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릉의 개토와 참토 제의 절차
예조에서 〈산릉의〉 개토·참토 제의(開土斬土祭儀)를 〈제정하여〉 아래와 같이 계하였다.
"제사 지내기 3일 전 행사에 응하는 집사관은 모두 이틀 동안 산재(散齋)하고, 하룻 동안 치재(致齋)한다. 참토젯날 축시(丑時)에 서운관(書雲觀)에서 잡은 터에다가 광중(壙中)을 파는데, 네 모퉁이를 파서는 그 흙을 바깥쪽으로, 복판을 파서는 그 흙을 남쪽으로 제쳐 놓고 각각 표목 하나씩을 세우고, 남쪽 문이 되는 곳에 표목 2개를 세운다. 집사자(執事者)가 후토씨(后土氏)의 신위를 복판 표목의 왼편에 설치하는데 남향하여 돗자리를 깔고, 헌관(獻官) 자리는 신위의 동남쪽에 설치하되 서향하고, 집사자 자리를 그 뒷편에 설치하되 서향하고 북쪽을 위로 향한다. 알자(謁者)와 찬자(贊者)의 자리는 헌관의 서남편에 설치하되 서향하고 북쪽을 위로 향한다. 축판(祝板)은 신위의 오른편에 두고, 향로와 향합은 촉대(燭臺)와 함께 신위 앞에 둔다. 다음으로 제기(祭器)와 찬(饌)을 진설(陳設)하는데, 변(籩) 여덟 그릇을 왼편에 석 줄로 놓되 오른편으로부터 놓는다. 【첫 줄은 형염(形鹽)을 앞에 놓고, 생선포를 다음에 놓으며, 둘째 줄은 마른 대추를 앞에 놓고, 황률(黃栗)과 개암[榛子]을 다음에 놓으며, 셋째 줄은 능인(菱仁)을 앞에 놓고, 검인(芡仁)과 녹포(鹿脯)를 다음에 놓는다. 】 두(豆) 여덟 그릇은 오른편에 석 줄로 놓되, 왼편으로부터 놓는다. 【첫 줄은 달래 김치를 앞에 놓고, 젓갈을 다음에 놓으며, 둘째 줄은 무우 김치를 앞에 놓고, 사슴 젖과 미나리 김치를 다음에 놓으며, 셋째 줄은 토기 젖을 앞에 놓고, 죽순 김치와 생선 젖을 다음에 놓는다. 】 보(簠)·궤(簋) 각 두 그릇은 변과 두 사이에 놓되 보를 왼편에, 궤를 오른쪽에 놓는다. 【보기에는 벼와 기장[粱]을 담는데, 기장을 벼 앞에 두며, 궤에는 메기장[黍]과 피[稷]를 담는데, 피를 메기장 앞에 둔다. 】 작(爵)은 보와 궤의 앞쪽에 놓고, 준소(樽所)는 신위 동남쪽에 북향으로 진설하고, 또 동남쪽에 북향으로 관세(盥洗)를 두 곳에 설치한다. 【헌관의 관세는 동편에, 집사의 세는 서편에 둔다. 】
행사 집사관은 각자 공복을 입고, 시각이 되면 알자와 찬자가 먼저 배례할 위치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서 사배를 하고 제자리로 돌아간다. 알자가 축(祝) 및 집사자를 인도하여 배례할 자리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서 선다. 찬자가, ‘사배하라.’ 창하면, 축 이하가 모두 사배하고, 관세 위에 나아가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은 다음, 각자 제자리로 돌아간다.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정한 위치에 들어서면 찬자가, ‘사배하라.’ 창한다. 헌관이 사배하면, 알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관세 위에 나아가서 북쪽을 향해 서서 〈찬자의〉 찬(贊)으로 홀을 꽂고, 손을 씻고 닦은 다음 【손 씻는 것과 닦는 것은 찬하지 않는다. 】 〈찬자의〉 찬으로 홀을 잡고 〈알자의〉 인도로 준소로 가서 서향하여 선다. 집준자(執樽者)가 멱(羃)을 들어 술을 따르면, 집사자는 술을 작에 받는다.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에 나아가서 북쪽을 향해섰다가, 〈찬자의〉 찬으로 꿇어앉아서 홀을 꽂으며 〈찬자의〉 찬으로 향을 세 번 올린다. 집사자가 잔을 헌관에게 주면, 헌관이 작을 받아서 헌작하는데,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서 신위 앞에 놓는다. 〈찬자의〉 찬으로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서서 북향하여 꿇어앉고, 축(祝)은 신위의 오른쪽에 나아가 동향하여 꿇어앉아 축문을 읽는다. 축을 다 읽으면, 알자의 찬으로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찬자가, ‘사배하라.’ 창하면, 헌관이 사배한 뒤, 알자가 인도하여 나간다. 알자가 축 이하를 인도하여 배위에 나아가 서게 하고, 찬자가, ‘사배하라.’ 창하면, 축 이하 모두 사배한 다음 알자가 인도하여 나간다. 알자와 찬자도 배위에 나아가서 사배하고 나오면, 집사자가 찬을 걷어 치운다. 헌관 하나 【정3품. 】 , 축사(祝史) 하나, 알자 하나, 찬자 하나, 재랑(齋郞) 하나이다. 【모두 참외(參外)】 ."
라고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3책 6권 10장 B면【국편영인본】 2책 348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禮曹啓開土、斬土祭儀曰:
前祭三日, 應行事執事官竝散齋二日、致齋一日。 祭日丑時, 書雲觀於所得地, 堀兆四隅外其壤, 堀中南其壤, 各立一標, 當南門立兩標。 執事者設后土氏神位於中標之左南向, 席以莞。 設獻官位於神位東南, 西向; 執事者位於其後, 西向北上。 謁者、贊者位於獻官西南, 西向北上。 奠祝板於神位之右; 設香爐、香合幷燭於神位前, 次設祭器實饌具。 籩八在左, 爲三行右上, 【第一行, 形鹽在前, 魚次之。 第二行, 乾棗在前, 黃栗、榛子次之。 第三行, 菱仁在前, 芡仁、鹿脯次之。】 豆八在右, 爲三行左上。 【第一行, 韭菹在前, 醯醢次之。 第二行, 靑菹在前, 鹿醢、芹菹次之。 第三行, 兔醢在前, 笋菹、魚醢次之。】 簠簋各二在籩豆間, 簠在左, 簋在右,【簠實以稻粱, 梁在(藉) 〔稻〕前, 簋實以黍稷, 稷在黍前。】 爵在簠簋前。 設尊於神位東南, 北向, 又於東南設盥洗二, 北向。 【獻官洗在東, 執事洗在西。】 行事執事官各具公服。 至時, 謁者、贊者先就拜位, 北向四拜訖, 就位。 謁者引祝及執事者, 入就拜位, 北向。 立定, 贊者曰四拜, 祝以下皆四拜, 詣盥洗位盥帨訖, 各就位。 謁者引獻官入就位, 立定, 贊者曰四拜, 獻官四拜。 謁者引獻官, 詣盥洗位, 北向立, 贊搢笏, 盥手帨手。【盥(水) 〔手〕帨(水)〔手〕 不贊】 贊執笏, 引詣樽所, 西向立, 執樽者擧羃酌酒, 執事者以爵受酒。 謁者引獻官, 詣神位前, 北向立, 贊跪搢笏, 贊三上香。 執事者以爵授獻官, 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贊執笏, 俛伏、興、小退, 北向跪, 祝就神位之右, 東向跪, 讀祝文訖, 謁者贊俛伏、興、退復位。 贊者曰四拜, 獻官四拜, 謁者引出。 謁者引祝以下就拜位, 立定, 贊者曰四拜, 祝以下四拜, 謁者引出。 謁者、贊者就拜位, 四拜而出, 執事者徹饌〔撤饌〕 。 獻官一, 【正三品】 祝史一, 謁者一, 贊者一, 齋郞一。 【竝參外】
- 【태백산사고본】 3책 6권 10장 B면【국편영인본】 2책 348면
- 【분류】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