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왕이 대마도를 정벌할 것에 대해 중외에 교유하다
상왕이 중외(中外)에 교유하기를,
"병력을 기울여서 무력을 행하는 것은 과연 성현이 경계한 것이요, 죄 있는 이를 다스리고 군사를 일으키는 것은 제왕으로서 부득이한 일이라, 옛적에 성탕(成湯)이 농삿일을 제쳐 놓고 하(夏)나라를 정벌하고, 주(周)나라 선왕(宣王)이 6월 같이 더운 때에 험윤(玁狁)023) 을 토벌했으니, 그 일에 있어 비록 대소는 다름이 있으나, 모두가 죄를 토벌하는 행동은 한 가지라. 대마도는 본래 우리 나라 땅인데, 다만 궁벽하게 막혀 있고, 또 좁고 누추하므로, 왜놈이 거류하게 두었더니, 개같이 도적질하고, 쥐같이 훔치는 버릇을 가지고 경인년으로부터 변경에 뛰놀기 시작하여 마음대로 군민을 살해하고, 부형을 잡아 가고 그 집에 불을 질러서, 고아와 과부가 바다를 바라보고 우는 일이 해마다 없는 때가 없으니, 뜻 있는 선비와 착한 사람들이 팔뚝을 걷어붙이고 탄식하며, 그 고기를 씹고 그 가죽 위에서 자기를 생각함이 여러 해이다.
생각하건대 우리 태조 강헌 대왕이 용이 나는[飛] 천운에 응하여 위덕이 널리 퍼지고 빛나서, 어루만지고 편안하게 해 주시는 덕을 입어 그렇지 않으리라 믿었더니, 그러나 그 음흉하고 탐욕 많은 버릇이 더욱 방자하여 그치지 않고, 병자년에는 동래(東萊) 병선 20여 척을 노략하고 군사를 살해하니, 내가 대통을 이어 즉위한 이후, 병술년에는 전라도에, 무자년에는 충청도에 들어와서, 혹은 운수하는 물품을 빼앗고, 혹은 병선을 불사르며 만호를 죽이기까지 하니, 그 포학함이 심하도다. 두 번째 제주에 들어와 살상함이 많았으니, 대개 사람을 좋아하는 성낸 짐승처럼 간교(姦狡)한 생각을 숨겨 가지고 있는 것은 신과 사람이 한 가지로 분개하는 바이지마는, 내가 도리어 널리 포용하여 더러움을 참고 교통하지 않았노라. 그 배고픈 것도 구제하였고, 그 통상을 허락하기도 하였으며, 온갖 구함과 찾는 것을 수응(酬應)하여 주지 아니한 것이 없고, 다 같이 살기를 기약했더니, 뜻밖에 이제 또 우리 나라의 허실을 엿보아 비인포(庇仁浦)에 몰래 들어와서 인민을 죽이고 노략한 것이 거의 3백이 넘고, 배를 불사르며 우리 장사(將士)를 해치고, 황해에 떠서 평안도까지 이르러 우리 백성들을 소란하게 하며, 장차 명나라 지경까지 범하고자 하니, 그 은혜를 잊고 의리를 배반하며, 하늘의 떳떳한 도리를 어지럽게 함이 너무 심하지 아니한가. 내가 삶을 좋아하는 마음으로, 한 사람이라도 살 곳을 잃어버리는 것을 오히려 하늘과 땅에 죄를 얻은 것같이 두려워하거든, 하물며 이제 왜구가 탐독(貪毒)한 행동을 제멋대로 하여, 뭇 백성을 학살하여 천벌을 자청하여도 오히려 용납하고 참아서 토벌하지 못한다면, 어찌 나라에 사람이 있다 하랴. 이제 한창 농사짓는 달을 당하여 장수를 보내 출병하여, 그 죄를 바로잡으려 하는 것은 부득이한 일이다. 아아, 신민들이여, 간흉한 무리를 쓸어 버리고 생령을 수화(水火)에서 건지고자 하여, 여기에 이해(利害)를 말하여 나의 뜻을 일반 신민들에게 널리 알리노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2책 4권 14장 A면【국편영인본】 2책 321면
- 【분류】과학-지학(地學) / 역사-고사(故事) / 외교-왜(倭)
- [註 023]험윤(玁狁) : 흉노.
○上王敎中外曰:
窮兵黷武, 固聖賢之所戒; 討罪興師, 非帝王之獲已。 昔成湯舍穡事而征有夏, 宣王以六月而伐玁狁。 其事雖有大小之殊, 然其皆爲討罪之擧則一而已矣。 對馬爲島, 本是我國之地, 但以阻僻隘陋, 聽爲倭奴所據。 乃懷狗盜鼠竊之計, 歲自庚寅, 始肆跳梁於邊徼, 虔劉軍民, 俘虜父兄, 火其室屋, 孤兒寡婦, 哭望海島, 無歲無之。 志士、仁人扼腕歎息, 思食其肉而寢其皮, 蓋有年矣。 惟我太祖康獻大王龍飛應運, 威德光被, 撫綏相信, 然其凶狠貪婪之習, 囂然未已, 歲丙子, 攘奪東萊兵船二十餘隻, 殺害軍士。 予承大統, 卽位以後, 歲丙戌於全羅道, 歲戊子於忠淸道, 或奪漕運, 或燒兵船, 至殺萬戶, 其暴極矣, 再入濟州, 殺傷亦衆。 蓋其好人怒獸、包藏姦狡之念, 神人所共憤也。
予尙包荒含垢, 不與之校, 賑其飢饉, 通其商賈, 凡厥需索, 無不稱副, 期于竝生。 不意今又窺覘虛實, 潛入庇仁之浦, 殺掠人民, 幾三百餘, 燒焚船隻, 戕害將士, 浮于黃海, 以至平安, 擾亂吾赤子, 將犯上國之境。 其忘恩背義, 悖亂天常, 豈不甚哉? 以予好生之心, 苟有一夫之失所, 猶恐獲戾于上下, (蚓)〔矧〕 今倭寇肆行貪毒, 賊殺群黎, 自速天禍, 尙且容忍, 不克往征, 猶爲國有人乎? 今當農月, 命將出師, 以正其罪, 蓋亦不得已焉爾矣。 於戲! 欲掃姦兇, 拯生靈於水火; 斯陳利害, 諭予志于臣民。
- 【태백산사고본】 2책 4권 14장 A면【국편영인본】 2책 321면
- 【분류】과학-지학(地學) / 역사-고사(故事) / 외교-왜(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