍捧爵跪進, 贊禮啓請執爵獻爵, 殿下執爵獻爵, 以爵授近侍, 奠于神位前。 近侍以副爵跪進, 贊禮啓請執爵獻爵, 殿下執爵獻爵, 以爵授近侍, 奠于王太后神位前。 贊禮啓請執圭, 俛伏興小退北向跪, 殿下執圭, 俛伏興小退北向跪, 大祝進神位之右東向跪, 讀祝文訖, 贊禮啓請俛伏興再拜興平身, 殿下俛伏興再拜興平身。 贊禮導殿下出戶, 降自東階復位。 贊禮跪啓請鞠躬四拜興平身, 殿下鞠躬四拜興平身。 通贊唱鞠躬四拜興平身, 王世子以下在位者, 皆鞠躬四拜興平身。 贊禮啓禮畢, 導殿下出, 至大門外幄次卽座。 知通禮引王世子出, 立於外門外道左,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出外門外, 分左右序立。 大祝、宮闈令納神主如儀, 典祀官帥其屬, 徹禮饌, 祝版痤於坎, 神主詣宗廟。

告動駕: 祭畢, 攸司設褥位二於殿上神位前南向。 指諭、牽龍等各服其服, 以腰轝二置於褥位上, 【太宗轝在右, 王后轝在左。】 繖扇入陳於殿階間分左右。 都知等服其服, 捧托子左右分立, 置冊寶樓子等於殿庭。 【兩位樓子各分左右。】 又設褥位二於南門外, 置象輅二於其前南向。 【兩位象輅分左右。】 儀仗、樂部排立於其南如儀。

時至, 攝判通禮入詣太宗神位前跪, 啓請降座升轝祔廟, 啓訖俛伏興。 次詣王太后神位前亦如之, 俛伏興退。 內侍捧太宗冊寶, 又內侍捧王太后冊寶, 以次先降階, 置於樓子, 又內侍捧几置於輿上。 大祝捧太宗神主櫃, 安於轝上几後, 次宮闈令捧王太后神主櫃, 安於轝上几後, 【凡主出則先王神主先出, 入則先后神主先入。】 扶侍降自西階, 冊寶樓子等前行。 指諭、牽龍等捧舁神轝而出, 至象輅後褥位小駐。 攝判通禮跪, 啓請降轝升輅, 啓訖俛伏興。 內侍捧几置輅中, 大祝捧太宗神主櫃升輅, 【其大祝便於輅中侍奉】 次宮闈令捧王太后神主櫃升輅, 如上儀訖, 【功臣樓子駐輅前街東, 竢輅將發乃行, 隨輅後如儀。】 千牛將軍夾輅而趨。 【太宗輅先行, 王太后輅次之, 各有儀仗、樂部。】 判通禮導殿下升輦前行, 攝判通禮進當輅前跪啓請輅小駐, 敎文武群官上馬。 啓訖, 王世子以下文武群官皆上馬前導。 攝判通禮啓請輅進發, 啓訖俛伏興退。 輅進發, 鼓吹振作。 至宗廟大門外, 王世子以下文武群官皆下馬, 左右序立。 殿下降輦, 入大門內幄次卽座, 鼓吹止, 分左右。 【其鼓吹竢享訖退, 儀仗等幷於廟南門外左右列立, 竢享禮畢退。】 輅至, 王世子以下文武群官皆鞠躬, 過則平身。 輅至大門, 廻輅南向。 尙輦以腰轝進輅後褥位上, 【臨時設褥位二】 攝判通禮進當輅前跪, 啓請降輅升轝, 啓訖俛伏興。 內侍捧几, 置於轝上, 大祝、宮闈令各捧神主櫃, 安於轝上如前儀。 神轝將入大門, 判通禮導殿下就祗迎位, 神轝至, 殿下鞠躬, 過則平身, 判通禮導殿下還入次。 神轝至廟南門幄前, 攝判通禮跪啓請降轝入幄, 啓訖俛伏興。 內侍捧几置於幄座, 大祝、宮闈令各捧神主櫃, 安於幄座, 【王后神主在左】 其繖扇、樓子等停列於幄前。 【功臣樓子止於神門外, 神主升祔後, 執事者捧位版從西門入, 安於其位。】 判通禮導殿下, 升轝入齋宮, 繖扇、華蓋、侍衛如常儀。 知通禮引王世子入次, 其宗廟陳設尊彝酒醴坫爵, 省牲告潔, 進署祝版 【其祝文兼述祔享意。】 陳設樂器, 幷如常儀。 初神輅將至廟, 攸司設祔謁褥位二於廟庭橫階南當中北向, 【太宗褥位在西】 執禮設殿下版位, 贊者設諸享官位及陪祭群官位, 幷如常儀。 晨祼時至, 宗廟令、典祀官各帥其屬, 入實饌具畢。 贊引引監察, 升自阼階, 按視堂之上下, 糾察不如儀者, 還出。 執禮帥謁者、贊者、贊引入自東門, 先就階間拜位, 重行北向西上四拜訖, 各就位。 雅樂令帥工人、二舞入就位, 文舞入陳於懸北, 武舞立於懸南道西。 通禮門分引陪祭宗室以下文武群官入就位。 知通禮引亞獻官, 【亞獻官若非王世子, 則謁者引。】 謁者、贊引各引諸享官, 俱就東門外位, 贊引引監察、典祀官、大祝、祝史、齋郞、宗廟令、宮闈令、協律郞、奉俎官、執尊罍篚羃者, 七祀功臣祝史、齋郞、執尊罍篚羃者, 入就懸北拜位, 重行北向西上。 立定, 執禮曰四拜, 贊者傳唱鞠躬四拜興平身, 【凡執禮有辭, 贊者皆傳唱。】 監察以下皆鞠躬四拜興平身訖, 贊引引監察就位, 贊引引諸執事, 詣盥洗位盥帨訖, 各就位。 知通禮引亞獻官, 謁者、贊引各引終獻官、進幣瓚爵官、薦俎官、奠幣瓚爵官、七祀功臣獻官入就位。 贊引引大祝、宗廟令、宮闈令升自阼階, 詣第一室, 入開(埳)〔龕〕 室, 大祝、宮闈令捧出神主設於座, 【詣神幄內於几後, 開匱設於座。 先王神主, 大祝捧出, 覆以白苧巾。 先后神主, 宮闈令捧出, 覆以靑苧巾, 以西爲上。】 以次捧出第二室以下神主如第一室儀。 贊引引齋郞, 詣爵洗位, 洗瓚拭瓚, 洗爵拭爵, 置於篚, 奉詣泰階, 諸祝史各迎取於階上, 置於尊所坫上訖, 其殿上諸執事各逐便下階, 相向序立, 竢神轝升殿, 各復階上位。 判通禮跪啓外辦, 導殿下出, 繖扇、華蓋、侍衛如常儀。 禮儀使導殿下至東門外, 近侍跪進圭, 禮儀使跪啓請執圭, 殿下執圭。 華蓋、仗衛停於門外。 尙瑞官奉寶陳於小次之側, 禮儀使導殿下入自正門。 【東門。 侍衛不應入者止於門外。】 協律郞跪, 俛伏擧麾興, 【凡取物者皆跪, 俛伏而取以興。 奠物則跪奠訖, 俛伏而後興。】 工鼓柷, 軒架作《承安之樂》, 殿下詣版位西向立。 【每立定, 禮儀使退立於左。】 協律郞偃麾戞敔, 樂止。 【凡樂協律郞跪, 俛伏擧麾, 典工鼓柷而後作, 偃麾戞敔而後止。】 初, 殿下將入門, 攝判通禮進當太宗神主幄前跪, 啓請降座升轝祔謁, 啓訖俛伏興。 內侍捧几置於轝上, 大祝捧太宗神主櫃, 安于几後。 次宮闈令捧王太后神主櫃, 安于几後訖, 執禮 【堂下執禮】 引神轝至廟南門, 繖扇停列於門外。 【侍衛員吏皆退】 齋郞等陪神轝入自正門, 至祔謁褥位, 大祝、宮闈令各捧櫃, 安於褥位開櫃。 大祝捧出太宗神主, 安於趺上。 次宮闈令捧出王太后神主, 安於趺上訖, 【太宗神主在西】 攝判通禮進於褥位西北面跪啓稱: "以今吉辰, 太宗恭定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彰德昭烈元敬王太后祔謁。" 啓訖, 俛伏興退。

小頃, 攝判通禮進褥位之西東面跪, 啓請升轝祔享, 啓訖俛伏興退, 降就本班。 大祝、宮闈令進跪於褥位, 各捧神主安於轝。 【其匱蓋亦置轝上近後。】 神轝旣升, 【升自泰階】 大祝、宮闈令奉引入第六室, 至幄座前, 內侍捧几置於座。 大祝、宮闈令各捧神主安於座, 覆以巾, 以西爲上。 【執事者奉冊寶入, 置於案上。】 其腰轝降自阼階, 由東門出。 禮儀使前跪, 啓請鞠躬四拜興平身, 殿下鞠躬四拜興平身。 執禮曰四拜, 在位者皆鞠躬四拜興平身。 【先拜者不拜】 執禮曰禮儀使啓請行事, 禮儀使前跪, 啓有司謹具請行事, 退復位。 軒架作《景安之樂》, 烈文之舞作, 九成止。 近侍詣盥洗位盥帨訖, 還侍立。 謁者引進幣瓚爵官、奠幣瓚爵官, 詣盥洗位盥帨訖, 升自阼階, 詣翼祖室尊所北向立, 執禮曰: "禮儀使導殿下, 行祼鬯禮。" 禮儀使導殿下 【軒架作承安之樂】 詣盥洗位北向立, 跪啓請搢圭, 殿下搢圭。 內侍跪, 取匜興沃水, 又內侍跪取盤承水, 殿下盥手。 內侍跪, 取巾於篚以進, 殿下帨手訖, 內侍受巾奠於篚。 禮儀使啓請執圭, 殿下執圭。 禮儀使導殿下升自阼階 【禮儀使、近侍、內侍從升】 訖, 【樂止】翼祖室尊所西向立, 登歌作《肅安之樂》, 烈文之舞作。 執尊者擧羃, 進幣瓚爵官酌鬱鬯, 近侍以瓚受鬱鬯, 禮儀使導殿下, 詣神位前北向立, 跪啓請跪搢圭, 殿下跪搢圭。 近侍一人捧香合跪進, 近侍一人奉香爐跪進, 禮儀使啓請三上香, 殿下三上香, 近侍奠爐于案。 近侍以瓚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捧瓚跪進, 禮儀使啓請執瓚, 殿下執瓚灌地訖, 以瓚授奠幣瓚爵官, 奠幣瓚爵官受以授大祝。 近侍以幣篚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捧幣跪進, 禮儀使啓請執幣獻幣, 殿下執幣獻幣, 以幣授奠幣瓚爵官, 奠于案。 【凡進香、進瓚、進幣皆在東西向, 奠爐、受瓚、奠幣皆在西東向。 進爵、奠爵準此。】 禮儀使啓請執圭俛伏興, 殿下執圭俛伏興。 禮儀使導殿下出戶, 詣度祖室, 次詣桓祖室, 次詣太祖室, 次詣恭靖王室, 次詣太宗室, 上香、祼鬯、奠幣, 竝如上儀訖, 禮儀使啓請執圭俛伏興, 殿下執圭俛伏興, 【登歌止】 進幣瓚爵官、奠幣瓚爵官皆降復位。 禮儀使導殿下出戶, 就前楹外當中北向立。 禮儀使跪, 啓請鞠躬再拜興平身, 殿下鞠躬再拜興平身。 禮儀使導殿下 【軒架作承安之樂】 降自阼階復位。 【樂止】 當登歌止時, 諸祝史各取毛血盤、肝膋鐙於前楹外, 俱入奠於神位前。 【毛血盤在鐙之後, 肝膋鐙在籩之左。】 諸祝史俱取肝膋, 燔於爐炭, 還尊所饋食。 殿下旣升祼, 贊引引典祀官, 帥進饌者詣廚, 以匕升牛于鑊, 實于一鼎, 次升羊實于一鼎, 次升豕實于一鼎, 【每室牛羊豕各一鼎。】 皆設扃羃。 祝史對擧, 入設於饌幔內。 謁者引薦俎官出詣饌所, 奉俎官隨之, 俟殿下祼訖復位。 【樂止】 執禮曰進饌, 祝史抽扃委于鼎右, 除羃加匕畢于鼎。 典祀官以匕升牛實于牲匣, 次升羊豕, 各實于牲匣。 【每室牛羊豕各一匣。】 次引薦俎官奉翼祖室俎, 奉俎官各奉牲匣, 典祀官引饌入自正門。 【南門】 俎初入門, 【軒架作《雍安之樂》】 諸祝史俱進徹毛血槃, 自阼階授齋郞以出。 饌至泰階, 諸大祝迎於階上。 薦俎官詣翼祖神位前北向跪奠, 先薦牛, 次薦羊, 次薦豕。 【諸大祝助奠】 奠訖, 啓牲匣蓋, 詣度祖室, 次詣桓祖室, 次詣太祖室, 次詣恭靖王室, 次詣太宗室奉奠, 竝如上儀訖, 【樂止】 謁者引薦俎官以下降自阼階復位。 諸大祝各取蕭黍稷擩於脂, 燔於爐炭, 還尊所。 謁者引進幣瓚爵官、奠幣瓚爵官, 升詣翼祖室尊所北向立, 執禮曰: "禮儀使導殿下行初獻禮。" 禮儀使導殿下 【軒架作承安之樂】 升自阼階訖, 【樂止】翼祖室尊所西向立。【登歌作壽安之樂, (列文之舞) 〔烈文之舞〕 作】 執尊者擧羃, 進幣瓚爵官酌醴齊, 近侍二人以爵受酒, 禮儀使導殿下, 詣神位前北向立, 跪啓請跪搢圭, 殿下跪搢圭, 近侍以爵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奉爵跪進, 禮儀使啓請執爵獻爵, 殿下執爵獻爵, 以爵授奠幣瓚爵官, 奠于神位前。 近侍以副爵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奉爵跪進, 禮儀使啓請執爵獻爵, 殿下執爵獻爵, 以爵授奠幣瓚爵官, 奠于王后神位前。 禮儀使啓請執圭, 俛伏興小退北向跪, 殿下執圭, 俛伏興小退北向跪。 【樂止】 大祝進神位之右, 東向跪, 讀祝文訖, 【樂作】 禮儀使啓請俛伏興, 殿下俛伏興。 禮儀使導殿下出戶, 【樂止】 以次酌獻竝如上儀。 【翼祖室歌昭寧之曲, 度祖室歌貞明之曲, 桓祖室歌威明之曲, 太祖室歌昭明之曲, 恭靖王室歌純明之曲, 太宗室歌仁明之曲。】 禮儀使啓請執圭, 俛伏興, 殿下執圭俛伏興。 【曲終樂止】 進幣瓚爵官、奠幣瓚爵官, 皆降復位。 禮儀使導殿下出戶, 就前楹外當中北向立。 禮儀使跪啓請鞠躬再拜興平身, 殿下鞠躬再拜興平身。 禮儀使導殿下 【軒架作承安之樂】 降自阼階復位。 禮儀使跪啓請入小次, 殿下將至小次, 禮儀使跪啓請釋圭, 近侍受圭, 殿下入小次簾降。 【樂止】 文舞退武舞進, 軒架作《舒安之樂》, 舞者立定, 樂止。

亞終獻: 【七祀功臣酌獻附】 初, 殿下將復位, 執禮曰: "行亞獻禮。" 知通禮引亞獻官, 詣盥洗位北向立, 贊搢笏, 盥手帨手訖, 【盥手帨手不贊】 贊執笏。 引亞獻官升自阼階, 詣翼祖室尊所西向立, 【軒架作壽安之樂, 昭武之舞作, 鄕樂交奏。】 執尊者擧羃酌盎齊, 執事者二人以爵受酒。 知通禮引亞獻官, 詣神位前北向立, 贊跪搢笏, 亞獻官跪搢笏。 執事者以爵授亞獻官, 亞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執事者以副爵授亞獻官, 亞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王后神位前。 知通禮贊執笏俛伏興, 亞獻官執笏俛伏興。 引出以次酌獻, 竝如上儀訖, 知通禮贊執笏俛伏興, 亞獻官執笏俛伏興。 【樂止】 引出就前楹外當中北向立, 知通禮贊鞠躬再拜興平身, 亞獻官鞠躬再拜興平身, 引降復位。 亞獻官獻將畢, 執禮曰: "行終獻禮。" 謁者引終獻官, 行禮如亞獻儀, 引降復位。 初, 終獻官旣升, 贊引引七祀獻官, 詣盥洗位, 搢笏盥手帨手訖, 執笏詣尊所, 執尊者擧羃酌酒。 執事者以爵受酒, 獻官詣神位前西向跪搢笏, 執事者授爵, 獻官執爵獻爵奠爵, 以次奠訖, 執笏俛伏興, 就司命神位前西向跪。 祝就獻官之左北向跪, 讀祝文訖, 獻官少退當中西向再拜, 贊引引復位。 初, 七祀獻官將詣盥洗位, 贊引引配享功臣獻官, 詣盥洗位, 搢笏盥手帨手訖, 執笏詣尊所, 執尊者擧羃酌酒, 執事者以爵受酒。 獻官詣神位前東向立搢笏, 執事者授爵, 獻官執爵獻爵奠爵, 以次奠訖執笏。 祝史奉敎書, 進神位之右立讀訖, 贊引引獻官復位飮福。 初, 終獻官旣復位, 謁者引進幣瓚爵官、薦俎官升自阼階, 詣飮福位北向立。 大祝詣翼祖室尊所, 以爵酌上尊福酒, 又大祝持俎, 進減神位前俎肉, 執禮曰: "禮儀使導殿下詣飮福位。" 禮儀使跪啓請詣飮福位, 簾捲出次, 【軒架作《承安之樂》】 近侍跪進圭, 禮儀使跪啓請執圭, 殿下執圭, 禮儀使導殿下詣飮福位西向立。 【樂止, 登歌作《壽安之樂》】 大祝以爵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奉爵北向跪進, 禮儀使跪啓請跪搢圭, 殿下跪搢圭, 受爵飮訖, 進幣瓚爵官受虛爵, 以授大祝, 大祝受復於坫。 大祝以俎授薦俎官, 薦俎官奉俎北向跪進, 禮儀使啓請受俎, 殿下受俎, 以授近侍, 近侍奉俎降自阼階出門, 授司饔。 進幣瓚爵官、薦俎官皆降復位。 禮儀使啓請執圭俛伏興, 殿下執圭俛伏興。 【樂止】 禮儀使導殿下 【軒架作《承安之樂》】 降復位, 【樂止】 跪啓請鞠躬再拜興平身, 殿下鞠躬再拜興平身。 執禮曰再拜, 在位者皆鞠躬再拜興平身。 執禮曰徹籩豆, 諸大祝入室徹籩豆, 【徹者, 籩豆各一小移於故處。 登歌作《雍安之樂》。】 七祀功臣祝史、齋郞各徹籩豆。 徹訖, 樂止, 軒架作《景安之樂》, 鄕樂交奏。 禮儀使啓請鞠躬四拜興平身, 殿下鞠躬四拜興平身。 執禮曰四拜, 在位者皆鞠躬四拜興平身。 【樂一成止】 禮儀使啓禮畢, 導殿下還齋宮 【軒架作《承安之樂》】 出門。 【樂止】 禮儀使跪啓請釋圭, 殿下釋圭, 近侍跪受圭, 侍衛如常儀。 【入齋宮釋冕服】 執禮曰望瘞, 知通禮引亞獻官, 詣望瘞位北向立, 執禮帥贊者, 詣望瘞位西向立, 諸大祝取黍稷飯, 藉用白茅束之, 以篚取祝版及幣, 降自西階置於坎。 執禮曰可瘞, 置土半坎, 宗廟令監視。 知通禮引亞獻官, 謁者贊引各引諸享官出, 執禮率贊者還本位, 通禮門分引陪祭宗室以下文武群官以次出。 贊引引監察及諸執事俱復懸北拜位。 立定, 執禮曰四拜, 監察及諸執事皆鞠躬四拜興平身訖, 贊引以次引出。 雅樂令帥工人、二舞出, 大祝、宗廟令、宮闈令納神主如常儀。 執禮帥謁者、贊者、贊引就拜位四拜而出。 七祀獻官詣西門外七祀瘞坎之南北向立, 執事者置祝版於瘞坎。 瘞訖, 功臣祝史奉敎書, 出西門外焚之退, 典祀官, 宗廟令各帥其屬徹禮饌, 宮闈令闔戶以降乃退。

車駕還宮: 攸司陳大駕鹵簿於還途如常儀, 典樂令陳樂部於齋宮南門外。 王世子以下文武群官, 各具朝服, 殿下服冠袍。 王世子以下文武群官序立於大門外, 文武侍臣詣齋宮迎, 判司僕進象輅於大門外南向, 千牛將軍立於輅前。 判通禮跪啓外辦, 判司僕升執綏, 殿下乘輿出次, 繖扇、華蓋侍衛如常儀。 千牛將軍前執轡, 殿下至門外降輿升輅, 判司僕立受綏, 知通禮跪啓請車駕進發, 退復位。 車駕動, 千牛將軍夾輅而趨, 至侍臣上馬所, 知通禮跪啓: "請車駕小駐, 敎侍臣上馬。" 判通禮前承旨退稱曰敎可, 通贊唱文武侍臣上馬, 尙瑞官奉寶前導。 知通禮跪, 啓請敎車右升, 判通禮前承旨退稱曰敎可, 知通禮退復位。 千牛將軍升訖, 知通禮跪, 啓請車駕進發, 退復位。 車駕動, 鼓吹振作而還, 文武群臣導從如常儀。 駕至景福宮門外侍臣下馬所, 車駕小駐, 文武侍臣皆下馬分立鞠躬。 千牛將軍降立於輅右, 車駕動, 千牛將軍夾輅而趨, 駕至勤政門, 【樂止】 回輅南向。 判通禮進輅前跪, 啓請降輅, 俛伏興還侍立, 殿下降輅, 乘輿以入, 繖扇、華蓋、侍衛如常儀, 侍臣從至殿庭。 攸司鋪幄座於勤政殿當中南向, 設香爐二於前楹外, 設案於殿階上。 通禮門設協律郞位於殿階上近西東向, 設左右侍臣及王世子以下文武群官位如常儀。 繖扇、仗衛陳於殿階上下, 樂部陳於群官之南如常儀訖。 禮曹員引諸道進箋員由東門入, 樂官奏樂前導至正門外, 【樂止】 升自東階, 以箋文置於案上訖退。 王世子以下文武群官及諸道進箋員, 皆就門外位, 典樂令帥工人就位, 協律郞就位, 通禮門分引王世子以下文武群官入就位。 通贊唱班齊, 判通禮進跪啓請陞殿。 中禁傳嚴, 爐烟升, 尙瑞官奉寶前行, 殿下乘輿以出。 上護軍啓看, 協律郞跪俛伏擧麾興。 【樂作】 典儀招通贊贊鞠躬, 群官皆鞠躬。 殿下升座, 上護軍啓看, 協律郞偃麾。 【樂止】 通贊贊平身, 群官皆平身。 典儀招通贊贊致詞, 致詞官 【致詞官通禮門】 代班首, 就月臺中心近北。 通贊贊跪, 群官皆跪。 致詞曰: "具銜臣某等, 大祀旣成, 禮當慶賀。" 俛伏興退復位。 通贊贊俛伏興四拜興平身, 【樂作】 群官皆俛伏興四拜興平身。 【樂止】 通贊贊跪, 群官皆跪, 山呼, 【千歲】 山呼, 【千歲】 再山呼。 【千千歲】 通贊贊俛伏興四拜興平身, 【樂作】 群官皆俛伏興四拜興平身。 【樂止】 典儀唱進箋, 執事官擧諸道箋案, 由東門入, 判通禮引至簾前置案訖, 判通禮贊宣箋, 宣箋官宣最高官箋文訖, 執事官撤箋案, 置於寶案之南。 判通禮跪啓禮畢, 通贊贊禮畢, 殿下降座, 【樂作】 通贊贊鞠躬, 群官皆鞠躬。 殿下乘輿以入, 【樂止】 贊平身, 群官皆平身。 通禮門分引王世子以下文武群官以次出。 還宮時, 義禁府、軍器監進儺禮雜戲於宗廟洞口, 成均館生徒等進歌謠於鍾樓西街, 敎坊進歌謠於惠政橋邊, 仍呈才, 又於景福宮門外左右結山臺。 殿下旣還宮受賀禮如儀畢, 仍頒敎書及宥旨, 賜享官諸執事宴。


  • 【태백산사고본】 8책 24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2책 600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왕실-종사(宗社) / 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 / 과학-천기(天氣) / 의생활(衣生活) / 예술-음악(音樂) / 예술-연극(演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