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7권, 세종 2년 윤1월 28일 정유 4번째기사 1420년 명 영락(永樂) 18년

예조에서 정안 왕후의 신주를 이안하는 예의 절차를 아뢰다

예조에서 정안 왕후(定安王后)의 신주 이안하는 예의 절차를 아뢰기를,

"그 날에 사무를 맡은 관원[有司]이 전각 섬돌 위에 욕위(褥位)를 배설하고, 청색 일산·홍색 일산·미선(尾扇)·작선(雀扇) 각 하나씩과 양산(陽繖) 하나, 양선(養扇) 둘을 전문 밖에 좌우로 설치하고, 또 욕위를 외문(外門) 밖에 설치하고, 큰 연[大輦]을 욕위 앞에 남향으로 놓고, 예의사(禮儀使) 이하 책무가 있는 집사관(執事官) 및 이안 도감(移安都監)의 자리를 큰 연 앞에 동쪽 가까이 지위를 달리 겹줄로 서향하여 북쪽을 위로하여 설치하고, 그 남쪽에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의 자리를 설치하되, 문관은 동쪽, 무관은 서쪽으로 하되, 그 가운데를 머리로 삼고, 지위를 달리 겹줄로 서서 다같이 북향하게 설치한다. 감찰(監察) 두 사람의 자리를 그 뒤에 설치하고, 서리(書吏)는 각기 그 뒤에서 모시고 선다. 예의사(禮儀使), 【1품 한 사람. 】 참승관(參乘官), 【친척으로 두 사람 정3품. 】 선배 장군(先陪將軍)·후전 장군(後殿將軍), 【상호군으로 각 한 명씩. 】 가지유(假指諭) 【4】, 가행수(假行首) 【6】, 가견룡(假牽龍) 【8】, 내시 【5】, 이안 도감(移安都監) 및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이 모두 통상복(通常服)에 검정 띠를 갖춘다. 집사자가 의장(儀仗)을 전각 문밖에 진열하고, 다음에 요여(腰與)를 전각 섬돌 위 욕위에 남향으로 모시고, 책보정자(冊寶亭子)를 섬돌 아래에 북쪽 가까이 놓고, 향정자(香亭子)는 정문 밖에 놓는다. 시간이 되면, 섭판통례(攝判通禮)가 동쪽 섬돌로 올라와 신위(神位)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아뢰기를, ‘좌(座)에서 내리시어 여[腰輿]에 오르시옵기를 청하나이다.’ 하고 나서,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나가면, 대축(大祝)과 내시 다섯 사람이 동쪽 섬돌로 올라와서 동쪽 문으로 들어온다. 【문안과 밖에서 구부려 엎드렸다 일어난다. 】 내시 한 사람은 옥책함(玉冊凾)을 받들고, 한 사람은 죽책함(竹冊凾)을 받들고, 한 사람은 시책함(諡冊凾)을 받들고, 한 사람은 보(寶)를 받들어 가운데 섬돌로 내려와서 정자(亭子)에 모셔 놓는다. 대축은 신주궤를 받들고, 내시 한 사람은 받쳐 놓는 상[趺几]을 받들고 가운데 문으로 나와서 요여에 모셔 놓고, 정문으로 나간다. 책(冊)과 보(寶)의 정자는 모두 요여 앞에 있고, 향정자가 앞에서 인도하며, 종실 및 내시·참상(參上)·참외(參外)·지유(指諭)·행수(行首)·견룡(牽龍)이 좌우로 모시고 대문 밖에 설치한 욕위에 이르러 잠깐 머무른다. 봉례(奉禮)가 예의사 이하 모든 책임 맡은 집사관 및 종실 이하 문무의 여러 관원을 이끌어서 모두 제자리에 나아간다. 통찬(通贊)이 ‘사배하라’ 외치면, 자리에 있는 모든 사람이 다 네 번 절하고 마치면, 섭판통례가 바로 요여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아뢰기를 ‘요여에서 내리시어 연(輦)에 오르시옵소서’ 하고, 아뢰고 나서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나면, 대축 및 내시 두 사람이 요여 앞에 나아가 구부려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내시 한 사람은 먼저 연에 올라가 발[簾]을 걷어 올리고, 대축이 신주궤를 받들고, 내시 한 사람은 받쳐 놓는 상을 받들고 연에 올라가서 모셔 놓고, 발을 내리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모두 내려가 제자리로 돌아간다. 책과 보의 정자는 연 앞에 놓고, 향정자는 책보 정자 앞에 있게 한다. 통찬이 ‘재배하라.’ 외치면, 자리에 있는 사람이 모두 다 두 번 절한다. 끝나면, 참승관이 연 앞에 나아가 두 번 절하고 나서 연에 올라가 좌우로 갈라 앉는다. 섭판통례가 바로 연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서, ‘연이 떠나시기 청합니다.’ 아뢰고 나서,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간다. 연을 메는 사람들이 앞으로 나아가 어깨에 올려 놓으면, 종실 이하 문무의 여러 관원이 차례대로 앞에서 인도한다. 【예의사 이하 일을 보는 집사관은 연 앞에 선다. 】 풍악은 벌려 놓기만 하고 주악은 하지 않는다. 【풍악은 향정자 앞에 있고, 요여는 풍악 앞에 있다. 】 연이 떠나갔다가 문무의 여러 관원이 말에 오르는 처소에 이르러 잠깐 머무른다. 섭판통례가 연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서 ‘문무 여러 관원이 말에 오릅니다.’ 아뢰고 통찬이 ‘문무 여러 관원은 말에 오르라. ’고 외치면, 예의사 이하 책임있는 집사관 및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이 모두 말에 올라 좌우로 갈라서 앞에서 인도한다. 공정 온인 순효 대왕(恭靖溫仁順孝大王) 혼전(魂殿) 문밖에 이르러, 여러 관원이 먼저 말에서 내려서 길 좌우로 갈라서서 허리를 구부리어 맞이하고, 연이 지나가면 허리를 편다. 연이 잠깐 머무르면, 참승관이 연에서 내린다. 당초에 집사가 의장을 배설할 때에, 충호위(忠扈衛)에서 신주 악차를 공정 대왕(恭靖大王) 혼전 바깥 문밖에 설치하고, 욕위를 악차 안에 차리며, 예의사 이하 사무 책임이 있는 집사관의 자리와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의 자리는 앞서의 절차대로 한다. 사무 책임관이 현알(現謁)하는 욕위를 전정(殿庭)의 한가운데에 북쪽을 향하여 설치한다. 참승관이 연에서 내릴 때에는, 섭판통례가 바로 연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연에서 내리시어 요여에 오르시기를 청합니다.’ 아뢰고 나서,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가면, 대축 및 내시 두 사람이 연 앞에 나아가서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연에 올라가, 내시 한 사람은 발을 걷어 올리고 대축은 신주궤를 받들고, 내시 한 사람은 신주궤를 받쳐 놓는 상을 받들고, 연에서 내려와서 요여에 모시고, 받들어 악차에 나아가서 욕위에 모시고 나면, 봉례가 예의사 이하 사무 책임이 있는 집사관 및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악차 앞에 차린 배위에 나아가 차례대로 벌려선다. 통찬이 ‘사배하라.’ 외치면, 자리에 있는 모든 사람이 다 네 번 절하고 물러난다. 섭판통례가 신주 악차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서, ‘부묘(祔廟)하옵시기로 알현하옵나이다.’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요여를 인도하면, 종실 및 내시·지유·행수·견룡이 앞에서 인도하여 혼전 마당에 배설한 욕위에 이르러, 대축이 궤를 받들고 꿇어앉아 욕위에 모셔 놓고, 궤를 열고 신주를 받들어 내어 욕위에 모셔 놓고 나면, 섭판통례가 욕위 서쪽에 나아가 북향하고 꿇어앉아서, ‘이제 길일로서 정안 왕후(貞安王后) 부묘(祔廟) 하옵시므로 알현하옵니이다.’ 아뢰기를 마치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난다. 조금 후에 섭판통례가 욕위 서쪽에 나아가 동향하여 꿇어앉아서, 부향(祔享)010) 을 거행하겠나이다. ’라고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나고, 대축이 욕위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신주궤를 받들어 요여에 모시었다가, 【그 궤의 뚜껑도 그 위에 두는데, 뒤로 가까이 둔다. 】 요여가 이미 오르면, 대축은 신주궤를 받들고, 내시 한 사람은 받쳐 놓는 상을 받들어 자리에 놓고, 또 다른 내시들이 각각 보(寶)·옥책함·죽책함(竹冊凾)·시책함(諡冊凾)을 받들어 탁자 위에 놓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동쪽 섬돌로 내려가서 차례대로 나간다. 절차에 의하여 제사를 지낸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3책 7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2책 371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禮曹啓定安王后移安儀曰:

其日, 有司設褥位於殿階上, 設靑蓋、紅蓋、尾扇、雀扇各一、陽繖一、陽扇二於殿門外左右, 又設褥位於外門外, 置大輦於褥位前南向。 設禮儀使以下應行事執事官及移安都監位於大輦前近東, 異位重行, 西向北上。 設宗室以下文武群官位於其南, 文東武西, 中心爲頭, 異位重行, 俱北向。 設監察位二於其後, 書吏各陪其後。 禮儀使、 【一品一員】 參乘官 【親戚二員正三品】 先陪將軍、後殿將軍 【上護軍各一員】 假指諭【四】、假行首【六】、假牽龍【八】、內侍【五】, 移安都監及宗室以下文武群官各具常服黑帶。 執事者陳儀仗於殿門外, 次安腰輿於殿階上褥位南向。 冊寶亭子置於階下近北, 香亭子置於正門外。 時至, 攝判通禮升自東階, 詣神位前跪, 啓請降座乘輿, 啓訖, 俛伏, 興, 出。 大祝及內侍五人升自東階, 由東戶入, 【戶內外俛伏興】 內侍一人奉玉冊函, 一人奉竹冊函, 一人奉諡冊函, 一人奉寶, 降自中階, 安于亭子。 大祝奉神主匱, 內侍一人奉趺几, 由中戶出, 安於腰輿, 出自正門, 冊寶亭子, 皆在腰輿前。 香亭子前導, 宗室及內侍、參上、參外、指諭、行首、牽龍挾侍左右, 至大門外褥位上小駐, 奉禮引禮儀使以下應行事執事官及宗室以下文武群官俱就位。 通贊曰四拜, 在位者皆四拜訖, 攝判通禮進當輿前跪, 啓請降輿升輦, 啓訖, 俛伏, 興, 退。 大祝及內侍二人進輿前俛伏, 興, 內侍一人先升輦捲簾, 大祝奉神主匱, 內侍一人奉趺几, 升輦奉安下簾, 俛伏, 興, 俱降復位。 冊寶亭子在輦前, 香亭子在冊寶亭子前。 通贊曰再拜, 在位者皆再拜訖, 參乘官就輦前再拜訖, 升輦左右分坐。 攝判通禮進當輦前跪, 啓請輦進發, 啓訖, 俛伏, 興, 退, 擔持近前上肩。 宗室以下文武群官以次前導, 【禮儀使以下, 應行事執事官在輦前。】 樂部陳而不奏。 【樂部在香亭子前, 腰輿在樂部前。】 輦進發至文武群官上馬所小駐, 攝判通禮進當輦前跪, 啓請文武群官上馬, 通贊喝禮儀使以下應行事執事官及宗室以下文武群官皆上馬。 分左右前導, 至恭靖溫仁順孝大王魂殿門外, 群官先下馬分立於道之左右, 躬身迎輦, 過則平身。 輦少駐, 參乘官下輦。 初當執事陳儀仗時, 忠扈衛設神主幄次於恭靖大王魂殿外門外, 設褥位於幄內, 設禮儀使以下應行事執事官位及宗室以下文武群官位如前儀, 有司設奉謁褥位於殿庭當中北向。 至參乘官下輦時, 攝判通禮進當輦前跪, 啓請降輦乘輿, 啓訖, 俛伏, 興, 退。 大祝及內侍二人進輦前俛伏, 興, 升輦, 內侍一人捲簾。 大祝奉神主匱, 內侍一人奉趺几, 降輦安於腰輿, 奉詣幄次, 安於褥位訖, 奉禮引禮儀使以下應行事執事官及宗室以下文武群官, 入就幄前拜位序立。 通贊曰四拜, 在位者皆四拜, 退。 攝判通禮詣神主幄前跪, 啓請祔謁, 俛伏, 興, 引腰輿。 宗室及內侍、指諭、行首、牽龍前導, 至殿庭褥位, 大祝奉匱跪, 置褥位, 開匱奉出神主, 設於褥位訖, 攝判通禮進, 褥位西北面跪, 啓稱: ‘以今吉辰, 定安王后祔謁。’ 啓訖俛伏興退。 小頃, 攝判通禮詣褥位西, 東面跪, 啓請祔享, 俛伏, 興, 退。 大祝進跪於褥位, 奉神主匱安於輿。 【其匱蓋, 亦置輿上近後。】 輿旣升, 大祝奉神主匱, 內侍一人奉趺几安于座。 又內侍各奉寶及玉冊函、竹冊函、諡冊函, 安於卓上, 俛伏, 興, 降自東階, 以次出, 行祭如儀。


  • 【태백산사고본】 3책 7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2책 371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