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조의 원경 왕태후의 상제의 의식에 관한 소문
예조에서 원경 왕태후(元敬王太后)의 상제(祥祭)·담제(禫祭)의 의식(儀式)을 계하였는데, 그 상제(祥祭)의 의식에 이르기를,
"기일 전에 상의원(尙衣院)에서 담복(禫服)을 【참포의(黲布衣)·오사모(烏紗帽)·흑각대(黑角帶)이다. 참(黲)은 《운회(韻會)》에 엷은 푸르고 검은 색이라고 했다. 】 재전(齋殿)에 진열하고, 통례문이 전하의 판위(版位)를 동계의 동남쪽에 서향으로 설치하고, 아헌관과 종헌관의 자리를 전하의 판위의 뒤에 남쪽 가까이 서향으로 설치하되, 북쪽을 윗자리로 하고, 집사자의 자리는 그 뒤에 설치하되, 관위(官位)가 다르면, 줄은 겹으로 하며, 모두 서향으로 하고 북쪽을 윗자리로 한다. 집례의 자리는 동의 서남쪽에 서향으로 설치하고, 알자·찬자·찬인은 남쪽에 조금 뒤로 물러가서 모두 서향으로 하되, 북쪽을 윗자리로 한다. 【만약 내정(內庭)이 협착하면, 찬자의 자리는 외정(外庭) 동계의 서남쪽에 서향으로 설치한다. 】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의 자리는 외정(外庭)에 설치하되, 문관은 동쪽에, 무관은 서쪽에 서게 하며, 중심이 머리가 되고, 관위가 다르면, 줄은 겹으로 하여 모두 북향하게 한다. 감찰(監察) 자리 둘을 동·서반(東西班)의 뒤에 북향으로 설치하고, 서리(書吏)는 각기 그 뒤에 배석(陪席)하게 한다. 전사관이 그 관속을 거느리고 축판(祝版)을 영좌(靈座)의 오른편에 드리고, 【점(坫)이 있다. 】 폐백 광주리는 준소(尊所)에 두고, 향로·향합(香合)과 촛불까지 영좌 앞에 설치하고, 다음에 제기(祭器)와 찬구(饌具)를 설치하고, 준소는 지게문 밖 왼편에 설치하되, 【현주(玄酒)는 서쪽에 있다. 】 모두 국자와 보자기를 올려놓고 북향으로 하며, 서쪽을 윗자리로 한다. 세(洗)는 동계의 동남쪽에 북향으로 설치하되, 【관세는 동쪽에 있고, 작세는 서쪽에 있다. 】 술그릇[罍]은 세의 동쪽에 두되, 국자를 올려놓고, 광주리는 세의 서남쪽에 두되, 수건을 펴서 담아 놓는다. 【만약 작을 씻는 광주리면, 또 작을 담아 놓는다. 】 아헌관·종헌관의 관세는 또 동남쪽에 북향으로 설치하되, 【관세는 동쪽에 있고, 작세는 서쪽에 있다. 】 술그릇[罍]은 세의 동쪽에 두되, 국자를 올려놓고, 광주리는 서남쪽에 두되, 수건을 펴서 담아 놓는다. 【만약 작을 씻는 광주리면, 또 작을 담아 놓는다. 】 여러 집사의 관세는 아헌관 종헌관의 세(洗) 동남쪽에 북향으로 설치한다. 시각이 되면, 전사관이 그 관속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제수(祭需)를 찬구(饌具)에 담아 올리고, 이를 마치면, 여러 제관과 제향에 배석(陪席)한 많은 관원이 모두 전문(殿門) 밖에 나간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재전(齋殿)에 나아가서 자리에 앉게 하고, 집례·대축·알자·찬자·찬인이 들어와서 전정(殿庭)의 배위에 나아가서, 줄은 겹으로 하고 북향으로 서되, 서쪽을 윗자리로 하여 재배하고, 각기 제자리로 나아간다.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의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고, 알자가 아헌관·종헌관을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간다. 대축이 궤를 열고 신주(神主)를 받들어 내어 자리에 설치하고, 푸른 모시 수건으로 덮는다. 예조 판서가 재전(齋殿) 앞에 나아가서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꿇어앉아 전하에게 들어가서 곡하기를 계청하고, 계(啓)하기를 마치면,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재전에서 나와, 판위(版位)에 나아가서 서향으로 서게 하고, 판통례가 전하에게 재배하고 곡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두 번 절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집례가 ‘재배하고 곡하라.’ 말하면, 【무릇 집례가 말을 하면 찬자(贊者)가 모두 전갈한다. 】 자리에 있던 관원은 모두 두 번 절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재전으로 돌아가고, 알자가 아헌관·종헌관을 인도하여 나가고,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의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로 나간다. 예조 판서가 재전 앞에 나아가서 구부렸다가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꿇어앉아 담복(禫服)을 입기를 계청하고, 계하기를 마치면,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전하가 담복을 입고,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이 모두 담복을 입고, 집례가 알자·찬자·찬인을 거느리고 먼저 전정(殿庭)의 배위에 나아가서 겹줄고 서되, 북향으로 하고 서쪽을 윗자리로 하여 사배하고, 각기 제자리로 나아간다. 찬인이 전사관·대축·재랑을 인도하여 들어와서 전정의 배위에 나아가서 선다. 집례가 ‘사배하라.’ 말하면, 전사관 이하의 관원이 모두 네 번 절한다. 찬인이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서 손을 씻고 닦게 하며, 이를 마치면, 각기 자리에 나아가고, 통례문이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간다. 알자가 아헌관·종헌관을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간다. 집사자가 작세위에 나아가서 찬(瓚)을 씻어 수건으로 닦고, 작을 씻어 수건으로 닦아 광주리에 두고, 받들어 준소에 나아가서 점(坫) 위에 둔다. 예조 판서가 재전(齋殿) 앞에 나아가서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꿇어앉아 행례(行禮)하기를 계청하여, 이를 마치면,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재전에서 나와, 판위(版位)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하고, 판통례가 전하에게 사배하고 곡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네 번 절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집례가 ‘사배하고 곡하라.’ 말하면, 자리에 있던 관원이 모두 네 번 절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먼저 절한 자는 절하지 아니한다. 】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내시가 꿇어앉아 대야를 쥐고 일어나서 물을 붓고, 또 내시가 꿇어앉아 반을 들고 물을 받는다. 전하가 손을 씻으면, 내시가 꿇어앉아 광주리에서 수건을 가져다가 올린다. 전하가 손을 닦고 이를 마치면, 내시가 수건을 받아 광주리에 놓는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로 올라가서 【근시(近侍)와 내시가 따라 올라간다. 】 준소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하고, 집준자가 보를 들고 울창을 따르면, 근시가 찬으로 술을 받는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영좌 앞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한 후, 꿇어앉기를 계청하고, 근시 한 사람은 향로를 받들고, 한 사람은 향합을 받들어 꿇어앉아 올린다. 판통례가 전하에게 세 번 향을 올리기를 계청하고, 〈이를 마치면〉 근시가 향로를 향안에 놓는다. 근시가 찬을 꿇어앉아 올리고, 판통례가 전하에게 찬을 잡아 술을 땅에 붓기를 계청하여, 이를 마치면, 전하가 찬을 근시에게 주고, 근시가 받아서 대축에게 준다. 근시가 꿇어앉아 폐백 광주리를 올리고, 판통례가 전하에게 폐백을 잡아서 드리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폐백을 근시에게 주어 영좌 앞에 드리게 한다. 【무릇 향을 올리고, 찬을 올릴 적에는 모두 동쪽에 서서 서향하고, 향로를 드리고, 찬을 받고, 폐백을 드릴 적에는 모두 서쪽에 서서 동향한다. 작을 올리고, 작을 드리는 것도 이에 준한다. 】 판통례가 전하에게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조금 뒤로 물러서서 재배하고 곡하기를 계청하고,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로 내려와서 제자리에 돌아간다. 조금 후에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로 올라가서 준소(尊所)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하고, 집준자가 보자기를 들고 술을 따르면, 근시가 작으로 술을 받는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영좌 앞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한 후, 전하에게 꿇어앉기를 계청하고, 근시가 작을 꿇어앉아 올린다. 판통례가 전하에게 작을 잡아 드리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작을 근시에게 주어 영좌 앞에 드리게 한다. 판통례가 전하에게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조금 뒤로 물러서서 북향하여 꿇어앉기를 계청하고, 대축이 영좌의 오른편에 나아가서 동향하여 꿇어앉아 축문(祝文)을 읽는다. 이를 마치면, 판통례가 전하에게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재배하기를 계청하고, 〈이를 마치면〉 전하를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알자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손을 씻고 손을 닦게 한다. 이를 마치면, 알자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동계로 올라가서 준소(尊所)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하고, 집준자가 보자기를 들고 술을 따르면, 집사자가 작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영좌 앞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게 한다. 집사자가 작을 아헌관에서 주면, 아헌관이 작을 잡아 작을 드리는데, 아헌관이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 영좌 앞에 드리게 한다. 알자가 아헌관에게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뒤로 조금 물러서서 재배하고 곡할 것을 알리고, 〈이를 마치면〉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알자가 종헌관을 인도하여 행례(行禮)하기를 아헌관이 행한 의식(儀式)과 같이 하고,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판통례가 전하에게 사배하고 곡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네 번 절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집례가 ‘사배하고 곡하라.’ 말하면, 자리에 있던 관원이 모두 네 번 절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예조 판서가 꿇어앉아 예(禮)를 마쳤다고 계하고, 구부렸다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계하기를 마치면,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재전(齋殿)으로 돌아가고, 알자가 아헌관·종헌관을 인도하여 나가고, 통례문이 제향에 배석(陪席)했던 여러 관원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로 나간다. 찬인이 전사관 이하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모두 배위로 돌아가서 서고, 집례가 ‘사배하라.’ 말하면, 전사관 이하 여러 집사가 모두 네 번 절한다. 찬인이 차례로 인도하여 나가고, 대축이 신주(神主)를 들여 놓기를 의식(儀式)과 같이 한다. 집례가 알자·찬자·찬인을 거느리고 배위에 나아가서 네 번 절하고 나간다. 전사관이 그 관속을 거느리고 제찬(祭饌)을 거두고, 축문과 폐백은 구덩이에 묻는다. 많은 관원이 반열(班列)을 옮겨 동반수(東班首)에게 가까이 가서, 이름을 올려서 받들어 위로한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4책 12권 16장 A면【국편영인본】 2책 438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의생활-예복(禮服)
○禮曹啓元敬王太后祥祭、禫祭儀。 其祥祭儀曰:
前期, 尙衣院陳禫服 【黲布衣、烏紗帽、黑角帶。 黲, 韻會, 淺靑黑色。】 于齋殿。 通禮門設殿下版位於東階東南, 西向, 設亞獻官、終獻官位於殿下版位之後近南, 西向北上, 執事者位於其後, 異位重行, 俱西向北上, 設執禮位於東階西南, 西向, 謁者、贊者、贊引在南小退, 俱西向北上; 【若內庭窄狹, 則設贊者位於外庭東階西南, 西向。】 宗室以下文武群官位於外庭, 文東武西, 中心爲頭, 異位重行, 俱北向, 設監察位二於東西班後, 北向, 書吏各陪其後。 典祀官率其屬, 奠祝版於靈座之右, 【有坫】 陳幣篚於尊所, 設香爐、香合幷燭於靈座前, 次設祭器, 實饌具, 設尊所於戶外之左, 【玄酒在西】 皆加勺羃, 北向西上, 設洗於東階東南, (向北)〔北向〕 , 【盥洗在東, 爵洗在西。】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 肆實以巾, 【若爵洗之篚則又實以爵】 亞終獻洗又於東南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罍在洗東加勺, 篚在西南, 肆實以巾, 【若爵洗之篚則又實以爵】 設諸執事盥洗於亞終獻洗東南, 北向。 時至, 典祀官帥其屬, 入實饌具畢, 諸享官及陪祭群官皆就殿門外。 判通禮導殿下, 詣齋殿卽座, 執禮、大祝、謁者、贊者、贊引入就殿庭拜位, 重行北向, 西上再拜, 各就位。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 入就位, 謁者引亞獻官、終獻官入就位。 大祝開匱, 奉出神主, 設於座, 覆以靑苧巾。 禮曹判書進當齋殿前, 俛伏興跪, 啓請入哭, 啓訖, 俛伏興。 判通禮導殿下, 出齋殿, 詣版位, 西向立, 判通禮啓請再拜哭, 殿下再拜哭盡哀。 執禮曰再拜哭, 【凡執禮有辭, 贊者皆傳喝。】 在位者皆再拜哭盡哀。 判通禮導殿下還齋殿, 謁者引亞獻官、終獻官出,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以次出。 禮曹判書進當齋殿前, 俛伏(興)跪, 啓請服禫服, 啓訖俛伏興。 殿下服禫服, 宗室以下文武群官, 皆服禫服。 執禮帥謁者、贊者、贊引, 先就殿庭拜位, 重行北向, 西上四拜, 各就位。 贊引引典祀官、大祝、齋郞, 入就殿庭拜位。 立定, 執禮曰四拜, 典祀官以下皆四拜。 贊引引諸執事, 詣盥洗位, 盥帨訖, 各就位,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入就位, 謁者引亞獻官、終獻官入就位。 執事者詣爵洗位, 洗瓚拭瓚, 洗爵拭爵, 置於篚, 奉詣尊所, 置於坫上。 禮曹判書進當齋殿前俛伏(興)跪, 啓請行禮, 啓訖, 俛伏興。 判通禮導殿下, 出齋殿, 詣版位西向立, 判通禮啓請四拜哭, 殿下四拜哭盡哀。 執禮曰四拜哭, 在位者皆四拜哭盡哀。 【先拜者不拜】 判通禮導殿下, 詣盥洗位, 北向立, 內侍跪, 取匜興沃水, 又內侍跪, 取盤承水, 殿下盥手。 內侍跪, 取巾於篚以進, 殿下帨手訖, 內侍受巾, 奠於篚。 判通禮導殿下, 升自東階, 【近侍內侍從升】 詣尊所西向立, 執尊者擧羃酌鬱鬯, 近侍、以瓚受酒, 判通禮導殿下, 詣靈座前北向立, 啓請跪, 近侍一人奉香爐, 一人奉香合跪進, 判通禮啓請三上香, 近侍奠爐于案。 近侍以瓚跪進, 判通禮啓請執瓚灌地訖, 以瓚授近侍, 近侍受以授大祝。 近侍以幣篚跪進, 判通禮啓請執幣獻幣, 以幣授近侍, 奠于靈座前。 【凡進香進瓚皆在東西向, 奠爐受瓚奠幣, 皆在西東向。 進爵奠爵準此。】 判通禮啓請俛伏興, 小退再拜哭, 導殿下降自東階復位。 小頃, 判通禮導殿下, 升自東階, 詣尊所西向立, 執尊者擧羃酌酒, 近侍以爵受酒。 判通禮導殿下, 詣靈座前, 北向立, 啓請跪, 近侍以爵跪進, 判通禮啓請執爵獻爵, 以爵授近侍, 奠于靈座前。 判通禮啓請俛伏興, 小退北向跪, 大祝進靈座之右, 東向跪, 讀祝文訖, 判通禮啓請俛伏興再拜, 導殿下降復位。 謁者引亞獻官, 詣盥洗位, 北向立, 盥手帨手訖, 謁者引亞獻官, 升自東(位)〔階〕 , 詣尊所西向立, 執尊者擧冪酌酒, 執事者以爵受酒。 謁者引亞獻官, 詣靈座前北向立, 贊跪, 執事者以爵授亞獻官, 亞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靈座前。 謁者贊俛伏興, 小退再拜哭, 引降復位。 謁者引終獻官, 行禮如亞獻儀, 引降復位。 判通禮啓請四拜哭, 殿下四拜哭盡哀。 執禮曰四拜哭, 在位者皆四拜哭盡哀。 禮曹判書跪啓禮畢, 俛伏興。 啓訖, 判通禮導殿下還齋殿, 謁者引亞獻官、終獻官出, 通禮門分引陪祭群官以次出。 贊引引典祀官以下諸執事, 俱復拜位。 立定, 執禮曰四拜, 典祀官以下諸執事皆四拜, 贊引以次引出。 大祝納神主如儀, 執禮帥謁者、贊者、贊引就拜位, 四拜而出, 典祀官帥其屬, 徹禮饌, 祝幣瘞於坎。 群官移班, 近東班首, 進名奉慰。
- 【태백산사고본】 4책 12권 16장 A면【국편영인본】 2책 438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의생활-예복(禮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