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7권, 세종 4년 9월 6일 경신 8번째기사 1422년 명 영락(永樂) 20년

의장 제도

의장(儀仗)에서 길장(吉仗)은 후전 대기(後殿大旗)가 둘이요, 현무기(玄武旗)가 하나, 청양산(靑陽繖)이 둘, 홍양산(紅陽繖)이 하나, 가수정장(假水精杖)이 하나, 금월부(金鉞斧)가 하나, 용선(龍扇)이 둘, 작선(雀扇)이 열, 홍개(紅蓋)가 둘, 봉선(鳳扇)이 여덟, 청개(靑蓋)가 둘, 금고(金鼓)가 각 넷, 가금월부(假金鉞斧)가 넷, 가은월부(假銀鉞斧)가 넷, 평두연(平兜輦)이 하나, 정(旌)이 넷, 모절(旄節)이 넷, 한(罕)이 하나, 필(畢)이 하나, 청양산(靑陽繖)이 둘, 가금작자(假金斫子)가 넷, 가은작자(假銀斫子)가 넷, 가은교의(假銀校椅)가 둘 【답장(踏掌)하는 기구이다. 】 , 금골 타자(金骨朶子)가 여섯, 은골 타자(銀骨朶子)가 여섯, 당(幢)이 넷, 관자(灌子)가 하나, 우자(盂子)가 하나, 금장도(金粧刀)가 둘, 은장도(銀粧刀)가 둘, 군왕 천세기(君王千歲旗)가 하나, 금등(金鐙)이 열, 벽봉기(碧鳳旗)가 둘, 가서봉(哥舒棒)이 열, 고자기(鼓字旗)가 하나, 금자기(金字旗)가 하나, 가귀 선인기(駕龜仙人旗)가 둘, 영자기(令字旗)가 둘, 웅골 타자(熊骨朶子)가 여섯, 표골 타자(豹骨朶子)가 여섯, 현학기(玄鶴旗)가 하나, 백학기(白鶴旗)가 하나, 용마기(龍馬旗)가 둘, 천하 태평기(天下太平旗)가 하나, 각단기(角端旗)가 둘, 삼각기(三角旗)가 둘, 백택기(白澤旗)가 둘, 주작기(朱雀旗)가 하나, 정축기(丁丑旗)가 하나, 정해기(丁亥旗)가 하나, 정유기(丁酉旗)가 하나, 정묘기(丁卯旗)가 하나, 정미기(丁未旗)가 하나, 정사기(丁巳旗)가 하나, 주작기(朱雀旗)가 하나, 청룡기(靑龍旗)가 하나, 백호기(白虎旗)가 하나, 현무기(玄武旗)가 하나, 황룡기가 하나, 홍문 대기(紅門大旗)가 둘, 홍개(紅蓋)가 하나이고, 흉장(凶仗)은 보삽(黼翣)이 둘 【나무로 틀을 만드는데, 부채와 같이 하면서 모지며, 두 군데 모서리를 높게 한다. 위로 너비가 2척, 높이가 2척 4촌인데, 백포(白布)를 바르게 되고, 자루 길이는 5척인데, 보(黼)의 무늬를 그리게 된다. 보의 모양은 도끼와 같고, 돌아가면서 구름 무늬를 놓게 되고, 모두 자색(紫色)으로 그린다. 】 , 불삽(黻翣)이 둘 【그 제도가 보삽(黼翣)과 같이 불(黻)을 그리는데, 불의 모양은 양사 상배(兩巳相背)로 되고, 변두리는 위와 같다. 】 , 화삽(畫翣)이 둘 【그 제도가 모두 위와 같은데, 구름 무늬를 그린다. 】 , 우보(羽葆)가 하나 【《문헌통고(文獻通考)》에 ‘새 깃으로 축(祝)에 꽂으니 머리가 개(蓋)와 같으므로 우보(羽葆)라 하며, 보(葆)는 개(蓋)를 이른 것이라.’ 하였는바, 지금은 백우(白羽)로 하게 되고, 그 자루까지 희게 한다. 】 , 청수 안마(靑繡鞍馬)가 열, 자수 안마(紫繡鞍馬)가 열, 죽산마(竹散馬)가 둘, 방상씨(方相氏)가 넷이다 【황금으로 된 눈(目)이 네 개요, 웅피관(熊皮冠)을 둘러쓰고 현의(玄衣)에 주상(朱裳)이며, 수레에 올라 창을 들고 방패를 휘두른다. 】 . 등촉(燈燭)으로는 백초롱[白燭籠]이 둘, 청초롱이 둘, 홍초롱이 둘, 망촉(望燭)이 5백, 화철롱(火鐵籠)이 40, 거화(炬火)가 5백, 만사(挽詞)가 55장이다.

상유(喪帷)로는 백저포장(白紵布帳)이 셋 【내관(內官)이 들어갈 곳이다. 】 , 백정포장(白正布帳)이 넷이며 【관원들이 들어갈 곳이다. 】 , 옥책(玉冊)으로는 시책(諡冊)이 48간(簡), 애책(哀冊)이 84간인데, 모두 써서 새긴 것인데, 간(簡)의 길이가 6촌이며 너비가 7푼이요, 두께가 4푼이다 【자는 포백척(布帛尺)을 사용한다. 】 . 붉은 진사(眞絲)로 꿰어서 엮으며, 비단 선(線)으로 순색(純色)되게 변두리를 하고 홍초보(紅綃袱)로 싸서 각기 제 함(函)에다 넣는다. 함은 나무로 만들게 되는데, 밖에는 칠을 하고 안에는 황릉(黃綾)을 바르며 쇠통과 자물쇠까지 갖춘다. 그 밖에는 홍초보(紅綃袱)로 싸게 된다. 반우 우주(反虞虞主)가 하나 【뽕나무로 길이가 1척, 방(方)이 5촌, 윗 이마가 직경이 1촌 8푼, 상하 사방으로 구멍을 뚫는데, 직경이 9푼이요, 검은 칠로 된 궤(匱)인바, 그 궤는 밑과 뚜껑이 네모란데, 밑은 아래로부터 올라가게 되고, 뚜껑(蓋)은 위로부터 하여 밑(底)과 가지런하게 된다. 《두씨통전(杜氏通典)》 및 본국(本國) 종묘 신주(宗廟神主)의 체제에 의하여 만들고, 자[尺]는 주문공(朱文公)의 석전 의식(釋奠儀式) 안에 있는 조례기척(造禮器尺)을 사용한다. 】 , 궤(匱)가 하나요 【나무로 만들었는데, 그 제도는 위에 있으며, 홍릉 좌자(紅綾座子) 및 밖을 쌀 홍초보(紅綃袱)를 갖춘다. 】 , 우주(虞主)를 목욕시킬 반이(盤匜)와 식건(拭巾)이 있으며 【백세저포(白細紵布)를 사용한다. 】 , 혼백(魂帛)을 장치할 함(函)이 있다 【토등 상자(土藤箱子)로 대용하는데 밖에서는 홍초보로 싸게 된다. 】 . 위에서 말하는 우주(虞主)는 기일에 앞서 식(式)에 따라 만들어 두었다가, 발인(發引)하기 하루 전에 봉상시(奉常寺) 관원이 길 인도하는 네 명을 데리고 앞을 인도하여 모시고, 빈전(殯殿) 문 밖에 나가면, 전관(殿官)은 혼백(魂帛) 뒤에 봉안하였다가, 발인 날에 이르러 받들고 산릉(山陵)에 나가게 된다.


  • 【태백산사고본】 6책 17권 23장 B면【국편영인본】 2책 500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군사-군기(軍器)

○儀仗。 吉仗: 後殿大旗二, 玄武旗一, 靑陽繖二, 紅陽繖一, 假水精杖一, 金鉞斧一, 龍扇二, (崔)〔雀〕 扇十, 紅蓋二, 鳳扇八, 靑蓋二, 金鼓各四, 假金鉞斧四, 假銀鉞斧四, 平兜輦一, 旌四, 旄節四, 罕一, 畢一, 靑陽繖二, 假金斫子四, 假銀斫子四, 假銀校(倚)〔椅〕 二, 【踏掌具】 金骨朶子六, 銀骨朶子六, 幢四, 灌子一, 盂子一, 金粧刀二, 銀粧刀二, 君王千歲旗一, 金鐙十, 碧鳳旗二, 哥舒棒十, 鼓字旗一, 金字旗一, 駕龜仙人旗二, 令字旗二, 熊骨朶子六, 豹骨朶子六, 玄鶴旗一, 白鶴旗一, 龍馬旗二, 天下太平旗一, 角端旗二, 三角旗二, 白澤旗二, 朱雀旗一, 丁丑旗一, 丁亥旗一, 丁酉旗一, 丁卯旗一, 丁未旗一, 丁巳旗一, 朱雀旗一, 靑龍旗一, 白虎旗一, 玄武旗一, 黃龍旗一, 紅門大旗二, 紅蓋一。

凶杖: 黼翣二, 【以木爲筐, 如扇而方, 兩角高, 廣二尺, 高二尺四寸, 衣以白布。 柄長五尺。 畫黼文, 黼形如斧, 緣爲雲氣, 皆畫以紫。】 黻翣二, 【其制如黼翣, 畫黻, 黻形兩巳相背。 緣上同。】 畫翣二, 【其制皆上同, 畫以雲氣。】 羽葆一, 【文獻通考云: "以鳥羽注於柄頭如蓋, 謂之羽葆。" 葆, 謂蓋也。 今以白羽爲之, 而白其柄。】 靑繡鞍馬十, 紫繡鞍馬十, 竹散馬二, 方相氏四。【黃金四目, 蒙熊皮冠, 玄衣朱裳。 升車執戈揚(輴) 〔盾〕。】

燈燭: 白燭籠二, 靑燭籠二, 紅燭籠二, 望燭五百, 火鐵籠四十, 炬火五百。 挽詞五十五道。 喪帷白紵布帳三, 【內官所入】 白正布帳四, 【官人所入】 玉冊、諡冊四十八簡, 哀冊八十四簡, 皆書而刻之。 簡長六寸, 廣七分, 厚四分。 【尺用布帛尺】 以紅眞絲貫而編之, 以錦線爲純緣, 裹以紅綃袱, 各納于函。 函以木爲之, 漆其外, 內塗以黃綾, 鏁匙全, 外裹以紅綃袱。 返虞虞主一, 【用桑木, 長一尺, 方五寸, 上頂徑一寸八分, 上下四方通孔, 徑九分。 玄漆匱, 其匱底蓋方。 底自下而上, 蓋從上而與底齊, 依杜氏通典及本國宗廟神主體制製造。 尺用朱文公釋奠儀式內造禮器尺。】 匱一, 【用木爲之, 其制見上。 紅綾座子及外裹紅綃袱具。】 浴主盤匜拭巾, 【用白細紵布】 藏魂帛函。 【代用土藤箱子, 外裹以紅綃袱。】 右虞主, 先期依式製造, 發引前一日, 奉常寺官員以引路四人前導, 陪進殯殿門外, 殿官奉安于魂帛之後。 至發引日, 奉詣山陵。


  • 【태백산사고본】 6책 17권 23장 B면【국편영인본】 2책 500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군사-군기(軍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