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조에서 올린 왕세자의 입학하는 의식과 속수의 의식에 관한 소문
예조에서 왕세자의 입학하는 의식과 속수(束脩)141) 의 의식을 계하였는데, 입학하는 의식은,
"하루 전날에, 유사(攸司)가 문묘의 전당(殿堂)과 학당(學堂)의 안팎을 소제한다. 충호위(忠扈衛)에서 왕세자의 편차(便次)를 문묘 문밖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유사가 왕세자의 판위(版位)를 문묘 동계(東階)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집사자의 자리는 왕세자의 판위 뒤에 조금 남쪽으로 서향하여 설치하되, 【집사자는 모두 학생으로써 이에 충당한다. 】 등(等) 마다 자리를 다르게 하고, 모두 줄을 겹으로 하고 서향하게 하며, 북쪽을 윗자리로 한다. 찬자 두 사람의 자리는 당(堂) 아래에 설치하되, 모두 동쪽 가까이 서향하게 하고, 북쪽을 윗자리로 한다. 학생의 자리는 뜰 가운데 설치하되, 북향하게 하고 서쪽을 윗자리로 한다. 묘사(廟司)와 전사관(典祀官)이 각기 그 소속의 관원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대성 지성 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142) ·연국 복성공(兗國復聖公)143) ·성국 종성공(郕國宗聖公)144) ·기국 술성공(沂國述聖公)145) ·추국 아성공(鄒國亞聖公)146) 의 신위(神位) 앞에 제기(祭器)를 설치하되, 각 신위마다 왼쪽에는 변(籩) 한 그릇을 두고, 【녹포(鹿脯)를 담는다. 】 오른쪽에 두(豆) 한 그릇을 두며, 【녹해(鹿醢)를 담는다. 】 작(爵) 하나는 변두(籩豆) 앞에 두고, 희준(犧尊) 하나를 설치하되, 【청주(淸酒)를 담는다. 】 구기[勺]와 상보[幕]를 더하여 전(殿) 위의 동남 모퉁이에 두고, 【배위(配位)의 술그릇은 정위(正位) 술그릇의 동쪽에 가까이 둔다. 】 각기 향로와 향합과 촛대를 신위(神位) 앞에 설치한다.
또 전(殿) 안의 동쪽·서쪽의 종향(從享)과 두 낭무(廊廡)에 제기(祭器)를 설치하되, 각기 왼쪽에는 변(籩) 한 그릇을 두고, 【녹포(鹿脯)를 담는다. 】 오른쪽에는 두(豆) 한 그릇을 두며, 【녹해(鹿醢)를 담는다. 】 작 하나는 변두(籩豆) 앞에 둔다. 상준(象尊) 네 개를 설치하되, 하나는 전 위의 앞 기둥 동쪽에 두고, 하나는 앞 기둥 서쪽에 두고, 두 개는 두 낭무(廊廡)에 나누어 두며, 모두 구기와 상보를 더한다. 세(洗)는 동계의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하되, 【관세(盥洗)는 동쪽에 있고, 작세(爵洗)는 서쪽에 있다. 】 술그릇[罍]은 세의 동쪽에 두어 구기를 더하고, 광주리는 세의 서남쪽에 두어 수건을 담는다. 【만약 작을 씻는 그릇을 담는 광주리면, 또 작을 담는다. 점(坫)이 있다. 】 집사자의 세를 또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준(尊)·뇌(罍)·광주리·상보를 잡은 사람의 자리를 준·뇌·광주리·상보의 뒤에 설치한다. 궁(宮)을 나오는 그 날에 유사가 장위(仗衛)를 진설(陳設)하고, 왕세자가 시각에 의하여 편복(便服)으로 요여(腰輿)를 타고 나오면, 궁료(宮僚)와 여러 시종(侍從)이 의식대로 따른다. 작헌례(酌獻禮)는 행사(行事)하기 전에 묘사(廟司)와 전사관(典祀官)이 각기 그 소속 관원을 거느리고 들어와 찬구(饌具)에 제찬(祭饌)을 담는다. 이를 마치고 시각이 되면, 학생은 청금복(靑衿服)을 입고, 찬자 두 사람은 섬돌 사이의 배례하는 자리에 나아가서 북쪽을 향하되, 서쪽을 윗자리로 하여 네 번 절하기를 끝마치고, 자리로 나아간다. 집사들은 들어와서 배례하는 자리로 나아가, 줄은 겹으로 하고, 북쪽을 향하되 서향하여 선다. 찬자가 네 번 절하라고 큰 소리로 외치면, 집사는 네 번 절하고,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서 세수를 하고 손을 수건에 닦는다. 이를 마치면 학생이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고, 집사자가 작을 씻고 작을 수건에 닦아 광주리에 두고, 준소(尊所)로 나아가서 점(站) 위에 놓는다. 왕세자가 학생복을 입고 편차(便次)에서 나오면, 시위하기를 보통의 의식과 같이 한다. 상자(相者)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동문(東門)으로부터 나와 【시위(侍衛)가 들어오지 못할 사람은 문밖에서 그친다. 】 판위(版位)에 이르러 서쪽을 향하여 선다. 【매양 서기를 마치면, 상자(相者)는 물러서서 왼쪽에 선다. 】 상자가 앞으로 나아와서 네 번 절하기를 청하면, 왕세자가 네 번 절한다. 찬자가 네 번 절하라고 큰 소리로 외치면, 자리에 있는 사람이 모두 네 번 절한다. 【먼저 절한 사람은 절하지 않는다. 】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서 북쪽을 향하여 서게 하고, 세수를 하고 손을 수건에 닦게 한다.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동계로부터 올라가서 【좌우의 시위(侍衛)는 사람을 헤아려 따라 오른다. 】 준소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하고, 집준자(執尊者)가 상보를 들고 술을 따르면, 집사자가 작으로 술을 받는다.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문선왕의 신위 앞으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기를 청한다. 집사자 한 사람은 향합을 받들어 꿇어앉아서 올리고, 집사자 한 사람은 향로를 받들어 꿇어앉아서 올린다. 상자가 〈왕세자에게〉 세 번 향을 피우기를 청하고, 〈이를 마치면〉 집사자가 향로를 신위 앞에 올린다. 상자가 〈왕세자에게〉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기를 청하고,〈이를 마치면〉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지게문 밖으로 나가서, 배향위(配享位)의 준소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한다. 집사자가 상보를 들고 술을 따르면, 집사자 네 사람이 술잔으로 술을 받는다.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복성공(復聖公)·종성공(宗聖公)·술성공(述聖公)·아성공(亞聖公)의 신위 앞으로 나아가서, 예를 행하기를 모두 위의 의식과 같이 하게 한다. 배향위의 작헌례(酌獻禮)를 마치려 하면, 전(殿) 안의 종향(從享)과 두 낭무(廊廡)의 여러 신위 앞에서 전례(奠禮)를 돕는다. 이를 마치면,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동계로부터 내려와서 판위로 나아가게 한다. 상자가 네 번 절하기를 청하면, 왕세자가 네 번 절하고, 찬자가 네 번 절하라고 큰 소리로 외치면, 자리에 있는 사람이 모두 네 번 절한다.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문밖으로 나와 편차로 돌아오면, 시위하기를 보통의 의식과 같이 한다. 자리에 있던 사람이 차례로 나가면, 집사자는 모두 배례하는 자리로 돌아온다. 찬자가 네 번 절하라고 큰 소리로 외치면, 집사자가 네 번 절하고, 이를 마치면, 차례대로 나가고, 찬자 두 사람이 배례하는 자리로 나아가서 네 번 절하고 밖으로 나간다."
하였다. 속수(束脩)의 의식은,
"그 날에 왕세자가 학생복을 입고 학당(學堂)의 문밖에 이르는데, 속백(束帛) 【세 필. 】 , 술 한 병 【두 말. 】 수(脩)147) 한 상[案] 【다섯 정(脡). 】 이다.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문 동쪽에 서서 서향하게 하고, 비단 광주리와 포상(脯床)과 술병을 왕세자의 서남쪽에 문 가까이 북향하여 진설(陳設)하되, 줄을 겹으로 하고 서쪽을 윗자리로 한다. 박사(博士)가 공복(公服)을 갖추고 있는데, 집사자가 박사를 인도하여 학당(學堂) 동계 위에 서향하여 서게 한다. 명령을 전달하는 사람이 문 서쪽에 서서 동향하여 아뢰기를, ‘감히 행사(行事)하기를 청합니다.’ 하면, 왕세자가 조금 앞으로 나아가서 말하기를, ‘아무가 지금 선생님에게 수업(受業)하려고 감히 뵈옵기를 청합니다.’ 한다. 명령을 전달하는 사람이 들어가서 박사에게 알리면, 박사가 말하기를, ‘아무는 덕이 없으니, 청컨대 왕세자는 욕됨이 없게 하소서.’ 한다. 명령을 전달하는 사람이 나와서 알리면, 왕세자가 굳이 청한다. 박사가 말하기를, ‘아무가 덕이 없는데, 왕세자께서 자리에 나아가시면, 아무가 감히 뵈옵겠습니다.’ 한다. 명령을 전달하는 사람이 나와서 알리면, 왕세자가 말하기를, ‘아무가 감히 빈객(賓客)대하는 예(禮)로써 볼 수는 없으니, 마침내 뵈옵게 하도록 청합니다. ’라고 한다. 명령을 전달하는 사람이 들어가서 알리면, 박사가 말하기를, ‘아무가 사양하여도 허락하지 않으므로, 감히 명령대로 따르겠습니다.’ 한다. 명령을 전달하는 사람이 나와서 알리면, 폐백 광주리를 잡은 사람이 광주리를 가지고 동향하여 왕세자에게 주고, 왕세자는 광주리를 잡는다. 박사가 동계 아래로 내려 와서 서쪽을 보고 서면, 상자(相者)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집사자가 술병과 포상(脯床)을 받들어 따른다. 왕세자가 문에 들어가 왼쪽으로 가서 서계 남쪽으로 나아가 동쪽을 보고 서면, 술과 포(脯)를 받든 사람이 왕세자의 서남쪽에 서서 동쪽을 보고 서는데, 북쪽을 윗자리로 한다. 왕세자가 꿇어앉아 폐백 광주리를 올리고 두 번 절하면, 박사가 답례(答禮)로써 두 번 절하는데, 왕세자는 이를 피한다. 드디어 앞으로 나아가서 꿇어앉아 폐백 광주리를 취하면,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박사의 앞으로 나아가서 동향하여 폐백을 주게 하고, 술과 포상을 받든 사람은 따라가서 박사 앞에 올린다. 박사가 폐백을 받으면, 집사자가 술·포(脯)·폐백을 가지고 동쪽으로 간다.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섬돌 사이 남쪽 가까이 서서 북향하게 하면, 술과 포를 받든 사람이 나온다. 왕세자가 두 번 절하고 이를 마치면,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나가 막차(幕次)에 나아가서 기다린다. 박사가 예복(禮服)을 벗고 당(堂)에 올라 자리에 나아가면, 【자리는 학당 동쪽 벽 아래에 서쪽을 향하여 있다. 】 상자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박사 앞으로 나아가서 경서(經書)를 강(講)하기를 보통의 의식과 같이 한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5책 14권 17장 A면【국편영인본】 2책 469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왕실-경연(經筵) / 의생활-관복(官服) / 교육-특수교육(特殊敎育)
- [註 141]속수(束脩) : 처음으로 스승을 뵈올 때에 가지고 간 예물(禮物)이니, 즉 스승을 뵙는 예(禮)를 이른 말임.
- [註 142]
대성 지성 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 : 공자.- [註 143]
연국 복성공(兗國復聖公) : 안자.- [註 144]
성국 종성공(郕國宗聖公) : 증자.- [註 145]
○禮曹啓王世子入學儀及束脩儀。
入學儀曰: 前一日, 攸司灑掃廟殿及學堂之內外, 忠扈衛設王世子便次於廟門外西向。 有司設王世子版位於廟東階東南, 西向, 設執事者位於王世子版位之後稍南, 西向, 【執事者皆以學生充之。】 每等異位, 俱重行西向, 北上, 設贊者二人位於堂下, 俱近東, 西向北上; 設學生位於庭中, 北向西上。 廟司及典祀官各率其屬, 入設祭器於大成至聖文宣王、兗國 復聖公、郕國 宗聖公、沂國 述聖公、鄒國 亞聖公神位之前, 每位各左一籩, 【實以鹿脯】 右一豆, 【實以鹿醢】 爵一在籩豆前。 設犧樽一, 【實以淸酒】 加勺羃, 在殿上東南隅。 【配位酒尊, 卽於正位尊所之東。】 各設香爐、香合幷燭於神位前, 又設殿內東西從享及兩廡祭器, 各左一籩, 【實以鹿脯】 右一豆, 【實以鹿醢】 爵一在籩豆前。 設象尊四, 一在殿上前楹東, 一在前楹西, 其二分兩廡, 俱加勺冪。 設洗於東階東南, 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 肆實以巾。 【若爵洗之篚則又實以爵, 有坫。】 設執事者洗又於東南, 北向, 執尊罍篚冪者位於尊罍篚冪之後。
出宮。 其日, 攸司陳設仗衛。 王世子依時刻, 便服乘腰輿以出, 宮僚及諸侍從如儀。 酌獻未行事前, 廟司及典祀官各帥其屬, 入實饌具畢。 時至, 學生服靑衿服。 贊者二人就階間拜位, 北向西上, 四拜訖就位。 執事者入就拜位, 重行北向西上。 立定, 贊者喝四拜, 執事者四拜, 詣盥洗位盥帨訖, 學生入就位。 執事者洗爵拭爵, 置於篚, 奉詣尊所, 置於坫上。 王世子服學生服出次, 侍衛如常儀。 相者引王世子, 入自東門, 【侍衛不應入者, 止於門外。】 至版位西向立, 【每立定, 相者退立於左。】 相者前, 贊請四拜, 王世子四拜。 贊者喝四拜, 在位者皆四拜。 【先拜者不拜】 相者引王世子詣盥洗位北向立盥帨訖, 相者引王世子, 升自東階, 【左右侍衛量入從升。】 詣尊所西向立, 執尊者擧冪酌酒, 執事者以爵受酒。 相者引王世子, 詣文宣王神位前北向立, 贊請跪, 執事者一人奉香合跪進, 執事者一人奉香爐跪進, 相者贊請三上香, 執事者奠爐于神位前, 相者贊請俛伏興。 相者引王世子出戶, 詣配位尊所西向立, 執事者擧冪酌酒, 執事者四人以爵受酒。 相者引王世子, 詣復聖公、宗聖公、述聖公、亞聖公神位前, 行禮竝如上儀。 當配位酌獻將畢, 殿內從享及兩廡諸神位前助奠訖, 相者引王世子, 降自東階, 就版位, 相者贊請四拜, 王世子四拜。 贊者喝四拜, 在位者皆四拜。 相者引王世子, 出門還便次, 侍衛如常儀, 在位者以次出。 執事者俱復拜位, 贊者喝四拜, 執事者四拜訖, 以次出。 贊者二人就拜位, 四拜而出。
束脩儀:
其日, 王世子服學生服, 至學門外, 束帛、 【三匹】 酒一壺、 【二斗】 脩一案 【五脯】 。 相者引王世子, 立於門東西面, 陳帛篚、脩篚案、酒壺於王世子西南, 當門北向, 重行西上。 博士具公服, 執事者引立於學堂東階上西面。 將命者出, 立門西, 東向曰: "敢請事。" 王世子少進曰: "某方受業於先生, 敢請見。" 將命者入告, 博士曰: "某也不德, 請王世子無辱。" 將命者出告, 王世子固請, 博士曰: "某也不德, 請王世子就位, 某敢見。" 將命者出告, 王世子曰: "某不敢以視賓客, 請終賜見。" 將命者入告, 博士曰: "某辭不得命, 敢不從?" 將命者出告, 執篚者以篚東面, 授王世子, 王世子執篚。 博士降, 伺于東階下西面, 相者引王世子, 執事者奉酒壺、脩案以從。 王世子入門而左詣西階南, 東面, 奉酒脩者立於王世子西南, 東面北上。 王世子跪奠篚再拜, 博士答再拜。 王世子還避, 遂進跪取篚, 相者引王世子, 進博士前, 東面授幣, 奉酒脩案者從奠於博士前, 博士受幣。 執事者取酒脩幣以東, 相者引王世子, 立於階間近南北面, 奉酒脩者出。 王世子再拜訖, 相者引王世子, 出就幕次以俟。 博士釋服, 升堂就座, 【在學堂東壁下, 西向。】 相者引王世子, 詣博士前, 講經如常儀。
- 【태백산사고본】 5책 14권 17장 A면【국편영인본】 2책 469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왕실-경연(經筵) / 의생활-관복(官服) / 교육-특수교육(特殊敎育)
- [註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