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조에서 발인 반차와 천전의를 계하다
예조에서 발인 반차(發引班次)와 천전의(遷奠儀)를 계하였는데, 발인 반차에 말하기를,
"사패(射牌) 셋이 뒤에 있게 되고, 【기(旗)·독(纛)·쟁(錚)·고(鼓)는 보통 때와 같게 하고, 다른 패(牌)들도 같다. 】 다음이 창패(槍牌)하나, 다음이 감찰(監察) 2명, 다음이 문무 여러 관원, 다음이 종실(宗室), 다음이 왕세자, 【요속(僚屬)들의 인도에 따르는 것은 보통 때의 의식과 같다. 】 다음이 시신(侍臣), 다음이 행수 내시(行首內侍), 다음이 비신 부책(備身扶策), 다음이 승정원(承政院), 다음이 충의위(忠義衛)·별시위(別侍衛)·절제사(節制使), 다음이 도진무(都鎭撫)·삼휘 쟁고(三麾錚鼓)·병조(兵曹)의 장군 절제사(掌軍節制使)와 진무(鎭撫)는 나누어 서게 되고, 다음이 창패(槍牌), 다음이 표기(標旗)·병조 진무(兵曹鎭撫), 다음이 좌우 사금(左右司禁)·절제사(節制使) 및 내금위(內禁衛)·내시위(內侍衛)·각번 절제사(各番節制使)의 군관(軍官)들이요, 다음이 의대 차비(衣襨差備) 및 내속고치(內速古赤)이요, 다음에 비신(備身)과 홀(笏)은 나누어 서게 되고, 다음에 보갑사(步甲士)는 가운데 서게 되고, 별홀(別笏)·별운검(別雲劍)은 가운데에서 나누어 서게 되고, 환도(環刀)를 가진 보갑사(步甲士)는 좌우로 나누어 서게 되고, 단창(丹槍)을 가진 보갑사(步甲士)는 좌우로 나누어 서게 되고, 사금(司禁)도 좌우로 나누어 서게 되고, 【사금(司禁)은 여기서부터 별시위(別侍衛)의 나누어 선 데까지 나누어 서기를 의식과 같이 한다. 】 다음에 소양선(素陽扇) 둘은 가운데로 나누어 세우고, 환도(環刀)를 가진 보갑사는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단창(丹槍)을 가진 보갑사는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환도를 가진 보갑사는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단창을 가진 보갑사는 좌우로 나누어 서고, 그 다음이 대가(大駕)요, 다음에 환도를 가진 보갑사는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단창을 가진 보갑사는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소양산(素陽繖)은 가운데에 서고, 환도 쇄자(環刀鎖子) 보갑사는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단창 광갑(丹槍光甲) 보갑사는 좌우로 나누어 서고, 내금위(內禁衛) 일 이번(一二番)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운검(雲劍)은 가운데 나누어 세우고, 내금위 일 이번은 가운데 나누어 서고, 다음에 별궐달(別闕達)은 가운데 서고, 내금위 삼번은 반씩 나누어 좌우로 서게 하고, 다음에 상서사(尙瑞司)는 가운데 서고, 충의위 일 이번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궐달은 가운데 서고, 충의위 삼 사번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취라적(吹螺赤)은 가운데로 나누어 서고, 별시위(別侍衛) 좌우 일 이번(左右一二番)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영가(靈駕)에 따르는 국장 도감(國葬都監)·빈전 도감(殯殿都監)이요, 다음에 사금(司禁)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여기서부터 길장(吉仗)에까지 나누어 서기를 의식과 같이 한다. 】 다음이 인수부(仁壽府) 녹관(祿官)이요, 다음이 행수 견룡(行首牽龍)이요, 다음이 내관(內官)이요, 다음이 궁인(宮人)이요, 【행유(行帷)를 가지고 가리게 한다. 】 다음에 보삽(黼翣) 두 개는 좌우로 나누어 서고, 【견룡(牽龍)이 받들어 가진다. 】 그 다음이 유거(柳車)요, 다음에 불삽(黻翣) 두 개와 화삽(畫翣) 두 개는 【견룡(牽龍)이 받들어 가진다. 】 유거(柳車)의 좌우로 나누어 서서 재궁(梓宮)을 가리게 되며, 다음에 집택 사마(執鐸司馬)가 16명인데, 【호군(護軍)이다. 】 좌우로 삽(翣) 밖에 나누어 서고, 다음에 명정(銘旌)은 가운데 서고, 【인수부(仁壽府) 녹관(祿官)이 받들어 가진다. 】 다음에 우보(羽葆)는 가운데 서고, 【선공감(繕工監) 관원이 받들어 가진다. 】 다음에 망촉(望燭)을 가진 내관(內官) 20명은 좌우로 나누어 서는데, 의장(儀仗) 안에 열을 짓게 하고, 【무릇 촛불이나 횃불은 날이 새면 걷어 치운다. 】 다음에 망촉(望燭)을 가진 권무(權務)가 4백 80명인데, 좌우로 의장(儀仗) 안에 나누어 서게 하고, 다음에 횃불 5백 개는 좌우로 길장(吉杖)·흉장(凶仗) 밖에 열을 짓게 하고, 다음에 견여(肩輿)는 가운데 서고, 다음에 애책 요여(哀冊腰輿)는 가운데 서고, 【인수부(仁壽府) 지인(知印)이 여부(舁夫)와 여담(舁擔)을 영솔하게 된다. 】 다음에 복완 요여(服玩腰輿)는 가운데 서고, 【위와 같게 한다. 】 다음에 명기 요여(明器腰輿) 다섯은 가운데에서 좌우로 나누어 서고, 【위와 같게 한다. 】 다음에 청수 안마(靑繡鞍馬) 열은 왼편에 있게 되고, 홍수 안마(紅繡鞍馬) 열은 오른편에 있게 되고, 다음에 죽안마(竹鞍馬) 열은 좌우로 나누어 서게 하고, 다음에 죽산마(竹散馬)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게 하고, 다음에 만사(挽詞) 40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별례(別例)로 15장을 더하게 되니, 모두 55장이다. 】 다음에 방상씨거(方相氏車)가 넷인데,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화철롱(火鐵籠)이 40인데, 망촉(望燭)을 잇따라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후전대기(後殿大旗)가 둘인데, 좌우로 나누어 세우고, 현무기(玄武旗)는 가운데로 나누어 세우고, 【의장(儀仗)에 가까이 받들어 가지게 된다. 】 다음에 청양선(靑陽扇) 둘은 가운데에서 좌우로 나누어 세우고, 【위와 같이 한다. 】 다음에 혼백거(魂魄車)와 향정자(香亭子)는 가운데에서 나누어 서게 하고, 백촉롱(白燭籠)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권무(權務)가 받들어 가지게 된다. 】 다음에 홍양산(紅陽繖)은 가운데 서고, 【행수(行首)가 받들어 가지게 된다. 】 다음에 상마대(上馬臺)는 가운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청촉롱(靑燭籠)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권무(權務)가 받들어 가지게 된다. 】 다음에 혼백여(魂魄輿)는 가운데 서고, 다음에 홍촉롱(紅燭籠)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권무(權務)가 받들어 가지게 된다. 】 다음에 시책보 요여(諡冊寶腰輿)와 평시책보 요여(平時冊寶腰輿)는 가운데에서 나누어 서고, 【인수부 지인(仁壽府知印)이 여부(舁夫)와 여담(舁擔)을 영솔하게 된다. 】 다음에 가수정장(假水精杖)은 왼편에 있고, 금월부(金鉞斧)는 오른편에 있게 되며, 다음에 용선(龍扇)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근시가 받들어 가지게 되는데, 아래도 모두 이와 같이 한다. 】 다음에 작선(雀扇) 열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홍개(紅蓋) 둘은 가운데에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봉선(鳳扇) 여덟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청개(靑蓋) 둘은 가운데에서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금고(金鼓)는 가운데에서 각 하나씩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가금월부(假金鉞斧) 넷과 가은월부(假銀鉞斧) 넷은 하나씩 섞어서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평두연(平兜輦)은 가운데 서고, 다음에 정(旌) 넷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모절(旄節) 넷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한(罕)은 왼편에 있게 되고, 필(畢)은 오른편에 있게 되며, 다음에 청양산(靑陽繖) 둘은 가운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가금작자(假金斫子)가 넷이요, 또 가은작자(假銀斫子)도 넷인데, 하나씩 섞어서 좌우로 나누어 세우고, 다음에 교의(校椅)는 가운데 서고, 【답장(踏掌)하는 기구이다. 】 다음에 금골 타자(金骨朶子) 여섯과 은골 타자(銀骨朶子) 여섯은 하나씩 섞어서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금고(金鼓)는 각각 하나씩 가운데로 나누어 세우고, 다음에 당(幢) 넷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관자(灌子)와 우자(盂子)는 가운데 서고, 다음에 금장도(金粧刀)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교의(校椅)는 가운데 서고, 【답장(踏掌)하는 기구이다. 】 다음에 은장도(銀粧刀)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군왕 천세기(君王千歲旗)는 가운데 서고, 다음에 금등(金鐙) 열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벽봉기(碧鳳旗) 두 개는 가운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가서봉(哥舒奉) 열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고자기(鼓字旗)는 왼쪽에 있게 되며, 그리고 금자기(金字旗)는 오른편에 있게 되며, 다음에 가귀 선인기(駕龜仙人旗) 둘은 가운데로 나누어 서고, 그리고 영자기(令字旗)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웅골 타자(熊骨朶子) 여섯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금고(金鼓) 각 하나씩 가운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표골 타자(豹骨朶子) 여섯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현학기(玄鶴旗)는 왼편에 있고, 그리고 백학기(白鶴旗)는 오른편에 있게 되며, 다음에 용마기(龍馬旗)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은 천하 태평기(天下太平旗)는 가운데 서고, 다음에 각서기(角瑞旗)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삼각기(三角旗)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백택기(白澤旗)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주작기(朱雀旗)는 가운데로 서고, 다음에 정축기(丁丑旗)는 왼편에 있고, 그리고 정해기(丁亥旗)는 오른편에 있게 되며, 다음에 정유기(丁酉旗)는 왼편에 있고, 그리고 정묘기(丁卯旗)는 오른편에 있게 되며, 다음에 정미기(丁未旗)는 왼편에 있고, 그리고 정사기(丁巳旗)는 오른편에 있게 되며, 다음에 주작기(朱雀旗)는 오른편에 있고, 다음에 청룡기(靑龍旗)는 왼편에 있게 되며, 그리고 백호기(白虎旗)는 오른편에 있다. 다음에 금고(金鼓) 하나씩 가운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현무기(玄武旗)는 왼편에 있고, 그리고 황룡기(黃龍旗)는 오른편에 있게 되며, 다음에 홍문대기(紅門大旗) 둘은 좌우로 나누어 서고, 홍개(紅蓋)는 가운데 서서 앞을 인도하고, 다음에 창패(槍牌) 둘이요, 다음에 사패(射牌)가 셋이다."
고 하였다. 천전의(遷奠儀)에 말하기를,
"하루 전에 충호위는 영장전과 길유궁(吉帷宮)을 현궁의 서쪽으로 남향되게 배설하고, 【유궁(帷宮)은 장전(帳殿)의 서쪽에 있게 된다. 】 전하의 악차(幄次)는 길유궁의 서남쪽으로 동향되게 설치하고, 왕세자의 악차는 거기서 남쪽으로 설치하는데, 모두 지형에 따라 적당하게 하고, 그날이 되면 집사자는 탑(榻)을 영장전에서 북쪽으로 가까이 설치하고, 영좌는 탑 앞에 설치하고, 시책보(諡冊寶)와 애책안(哀冊案)은 영좌 앞에서 조금 동쪽으로 설치한다. 통례문은 전하의 판위(版位)를 영장전의 남쪽으로 북향되게 설치하고, 왕세자의 자리[位]는 전하의 판위 뒤로 남쪽에 가까이 북향으로 설치하고,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의 자리는 또 거기서 남쪽으로 하는데, 문관은 동쪽이요, 무관은 서쪽이며, 중심(中心)이 머리[頭]가 되고, 관위[位]가 다르면 여러 줄로 서게 되는데, 모두 북향이다. 【종실은 길 서쪽으로 되는데, 앞줄에 있게 된다. 】 집사자는 축판(祝版)을 영좌의 왼편에 올려놓고, 향로·향합·초를 영좌 앞에 아울러 준비하고, 준(尊)은 영장전에서 동남쪽으로 북향되게 설치하고, 세(洗)는 영장전 밖에 동남쪽으로 북향되게 설치하고, 여러 집사의 세는 또 거기서 동남쪽으로 북향되게 설치한다. 방상(方相)이 오게 되면, 광(壙)에 들어서서 창[戈]으로 현궁의 네 모퉁이를 치게 된다. 명기소(明器筲)가 8, 앵(甖)이 3, 무(甒)가 2, 동시(彤矢)가 8, 책(笮)이 1, 동궁(彤弓)이 1, 갑(甲)이 1, 주(胄)가 1, 간(干)이 1, 과(戈)가 1, 궤(几)와 장(杖)이 각각 1, 개(蓋)가 1, 종(鍾)이 12, 경(磬)이 12, 훈(壎)이 1, 소(簫)가 1, 생(笙)이 1, 지(箎)가 1, 축(柷)이 1, 어(敔)가 1, 금(琴)이 1, 슬(瑟)이 1, 우(竽)가 1, 우약(羽籥)·간순(干楯)이 각각 1, 와조(瓦竈)가 2, 와부(瓦釜)가 2, 와증(瓦甑)이 1, 와정(瓦鼎)이 12, 포작(匏勺)이 1, 와주준(瓦酒尊)이 2, 포작(匏勺)이 1, 와배(瓦盃)가 10, 변(籩)이 12, 두(豆)가 12, 보(簠)가 2, 궤(簋)가 2, 준(尊)이 2, 식발(食鉢)이 1, 갱발(羹鉢)이 1, 시접(匙楪)이 1, 찬접(饌楪)이 1, 자접(炙楪)이 1, 소채포해접(蔬菜脯醢楪)이 12, 주병(酒甁)이 1, 식탁(食托)이 1, 시저(匙筯)가 각각 1, 식탁(食卓)이 1, 관반(盥盤)이 1, 관이(盥匜)가 1, 향합(香合)이 1, 향완(香椀)이 1, 타우(唾盂)가 1, 혼병(溷甁)이 1, 수기(溲器)가 1, 목안마(木鞍馬)가 2, 목산마(木散馬)가 2, 죽안마(竹鞍馬)가 10, 【유거(柳車)를 소각할 때에 같이 소각한다. 】 죽산마(竹散馬)가 2, 【유거를 소각할 때에 같이 소각한다. 】 목노비(木奴婢)가 각 50, 목향당악인(木鄕唐樂人)이 20, 증백(贈帛) 【현(玄)이 여섯이요, 훈(壎)이 넷이다. 】 증옥(贈玉)이 1, 단면(段冕)·옥규(玉圭)·청의(靑衣)·훈상(纁裳)·수(綬)·중단(中單)·폐슬(蔽膝)·옥패(玉佩)·대대(大帶)·적석(赤舃)·홍말(紅襪)·태의(笞衣)·수건(手巾)·경(鏡)이 하나씩이요, 소함(梳凾)·토등상자(土藤箱子)가 3, 가금간자(假金竿子)가 1, 가은간자(假銀竿子)가 2이다.
도착되기를 기다려 현궁(玄宮)의 동남쪽으로 북쪽이 위가 되게 늘어놓는다. 혼백거가 이르르면, 대축(大祝)은 혼백함을 받들어 영장전에 나아가 영좌에 모시는데, 우주궤(虞主匱)는 그 뒤에 두게 된다. 집사자는 시책보 및 애책 그 밖에 평시에 봉(封)하였던 책보(冊寶)를 안(案) 위에 둔다. 유거(柳車)가 도착하게 되면, 섭판통례는 유거 앞에 나아가 수레에서 내려 순(輴)에 오르기를 꿇어앉아 아뢰어 청한다. 아뢰기를 마치고 머리를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호조 판서는 여재궁 관(舁梓宮官) 및 소신(小臣)을 거느리고 재궁을 받들어 순에 올린다. 섭판통례는 앞서 재궁을 인도하면, 봉삽자는 삽(翣)으로 재궁을 가린다. 만사(挽士)는 순을 받들어 영장전 앞에 이르게 된다. 여재궁 관 및 소신(小臣)은 재궁을 받들어 탑(榻) 위에 남쪽으로 머리가 가도록 모신다. 집사자는 명정(銘旌)을 가져다가 깃대는 떼어 버리고 그 위에 덮는다. 판통례는 연(輦) 앞에 나아가 연(輦)에서 내리기를 꿇어앉아 계(啓)하여 청한다. 전하는 연에서 내리게 된다.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잠시 악차로 돌아가 자리에 나가게 된다. 지통례는 왕세자를 인도하여 악차에 나아가게 한다.
시각이 되면, 집사자는 손을 씻고, 잔(盞)을 씻고 닦아서 준소(尊所)에 두며, 찬(饌)은 받들어 올려다가 영좌 앞에 놓는다. 통례문은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아가 서게 한다. 지통례는 왕세자를 인도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아가게 하고, 예조 판서는 악차 앞에 나아가 행례(行禮)하기를 꿇어앉아 아뢰어 청한다. 아뢰기를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에서 나와 판위(版位)에 나아가 북향으로 서게 한다. 판통례가 재배하고 곡하기를 아뢰어 청하면, 전하는 재배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전의(典儀)가 말하기를, ‘재배하고 곡하라.’ 하면, 왕세자 이하 자리에 있던 자는 모두 재배하고 곡하여 슬피한다.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관세(盥帨)하기를 끝마치고, 전하를 인도하여 영좌 앞에 나아가 북향으로 섰다가 꿇어앉아 삼상향(三上香)하게 된다. 【진향(進香)·진로(進爐)·전향(奠香)·전로(奠爐)는 모두 근시가 하게 된다. 】 근시가 다주(茶酒)를 올리면, 전하는 뇌다(酹茶)와 삼전주(三奠酒)를 하게 된다. 【전주(奠酒)도 또한 근시가 하게 된다. 】 판통례가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꿇어앉기를 아뢰어 청한다. 대축은 영좌의 왼편에 나아가 서향으로 꿇어앉아 축문(祝文)을 읽어 마치면, 판통례는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 재배하고 곡하기를 아뢰어 청한다. 전하는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 재배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전의가 말하기를 ‘재배하고 곡하라.’ 하면, 왕세자 이하 자리에 있던 자는 모두 재배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로 돌아오고, 지통례는 왕세자를 인도하여 악차에 돌아오고, 통례문은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로 나가게 된다. 전기(前期)해서 통례문은 전하의 봉사위(奉辭位)를 연도(羨道) 【연(羨)의 음은 연(衍)이며, 묘도(墓道)이다. 】 의 남쪽으로 서향하게 하고, 왕세자의 자리[位]는 거기서 남쪽으로 서향되게 하고,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의 자리는 또 거기서 남쪽으로 동쪽에 가까이 하는데, 관위[位]가 다르면, 여러 줄로 서게 하고, 모두 서향이며, 북쪽이 위가 되게 한다. 또 영의정의 진책위(進冊位)는 연도(羨道)에서 동남쪽으로 서향되게 하고, 봉애책관위(奉哀冊官位)는 또 거기서 남쪽으로 조금 물러나 서향되게 한다.
서운관(書雲觀)에서 시각을 아뢰게 되면, 【유사(有司)가 재궁(梓宮) 모시는 욕위(褥位)를 현궁(玄宮) 문밖에 남향되게 설치한다. 】 섭판통례는 영장전 앞에 나아가 순(輴)에 올라 현궁(玄宮)에 나가기를 꿇어앉아 아뢰어 청하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조금 물러난다. 대축은 요여(腰輿)를 가지고 혼백을 받들어 길유궁에 나아가 영좌에 모시는데, 우주궤(虞主匱)는 그 뒤에 둔다. 공조 판서는 건(巾)으로 재궁(梓宮)을 씻고 아울러 관의(棺衣)까지 먼지를 턴다. 호조 판서는 여재궁 관(舁梓宮官) 및 소신(小臣)을 거느리고 재궁을 받들어 순(輴)에 올린다. 섭판통례는 재궁을 앞에서 인도하고, 봉삽자(奉翣者)는 삽(翣)으로 재궁을 가리게 된다. 만사(挽士)가 순을 받들어 현궁(玄宮)에 나가려 할 때에,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에서 나와 곡하면서 따르게 되고, 지통례는 왕세자를 인도하고, 통례문은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인도하여 모두 곡하면서 따르게 된다. 봉례랑(奉禮郞)은 영의정과 봉애책관(奉哀冊官)을 인도하여 연도(羨道)의 동남쪽 위차(位次)에 나아가 서향으로 서게 된다. 재궁을 받들어 연도로 들어와 현궁 안의 탑욕(榻褥) 위에 모시는데, 북쪽으로 머리가 가게 한다. 【장차 현궁(玄宮)에 들어가려 할 때에 문밖의 욕(褥) 위에 모시는데, 호조 판서가 그의 위아래를 보살피게 된다. 】 공조 판서는 다시 한번 관의(棺衣)와 명정(銘旌)을 정돈하여 구김이 없도록 한다. 영의정은 애책(哀冊)을 가지고 들어와 재궁의 서편에 현궁(玄宮)의 밖으로 꿇어앉아 올려놓게 되고, 근시는 증백(贈帛)으로 현육(玄六)·훈사(纁四) 및 증옥(贈玉)을 받들어 올린다. 전하는 집백(執帛)과 증옥(贈玉)을 하게 되는데, 근시에게 주어 재궁(梓宮)의 곁에 두게 되고, 보삽(黼翣)·불삽(黻翣)·화삽(畫翣)도 또한 재궁 곁에 세우게 된다.
여러 관원이 각기 봉사위(奉辭位)에 나아가게 되면,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봉사위에 나아가게 하고, 재배하고 곡하기를 아뢰어 청하면, 전하는 재배하고 곡하며, 또 재배하고 곡하여 슬피한다. 전의가 말하기를, ‘재배하고 곡하라.’ 하면, 왕세자 이하 자리에 있던 자는 모두 재배하고 곡하며, 또 재배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봉사(奉辭)하기를 마치고, 판통례는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로 돌아오고, 지통례는 왕세자를 인도하여 악차에 돌아오고, 통례문은 여러 관원을 인도하여 반(班)으로 옮기게 되면, 반수(班首)는 이름을 올려 봉위(奉慰)하기를 마친다.
판통례는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로 나가게 하고, 유사(攸司)는 후토(后土)에 제사지내기를 의식과 같이 하고, 집사자는 명기(明器)도 넣고 지석(誌石)도 묻는다, 선공감(繕工監)은 현궁(玄宮)을 자물쇠로 닫게 되고, 영의정과 사헌(司憲) 한 사람은 함께 서서 현궁을 닫는 것을 감독하게 되고, 공조 판서는 흙 아홉 삽(鍤)을 떠서 덮고, 유사(攸司)는 작공(作工)을 거느리고 계속하여 일을 끝마친다. 유거 및 순 등속은 백성(栢城) 안 경지(庚地)에 불사르게 되는데, 인신(人臣)에 통용될 만한 것을 불사르지 않는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6책 17권 7장 B면【국편영인본】 2책 492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禮曹啓發引班次及遷奠儀。 其發引班次曰:
射牌三在後, 【旗纛、錚鼓如常, 餘牌同。】 次槍牌一, 次監察二, 次文武群官, 次宗室, 次王世子, 【僚屬導從如常儀】 次侍臣, 次行首內侍, 次備身扶策, 次承政院, 次忠義衛、別侍衛、節制使, 次都鎭撫, 三麾錚鼓。 兵曹掌軍節制使及鎭撫分立, 次槍牌, 次標旗、兵曹鎭撫, 次左右司禁、節制使及內禁衛、內侍衛、各番節制使軍官, 次衣襨差備及內速古赤, 次備身及笏分立, 次步甲士中立, 別笏、別雲劍居中分立, 環刀步甲士左右分立, 丹槍步甲士左右分立, 司禁左右分立, 【司禁自此至別侍衛分立處, 分立如儀】 次素陽扇二居中分立, 環刀步甲士左右分立, 丹槍步甲士左右分立, 次環刀步甲士左右分立, 次丹槍步甲士左右分立, 次大駕, 次環刀步甲士左右分立, 丹槍步甲士左右分立, 次素陽繖中立, 環刀鎖字步甲士左右分立, 丹槍光甲步甲士左右分立, 內禁衛一二番左右分立, 次雲劍居中分立, 內禁衛一二番左右分立, 次別闕達中立, 內禁衛三番分半左右分立, 次尙瑞司中立, 忠義衛一二番左右分立, 次闕達中立, 忠義衛三四番左右分立, 次吹螺赤居中分立, 別侍衛左右一二番左右分立, 次應從靈駕國葬都監、殯殿都監, 次司禁左右分立, 【自此至吉仗分立如儀】 次仁壽府祿官, 次行首牽龍, 次內官, 次宮人, 【障以行帷】 次黼翣二左右分立, 【牽龍奉持】 次柳車, 次黻翣二、畫翣二 【牽龍奉持】 於柳車左右, 分立障梓宮, 次執鐸司馬十六人 【護軍】 左右翣外分立, 次銘旌中立, 【仁壽府祿官奉持】 次羽葆中立, 【繕工監官員奉持】 次執望燭內官二十人左右分立, 列於儀仗內, 【凡燭炬皆天明而止。】 次執望燭權務四百八十人左右分立, 列於儀仗內, 次炬火五百, 列於左右吉仗、凶仗之外, 次肩輿中立, 次哀冊腰輿中立, 【仁壽府知印率舁夫舁擔。】 次服玩腰輿中立, 【上同】 次明器腰輿五居中(右)〔左〕 右分立, 【上同】 次靑繡鞍馬十在左, 紅繡鞍馬十在右, 次竹鞍馬十左右分立, 次竹散馬二左右分立, 次挽詞四十左右分立, 【別例加十五道, 摠五十五道。】 次方相氏車四左右分立, 次火鐵籠四十連望燭左右分立, 次後殿大旗二左右分立, 玄武旗中分, 【近仗奉持】 次靑陽扇二居中左右分立, 【上同】 次魂帛車, 次香亭子中分立, 白燭籠二左右分立, 【權務奉持】 次紅陽繖中立, 【行首奉持】 次上馬臺中分, 次靑燭籠二左右分立, 【權務奉持】 次魂帛輿中立, 次紅燭籠二左右分立, 【權務奉持】 次諡冊寶腰輿、平時冊寶腰輿居中分立, 【仁壽府知印率舁夫舁擔】 次假水精杖在左, 金鉞斧在右, 次龍扇二左右分立, 【近仗奉持下竝同】 次雀扇十左右分立, 次紅蓋二居中分立, 次鳳扇八左右分立, 次靑蓋二居中左右分立, 次金鼓各一居中左右分立, 次假金鉞斧四、假銀鉞斧四, 相間左右分立, 次平兜輦中立, 次旌四左右分立, 次旄節四左右分立, 次罕在左畢在右, 次靑陽繖二居中分立, 次假金斫子四、假銀斫子四, 相間左右分立, 次交交(倚)〔椅〕 中立, 【踏掌具】 次金骨朶子六、銀骨朶子六, 相間左右分立, 次金皷各一居中分立, 次幢四左右分立, 次灌子盂子中立, 次金粧刀二左右分立, 次交椅中立, 【踏掌具】 次銀粧刀二左右分立, 次君王千歲旗中立, 次金鐙十左右分立, 次碧鳳旗二居中分立, 次哥舒奉十左右分立, 次鼓字旗在左, 金字旗在右, 次駕龜仙人旗二居中分立, 令字旗二左右分立, 次熊骨朶子六左右分立, 次金鼓各一居中分立, 次豹骨朶子六左右分立, 次玄鶴旗在左, 白鶴旗在右, 次龍馬旗二左右分立, 次天下太平旗中立, 次角(瑞)〔端〕 旗二左右分立, 次〔三〕 角旗二左右分立, 次白澤旗二左右分立, 次朱雀旗中立, 次丁丑旗在左, 丁亥旗在右, 次丁酉旗在左, 丁卯旗在右, 次丁未旗在左, 丁巳旗在右, 次朱雀旗在右, 次靑龍旗在左, 白虎旗在右, 次金皷各一居中分立, 次玄武旗在左, 黃龍旗在右, 次紅門大旗二左右分立, 紅蓋中立前導, 次槍牌二, 次射牌三。
遷奠儀曰:
前一日, 忠扈衛設靈帳殿及吉帷宮於玄宮之西, 南向, 【帷宮在帳殿之西】 設殿下幄次於吉帷宮之西南, 東向, 設王世子次於其南, 皆隨地之宜。 其日, 執事者設榻於靈帳殿近北, 設靈座於榻前, 設諡冊寶、哀冊案於靈座前稍東。 通禮門設殿下版位於靈帳殿之南, 北向, 設王世子位於殿下版位之後近南, 北向, 宗室以下文武群官位又於其南, 文東武西, 中心爲頭, 異位重行, 俱北向。 【宗室於道西, 在前行】 執事者奠祝版於靈座之左, 設香爐、香合幷燭於靈座前, 設尊於靈帳殿東南, 北向, 設洗於靈帳殿之外東南, 北向, 諸執事洗又於東南, 北向。 方相至, 入壙以戈擊玄宮四隅。 明器筲八、甖三、甒二、彤矢八、笮一、彤弓一、甲一、冑一、干一、戈一、几杖各一、蓋一、鍾十二、磬十二、壎一、簫一、笙一、箎一、柷一、敔一、琴一、瑟一、竽一、羽籥干楯各一、瓦竈二、瓦釜二、瓦甑一、瓦鼎十二、匏勺一、瓦酒尊二、匏勺一、瓦盃十、籩十二、豆十二、簠二、簋二、尊二、食鉢一、羹鉢一、匙楪一、饌楪一、炙楪一、蔬菜脯醢楪十二、酒甁一、食托一、匙筯各一、食卓一、盥盤一、盥匜一、香合一、香椀一、唾盂一、溷甁一、溲器一、木鞍馬二、木散馬二、竹鞍馬十、 【柳車一時焚之】 竹散馬二、 【柳車一時焚之】 木奴婢各五十、木鄕唐樂人二十、贈帛 【玄六纁四】 贈玉一、段冕ㆍ玉圭ㆍ靑衣ㆍ纁裳ㆍ綬ㆍ中單ㆍ蔽膝ㆍ玉佩ㆍ大帶ㆍ赤舃ㆍ紅襪ㆍ笞衣ㆍ手巾ㆍ鏡一、梳函ㆍ土藤箱子三、假金竿子一、假銀竿子二等至, 陳於玄宮東南, 北上。 魂帛車至, 大祝奉魂帛函, 就靈帳殿, 安於靈座, 虞主匱置其後。 執事者奉諡冊寶及哀冊及平時所封冊寶, 置於案上。 柳車至, 攝判通禮進當柳車前跪, 啓請降車陞輴, 啓訖俛伏興。 戶曹判書率舁梓宮官及小臣, 奉梓宮升輴。 攝判通禮前導梓宮, 奉翣者以翣障梓宮, 挽士奉輴至靈帳殿前, 舁梓宮官及小臣奉梓宮, 安於榻上, 南首。 執事者取銘旌, 去杠置其上。 判通禮進輦前跪, 啓請降輦, 殿下降輦。 判通禮導殿下, 權歸幄次卽座, 知通禮引王世子就次。 時至, 執事者盥手, 洗盞拭盞, 置於尊所, 奉饌升奠于靈座前。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入就位。 立定, 知通禮引王世子入就位。 禮曹判書進當幄前跪, 啓請行禮, 啓訖俛伏興, 判通禮導殿下出幄, 詣版位北向立。 判通禮啓請再拜哭, 殿下再拜哭盡哀。 典儀曰再拜哭, 王世子以下在位者皆再拜哭盡哀。 判通禮導殿下, 詣盥洗位盥帨訖, 導殿下詣靈座前北向立, 跪三上香。 【進香、進爐、奠香、奠爐皆近侍爲之。】 近侍進茶酒, 殿下酹茶三奠酒。 【奠酒亦近侍爲之。】 判通禮啓請俛伏興, 小退跪, 大祝進靈座之左, 西向跪, 讀祝文訖, 判通禮啓請俛伏興, 再拜哭, 殿下俛伏興, 再拜哭盡哀。 典儀曰再拜哭, 王世子以下在位者皆再拜哭盡哀。 判通禮導殿下還幄次, 知通禮引王世子還次,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以次出。 前期, 通禮門設殿下奉辭位於羨 【音衍墓道也】 道之南, 西向。 設王世子位於其南, 西向。 宗室以下文武群官位又於其南近東, 異位重行, 俱西向北上。 又設領議政進冊位於羨道東南, 西向, 奉哀冊官位又於其南小退, 西向。 書雲觀報時, 【有司設安梓宮褥位於玄宮門外南向】 攝判通禮當靈帳殿前跪, 啓請升輴卽玄宮, 啓訖俛伏興小退。 大祝以腰輿奉魂帛, 就吉帷宮, 安於靈座, 虞主匱置其後。 工曹判書以巾進拭梓宮, 幷拂棺衣。 戶曹判書率舁梓宮官及小臣, 奉梓宮升輴。 攝判通禮前導梓宮, 奉翣者以翣障梓宮, 挽士奉輴將卽玄宮。 判通禮導殿下, 出幄哭從, 知通禮引王世子, 通禮門引宗室以下文武群官, 皆哭從。 奉禮郞引領議政及奉哀冊官, 就羨道東南位, 西向立, 奉梓宮入自羨道, 安於玄宮內榻褥上, 北首。 【將入玄宮之時, 安於門外褥上。 戶曹判書察其上下。】 工曹判書再整棺衣、銘旌, 令平正。 領議政以哀冊入, 跪奠於梓宮之西於玄宮外。 近侍以贈帛玄六、纁四及贈玉奉進, 殿下執帛贈玉, 授近侍, 置于梓宮之旁, 黼翣、黻翣、畫翣亦樹於梓宮之旁。 群官各就奉辭位, 判通禮導殿下詣奉辭位, 啓請再拜哭, 殿下再拜哭, 又再拜哭盡哀。 典儀曰再拜哭, 王世子以下在位者皆再拜哭, 又再拜哭盡哀。 奉辭訖, 判通禮導殿下還幄次, 知通禮引王世子還次。 通禮門引群官移班, 班首進名奉慰訖, 判通禮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以次出。 攸司祠后土如儀, 執事者藏明器、下誌石, 繕工監鏁閉玄宮, 領議政、司憲一人竝監鏁閉玄宮, 工曹判書覆土九鍤, 攸司率作工, 續以終事。 柳車及輴之屬於栢城內庚地焚之, 其通人臣用者則不焚。
- 【태백산사고본】 6책 17권 7장 B면【국편영인본】 2책 492면
- 【분류】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