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4권, 地理志 平安道 安州牧

地理志 / 平安道 / 安州牧

안주목(安州牧)

사(使) 1인. 영변도 중익 병마(寧邊道中翼兵馬)를 겸한다. 판관(判官) 1인. 역시 중익 병마(中翼兵馬)를 겸한다.

본래 고려팽원군(彭原郡)인데, 태조(太祖) 14년 신묘에 【당(唐)나라 장흥(長興) 2년. 】 안북부(安北府)를 두고, 성종(成宗) 2년 계미에 【송(宋)나라 태평흥국(太平興國) 8년. 】 영주 안북 대도호부(寧州安北大都護府)로 고쳤으며, 현종(顯宗) 9년 무오 【송나라 천희(天禧) 2년.】안북 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로 고쳤다. 공민왕(恭愍王) 18년 기유에 안주 만호부(安州萬戶府)를 두고, 좌용(左勇)·우용(右勇)·좌맹(左猛)·우맹(右猛)·전용(前勇)·후용(後勇)·전맹(前猛)·후맹(後猛)의 8군(軍)에 각기 상·부천호(上副千戶)를 두었다가, 뒤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목(牧)으로 삼았다. 별호(別號)는 안릉(安陵)이다. 【순화(淳化) 때에 정한 것이다. 】 속현(屬縣)이 1이니, 안융(安戎)이다.

가을두산(加乙頭山) 【주(州) 동쪽에 있는데, 주인(州人)들이 진산(鎭山)으로 삼고 있다. 】 대천(大川)은 청천강(淸川江)이다. 【주성(州城) 북쪽을 둘러 있다. 예전에는 살수(薩水)라 일컬었으니, 곧 고구려 을지 문덕(乙支文德)이 수(隋)나라 장수 우문술(宇文述)·우중문(于仲文) 등 9 장군을 패퇴시킨 땅이다. 조준(趙浚)이 일찍이 시(詩)를 짓기를, "살수가 출렁출렁 푸른 하늘에 잠겼는데, 수병(隋兵) 백만이 고기가 되었구나. 지금도 아직 어초부(漁樵夫)의 이야기로 남아 있으나, 한갓 나그네의 웃음거리도 되지 못하네." 하였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개천(价川)에 이르기 25리, 서쪽으로 안융(安戎)에 이르기 37리, 남쪽으로 숙천(肅川)에 이르기 25리, 북쪽으로 박천(博川)에 이르기 2리이다.

호수가 2천 6백 90호, 인구가 8천 5백 67명이며,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백 50명, 익군(翼軍)이 4백 77명, 선군(船軍)이 1백 94명, 수성군(守城軍)이 61명이다.

입진성(入鎭姓)이 34이니, 오(吳)·최(崔)·김(金) 【해주(海州). 】 ·김(金) 【교하(交河). 】 ·강(康) 【정주(靜州). 】 ·서(徐) 【성주(星州). 】 ·김(金)·지(池) 【수주(水州). 】 ·서(徐) 【봉성(峯城). 】 ·문(文) 【장연(長淵). 】 ·박(朴) 【교동(交同). 】 ·노(魯) 【진강(鎭江). 】 ·장(張) 【부령(扶寧). 】 ·김(金) 【수원(水原). 】 ·송(宋) 【용성(龍城). 】 ·김(金) 【안산(安山). 】 ·김(金) 【장사(長沙). 】 ·이(李) 【철야(鐵冶). 】 ·한(韓) 【재령(載寧). 】 ·김(金) 【광양(光陽). 】 ·김(金) 【온수(溫水). 】 ·강(康) 【남원(南原). 】 ·견(甄)·문(文) 【전주(全州). 】 ·김(金)·방(方)·임(林)·최(崔) 【풍주(豊州). 】 ·오(吳) 【해주(海州). 】 ·송(宋) 【송림(松林). 】 ·민(閔) 【동주(凍州). 】 ·강(康) 【등주(登州). 】 ·이(李) 【수안(遂安). 】 ·강(康) 【배주(白州).】 이며, 안융현(安戎縣)의 입진성(入鎭城)이 2이니, 최(崔)·김(金)이다.

땅이 많이 메마르며, 간전(墾田)이 1만 2천 9백 80결이다. 【논이 6분의 1이 넘는다. 】 토의(土宜)는 오곡과 뽕나무·삼·닥나무·왕골·배·밤이요, 토공(土貢)은 옻·지초·표범가죽·여우가죽·삵가죽이며, 약재(藥材)는 과남풀[龍膽]·검산풀뿌리[續斷]이다. 염소(鹽所)가 1이다. 【가마[盆]가 11인데, 모두 주(州) 서쪽에 있다. 】

읍석성(邑石城) 【둘레가 3천 3백 75보(步)이다. 】 백상루(百祥樓)가 성(城) 가운데에 있다. 【북쪽으로 청천강(淸川江)에 임한다. 누(樓)에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어제시(御製詩)가 있는데, 그 시에 이르기를, "청천강 위 백상루에 삼라만경(森羅萬景) 벌여 있어 한눈에 보기 어렵고, 풀은 멀리 긴 둑에 한 줄로 푸르렀다. 하늘로 뻗은 멧부리 천으로 줄지었고, 비단병풍 속을 나르는 외로운 따오기, 옥거울 속에 뜬 한 점의 작은 배라. 속세에 선경(仙境)이 있는 것을 믿지 않았더니, 밀성(密城)에서 오늘 영주(瀛州)를 보는구나." 하였다. 】

관(館)이 1이니, 안흥(安興)이다. 【읍성(邑城) 안에 있다. 】 봉화가 5곳이니, 성황당(城隍堂) 【서쪽으로 청산(靑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박천(博川) 독산(禿山)에 응한다. 】 ·청산(靑山) 【남쪽으로 소산(所山)에 응하고, 서쪽으로 노근강(老斤江)에 응하고, 북쪽으로 정주(定州) 칠악산(漆岳山)에 응한다. 】 ·소산(所山) 【동쪽으로 오두산(烏頭山)에 응한다. 】 ·오두산(烏頭山) 【남쪽으로 숙천(肅川) 통령산(通寧山)에 응하고, 서쪽으로 노근강에 응한다. 】 ·노근강입소(老斤江立所) 【남쪽으로 숙천(肅川) 여을외(餘乙外)에 응하고, 북쪽으로 정주(定州) 미륵당(彌勒堂)에 응한다. 】 이다. 관방(關防)은 노근강이다. 【안융현(安戎縣)에 있는데, 영변도 수군 첨절제사(寧邊道水軍僉節制使)가 비어한다. 】

관할[所領]은 도호부(都護府)가 2이니, 성천(成川)·숙천(肅川)이요, 군(郡)이 4이니, 자산(慈山)·순천(順川)·개천(价川)·덕천(德川)이요, 현(縣)이 4이니, 영유(永柔)·맹산(孟山)·은산(殷山)·양덕(陽德)이다.


  • 【태백산사고본】 58책 154권 9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86면

    安州: 牧使一人, 兼寧邊道中翼兵馬; 判官一人, 亦兼中翼兵馬。 本高麗 彭原郡, 太祖十四年辛卯, 【唐 長興二年】安北府成宗二年癸未, 【宋 太平興國八年。】寧州安北大都護府。 顯宗九年戊午, 【宋 天禧二年。】安北大都護府。 恭愍王十八年己酉, 置安州萬戶府、左勇右勇左猛右猛前勇後勇前猛後猛八軍, 各置上副千戶, 後改今名爲牧, 別號安陵 【淳化所定。】 屬縣一, 安加乙頭山 【在州東, 州人以爲鎭山。】 大川, 淸川江 【環州城北, 古稱薩水, 卽高麗 乙支文德, 敗隋將宇文述、于仲文等九將軍之地。 趙浚嘗題詩云: "薩水湯湯漾碧虛, 隋兵百萬化爲魚。 至今留得漁樵話, 不滿征夫一笑餘。"】 四境, 東距价川二十五里, 西距安戎三十七里, 南距肅川二十五里, 北距博川二里。 戶二千六百九十, 口八千五百六十七。 軍丁, 侍衛軍一百五十, 翼軍四百七十七, 船軍一百九十四, 守城軍六十一。 入鎭姓三十四, 【海州。】 【交河。】 【靜州。】 【星州。】 【水州。】 【峯城。】 【長淵。】 【交同。】 【鎭江。】 【扶寧。】 【水原。】 【龍城。】 【安山。】 【長沙。】 【鐵冶。】 【載寧。】 【光陽。】 【溫水。】 【南原。】 【全州】 【豐州】 【海州。】 【松林。】 【凍州。】 【登州。】 【遂安。】 【白州。】 戎縣入鎭姓二, 。 厥土多塉, 墾田一萬二千九百八十結。 【水田六分之一强。】 土宜五穀, 桑、麻、楮、莞、梨、栗。 土貢, 漆、芝草、豹、狐狸皮。 藥材, 龍膽、續斷。 鹽所一。 【盆十一, 皆在州西。】 邑石城。 【周回三千三百七十五步】 百祥樓在城中。 【北臨淸川江。 樓有高麗 忠肅王禦製詩曰: "淸川江上百祥樓, 萬景森羅未易收。 草遠長堤靑一面, 天低列岫碧千頭。 錦屛影裏飛孤, 玉鏡光中點小舟。 未信人間仙境在, 密城今日見瀛州。"】 館一, 安興 【在邑城內。】 烽火五處, 城隍堂 【西準靑山, 北準博川 禿山。】 靑山 【南準所山, 西準老斤江, 北準定州 漆岳山。】 所山 【東準烏頭山】 烏頭山 【南準肅川 通寧山, 西準老斤江。】 老斤江立所 【南準肅川 餘乙外, 北準定州 彌勒堂。】 關防, 老斤江 【在安戎縣, 寧邊道水軍僉節制使備禦。】 所領都護府二, 成川肅川。 郡四, 慈山順川价川德川。 縣四, 永柔孟山殷山陽德


    • 【태백산사고본】 58책 154권 9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86면