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좌·우참찬 등 관제를 개혁하다
관제(官制)를 개혁하였다. 의정부의 좌참찬(左參贊)을 찬성(贊成)으로 하여 종1품으로, 우참찬(右參贊)을 참찬(參贊)으로 하여 정2품으로,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는 내려서 정2품하고, 검교 판공안부사(檢校判恭安府事)는 2원(員)에서 1원(員)을 감하고,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도 2원에서 1원을 감하고, 한성부 윤(漢城府尹)은 10원에서 3원을 감하고, 공조 참의(工曹參議)는 6원에서 2원을 감하고, 한성 소윤(漢城小尹)·사재 부정(司宰副正)·한성 판관(漢城判官)·군기 판관(軍器判官)은 각각 2원에서 1원을 감하고, 검교 의정부 찬성(檢校議政府贊成)은 1원을 더 두고, 검교 판삼군 도총제부사(檢校判三軍都摠制府事)는 각각 1원을 더 두고, 내시부 좌·우승직(內侍府左右承直)은 각각 2원을 더하고, 좌·우부승직(左右副承直)도 각각 2원을 더하고, 이성도 도병마사(泥城道都兵馬使)를 고쳐서 삭주도 병마 절제사(朔州道兵馬節制使)로 하고, 강계도 도병마사(江界道都兵馬使)를 고쳐서 강계도 병마 절제사(江界道兵馬節制使)로 하고, 평양부의 토관(土官)은, 군기시(軍器侍)와 전빈시(典賓寺)를 고쳐서 서(署)로 하고, 정설시(正設寺)·장작시(將作寺)를 고쳐서 국(局)으로 하고, 예의사(禮儀司)를 전례국(典禮局)으로 고치고, 도진시(都津寺)를 도진서(都津署)로 고치고, 제학원(諸學院)을 유학원(儒學院)으로 고치고, 용흥부(龍興部)를 융흥부(隆興部)로 고치고, 용덕부(龍德部)를 융덕부(隆德部)로 고쳤다.
- 【태백산사고본】 13책 29권 7장 B면【국편영인본】 2책 52면
- 【분류】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乙丑/改官制以議政府左參贊爲贊成從一品, 右參贊爲參贊正二品, 判敦寧府事降爲正二品, 檢校判恭安府事二減一, 判漢城府事二減一, 漢城府尹十減三, 工曹參議六減二, 漢城少尹、司宰副正、漢城判官、軍器判官各二減一, 加設檢校議政府贊成一、檢校判三軍都摠制府事各一、內侍府左右承直各二、左右副承直各二。 泥城道都兵馬使改爲朔州道兵馬節制使, 江界道都兵馬使改爲江界道兵馬節制使, 平壤府土官、軍器寺、典賓寺改爲署, 正設寺、將作寺改爲局, 禮儀司改典禮局, 都津寺改都津署, 諸學院改儒學院, 龍興部改隆興部, 龍德部改隆德部。
- 【태백산사고본】 13책 29권 7장 B면【국편영인본】 2책 52면
- 【분류】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