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복의의 의식 절차
예조에서 성복의(成服儀)에 대하여 계하기를,
"그날 충호위(忠扈衛)는 먼저 빈전(殯殿) 앞 동쪽 가까이 마땅한 장소에 악차(幄次)를 둘 설치합니다. 【상왕 전하의 악차는 동쪽으로 북에 가까운 곳에 있고, 주상 전하의 악차는 남에 가까운 곳에 있다. 】 시간이 되면, 통례문(通禮門)이 종실 이하 문무 군신을 나누어 인솔하고 상복으로 갈아입고, 자리에 나아가 자리잡고 서게 하고, 판통례(判通禮)는 상왕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에 가서 자리에 앉게 하고, 또 판통례는 주상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에 가서 자리에 앉게 하여 드립니다. 서운관(書雲觀)에서 시(時)를 알리면, 예조 판서가 상왕 전하의 악전(幄前)에 나아가 부복하였다가 꿇어앉아서 사뢰기를, ‘예조 판서 신모는 아뢰오. 전하께서 돌아가신 인문 공예 상왕(仁文恭睿上王)을 위해 성복하시기 바랍니다.’ 하고, 사뢰는 일이 끝나면 부복했다가 일어납니다. 예조 참판은 주상 전하의 악전에 나아가 부복하였다가 꿇어앉아 위와 같이 계청(啓請)하고서 부복했다가 일어납니다. 상의(尙衣)는 상왕 전하와 주상 전하를 위해 소복을 벗고 최복(衰服)을 갈아입게 하고, 발을 걷어 올리면, 판통례가 주상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를 나가 궤연(几筵) 곁에 가서 북쪽으로 욕위(褥位)를 향해 서게 하고, 또 판통례는 상왕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를 나가 궤연 곁에 가서 북쪽으로 욕위를 향해 서게 합니다. 【주상 전하의 자리는 상왕 전하의 뒤에 있다. 】 판통례가 재배하고 곡하기를 계청하면, 상왕 전하와 주상 전하는 재배하고 곡하여 슬픔을 다합니다. 전의(典儀)가, ‘재배하고 곡하오.’ 하고 말하면, 자리에 있는 관원은 다 재배하고 곡하여 슬픔을 다합니다. 예조 판서가 꿇어앉아 예가 끝났음을 사뢰면, 판통례가 상왕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로 돌아와 자리에 앉게 하고, 또 판통례는 주상 전하를 인도하여 상왕 전하 악전에 나아가게 하고, 뭇 관원들이 줄의 위치를 옮기면, 주상 전하는 뭇 관원을 거느리고 〈상왕 전하를〉 위로하여 드립니다. 판통례가 주상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에 돌아가게 하면, 통례문은 종실 이하 문무 여러 관원들을 나누어 인도하고 차례로 나갑니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2책 5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2책 339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禮曹啓成服儀曰:
其日, 忠扈衛先設幄次二於殯殿前近東, 隨地之宜。 【上王殿幄次在東近北, 主上殿幄次近南。】 時至,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臣, 易服就位。 立定, 判通禮導上王殿下, 詣幄次卽座, 又判通禮導主上殿下, 詣幄次卽座。 書雲觀報時, 禮曹判書進當上王殿下幄前, 俛伏跪啓: "禮曹判書臣某言。 請殿下爲上昇仁文恭睿上王成服。" 啓訖, 俛伏興。 禮曹參判進當主上殿下幄前, 俛伏跪, 啓請如上, 俛伏興。 尙衣爲上王殿下、主上殿下, 釋素服, 易衰服, 簾捲。 判通禮導主上殿下, 出幄詣几筵側, 北向褥位立, 又判通禮導上王殿下, 出幄詣几筵側, 北向褥位立。 【主上殿下位, 在上王殿下之位之後。】 判通禮啓請再拜哭, 上王殿下、主上殿下再拜哭盡哀。 典儀曰再拜哭, 在位官皆再拜哭盡哀。 禮曹判書跪啓禮畢, 判通禮導上王殿下, 還幄次卽座, 又判通禮導主上殿下, 詣上王殿下幄前, 群官移班, 主上殿下率群官奉慰, 判通禮導主上殿下, 還幄次, 通禮門分引宗室以下文武群官, 以次出。
- 【태백산사고본】 2책 5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2책 339면
- 【분류】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