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릉 제도
산릉 제도(山陵制度)는, 자는 영조척(營造尺)으로 사용하게 된다. 석실 안은, 너비가 8척, 높이가 7척, 길이가 11척이다. 두 방석(旁石)이 각각 2개인데, 높이가 각각 8척이요, 길이가 각각 5척 7촌 5푼, 두께가 각각 2척 5촌이요, 개석(蓋石)이 둘인데, 너비가 각각 8척, 길이가 각각 14척, 두께가 각각 3척이며, 그 위에 덮는 개석이 하나인데, 너비가 5척, 길이가 14척, 가운데 두께가 1척이며, 양 가(邊)의 두께가 1척이다. 북편 우석(隅石)이 하나인데, 높이가 8척, 길이가 11척, 두께가 2척 5촌이며, 문 양 가에 세운 돌이 두 개인데, 양 가에 각각 하나씩이요, 높이가 각각 8척, 너비가 각각 3척 5촌, 두께가 각각 3척이다. 문지방 돌이 하나인데 두께가 2척, 길이가 7척, 너비가 3척이요, 문비석(門扉石)이 두 개인데, 높이가 각각 7척, 너비가 각각 3촌 5촌, 두께가 각각 1척이다. 문의석(門倚石)이 하나인데, 높이가 7척, 너비가 7척, 두께가 2척이요, 밖으로 배치된 지대석(地臺石)이 열두 개인데, 【복련(覆蓮)을 새겼다. 】 두께가 각각 1천 8촌, 길이가 각각 9척, 너비가 각각 3척이요, 열 두 방위로 놓은 지면석(地面石)이 열 둘인데, 【아래에는 영지(靈芝)를 새기고, 위에는 구름 무늬와 열두 방위 지신(地神)을 새겼는데, 구름 무늬는 좌우로 나누어져 있고, 지신은 중앙에 있으며, 돌 하나에 지신 하나씩 있다. 】 높이가 각각 2척 8촌, 길이가 각각 4척 8촌 5푼, 두께가 각각 3척이다. 우석이 열두개인데, 【모양이 석경(石磬)과 같은데 아래에는 영지를 새기고, 위에는 영저(靈杵)와 탁(鐸)을 새겼는데, 저(杵)는 왼편에 있고, 탁은 오른편에 있다. 】 높이가 각각 2척 8촌, 길이가 각각 3척 9촌, 두께가 각각 3척이다. 만석(滿石)이 열 둘 인데, 【앙련(仰蓮)을 새겼다. 】 높이가 각각 1척 8촌, 길이가 각각 9척, 두께가 각각 3척이요, 인석(引石)이 열 둘인데, 【밖으로 모란·규화(葵花)·국화(菊花)를 새기어 섞어 조각하였는데, 한 머리에 꽃 하나씩 새겼다. 】 길이가 각각 6척, 너비가 각각 1척 1촌이며, 석란간(石欄干)으로 땅에 놓일 지대배석(地臺排石)이 열인데, 두께가 각각 1척 5촌, 길이가 각각 6척 8촌, 너비가 각각 2척이다. 우석이 아홉인데, 【모양이 석경과 같다. 】 두께가 각각 1척 5촌, 길이가 각각 4척 4촌, 너비가 각각 2척 5촌이다. 석주(石柱)가 열 하나인데, 높이가 각각 6척 3촌, 【1척으로 둥근 머리를 만들고, 다음 1척 3촌으로는 양련과 복련을 새겼고, 그 다음 9촌으로는 죽석(竹石)에 들여 넣을 것을 만들고, 다음에 2척 1촌은 양방(兩旁)으로 나누어 앙복련엽(仰覆蓮葉)을 만들고, 그 앙복련엽 사이 둥근 여의(如意) 무늬를 새기고, 앙련엽은 죽석 끝을 받치고, 복련엽은 지방석(地方石) 끝을 누르고 있고, 복련엽의 밑으로 1척은 양방(兩旁)에 있는 지방석에 들어갈 것을 만들었는데, 모두 높이가 6척 3촌이다. 】
동자 주석(童子柱石)이 열인데, 높이가 각각 3척 2촌이며, 사면의 너비가 각각 1척 1촌이다. 【1척 1촌으로 원두(圓頭)를 만들고, 그 안팎 면에는 운두(雲頭)를 새기고, 그 운두로 죽석의 연접된 곳을 받친다. 】 지방석이 스물인데, 두께가 각 1척, 너비가 각 1척 1촌, 길이가 각 5척 5촌이요, 죽석이 스물인데, 길이가 각 4척 9촌, 8면이 각 3촌, 직경이 8촌이다. 박석(薄石)이 스물인데, 너비가 각 2척, 두께가 각 1척, 길이가 각 5척 5촌이며, 차면(次面) 지대배석이 열인데, 두께가 각 1척 3촌, 길이가 각 7척 5촌, 너비가 2척이다. 우석이 아홉인데, 【모양이 석경과 같다. 】 높이가 각 1척 5촌, 길이가 각 4척, 두께가 각 1척 5촌이며, 석양(石羊)이 넷인데, 길이가 각 5척, 너비가 각 2척 8촌, 높이가 각 2척 5촌이요, 석호(石虎)가 넷인데, 길이가 각 4척, 너비가 각 2척, 높이가 각 3척 9촌이다. 석망주(石望柱)가 둘인데, 【1척으로 원두를 만들고, 다음에 두(頭) 밑의 1척 5촌으로 위에는 앙련을 새기고, 밑에는 구름 무늬를 새겼으며, 다음에 4척 1촌으로 8면을 만들며, 그 원경이 1척 1촌이다. 】 높이가 각 6척 4촌, 【예전과 같이 좌우로 나누어 세운다. 】 지대석이 둘인데, 【8면에 요(腰)이 있다. 】 높이가 각 2척 6촌이며, 위와 아래에 원경이 2척 2촌 5푼이다. 소전 대석(燒錢臺石)이 하나인데, 【그 위의 네 모서리는 높고, 가운데는 평평하며, 잉이 있는데, 구름 무늬를 새겼다. 】 높이가 2척 5촌이요, 위와 아래가 모두 모가 졌고, 사면이 각 3척 1촌이다. 석상(石床)이 하나인데, 길이가 11척, 너비가 6척 3촌, 두께가 1척 4촌이고, 족석(足石)이 다섯인데, 【나어두(羅魚頭)를 새겼다. 】 원경(圓徑)이 각 2척, 높이가 1척 6촌이며, 족석(足石) 밑에 대석(臺石)이 다섯이요, 장명등 정자석(長明燈頂子石)이 하나인데, 【머리는 둥글고 아래에 구름 무늬를 새겼다. 】 높이가 1척 5촌, 원경이 1척 1촌이다. 개석이 하나인데, 【8면에 운각(雲角)을 새겼다. 】 높이가 2척 5촌이니, 위의 직경은 1척 1촌, 아래의 직경이 3척 9촌이다. 격석(隔石)이 하나인데, 【8면으로 되었는데, 그 속은 비게 하고, 사면에는 문이 있다. 】 높이가 1척 7촌, 직경이 2척 3촌이며, 대석(臺石)이 하나인데, 【위아래로 모두 8면인데, 그 위 1척 3촌으로 앙련을 새기고, 다음 1척 2촌으로 요를 만들고, 8면에는 매면 모퉁이마다 모두 연주(蓮珠)를 새기고, 그 다음 1척 5촌으로 위에는 복련을 새기고, 아래에는 운족(雲足)을 새겼다. 】 높이가 4척, 직경이 3척 2촌이며, 지대석이 딸린 석인(石人)이 넷인데, 【두 사람은 관대(冠帶)하고, 두 사람은 갑옷을 입었다. 】 길이가 각 11척 5촌, 【지상으로 나온 것이 7척 5촌이며, 지하로 들어간 것이 4척이다. 】 너비가 각 3척, 두께가 각 2척 5촌이다. 배석(拜石)이 하나인데, 길이가 6척 1촌, 너비가 3척 2촌이며, 북정(北庭)과 동서정(東西庭)의 너비가 각 6척이다. 북장(北墻) 밑에 계단이 일급(一級)인데, 높이가 3척 3촌, 너비가 2척 5촌이며, 지대와 격석(隔石)과 만석(滿石)도 갖추었다. 장(墻)의 높이는 2척 3촌, 길이가 99척 9촌이며, 지대의 높이는 9촌이요, 동서장(東西墻) 밑에 계단이 각각 일급(一級)인데, 높이가 9촌, 너비가 각 2척이다. 장(墻)의 높이는 2척 3촌, 길이가 58척 8촌이며, 지대 높이는 9촌이요, 남쪽으로는 세 계단이 있는데, 위 계단의 높이가 1척이며, 남북으로 너비가 14척, 동서로 길이가 1백 4척 3촌이고, 가운데 계단의 높이와 길이는 위 계단과 동일하고, 너비는 21척, 아래 계단의 높이는 2척 7촌, 【지대와 만석이 갖추어졌다. 】 너비가 27척, 길이는 위 계단과 동일하여 각기 배석(拜石)에 이르게 되고, 남쪽으로 작은 석계(石階)가 있고, 동서로도 또한 작은 석계가 있다. 이상의 제도에서 그 중앙에다 천광(穿壙)을 하게 된다. 대관(大棺)을 모실 데는, 깊이가 9척 4촌이요, 사방 지대석 배치한 곳의 깊이는 13척 4촌이며, 그 지대석을 놓은 데에는 잡석(雜石)으로 흙과 이겨서 메우게 되는데, 밟아 채운 두께가 4척 되게 하고, 【대관(大棺) 모실 데에 이르러 평평하게 되면 그친다. 】 그런 뒤에 지대석을 놓게 되는데, 두께는 1척 4촌으로 한다. 석실을 그 위에 만들게 되는데, 그 밑에는 비게 한다.
그 축조의 차례는 먼저 북우석(北隅石)을 하나 놓고, 【두 끝을 파는데, 길이가 각 8척, 너비가 각 1척 5촌, 깊이가 각 5촌인데, 이것을 양방석 끝에 집어넣는다. 】 다음에 양방석(兩旁石) 각 두 개를 놓고, 다음에 문의 양 가로 돌 두 개를 양방석의 남쪽으로 세우게 되고, 【각 5촌씩 양방석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 문지방 돌 하나를 양편에 있는 입석(立石)의 사이에 놓고, 틈이 있는 대로 유회(油灰)로 메운다. 북우석(北隅石) 및 양방석(兩旁石)의 밖에는 잡석(雜石)으로 단단하게 채우는데, 돌의 높이에 이르러 그친다. 다음에 개석 두 개를 놓는데, 【두 개가 모두 중앙으로부터 길이 8척 밖의 양방에다 턱을 만드는데, 깊이가 4촌이요, 북으로 가까이 놓일 한 개는 밑으로 턱을 만드는데, 길이가 11척, 너비가 2척 5촌, 깊이가 4촌이니, 턱이 있는 데가 안으로 가게 하여, 양방석 및 북우석의 위에다 버티어 놓아, 북우석 및 양방석이 안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고, 남쪽에 가까이 놓일 한 개는 밑으로 가게 하는데, 중앙으로 길이가 7척이며, 판 깊이는 4촌, 너비가 2척 5촌인데, 문비석(門扉石)에 들여 넣게 한다. 】 두 쪽의 연합한 데에는 유회(油灰)로 메우고, 또 가치 개석(加置蓋石) 한 개를 그 위에 놓는다. 【무릇 연합한 데에는 모두 유회(油灰)로 메운다. 】 그 밑에 빈 곳은 석회(石灰)·세사(細沙)·황토(黃土)를 이겨서 채우게 되는데, 【회(灰)가 3푼이면, 두 가지는 각각 1푼씩 넣는다. 】 다져 쌓은 두께가 2척이 되도록 한다. 【지대석의 높이가 1척 4촌 및 3방석 높이가 6촌이니, 합하여 2척이 된다. 】 석실(石室) 안의 너비가 8척, 높이가 7척, 길이가 11척인데, 거기에 천상(天像)을 그린다. 【일월 성신(日月星辰)으로 모두 둥글게 그린다. 】 석실(石室)·개석(蓋石)·내면(內面)이나, 북우석(北隅石) 및 양방석(兩旁石)의 위에, 밖으로 삼면(三面)에는 지대석(地臺石) 열두 개를 놓게 되는데, 【모두 남면(南面)되게 한 것이 열두 개이다. 】 수철(水鐵)을 가지고 정(錠) 열두 개를 끌어 연합되게 하면서, 그 남쪽은 비워 놓는다. 【정(錠)의 모양은, 두 머리는 넓고 중앙은 작다. 먼저 지대석이 연합될 두 끝에다 등분하여, 한 구멍을 하고, 연합하기에 미쳐서 정(錠)을 끌어 연합되게 하고, 그 남쪽을 비워 놓기는 재궁(梓宮)을 모시고 문 닫기를 기다린 뒤에 주회(周回)로 배설하려는 것이다. 아래도 이와 같다. 】 우석(隅石) 열두 개 및 지면석(地面石) 열두 개를 지대석(地臺石) 위에 사이사이 잇대어 배치하면서, 그 남쪽은 비워 놓는다. 다음에 만석(滿石) 열두 개를 【그 중앙은 면석(面石)의 위에 있게 되고, 그 두 끝은 우석(隅石)의 중앙에 알맞게 한다. 】 열두 개 우석(隅石) 및 면석(面石)의 위에 놓는다. 【만석(滿石) 두 끝에 연합시킬 데를 파서 인정(引錠) 열두 개로 연결시키는데, 위에 말한 지대석을 배치하듯이 한다. 】 인석(引石) 열두 개를 가지고 만석 위에 올려놓는다. 【인석의 한 끝은 만석의 밖으로 1척쯤 나오게 되어, 제각기 만석의 연합한 데를 알맞게 한다. 】 흙을 개석(蓋石) 위에 놓고 차츰차츰 다진다. 【지대석을 배치하고 흙을 다져 채워서 평평하게 한 뒤에 우석과 면석을 놓게 되고, 또 흙으로 메워 다지고, 만석 배치할 때에도 또한 이와 같게 한다. 개석(蓋石)으로부터 만석(滿石)에 이르기까지 메워 다진 것의 두께가 5척 7촌이다. 】
또 열두 개 지대석 밖에 2척쯤 간격을 두고 먼저 석란간(石欄干)을 두어 원경 왕태후(元敬王太后) 능실(陵室)의 석란간과 연하여 배치한다. 초면 지대 배석(初面地臺排石)이 열 개에 다음으로 우석(隅石) 아홉 개를 사이사이 잇대어 배치하는데, 또한 그 남쪽은 비워둔다. 석주(石柱) 열한 개를 우석 위에 세우고, 동자 주석(童子柱石) 열 개는 초면 지대 배석의 위에 세우고, 【동자 주석(童子柱石)은 석주(石柱)의 사이에 있게 된다. 】 밑에 지방석(地方石) 스물을 석주(石柱)와 동자 주석 사이에 둔다. 【지방석은 석주의 사이마다 사용하게 되므로, 20개가 된다. 】 다음에 박석(薄石) 스물을 열 두 지면석 밖의 초면 지대석 안에 두게 되고, 위에는 죽석 스물을 석주의 사이에 두게 되는데, 그 끝 하나는 석주에 연접시키면서 앙복련(仰覆蓮)의 밑으로 가게 하고, 끝 하나는 동자 주석(童子柱石) 위로 접속시킨다. 【죽석(竹石) 열한 개를 석주(石柱)의 사이마다 두 개씩 사용하므로, 20개가 된다. 】 차례대로 돌아가면서 연합시켜 배치하고, 또 차면 지대 배석(次面地臺排石) 열 개와 우석(隅石) 아홉 개를 석란간 밖에 두고, 모두 그의 남쪽은 비워 놓고 유회(油灰)로 빈틈을 메우고 두 능실(陵室) 사이에 박석(薄石) 아홉 개로 연합시키는데, 가운데를 높게 하고, 두 지대석(地臺石)의 거리가 2척 7촌이며, 동·서·북 세 쪽에 각기 계단 일급(一級)을 설치하고 담장으로 두른다.
〈담장〉 안에는 신석양(新石羊)이 네 개, 석호(石虎)가 네 개, 구석양(舊石羊)이 네 개, 석호(石虎)가 네 개로 모두 열 여섯 개인데, 그 중에서 서남 모퉁이에 석호 둘을 놓고, 다음에 석양 둘을 놓게 되며, 서북 모퉁이에 석호 하나를 놓고, 다음에 석양 둘을 놓게 되며, 두 능실(陵室) 사이 북쪽으로 석호 둘을 놓고, 다음에 석양 둘을 놓으며, 동북 모통이에 석호 하나를 놓고 다음에 석양 둘을 놓게 되며, 동남 모퉁이에 석호 둘을 놓는데, 모두 바깥쪽을 향하게 한다. 【석란간에서 석호에까지 거리가 3척 8촌이며, 석양과 석호의 거리는 10척 3촌이다. 】 남쪽으로 세 계단을 두게 되는데, 윗 계단 동·서쪽으로 먼저 지대석을 각 하나씩 놓게 되고, 석망주(石望柱) 각 하나씩을 지대석 위에 세운다. 【석호에서 석망주까지 거리가 6척 5촌이요, 동·서 석망주의 거리는 79척 7촌이다. 】 또 석망주의 서쪽에 땅을 파고 잡석(雜石)을 다져서 소전대(燒錢臺)를 설치한다. 【지대석에서 소전대(燒錢臺)까지 거리가 10척이다. 】 가운데 계단의 동·서쪽에 땅을 파고 관대 석인(冠帶石人) 각 둘을 세운다. 【네 사람이 서로 향하게 한다. 】 아래 계단 동·서쪽으로 땅을 파고 의갑 석인(衣甲石人) 각 둘을 세우게 된다. 【네 사람이 서로 향하게 한다. 】 또 아래 계단 장명등(長明燈)의 남쪽에 땅을 파고 배석(拜石) 하나를 묻는데, 그 석면이 아래 계단의 평면과 가지런히 한다. 아래 계단에서 바로 남쪽으로 50보(步) 2척 사이에 일찍이 정자각(丁字閣) 다섯 간을 지었었는데, 그대로 두고 정자각 서북 계단 위에 소전대(燒錢臺) 하나를 설치하는데, 윗 계단 소전대의 배치와 같게 한다. 또 거기서 동쪽으로 새로 전찬배설청(奠饌排設廳) 3간을 건축하고, 또 능(陵)의 동쪽 산 밑의 평지에다 수릉 재소(守陵齋所) 22간을 지었다. 재궁을 받들어 석실에 모시기를 끝마치고, 문비석(門扉石) 두 개를 가지고 【위 끝 4촌은 개석(蓋石) 남쪽 아래 끝 파놓은 데에 들어가게 하고, 아래 끝 1척 6촌은 문지방돌[門閾石]의 외면에 기대어 세운다. 】 그 문을 닫고 문의석(門倚石) 하나를 비석(扉石) 밖으로 덧붙이고 유회(油灰)로 틈난 데를 바르고, 또 잡석(雜石)으로 흙에 이겨서 다져 채운 뒤에 남쪽 지대석(地臺石)을 놓게 되고, 다음에 우석(偶石)·지면석(地面石)·만석(滿石)·인석(引石)을 놓게 되며, 또 석란간도 위의 세 면을 배치할 때와 동일하게 하고, 주위가 이미 끝났으면 그제야 개석(蓋石)을 먼저 다진 위에 다시 흙을 채우고 단단하게 다진다. 능의 높이가 13척 7촌이다. 【만석 위로 8척이며, 밑으로 5척 7촌이다. 】 또 능에서 남쪽 가까운 곳에 【바로 석상(石床)의 북쪽이다. 】 땅을 5척쯤 파고 지석(誌石) 두 쪽을 묻는다. 길이가 각 4척 4촌, 너비가 3척 4촌, 두께가 4촌 5푼인데, 그 하나는 개석인데, 새기기를,
"헌릉(獻陵) 유명 조선국 태종 성덕 신공 문무 광효 대왕지릉(有明朝鮮國太宗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之陵)"
이라 하고, 그 하나는 밑돌인데, 지문(誌文)을 새긴다.
- 【태백산사고본】 6책 17권 19장 A면【국편영인본】 2책 498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왕실-종친(宗親) / 도량형(度量衡)
○山陵制度:
尺用營造尺。 石室內廣八尺, 高七尺, 長十一尺。 兩旁石各二, 高各八尺, 長各五尺七寸五分, 厚各二尺五寸。 蓋石二, 廣各八尺, 長各十四尺, 厚各三尺。 加置蓋石一, 廣五尺, 長十四尺, 中厚一尺, 兩邊厚一尺。 北隅石一, 高八尺, 長十一尺, 厚二尺五寸。 門兩邊立石二, 兩邊各一, 高各八尺, 廣各三尺五寸, 厚各三尺。 門閾石一, 厚二尺, 長七尺, 廣三尺。 門扉石二, 高各七尺, 廣各三尺五寸, 厚各一尺。 門倚石一, 高七尺, 廣七尺, 厚二尺。 外排地臺石十二, 【刻爲覆蓮】 厚各一尺八寸, 長各九尺, 廣各三尺。 十二地面石十二, 【下刻靈芝, 上刻雲彩及十二地神。 雲彩分在左右, 地神在中, 每一石一神。】 高各二尺八寸, 長各四尺八寸五分, 厚各三尺。 隅石十二, 【狀似石磬, 下刻靈芝, 上刻靈杵及鐸。 杵在左, 鐸在 右。】 高各二尺八寸, 長各三尺九寸, 厚各三尺。 滿石十二, 【刻爲仰蓮】 高各一尺八寸, 長各九尺, 厚各三尺。 引石十二, 【外端牧丹、葵花、菊花相間雕刻, 每一端一花兒。】 長各六尺, 方廣各一尺一寸。 石欄干初面地臺排石十, 厚各一尺五寸, 長各六尺八寸, 廣各二尺。 隅石九, 【狀似石磬】 厚各一尺五寸, 長各四尺四寸, 廣各二尺五寸。 石柱十一, 高各六尺三寸, 【以一尺爲圓頭, 次以一尺三寸分作仰覆蓮, 次以九寸爲納竹石端處, 次以二尺一寸兩旁分作仰覆蓮葉。 其仰覆蓮葉間, 刻圓如意紋。 仰蓮葉擎竹石端, 覆蓮葉鎭地方石端。 以覆蓮葉下一尺爲納兩旁地方石處, 竝高六尺三寸。】 童子柱石十, 高各三尺二寸, 四面廣各一尺一寸。 【以一尺一寸爲圓頭。 其內外面刻爲雲頭, 其雲頭擎竹石連接處。】 地方石二十, 厚各一尺, 廣各一尺一寸, 長各五尺五寸。 竹石二十, 長各四尺九寸, 八面各三寸, 徑八寸。 薄石二十, 廣各二尺, 厚各一尺, 長各五尺五寸。 次面地臺排石十, 厚各一尺三寸, 長各七尺五寸, 廣各二尺。 隅石九, 【狀似石磬】 高各一尺五寸, 長各四尺, 厚各一尺五寸。 石羊四, 長各五尺, 廣各二尺八寸, 高各二尺五寸。 石虎四, 長各四尺, 廣各二尺, 高各三尺九寸。 石望柱二, 【以一尺爲圓頭, 次以頭下一尺五寸, 上刻仰蓮, 下刻雲彩。 次以四尺一寸作八面, 其圓徑一尺一寸。】 高各六尺四寸。 【仍舊左右分立】 地臺石二, 【八面有腰】 高各二尺六寸, 上下圓徑二尺二寸五分。 燒錢臺石一, 【其上四角高中平, 有腰刻雲彩。】 高二尺五寸, 上下皆方, 四面各三尺一寸。 石床一, 長十一尺, 廣六尺三寸, 厚一尺四寸。 足石五, 【刻爲羅魚頭】 圓徑各二尺, 高一尺六寸。 足石下臺石五。 長明燈頂子石一, 【頭圓, 下刻爲雲彩。】 高一尺五寸, 圓徑一尺一寸。 蓋石一, 【八面雲角】 高二尺五寸, 上徑一尺一寸, 下徑三尺九寸。 隔石一, 【八面空其中, 其四面有窓。】 高一尺七寸, 徑二尺三寸。 臺石一, 【上下皆八面, 以其上一尺三寸刻爲仰蓮。 次以一尺二寸作腰八面, 每面隅皆刻連珠。 次以一尺五寸, 上刻覆蓮, 下刻雲足。】 高四尺, 徑三尺二寸。 有地臺石石人四, 【二人冠帶, 二人衣甲。】 長各十一尺五寸, 【出地上七尺五寸, 入地下四尺。】 廣各三尺, 厚各二尺五寸。 拜石一, 長六尺一寸, 廣三尺二寸。 北庭及東西庭, 廣各六尺。 北墻底階一級, 高三尺三寸, 廣二尺五寸。 地臺、隔石、滿石具, 墻高二尺三寸, 長九十九尺九寸。 地臺高九寸。 東西墻底階各一級, 高各九寸, 廣各二尺。 墻高二尺三寸, 長五十八尺八寸。 地臺高九寸。 南面三階, 上階高一尺, 南北廣十四尺, 東西長一百四尺三寸, 中階高及長, 與上階同, 廣二十一尺, 下階高二尺七寸, 【地臺、滿石具】 廣二十七尺, 長與上階同。 各當拜石, 南有小石階, 東西亦有小石階。 右制度, 穿壙其中央, 安大棺處深九尺四寸, 四旁地臺石排置處深十三尺四寸。 其置地臺石處, 以雜石和土而塡之, 築實厚四尺, 【及安大棺處平而止】 然後置地臺石, 厚一尺四寸訖, 作石室於其上, 虛其底。 其造排之序, 先置北隅石一, 【鑿兩端, 長各八尺, 廣各一尺五寸, 深各五寸, 令納兩旁石端。】 次置兩旁石各二片, 次置門兩邊立石二於兩旁石之南, 【各五寸, 入兩旁石之內。】 置門閾石一於兩旁立石之間, 凡縫罅皆用油灰彌之訖, 北隅石及兩旁石之外, 以雜石築實之, 及石之高而止。 次加蓋石二片, 【二片皆從中央長八尺之外, 兩旁作頷深四寸。 近北一片, 下邊作頷長十一尺, 廣二尺五寸, 深四寸。 以頷處向內, 跨置兩旁石及北隅石之上, 以防北隅石及兩旁石之向內傾仆也。 近南一片下邊中央, 長七尺, 鑿之深四寸, 廣二尺五寸, 令納門扉石上端。】 其二片連合處, 以油灰彌之。 又加置蓋石一片於其上, 【凡連合處, 皆以油灰彌之。】 其底虛處布石灰、細沙、黃土拌勻者 【灰三分, 二者各一分。】 而築之, 厚二尺 【謂地臺石高一尺四寸及三旁石高六寸合二尺】 訖, 石室內廣八尺, 高七尺, 長十一尺。 又圖畫天像 【日月星辰皆圖畫】 於石室蓋石內面北隅石及兩旁石之上。 外三面, 置地臺石十二, 【幷南面爲十二】 用水鐵引錠十二連合, 虛其南面, 【錠形兩頭廣中央小。 先於地臺石連合兩端, 分鑿一坎形, 及連置後, 以引錠連之。 虛其南面者, 候安梓宮閉門, 然後周回排設。 後同。】 以隅石十二及地面石十二, 加於地臺石之上, 相間連排, 虛其南面。 次用滿石十二, 【其中央則在面石之上, 其兩端則當隅石中央處。】 加於十二隅石及面石之上, 【鑿滿石兩端連合處, 以引錠十二連之, 如上項地臺石之排。】 以引石十二加於滿石之上, 【其引石一端, 出於滿石之外一尺許, 各當滿石連合處。】 以土加於蓋石之上而漸築之。 【排地臺石訖, 以土築實而平之後, 置隅石面石, 又以土塡築之, 至排滿石亦如之。 自蓋石上至滿石, 塡築之厚五尺七寸。】 又於十二地臺石之外隔二尺, 先置石欄干與元敬王太后陵室石欄干連排。 初面地臺排石十, 次置隅石九相間連排, 亦虛其南面, 以石柱十一立於隅石之上, 以童子柱石十立於初面地臺排石之上, 【童子柱石, 在石柱之間。】 下置地方石二十於石柱與童子柱石之間, 【地方石每於石柱兩間用之, 故二十。】 次置薄石二十於十二地面石之外, 初面地臺石之內。 上施竹石二十於石柱之間, 其一端接石柱仰覆蓮之下, 其一端接童子柱石之上, 【竹石每於十一石柱之間用二, 故爲二十。】 以次周回連排。 又置次面地臺排石十、隅石九於石欄干之外, 皆虛其南面, 用油灰彌之。 兩陵室間薄石九連排中高, 兩地臺石相距二尺七寸。 東西北三面, 各設階一級, 繚以墻。 墻內新石羊四、石虎四、舊石羊四、石虎四, 幷十六內, 西南隅置石虎二, 次置石羊二。 西北隅置石虎一, 次置石羊二。 兩陵室間, 北置石虎二, 次置石羊二。 東北隅置石虎一, 次置石羊二。 東南隅置石虎二, 皆外向。 【自石欄干至石虎, 相距三尺八寸, 石羊、石虎相距十尺三寸。】 南設三階, 上階東西, 先置地臺石各一, 立石望柱各一於地臺石之上。 【自石虎至石望柱, 相距六尺五寸, 東西石望柱, 相距七十九尺七寸。】 又於石望柱之西掘地, 以雜石築之, 設燒錢臺。 【自地臺石至燒錢臺, 相距十尺。】 中階東西掘地, 立冠帶石人各二。 【四人相向】 下階東西掘地, 立衣甲石人各二。 【四人相向】 又於下階長明燈之南堀地, 埋拜石一, 其石面齊下階之平。 下階直南五十步二尺間, 曾構丁字閣五間, 仍舊於丁字閣西北階上, 設燒錢臺, 一如上階燒錢之排。 又於其東, 新構奠饌排設廳三間, 又於陵之東山下平地, 構守陵齋所二十二間, 至奉梓宮安於石室訖, 以門扉石二 【上端四寸入蓋石南下邊鑿處, 下端一尺六寸倚立於門閾石之外面。】 塞其門, 加門倚石一於扉石之外, 以油灰塗其縫罅。 又以雜石和土築實, 然後置南面地臺石, 次加隅石、地面石、滿石、引石, 又置石欄干, 竝如上項三面之排。 周回旣畢, 乃於蓋石先築之上, 復實以土而堅築之, 陵高十三尺七寸。 【滿石上八尺, 下五尺七寸。】 又於陵南近地, 【卽石床之北】 掘地深五尺。 用誌石二片, 長各四尺四寸, 廣三尺四寸, 厚四寸五分, 其一爲蓋, 刻云: "獻陵 有明 朝鮮國 太宗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之陵。 其一爲底, 刻誌文。
- 【태백산사고본】 6책 17권 19장 A면【국편영인본】 2책 498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왕실-종친(宗親) / 도량형(度量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