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8권, 세종 2년 7월 19일 을유 4번째기사 1420년 명 영락(永樂) 18년

예조에서 왕대비의 재를 올리는 물품에 대해 아뢰다

예조에서 계하기를,

"대행 후덕 왕대비의 재를 올리는 물품은 초재(初齋)로부터 삼재(三齋)에 이르기까지, 불전 첫줄[佛前第一行]에는 백미(白米) 일곱 분[七盆], 좌우준화(左右樽花)·전주목단밀잠(專柱牧丹蜜潛)이요, 둘째 줄에는 개화거식방기(開花車食方機) 아홉이요, 셋째 줄에는 각색실과방기(各色實果方機) 아홉과 화초유잠(花草油潛)이요, 네째 줄에는 청홍사화통(靑紅紗火桶) 열이요, 다섯째 줄에는 소문보시생초(疏文布施生綃)·백저포(白苧布) 각 두 필이요, 여섯째 줄에는 화대촉(畫大燭) 두 가락과 동건촉(同巾燭) 두 가락이요, 지장전(地藏前)에는 백미증반(白米蒸飯) 각 한 분(盆), 병(餠), 실과(實果)·유과(油果) 각 한 반(盤), 보시백저포(布施白苧布) 한 필, 소촉(小燭) 두 가락이요, 시왕전(十王前)에는 증반 각 한 발(鉢), 병·유과·실과 각 한 반(盤), 정포(正布) 각 한 필, 소촉 각 한 가락이며, 네 번째 재로부터 여섯 번째 재에 이르기까지는 불전 첫째 줄에는 백미 열한 분과 좌우준화요, 둘째 줄에는 유밀과방기 열 둘이요, 셋째 줄에는 개화거식방기 열 둘이요, 네째 줄에는 각색실과방기 열 둘과 화초밀잠이요, 다섯째 줄에는 청홍사화통 열 넷이요, 여섯째 줄에는 보시사라중(布施紗羅中) 한 필, 단자(緞子) 한 필이요, 일곱째 줄에는 대화촉 두 가락, 동건촉 두 가락이요, 지장전(地藏前)에는 백미 두 분, 반(飯) 한 분, 다(茶)·과(果)·병(餠) 각 한 반, 보시백저포 한 필, 소촉 두 가락이요, 시왕전(十王前)에는 우근계(亐斤桂) 각 한 반, 실과·병·반·각 한 반, 보시정포 각 한필, 소촉 각 한 가락이요, 중을 이바지하는 데[供僧用]에 잡색다과(雜色茶果), 실과(實果) 세 그릇 상[三器床]이며, 일곱 번째의 재는, 불전 첫째 줄에는 백미 열 다섯 분과 좌우준화요, 둘째 줄에는 다식방기(茶食方機) 열 일곱이요, 세째 줄에는 유밀과방기 열 일곱이요, 네째 줄에는 각색실과방기 열 일곱과 화초밀잠이요, 다섯째 줄에는 청홍사화통 열 여섯이요, 여섯째 줄에는 보시단자(布施段子) 두 필과, 생초 두 필이요, 일곱째 줄에는 대화촉 두 가락, 동건촉 여덟 가락, 현촉(懸燭) 두 가락이고, 지장(地藏)·시왕전(十王殿) 배설(排設)과 중을 이바지하는 물품은 일체로 사·오재의 예에 따라 한다."

고 하여, 그대로 좇았다.


  • 【태백산사고본】 3책 8권 23장 A면【국편영인본】 2책 389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사상-불교(佛敎) / 풍속-예속(禮俗)

○禮曹啓: "大行厚德王大妃齋物品, 自初齋至三齋: 佛前第一行, 白米七盆, 左右樽花, 專柱牧丹蜜潛。 第二行, 開花車食方機九。 第三行, 各色實果方機九, 花草油潛。 第四行, 靑紅紗火㷁十。 第五行, 疏文布施生綃、白苧布各二匹。 第六行, 畫大燭二丁, 同巾燭二丁。 地藏前, 白米蒸飯各一盆, 餠、實果、油果各一盤, 布施白苧布一匹, 小燭二丁。 十王前, 蒸飯各一鉢, 餠、油果、實果各一盤, 正布各一匹, 小燭各一丁。 自四齋至六齋: 佛前第一行, 白米十一盆, 左右樽花。 第二行, 油蜜果方機十二。 第三行, 開花車食方機十二。 第四行, 各色實果方機十二, 花草蜜潛。 第五行, 靑紅紗火桶十四。 第六行, 布施紗羅中一匹, 段子一匹。 第七行, 大畫燭二丁, 同巾燭二丁。 地藏前, 白米二盆, 飯一盆, 茶果、餠各一盤, 布施白苧一匹, 小燭二丁。 十王前, 亏斤桂各一盤, 實果、餠、飯各一盤, 布施正布各一匹, 小燭各一丁。 供僧用雜色茶果、實果三器床。 七齋: 佛前第一行, 白米十五盆, 左右樽花。 第二行, 茶食方機十七。 第三行, 油蜜果方機十七。 第四行, 各色實果方機十七, 花草蜜潛。 第五行, 靑紅紗火桶十六。 第六行, 布施段子二匹, 生綃二匹。 第七行, 大畫燭二丁, 同巾燭八丁, 懸燭二丁。 地藏、十王前排及供僧物品, 一依四五齋之例。" 從之。


  • 【태백산사고본】 3책 8권 23장 A면【국편영인본】 2책 389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사상-불교(佛敎) / 풍속-예속(禮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