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5권, 세종 1년 8월 8일 경진 4번째기사 1419년 명 영락(永樂) 17년

태조 성진을 봉안하는 의식 절차

예조에서 태조의 성진(聖眞) 봉안하는 의식 절차를 아뢰었다.

"그 날 이른 새벽에 문소전(文昭殿) 중문 밖에 의장병을 나열케 하고, 좌우에 푸른 일산 하나, 붉은 일산 하나, 붉은 양산 하나, 봉을 그린 부채 둘, 참새를 그린 부채 둘, 금도끼 하나, 은도끼 하나, 금작도(金斫刀) 하나, 은작도 하나씩을 세우고, 또 문밖에 남향하여 용루(龍樓)를 세우고, 내시 두 사람이 동쪽 뜰로 해서 올라가 동쪽 문으로 들어가서, 성진 상자를 받들고 가운데 문으로 나와서, 용루 위에 봉안하고, 정문으로 해서 나온 뒤에 의장병이 앞에서 인도하고, 봉안사가 수행한다. 연도에서는 용루가 장차 도착하게 되면, 경기 관찰사가 용루가 지나가는 역로의 주·현 수령들을 인솔하고, 조복을 갖추고, 의장병을 데리고 도 경계에서 지영(祗迎)하여, 용루가 바라보이면, 모두 몸을 굽혔다가, 용루가 도착하면 머리를 숙여 네 번 절하고, 예식이 끝나면, 전도(前導)하는 관원 중에서 관 계급이 낮은 자가 앞서 인도하여, 밤 지낼 집에 도착한다. 문밖에는 다만 붉은 줄을 늘이게 하고, 사신과 수령들이 몸을 굽혀 지영하고, 집사 두 사람이 성진 상자를 받들고, 가운데 문으로 해서 들어가 대청의 탁자 위에 모신 뒤에, 의장병은 마당 가운데에서 좌우로 갈라 서고, 사신과 수령들이 마당 가운데로 들어가서 동서로 갈라 서고, 집사가 향을 피우면, 사신과 수령들이 머리를 숙여 네 번 절하는 예식을 행한다.

그 이튿날 이른 새벽에 사신과 수령들이 평복으로 마당에 들어와 예식 행하는 절차를 전날 의식과 같이 행하고, 용루가 출발하면, 사신과 수령들이 집 문밖에서 몸을 굽혀 지송(祗送)한다. 용루가 장차 유후사(留後司)에 도착하게 되면, 유후 이하가 조복을 갖추고 나와서 지영하기를 관찰사의 의식과 같이 하되, 유후사에는 다만 붉은 채색 줄을 늘이게 한다. 들어가서 계명전(啓命殿) 문밖에 도착하면, 집사 두 사람이 성진을 받들고, 가운데 문으로 들어가서 정전(正殿)에 이르러 상자를 열고, 성진을 받들어 내어 걸어 모신 뒤에, 봉안사와 유후 이하가 정전의 마당 안으로 들어와서 각기 자리를 달리하여 줄을 맞추어 섰다가, 집사자가 향을 피운 뒤에 머리를 숙여 두 번 절하는 예를 행하면, 다음에는 나이 많은 노인들이 정전 마당으로 들어와서 네 번 절하는 예를 행한다.

이 날에 신을 받들어 모시는 제사를 지내되, 평상 의식과 같이 하고, 제물은 명절 때 별제를 지내는 의식에 의거한다. 의식이 있기 전 3일에 당연히 참례할 집사관은 모두 이틀 동안 정침에서 보통 재계하고, 하루는 제사를 올릴 곳에서 정식 재계하여야 한다. 대체로 보통 재계에는 일보는 것을 평시와 같이 하나, 오직 술을 과음하지 말고, 파·부추·마늘·달래 등을 먹지 말고, 조상과 문병을 가지 말고, 음악을 듣지 말고, 형벌을 행하지 말고, 처형하고 죽이는 서류를 결재하지 말고, 더럽고 흉악한 일에 참례하지 말 것이며, 정식 재계에는 오직 제사지내는 일만을 행할 것이다. 무릇 제사에 참례하는 자는 제사 전 2일에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는다.

진설은 제사 전 2일에 정전을 지키는 자가 정전의 안팎을 깨끗이 쓸고 닦고, 하루 전에는 헌관의 자리를 정전 뜰 동남에 서향하여 마련하고, 찬알(贊謁)하는 자와 찬례(贊禮)하는 자의 자리를 정전 뜰 서쪽에 서향하여 마련하고, 헌관의 음복할 자리를 사당 안 앞기둥 바깥에 가까운 동쪽에 서향하여 마련하여야 한다. 정전을 지키는 자는 정전의 안팎을 깨끗이 하고, 제삿날 행사하기 전에 정전을 지키는 자는 감실을 열고 공손히 신악(神幄)041) 을 털기를 보통 의식 때와 같이 하고, 찬수(饌需)를 맡은 자와 정전을 지키는 자는 각기 그 소속된 자들을 인솔하고 들어가서, 축문판을 신이 있는 자리의 오른쪽에 올려 모시고 【놓는 자리가 있다. 】 향로와 향합과 초를 신이 있는 자리 앞에 진설하고, 다음에 제기와 찬수를 담을 제구를 진설하고, 단지를 지게문[戶] 밖 왼쪽에 진설하고, 모두 보자기로 덮되, 북향에서 서쪽을 위로하고, 음복할 잔은 단지 옆에 진설하고, 씻는 곳을 정전의 뜰 동남에다 북향하여 마련하는데, 손을 씻는 곳은 동에 있게 하고, 잔을 씻는 곳은 서에 있게 할 것이며, 작은 항아리는 씻는 곳의 동쪽에 있게 하여, 국자를 얹어 두고, 작은 광우리는 씻는 곳의 서쪽에 남으로 놓되, 수건을 담아 놓고, 잔을 씻는 광우리에는 잔을 담아 놓을 것이다. 제향일(祭享日) 축시전 오각(丑時前五刻) 【축시 전 오각은 삼경 삼점(三更三點)이다. 지내는 것은 축시 1각이다.】 에 정전을 지키는 자가 감실을 열고 신악을 공손히 턴 뒤에, 찬수를 맡은 자와 정전 지키는 자가 각기 그 속인(屬人)을 인솔하고 들어와서, 제수를 담아 진설할 것이다.

제사지내는 시간보다 삼 간쯤 앞서서 헌관 이하가 각기 그 복색을 갖추면, 찬자·알자와 찬례하는 자가 동쪽 문으로 들어와서, 먼저 뜰 사이에 절하는 자리로 나아가 북쪽을 향하고 서쪽을 위로 하여 네 번 절하고 각기 제자리로 물러가고, 1각 전에 찬례하는 자가 헌관 이하를 인도하여, 모두 문밖의 위치에 서게 하고, 찬례하는 자는 다시 대축(大祝)을 인도하여, 뜰 사이의 절할 자리에 나아가되, 북향하여 서게 하고, 찬알하는 자가, ‘사배(四拜)하라. ’고 큰 소리로 말하면, 대축은 네 번 절하고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사하는 자가 작(爵)을 씻는 자리로 나아가서, 작을 씻고 물기를 닦아서 광우리에 담아 가지고 단지가 놓인 곳으로 나아가서 점상(坫上)에 두고, 찬례하는 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위치에 서게 하면, 찬알하는 자가, ‘사배(四拜)하라.’ 하고, 큰 소리로 창(唱)한다. 헌관이 네 번 절하면, 찬알하는 자가, ‘초헌례(初獻禮)를 행하라. ’고 창한다. 찬례하는 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손을 씻는 자리로 나아가서, 북쪽을 향하여 선다. ‘홀(笏)을 놓으라.'고 창하면, 손을 씻고 수건에 닦는다. 【손을 씻고 닦는 것은 창하지 않는다】 ‘홀을 들라. ’고 창하고, 헌관을 인도하여 정전 계단에서 올라가, 【무릇 행사집사관의 오르내림은 모두 정전 계단에서 한다.】 단지 놓인 곳으로 가서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면, 단지를 맡은 자가 보자기를 들고 술을 떠내면, 집사하는 자가 잔을 들어 술을 받는다. 찬례하는 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신위(神位) 앞에 나아가 북을 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아 홀을 놓으라. ’고 창한다. 집사하는 자의 한 사람은 향을 담은 합을 받들고, 한 사람은 향로를 받들고 서면, 찬례하는 자가, ‘세 번 향을 피워 올리라. ’고 창하여 향을 피우게 하고, 집사하는 자가 향로를 상 위에 올려 놓는다. 【향합을 받든 자는 헌관의 오른쪽에 있고, 향로를 받든 자는 헌관의 왼쪽에 있는 것이니, 잔을 받들고 잔을 드리는 자들도 이에 준한다. 】 집사하는 자가 작을 헌관에게 주어서, 헌관이 작을 들었다가 집사하는 자에게 들어 주면, 집사하는 자가 신위 앞에 올려 드린다. 찬례하는 자가 창하기를,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조금 물러서서 북을 향하여 꿇어앉으라.’ 한다. 대축이 신위의 오른쪽 앞으로 나아가 동쪽을 향하여 꿇어앉아서 축문을 읽고, 끝나면 찬례하는 자가 창하기를,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재배하라.’ 하고, 인도하여 지게문 밖으로 나가서, 제자리로 내려가 전대로 선다. 조금 있다가 찬알하는 자가 창하기를, ‘아헌례를 행하라.’ 하면, 찬례하는 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단지가 놓인 곳으로 가서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고, 단지를 맡은 자가 보자기를 들고 술을 떠내면, 집사하는 자 한 사람이 작을 들어 술을 받는다. 찬례하는 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으로 나아가서 북쪽을 향하여 서게 하고 창하기를, ‘꿇어앉아서 홀을 놓으라. ’고 한다. 집사하는 사람이 작을 들어서 헌관에게 주면, 헌관이 작을 받아서, 들어 올렸다가 집사하는 사람에게 주어서, 신위 앞에 올려 전(奠) 들이게 한다. 찬례하는 자가 창하기를,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라.’ 하고, 조금 물러서 북쪽을 향하여 서면, 창하기를, ‘재배하라.’ 하고, 인도하여 지게문 밖으로 나와서, 제자리로 내려와 전대로 선다. 조금 있다가 찬알하는 자가 창하기를, ‘종헌례를 행하라.’ 하면, 찬례하는 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행례하기를, 아헌할 때의 의식과 같이 하고,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에 복위한다.

대축이 단지 있는 곳으로 나아가서 작에다가 음복 술을 떠내면, 찬례하는 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음복하는 자리로 나아가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고 창하기를, ‘꿇어앉아서 홀을 놓으라. ’고 하면, 대축이 북향하여서 작을 들어 헌관에게 준다. 헌관이 작을 받아서 마시고 작을 비우면, 대축이 빈 작을 받아서 상 위에 올려 놓는다. 찬례하는 자가 창하기를,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라.’ 하고,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에 복위시키면, 찬알하는 자가 창하기를, ‘재배하라.’ 하면, 헌관이 두 번 절한다. 찬알하는 자가 창하기를, ‘찬수를 거두라.’ 하면, 대축이 들어가서 변(籩)042)두(豆)043) 를 물린다. 【물리는 것은 변이나 두를 각각 하나씩만 제자리에서 조금 옮긴다. 】 거두는 것이 끝나면, 찬알하는 자가 창하기를, ‘사배하라.’ 하여, 헌관이 네 번 절하고 나면, 찬례하는 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나간다. 찬례하는 자가 대축을 인도하여 뜰 위의 절하는 자리로 나가면, 찬알하는 자가 창하기를, ‘사배하라.’ 하여, 네 번 절하고 나면, 찬례하는 자가 인도하여 나간다. 찬알하는 자와 찬례하는 자가 뜰 위의 절하는 자리로 나아가서 네 번 절하고 물러나가면, 찬수를 맡은 자와 정전을 맡은 자가 각기 그 소속된 사람들을 인솔하고, 제물 찬수를 물려 거두고 지게문을 닫고 내려온다. 축을 읽는 판을 물려 내다가 구덩이에 묻는다.

1. 명절날 제향할 때에 진설하는 도본이고,

1. 명절날 제사에 전(奠) 올리는 제물은 분전사(分典祀)044) 로 준비하여 차리게 하고,

1. 명절날 제사에 초와 향과 축문은 내시 별감(內侍別監)을 시켜서 유후사에 받들고 가서, 유후나 부유후 중에 전하여, 제사를 봉행하게 하고, 만약 연고가 있으면, 수령관이 봉행하게 한다.

1. 제사를 봉행할 때의 관(冠)이나 복(服)은 제복을 쓰기로 한다.

1. 상소(上所)045) 의 네 사람은 유후사에서, 아랫 관원 중에서 정하여, 번갈아 들어가서 당직을 맡아 쇄소(灑掃)하는 것을 맡게 한다는 것 등입니다."

그대로 따르게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2책 5권 2장 B면【국편영인본】 2책 330면
  • 【분류】
    왕실-종사(宗社) / 왕실-의식(儀式)

  • [註 041]
    신악(神幄) : 신을 모신 곳의 앞에 치는 장막.
  • [註 042]
    변(籩) : 제기.
  • [註 043]
    두(豆) : 제기.
  • [註 044]
    분전사(分典祀) : 지방에서 제례를 맡은 관원.
  • [註 045]
    상소(上所) : 성진을 모신 곳의 관원.

○禮曹啓太祖聖眞奉安儀註曰:

其日淸晨, 設仗於文昭殿中門外左右, 靑蓋一、紅蓋一、紅陽繖一、鳳扇二、雀扇二、金斧鉞一、銀斧鉞一、金斫刀一、銀斫刀一, 又設龍樓於門外, 南向。 內侍二人升自東階, 由東戶入, 奉聖眞函, 由中戶出, 安於龍樓上, 出自正門, 儀仗前導, 奉安使隨行。 龍樓將至, 京畿觀察使率所過州縣守令, 具朝服, 備儀仗迎於境上, 望龍樓皆躬身。 龍樓至小駐, 行稽首四拜禮訖, 前導官卑者先導, 至所館門外, 只設結綵使臣及守令躬身祗迎。 執事二人奉聖容函, 由中門入, 安於大廳卓上。 儀仗於庭中左右分立, 使臣及守令入就庭中, 東西分立。 執事者上香, 使臣及守令行稽首四拜禮。 翼日早晨, 使臣及守令以時服, 入庭序立, 行禮如前儀。 龍樓進發, 使臣及守令於館門外, 躬身祗送。 龍樓將至, 留後司留後以下具朝服, 出迎如觀察使儀。 留後司只設結綵。 入至啓命殿門外, 執事二人奉聖眞入自中門, 至正殿開函, 奉出聖眞掛安訖, 奉安使及留後以下入就殿庭, 異位重行。 立定, 執事者上香, 行稽首再拜禮, 次耆老入就殿庭, 行四拜禮。 是日行安神祭如儀, 祭品依有名日別祭禮。 前享三日, 應行事執事官竝散齋二日於正寢, 致齋一日於享所。 凡散齋, 治事如故, 惟不縱酒, 不食葱韭蒜薤, 不弔喪問疾, 不聽樂, 不行刑, 不判書刑殺文書, 不預穢惡事。 致齋, 惟行享事。 凡預祭者, 前享二日, 皆沐浴更衣。

陳設: 前享二日, 守殿者掃除殿之內外。 前一日, 設獻官位於阼階東南, 西向; 設贊謁者贊禮者、位於阼階之西, 西向; 設獻官飮福位於堂上前楹外近東西向, 守殿者掃除殿之內外享日未行事前, 守殿者開室, 整拂神幄如常儀。 掌饌者守殿者、各率其屬入, 奠祝版於神位之右 【有坫】 設香爐、香榼幷燭於神位前, 次設祭器實饌具; 設尊於戶外之左, 皆加酌羃, 北向西上; 設福酒爵於尊所, 設洗於阼階東南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肆, 實以巾, 若爵洗之篚則又實以爵。 享日丑前五刻, 【丑前五刻, 卽三更三點, 行事用丑時一刻。】 守殿者開室, 整拂神幄, 掌饌者、守殿者各率其屬入, 實饌具畢。 前三刻, 獻官以下各服其服。 贊謁者、贊禮者入自東門, 先就階間拜位, 北向西上, 四拜訖, 各就位。 前一刻, 贊禮者引獻官以下, 俱就門外位, 贊禮者引祝, 入就階間拜位北向。 立定, 贊謁者曰四拜, 祝四拜訖就位。 執事者詣爵洗位, 洗爵拭爵, 置於篚, 捧詣尊所, 置於坫上。 贊禮者引獻官入就位, 贊謁者曰四拜, 獻官四拜。 贊謁者曰行初獻禮, 贊禮者引獻官, 詣盥洗位, 北向立, 贊搢笏, 盥手帨手 【盥手、帨手不贊。】 贊執笏, 引獻官, 升自阼階, 【凡行事執事官 升降, 皆自阼階。】 詣尊所, 西向立。 執尊者擧羃酌酒, 執事者一人以爵受酒, 贊禮者引獻官, 詣神位前, 北向立, 贊跪搢笏。 執事者一人捧香榼, 執事者一人捧香爐, 贊禮者贊三上香, 執事者奠爐于案。 【奉香在獻官之右, 奠爐在獻官之左。 授爵、奠爵準此。】 執事者以爵授獻官, 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贊禮者贊執笏, 俛伏, 興, 少退, 北向跪, 祝進神位之右東向, 跪讀祝文訖, 贊禮者贊俛伏, 興, 再拜, 引出戶, 降復位。 小頃, 贊謁者曰行亞獻禮, 贊禮者引獻官, 詣尊所西向立, 執尊者擧羃酌酒, 執事者一人以爵受酒。 贊禮者引獻官, 詣神位前北向立, 贊跪搢笏, 執事者以爵授獻官, 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贊禮者贊執笏, 俛伏, 興小退, 北向立, 贊再拜, 引出戶, 降復位。 小頃, 贊謁者曰行終獻禮, 贊禮者引獻官, 行禮如亞獻儀, 引降復位。 祝詣尊所, 以爵酌福酒, 贊禮者引獻官, 詣飮福位西向立, 贊跪搢笏, 祝北向以爵授獻官, 獻官受爵飮卒爵, 祝進授虛爵復於坫。 贊禮者贊執笏, 俛伏, 興, 引降復位。 贊謁者曰再拜, 獻官再拜。 贊謁者曰徹饌, 祝入徹籩豆。 【徹者, 籩豆各一小移於故處。】 徹訖, 贊謁者曰四拜。" 獻官四拜訖, 贊禮者引獻官出。 贊禮者引祝, 就階間拜位, 贊謁者曰四拜, 祝四拜訖, 贊禮者引出。 贊謁者、贊禮者就階間拜位, 四拜而出。 掌饌者、守殿者各帥其屬, 徹禮饌, 闔戶以降乃退。 祝版瘞於坎。 一、有名日祭享陳設圖。 一、有名日祭奠物, 令分典祀供辦。 一、有名日祭燭香祝, 令內侍別監奉至留後司, 留後副留後中傳奉行祭。 若有故, 則首領官行祭。 一、行祭冠服, 用祭服。 一、上所四名, 留後司以下典定體, 輪番入直, 以備灑掃。

從之。


  • 【태백산사고본】 2책 5권 2장 B면【국편영인본】 2책 330면
  • 【분류】
    왕실-종사(宗社) / 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